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131B1 -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 Google Patents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131B1
KR101726131B1 KR1020160035213A KR20160035213A KR101726131B1 KR 101726131 B1 KR101726131 B1 KR 101726131B1 KR 1020160035213 A KR1020160035213 A KR 1020160035213A KR 20160035213 A KR20160035213 A KR 20160035213A KR 101726131 B1 KR101726131 B1 KR 10172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urnace
furnace
reaction furnace
reaction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환석
이정율
Original Assignee
윤환석
이정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환석, 이정율 filed Critical 윤환석
Priority to KR102016003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2Supplying steam, vapour, gases, or liquids
    • F27D2007/023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2099/0061Indirect heating
    • F27D2099/0065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방으로 개방되고 연소실(112)과 폐가스 닥트(111)가 연결된 가열로(110)와, 기 가열로(110)의 상방으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방에 도어(121)가 장착되어 개폐되는 반응로(120)와, 기 반응로(120)에 연결되어 건류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125)과, 기 연소실(112)에 장착된 버너(113)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가열로(110)에 반응로(120)를 수용시키는 구조로 인해서 반응로(120)를 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서, 상기 가열로(110)는 냉각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배경기술에 비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Waste cable melting furnace of circulation type}
본 발명은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방으로 개방된 가열로에 반응로를 수용시키는 구조에 의해서 상기 반응로를 순환시켜 사용하도록 구성하므로 폐전선의 피복재를 연속적으로 가스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폐전선 반응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경기술에 의한 폐전선 반응로(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각재를 공급하는 소각재 투입 장치(10)와 상기 소각재 투입 장치(10)에 연결되어 상기 소각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내화재로 구성된 반응로 본체(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반응로 본체(20)에는 내부를 향하여 화염을 분사하는 제1발열실(30), 제2발열실(40), 제3발열실(50)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폐전선 반응로(1)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각재 투입 장치(10)를 통해서 상기 반응로 본체(20) 내부로 폐전선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발열실(30), 제2발열실(40), 제3발열실(50)에 연료를 공급하면서 반응로 본체(20)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폐전선의 피복재는 연소되어 건류가스가 되어 배기되고 구리선만 잔류하게 된다. 상기 건류가스는 액화되어 오일로서 재생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구리선을 끄집어 낸 후에 다시 소각재 투입 장치(10)를 작동시켜서 폐전선이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상기 반응로 본체(20) 내부에 잔류하는 폐전선을 끄집어 내는 동안 소각 작업이 중단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폐전선을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제1발열실(30), 제2발열실(40), 제3발열실(50)을 오프(OFF)시켜야 하기 때문에 반응로 본체(20)가 냉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폐전선을 다시 소각하기 위해서는 다시 소각 온도까지 반응로 본체(20)를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연료소비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20-0384930호 (2005년 05월 13일)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상기 반응로 본체 내부에 잔류하는 폐전선을 끄집어 내는 동안 소각 작업이 중단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상기 반응로 본체 내부에서 폐전선을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제1발열실, 제2발열실, 제3발열실을 오프(OFF)시켜야 하기 때문에 반응로 본체가 냉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폐전선을 다시 소각하기 위해서는 다시 소각 온도까지 반응로 본체를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연료소비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방으로 개방되고 연소실과 폐가스 닥트가 연결된 가열로와, 상기 가열로의 상방으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방에 도어가 장착되어 개폐되는 반응로와, 상기 반응로에 연결되어 건류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과, 상기 연소실에 장착된 버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로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폐가스 닥트와 연소실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배기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응로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로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열로의 상단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수용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완충링과, 상기 가열로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가열로를 받치는 완충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링의 상단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장착된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서 감지되도록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 표시되는 표식과, 상기 감지센서에 접속되어 상기 표식의 감지 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표식이 감지된 신호를 접수하게 되면 이를 알리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응로의 외측면과 상기 가열로의 내측면은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반응로의 도어 측방에 배치된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상기 가열로에 반응로를 수용시키는 구조로 인해서 반응로를 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로는 냉각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배경기술에 비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가열로가 지속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배경기술처럼 냉각 후 다시 용융 온도까지 올리므로 연료가 더 소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연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감지센서 및 표식에 의해서 상기 반응로를 가열로에 용이하게 조준하여 수용시킬 수 있고, 반응로와 가열로의 중심이 공차 범위에서 어긋난다고 하더라도 가열로의 내측면과 반응로의 외측면이 하방을 향하여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 모양이므로 용이하게 반응로를 가열로의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반응로가 가열로에 수용될 때 상기 완충링과 완충판에 의해서 가열로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폐전선 반응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 구성되는 가열로와 반응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서 가열로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완충링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서 가열로의 상부에 반응로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위치 컨트롤부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구성과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 구성되는 가열로와 반응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서 가열로의 상단에 형성된 홈에 완충링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에서 가열로의 상부에 반응로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위치 컨트롤부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폐기되는 폐전선은 구리선과 상기 구리선을 감싸는 합성수지재인 피복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폐선선을 용융시켜서 피복재는 건류가스로 배출되도록 하고 구리선은 잔류시켜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건류가스는 액화시켜서 오일로 재활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100)는 상기 폐전선을 용융시킨 후 잔류하는 구리선을 배출시키고 다시 폐전선을 용융시키는 작업 사이클을 배경기술에 비해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상방으로 개방되고 연소실(112)과 폐가스 닥트(111)가 연결된 가열로(1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110)의 상방으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방에 도어(121)가 장착되어 개폐되는 반응로(120)가 구성된다.
