KR101726694B1 -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694B1
KR101726694B1 KR1020120127731A KR20120127731A KR101726694B1 KR 101726694 B1 KR101726694 B1 KR 101726694B1 KR 1020120127731 A KR1020120127731 A KR 1020120127731A KR 20120127731 A KR20120127731 A KR 20120127731A KR 101726694 B1 KR101726694 B1 KR 10172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pair
blade
side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857A (ko
Inventor
장진호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6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촬영장치는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의 제1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변과 이미지 센서의 제2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변으로 이루어져 이미지 센서로 광을 통과시키는 사각형상의 통공을 형성하는 차광부와, 차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영장치{Imaging device}
실시예들은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개 기능을 하는 차광부의 통공의 모양을 이미지 센서의 모양에 대응시키며 조정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광을 받아들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로 광을 통과시키는 통공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리개를 갖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3-0000979호는 종래의 촬영장치 기술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촬영장치에서는 조리개가 조정됨에 따라 광을 통과시키는 통공의 가로 방향 길이와 세로 방향 길이의 비율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광량이 불균형적으로 변하거나, 회절 현상이나 색수차가 이미지 센서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가로 방향의 길이가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형상을 갖지만, 조리개가 형성하는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은 이미지 센서의 모양을 고려하지 않은 모양을 갖는다. 즉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은 사각형상이 아니라 다각형 또는 마름모꼴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멍의 크기가 조정되는 동안 이미지 센서의 모서리 부분에서 색수차, 회절 현상이 발생하거나, 모서리 부분에서 광량이 저하하여 비네팅 현상이 발생하거나 고스트 이미지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촬영장치에서는 조리개 통공(220)의 모양이 이미지 센서(210)의 모양에 대응하지 않으며 이미지 센서(210)에 입사되는 광량이 이미지 센서(210)의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서 불균형을 이룬다. 즉 이미지 센서(210)의 좌측 상단 모서리 부분(211)과 우측 하단 모서리 부분(212)에서는 많은 양의 광이 유입되고, 이미지 센서(210)의 우측 상단 모서리 부분(213)과 좌측 하단 모서리 부분(214)에서는 적은 양의 광이 유입되어 불균형적인 색수차나, 회절 현상이 발생한다.
도 7은 종래의 다른 촬영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종래의 촬영장치에서는 조리개 통공(320)의 모양이 직사각형상의 이미지 센서(310)의 모양에 대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리개 통공(320)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서(310)의 좌측 부분(B1)과 우측 부분(B2)에 입사하는 광량과 이미지 센서(310)의 상측 부분(A1)과 하측 부분(A2)에 입사하는 광선이 불균형을 이룬다.
이로 인해 이미지 센서(3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회절 현상이 발생하거나, 상하 좌우 방향에서의 광량차이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어서, 이미지 센서(310)의 특정 영역에서의 해상력이 저하되고, 일부분에 대해서만 초점이 맞는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용도로 사용되는 촬영장치의 경우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가로등이나 전광판과 같은 주변 광원의 영향을 받는다. 이때 주변 광원의 위치에 따라 고스트 현상이나, 플레어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3-0000979호 (1993.01.16.)
실시예들의 목적은 회절 현상, 비네팅 현상, 색수차 등의 발생이 최소화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조리개에 형성된 조리개 구멍이 이미지 센서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유지되며 조정됨으로써 광학적 성능이 향상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두 개의 쌍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광량은 동일하게 유지시키며 특정한 방향에서의 고스트 현상이나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의 제1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변과 이미지 센서의 제2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변으로 이루어져 이미지 센서로 광을 통과시키는 사각형상의 통공을 형성하는 차광부와, 차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차광부는 한 쌍의 제1 변의 하나를 구비한 제1 블레이드와, 한 쌍의 제1 변의 다른 하나를 구비한 제2 블레이드와, 한 쌍의 제2 변의 하나를 구비한 제 3 블레이드와, 한 쌍의 제2 변의 다른 하나를 구비한 제4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는 차광부의 통공을 동일한 면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쌍의 제1 변과 한 쌍의 제2 변이 형성하는 통공의 가로세로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차광부는 한 쌍의 제1 변의 하나와 한 쌍의 제2 변의 하나를 구비한 제1 블레이드와, 한 쌍의 제1 변의 다른 하나와 한 쌍의 제2 변의 다른 하나를 구비하며 제1 블레이드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블레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는 사각형상의 통공의 일 대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각형상의 통공의 가로세로비를 이미지 센서의 가로세로비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통공을 통과하는 광의 동일한 광량을 유지하면서 조리개 면적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촬영장치는, 조리개 기능을 하는 차광부의 통공의 모양을 이미지 센서의 모양에 대응하도록 유지하므로 색수차나 회절 현상으로 인한 화면의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의 모든 영역에 대해서 일정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리개 형상에 기인하는 비네팅 현상이나 고스트 이미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량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특정한 방향에 위치하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플레어 현상이나,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영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다른 촬영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촬영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중에 사용되는 '및/또는'의 표현은 관련 요소들의 하나 또는 요소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촬영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0)와, 이미지 센서(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10)로 광을 통과시키는 차광부(20)와, 차광부(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0)를 구비한다.
촬영장치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는 예를 들어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와 차광부(20)의 전방에는 렌즈(미도시)를 구비한 경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경통(미도시)은 피사체의 영상광을 이미지 센서(10)로 도입하는 기능을 한다.
이미지 센서(10)는 수평한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가장자리(11a)와,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가장자리(11b)를 구비하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미지 센서(10)의 형상과 관련하여 사용된 '수평한 방향(X축 방향)'이나 '수직한 방향(Y축 방향)'과 같은 표현은 촬영장치가 사용될 때의 중력 방향과는 관계가 없다. 이러한 표현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된 것이어서, 직사각형의 이미지 센서(10)를 기준으로 긴 길이를 갖는 제1 가장자리(11a)의 연장 방향이 '수평한 방향(X축 방향)'에 해당하고,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가장자리(11b)의 연장 방향이 '수직한 방향(Y축 방향)'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촬영장치를 사용할 때 이미지 센서(10)의 제1 가장자리(11a)의 연장 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촬영장치를 회전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이미지 센서(10)의 제1 가장자리(11a)의 연장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설명되었고, 제2 가장자리(11b)의 연장 방향이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설명되었다.
차광부(20)는 통공(27a)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이미지 센서(10)로 유입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광부(20)가 형성하는 통공(27a)은 이미지 센서(10)의 제1 가장자리(11a)에 평행하며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변(21a, 22a)과, 이미지 센서(10)의 제2 가장자리(11b)에 평행하며 수평한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변(21b, 22b)으로 이루어진다. 통공(27a)은 사각형상을 이루며 이미지 센서(10)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차광부(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0)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32)와, 모터(32)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31)를 구비한다.
실시예는 차광부(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0)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의 구동부(30)를 예를 들어 코일과 자석을 이용한 구동 액추에이터를 이용하거나, 보이스 코일 모터나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구성으로 변형할 수 있다.
차광부(20)는 한 쌍의 제1 변(21a, 22a) 중 하나의 제1 변(21a)과 한 쌍의 제2 변(21b, 22b) 중 하나의 제2 변(21b)을 구비한 제1 블레이드(21)와, 한 쌍의 제1 변(21a, 22a) 중 다른 제1 변(22a)과 한 쌍의 제2 변(21b, 22b) 중 다른 제2 변(22b)을 구비한 제2 블레이드(22)를 구비한다. 제1 블레이드(21)와 제2 블레이드(22)는 이미지 센서(10)의 대각선(L)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1 블레이드(21)는 구동기어(31)와 맞물리도록 이미지 센서(10)의 대각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1 기어면(25a)을 구비하고, 제2 블레이드(22)는 구동기어(31)와 맞물리도록 이미지 센서(10)의 대각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 기어면(25b)을 구비한다.