상기 가열로(100)는 도 3 및 도 4에서처럼, 내화벽돌로 원통형으로 조적된 것으로서 상기 연소실(112)에 버너(113)가 장착되어 상기 연소실(112)을 통해서 가열로(100)의 내부로 화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실(112)은 연료관이 연결되어 내측으로 연료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버너(113)에 의해서 연료에 점화되면 버너(113)의 송풍에 의해서 가열로(100)의 내부로 화염을 분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로(110)는 내측면(N)에 형성되고 상기 폐가스 닥트(111)와 연소실(11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면(N)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배기홈(115)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112)에서 분사되는 열기가 상기 배기홈(115)을 따라 상기 반응로(120)의 둘레를 따라 순환한 후에 상기 폐가스 닥트(111)를 통해서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로(110)의 내측면(N)은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반응로(120)는 도 3 및 도 4에서처럼, 건류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125)이 상기 도어(121)의 측방에 배치되어 구성되고, 외측면(G)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로(110)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127)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121)의 측방에 배치되는 후크(123)가 구성되어 반응로(1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121)는 잠금장치에 의해서 잠금되는 것으로서 잠긴 상태에서는 기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탱크의 도어를 여닫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반응로(120)는 외측면(G)이, 상기 가열로(110)의 내측면(N)에 부합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반응로(120)를 가열로(110)에 수용시킬 때 상호 중심이 어긋나더라도 용이하게 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반응로(120)를 가열로(110)의 내측으로 수용시킬 때 충격에 의해서 상기 가열로(110)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3 및 도 4에서처럼 가열로(110)에 완충 기능이 부가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반응로(120)의 플랜지(127)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열로(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홈(116)이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116)에 수용된 압축스프링(117)이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17)은 세워진 상태에서 완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삽입홈(116)의 하단에 축이 연결되고 상기 축이 압축스프링(117)에 끼워지는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117)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삽입홈(116)에 끼워지는 완충링(118)이 구성되는데, 완충이 가능하면서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불소고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고무는 450℃의 온도까지도 내열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열로(110)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압축스프링(119)이 구성되는데, 세워진 상태에서 완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바닥면에 축이 연결되고 상기 축이 압축스프링(119)에 끼워지는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스프링(119)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가열로(110)를 받치는 완충판(P)을 포함하는데 내구성을 구비한 금속제로 구성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로(120)를 가열로(110)의 내측으로 정확하게 조준하기 위해서, 도 4 내지 도 6에서처럼 상기 완충링(118)의 상단에 수용홈(T)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T)의 내부에 감지센서(S)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S)에 의해서 감지되도록 상기 플랜지(127)의 하면에 표시되는 표식(129)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S)에 접속되어 상기 표식(129)의 감지 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C)가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C)에 접속되어 상기 표식(129)이 감지된 신호를 접수하게 되면 이를 알리는 출력부(E)가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S)는 일례로서 색을 감지하는 칼라센서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표식(129)은 플랜지(127)의 하면에 표시된 도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S)가 표식(129)을 감지하게 되면 반응로(120)의 중심은 가열로(110)의 중심에 대해서 ±2cm∼±3cm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E)는 엘이드 등(燈)과 같은 발광수단이거나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129)이 감지센서(S)에 감지되면 제어부(C)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출력부(E)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S) 및 표식(129)은 각각 광센서 및 거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광센서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거울에 반사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 상태를 알리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반응로(120)가 가열로(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반응로(120)의 도어(121)를 열고 폐전선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121)를 닫아서 기밀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반응로(120)의 후크(123)에 로프를 걸고 상기 로프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가열로(110) 상부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전후 좌우로 크리인을 조작하여 반응로(120)의 플랜지(127)에 표시된 표식(129)이 상기 가열로(110)의 감지센서(S)에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C)는 이를 인식하고 상기 출력부(E)를 작동시킨다. 상기 출력부(E)가 발광등이면 빛을 조사하게 되고 스피커이면 경보음을 알리게 된다.
이렇게 상기 출력부(E)가 작동되는 순간 크레인을 멈춘다. 그리고 이 이상태에서 반응로(120)를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반응로(120)와 가열로(110)의 중심이 ±2cm∼±3cm 범위 안에 있게 되므로 반응로(120)를 용이하게 가열로(110)에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차범위를 벗어난다고 하더라도 상기 반응로(120)의 외측면(G)과 가열로(110)의 내측면(N)은 하방을 향하여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 모양이므로 반응로(120)는 용이하게 가열로(110)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렇게 해서 반응로(120)는 하강하다가 플랜지(127)가 완충링(118)에 닿으면서 완충이 되고 반응로(120)의 하면이 상기 완충판(P)에 접촉되면서 충격이 감쇄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완충링(118)과 완충판(P)이 없다면 내화벽돌로 조적된 가열로(110)는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링(118)은 특히 완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내열성을 구비한 불소고무로 구성된다.
상기 반응로(120)가 가열로(110)에 수용된 후에는 상기 후크(123)에 걸린 로프를 벗기고 크레인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112)에 연료를 공급하면서 상기 버너(113)가 연료를 점화하도록 한다. 그리고, 버너(113)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열기 즉 배기가스가 상기 나선형의 배기홈(115)을 따라 나선형으로 반응로(120)의 둘레를 돌아서 상기 폐가스 닥트(111)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가스는 반응로(120) 둘레를 순환하면서 충분히 열기가 반응로(120)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배기홈(115)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지 않는다면 배기가스가 바로 폐가스 닥트(111)로 배출되므로 열효율이 저하된다.
이렇게 해서 반응로(120)가 가열되면 내부에 수용된 폐전선의 피복재가 용융되면서 건류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상기 배기관(125)을 통해서 배기된다. 이렇게 배기된 건류가스는 액화되어 오일로 재활용된다.
용융이 완료되었다면 상기 반응로(120)의 후크(123)에 로프를 걸어서 크레인으로 반응로(120)를 상방으로 들어낸다. 그리고, 폐전선이 수용된 다른 반응로(120)를 대기시키고 있다가 상기 기재한 것과 같은 순서대로 가열로(110)에 수용시킨다. 이때, 상기 버너(113)는 반응로(120)가 교체되는 동안만 오프시킬 수도 있고 계속 작동시켜도 무방하다.
들어낸 상기 반응로(120)는 도어(121)를 열고 내부에 잔류하는 구리선을 인출한 후에 다시 폐전선을 넣어서 대기시킨다.
상기 구성과 작업 순서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로(110)에 반응로(120)를 수용시키는 구조로 인해서 반응로(120)를 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로(110)는 냉각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배경기술에 비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110)가 지속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배경기술처럼 냉각 후 다시 용융 온도까지 올리므로 연료가 더 소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연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S) 및 표식(129)에 의해서 상기 반응로(120)를 가열로(110)에 용이하게 조준하여 수용시킬 수 있고, 반응로(120)와 가열로(110)의 중심이 공차 범위에서 어긋난다고 하더라도 가열로(110)의 내측면(N)과 반응로(120)의 외측면(G)이 하방을 향하여 좁아지게 형성된 테이퍼 모양이므로 용이하게 반응로(120)를 가열로(110)의 내부로 수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응로(120)가 가열로(110)에 수용될 때 상기 완충링(118)과 완충판(P)에 의해서 가열로(110)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110: 가열로
111: 폐가스 닥트 112: 연소실
113: 버너 115: 배기홈
116: 삽입홈 117: 압축스프링
118: 완충링 119: 압축스프링
P: 완충판 120: 반응로
121: 도어 123: 후크
125: 배기관 129: 표식
T: 수용홈 S: 감지센서
C: 제어부 E: 출력부

Claims (6)

  1. 삭제
  2. 상방으로 개방되고 연소실(112)과 폐가스 닥트(111)가 연결된 가열로(110)와,
    상기 가열로(110)의 상방으로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방에 도어(121)가 장착되어 개폐되는 반응로(120)와,
    상기 반응로(120)에 연결되어 건류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125)과,
    상기 연소실(112)에 장착된 버너(113)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로(110)의 내측면(N)에 형성되고 상기 폐가스 닥트(111)와 연소실(11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면(N)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배기홈(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로(120)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가열로(110)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127)와,
    상기 플랜지(127)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열로(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삽입홈(116)과,
    상기 삽입홈(116)에 수용된 압축스프링(117)과,
    상기 압축스프링(117)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삽입홈(116)에 끼워지는 완충링(118)과,