제1 기어면(25a)과 제2 기어면(25b)은 구동기어(31)를 사이에 두고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기어(31)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블레이드(21)의 제1 변(21a) 및 제2 변(21b)이 제2 블레이드(22)의 제1 변(22a) 및 제2 변(22b)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으로써 통공(27a)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블레이드(21)와 제2 블레이드(22)가 형성하는 직사각형상의 통공(27a)의 대각선은 직사각형상의 이미지 센서(10)의 대각선(L)의 연장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제1 블레이드(21)와 제2 블레이드(22)는 이미지 센서(10)의 대각선(L)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차광부(20)의 통공(27a, 27b, 27c)의 크기가 계속 변화하는 동안에도 통공(28c)의 가로세로비(V1/H1)는 이미지 센서(10)의 가로세로비(V/H)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촬영장치에 의하면, 이미지 센서(10)의 직사각형의 모양과 조리개 기능을 하는 차광부(20)의 통공의 모양을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색수차나 회절 현상으로 인한 화면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1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수직 방향)의 모두에 대해서 일정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리개 형상에 기인하는 비네팅 현상이나 고스트 이미지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촬영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받아들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110)와, 이미지 센서(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미지 센서(110)로 광을 통과시키는 차광부(120)와, 차광부(12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31, 132)를 구비한다.
이미지 센서(110)는 수평한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가장자리(111a)와,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가장자리(111b)를 구비하여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차광부(120)는 통공(127a)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이미지 센서(110)로 유입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한다.
차광부(120)가 형성하는 통공(127a)은 이미지 센서(110)의 제1 가장자리(111a)에 평행하며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변(121a, 122a)과, 이미지 센서(110)의 제2 가장자리(111b)에 평행하며 수평한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변(123b, 124b)으로 이루어진다. 통공(127a)은 사각형상을 이루며 이미지 센서(110)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차광부(120)는 제1 변(121a, 122a) 중의 하나씩을 구비한 제1 블레이드(121) 및 제2 블레이드(122)와, 제2 변(123b, 124b) 중의 하나씩을 구비한 제3 블레이드(123) 및 제4 블레이드(124)를 구비한다.
제1 블레이드(121)와 제2 블레이드(122)의 각각은 제1 구동부(131)에 맞물리도록 이미지 센서(110)의 대각선 방향의 연장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기어면(121d, 122d)을 구비한다. 또한 제3 블레이드(123)와 제4 블레이드(124)는 제2 구동부(132)에 맞물리도록 이미지 센서(110)의 대각선 방향의 연장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기어면(123d, 124d)을 구비한다. 제1 구동부(131)는 제1 블레이드(121)와 제2 블레이드(122)를 이미지 센서(110)의 대각선 방향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구동부(132)는 제3 블레이드(123)와 제4 블레이드(124)를 이미지 센서(110)의 대각선 방향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변(121a, 122a)이 이동하는 동작과 한 쌍의 제2 변(123b, 124b)이 이동하는 동작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촬영장치에서는 조리개의 형상이 이미지 센서(110)의 형상과 무관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므로, 이미지 센서(1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광량이 달라지거나 이미지 센서(110)의 모서리 부분에서 광량이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회절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차광부의 통공의 가로세로비와 이미지 센서의 가로세로비가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에서는 차광부(120)에 의해 형성된 통공(127a, 127b)의 가로세로비(V1/H1)가 이미지 센서(110)의 가로세로비(V/H)와 일치하도록 유지될 필요는 없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상의 이미지 센서(110)의 모양과 다르게 통공(127a, 127b)의 모양은 정사각형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들(121, 122, 123, 124)이 이동함으로써 차광부(120)에 의해 형성된 통공(127a, 127b)의 크기가 조정되는 동안 통공(127a, 127b)의 제1 변(121a, 122a)이 이미지 센서(110)의 한 쌍의 제1 가장자리(111a)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변(123b, 124b)이 이미지 센서(110)의 한 쌍의 제2 가장자리(111b)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에서는 차광부(20)가 이미지 센서(110)의 가장자리에 평행한 제1 변(121a, 122a)과 제2 변(123b, 124b)을 갖는 4 개의 블레이드들(121, 122, 123, 124)을 구비하므로, 촬영장치가 사용되는 촬영 환경에 맞추어서 색수차나, 회절현상이나,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조리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광이 촬영장치의 광학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절되어 촬영된 영상에피사체에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테두리나 그림자가 촬영되는 고스트 이미지가 촬영되기도 하고, 피사체에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점이 나타나는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촬영장치를 사용하는 중에 플레어 현상이나, 고스트 이미지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통공을 통과하는 광의 동일한 광량을 유지하도록 통공(127a, 127b)의 가로세로비(조리개 면적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량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특정한 방향에 위치하는 광원에 의해 발생하는 플레어 현상이나,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 제1 블레이드 20, 120: 차광부
22: 제2 블레이드 22a, 21a, 121a, 122a: 제1 변
25a: 제1 기어면 21b, 22b, 123b, 124b: 제2 변
25b: 제2 기어면 27a, 27b, 27c, 127a, 127b: 통공
31: 구동기어 121d, 122d, 123d, 124d: 기어면
32: 모터 121, 122, 123, 124: 블레이드들
10, 110: 이미지 센서 30, 131, 132: 구동부
11a, 111a: 제1 가장자리 211, 212, 213, 214: 모서리 부분
11b, 111b: 제2 가장자리

Claims (5)

  1.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제1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변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제2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상기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변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미지 센서로 광을 통과시키는 사각형상의 통공을 형성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변의 하나를 구비한 제1 블레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1 변의 다른 하나를 구비한 제2 블레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2 변의 하나를 구비한 제3 블레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2 변의 다른 하나를 구비한 제4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대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3 블레이드와 상기 제4 블레이드를 상기 이미지 센서의 대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변이 이동하는 동작과, 상기 한 쌍의 제2 변이 이동하는 동작이 서로에 대해 독립적인, 촬영장치.
  2. 삭제
  3. 삭제
  4.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가장자리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가장자리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제1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변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상기 제2 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상기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변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미지 센서로 광을 통과시키는 사각형상의 통공을 형성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변의 하나와 상기 한 쌍의 제2 변의 하나를 구비한 제1 블레이드와, 상기 한 쌍의 제1 변의 다른 하나와 상기 한 쌍의 제2 변의 다른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2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차광부의 상기 통공의 대각선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대각선의 연장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대각선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공의 가로세로비가 상기 이미지 센서의 가로세로비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촬영장치.
  5. 삭제
KR1020120127731A 2012-11-12 2012-11-12 촬영장치 KR10172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731A KR101726694B1 (ko) 2012-11-12 2012-11-12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731A KR101726694B1 (ko) 2012-11-12 2012-11-12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857A KR20140060857A (ko) 2014-05-21
KR101726694B1 true KR101726694B1 (ko) 2017-04-13

Family

ID=5089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731A KR101726694B1 (ko) 2012-11-12 2012-11-12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94A (ko) 2020-06-30 2022-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614A (ja) 2004-12-28 2006-07-13 Sony Corp 絞り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6317618A (ja) 2005-05-11 2006-11-24 Sony Corp レンズ絞り機構、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1112946A (ja) * 2009-11-27 2011-06-09 Victor Co Of Japan Ltd 絞り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26A (ja) 1991-06-28 1993-01-14 Sony Corp アイリス駆動機構
KR101198063B1 (ko) * 2010-06-30 2012-11-07 한국전기연구원 엑스-선 시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614A (ja) 2004-12-28 2006-07-13 Sony Corp 絞り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6317618A (ja) 2005-05-11 2006-11-24 Sony Corp レンズ絞り機構、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1112946A (ja) * 2009-11-27 2011-06-09 Victor Co Of Japan Ltd 絞り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694A (ko) 2020-06-30 2022-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
US11275290B2 (en) 2020-06-30 2022-03-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391578B1 (ko) * 2020-06-30 2022-04-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857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293B2 (ja) ドーム型カメラ
KR102029532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343197B1 (ko) 카메라 모듈
US8213783B2 (en) Anti-shake device and optical system having the same
JP4493046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0204651A (ja) レンズ鏡筒
JP2015188199A (ja) 撮像装置
JP5525109B2 (ja) 撮像装置
JP5507761B2 (ja) 撮像装置
US11726290B2 (en) Imaging lens system,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JP6550748B2 (ja) 撮像装置
US8149282B2 (en) Hand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27730B1 (ko) 카메라 모듈
KR101726694B1 (ko) 촬영장치
KR101643615B1 (ko) 광학 시스템
KR20220001694A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
JP5661892B2 (ja) ドーム型カメラ
KR101636469B1 (ko) 카메라 모듈
JP5830666B2 (ja) ドーム型カメラ
JP2011085675A (ja) 光学素子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KR101813393B1 (ko) 카메라 모듈
KR101278040B1 (ko) 자동 돌출식 반사경이 설치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정보장치
JP2008298983A (ja) 画像振れ補正装置
WO2013047080A1 (ja) 立体画撮像装置
KR20230077225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