    상기 가열로(110)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압축스프링(119)과,
    상기 압축스프링(119)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가열로(110)를 받치는 완충판(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링(118)의 상단에 형성된 수용홈(T)과,
    상기 수용홈(T)의 내부에 장착된 감지센서(S)와,
    상기 감지센서(S)에 의해서 감지되도록 상기 플랜지(127)의 하면에 표시되는 표식(129)과,
    상기 감지센서(S)에 접속되어 상기 표식(129)의 감지 여부를 인식하는 제어부(C)와,
    상기 제어부(C)에 접속되어 상기 표식(129)이 감지된 신호를 접수하게 되면 이를 알리는 출력부(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로(120)의 외측면(G)과 상기 가열로(110)의 내측면(N)은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로(120)의 도어(121) 측방에 배치된 후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KR1020160035213A 2016-03-24 2016-03-24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KR10172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213A KR101726131B1 (ko) 2016-03-24 2016-03-24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213A KR101726131B1 (ko) 2016-03-24 2016-03-24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131B1 true KR101726131B1 (ko) 2017-04-12

Family

ID=5858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213A KR101726131B1 (ko) 2016-03-24 2016-03-24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5232A (zh) * 2018-04-28 2018-10-12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模块式高放废液蒸发-煅烧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30A (ja) * 1997-07-04 1999-01-26 Norio Mitsui 加熱炉及び廃棄樹脂の処理システム
KR200235055Y1 (ko) * 2001-03-02 2001-09-26 김상남 브라운가스 발열방법에 의한 금속용융로
KR200384930Y1 (ko) 2005-03-07 2005-05-24 김상남 브라운가스 소각재 용융로
KR20070060131A (ko) * 2004-09-29 2007-06-12 니혼 루 쯔보 가부시키가이샤 가열처리장치 및 가열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30A (ja) * 1997-07-04 1999-01-26 Norio Mitsui 加熱炉及び廃棄樹脂の処理システム
KR200235055Y1 (ko) * 2001-03-02 2001-09-26 김상남 브라운가스 발열방법에 의한 금속용융로
KR20070060131A (ko) * 2004-09-29 2007-06-12 니혼 루 쯔보 가부시키가이샤 가열처리장치 및 가열처리방법
KR200384930Y1 (ko) 2005-03-07 2005-05-24 김상남 브라운가스 소각재 용융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5232A (zh) * 2018-04-28 2018-10-12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模块式高放废液蒸发-煅烧炉
CN108645232B (zh) * 2018-04-28 2020-04-14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模块式高放废液蒸发-煅烧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142B1 (ko) 카본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JP5631169B2 (ja) 有価金属回収装置
KR101726131B1 (ko) 순환식 폐전선 반응로
KR101215308B1 (ko) 폐타이어용 버너에 의한 금속용해로
JP2013194942A (ja) 金属溶解炉および金属溶解方法
KR101743040B1 (ko) 해양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폐기물 처리방법
KR20120006255A (ko)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KR100503202B1 (ko) 소화탑 상층부의 고열가스 제어장치
JP2010065932A (ja) 熱分解ガスの二次燃焼炉の燃焼制御装置及び燃焼制御方法
JP2019060003A (ja) 炉体の予熱方法
CN201983272U (zh) 一种新型固体垃圾焚烧炉
KR20160073559A (ko) 스크랩 예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랩 예열방법
TW202020388A (zh) 工業爐及工業爐的燃燒控制方法
KR102376461B1 (ko) 공랭식 냉각구조를 갖는 열분해장치
JP2927689B2 (ja) 焼却炉
JPH1144581A (ja) 非接触式温度計測装置
KR102358793B1 (ko) 배기가스 송풍 모터 보호기능을 구비한 착화장치
IT202100030824A1 (it) Forno elettrico ad arco per la fusione di materiale metallico ed impianto siderurgico comprendente detto forno elettrico ad arco
JP6642528B2 (ja) 加熱処理炉を用いた有用貴金属等の回収方法
JP3440374B2 (ja) 廃タイヤの完全リサイクル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廃タイヤを燃料とする溶融炉
US20140151943A1 (en) Valuable metal recovery apparatus
JP2514072Y2 (ja) 焼却炉
JP3581852B2 (ja) 焼却装置および同装置を使用した焼却方法
KR20010007399A (ko) 브라운가스 연소특징을 이용한 용융노
JP2022052753A (ja) 炉内温度を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炉の内部の燃焼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