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55A -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55A
KR20120006255A KR1020100066888A KR20100066888A KR20120006255A KR 20120006255 A KR20120006255 A KR 20120006255A KR 1020100066888 A KR1020100066888 A KR 1020100066888A KR 20100066888 A KR20100066888 A KR 20100066888A KR 20120006255 A KR20120006255 A KR 20120006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tinuous casting
main body
preheating
casting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창환
Original Assignee
그린화이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화이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화이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6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255A/ko
Publication of KR20120006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60Pouring-nozzl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속 주조용 노즐이 장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을 예열하는 예열수단 및 상기 예열수단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되, 상기 예열수단은 상기 본체의 측벽에 높이 및/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연속 주조용 노즐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가열함으로써 주조 초기 열충격에 의한 노즐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작업성, 안전성 및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PREHEATER FOR CONTINUOUS CASTING NOZZLE}
본 발명은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강 주입 과정에서 열충격으로 인한 노즐의 크랙, 절단 등과 같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예열할 수 있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강 공정 중 연주 공정에서 용강, 즉, 불순물이 제거된 액체 상태의 쇳물을 래들(laddle)에서 턴디쉬(tundish)로 주입할 때 사용되는 쉬라우드 노즐(Shroud Nozzle), 턴디쉬에서 주형(Mold)로 주입할 때 사용되는 내화물 소재의 침지 노즐(Submerged Entry Nozzle)과 같이 통상 연속 주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노즐을 통칭하여 연속 주조용 노즐이라 한다.
이러한 연속 주조용 노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래들에서 턴디쉬,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주입되는 용강이 공기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가 고온의 용강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 변화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주조 전에 예열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 예열이 부족하게 되면 노즐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열충격으로 인해 크랙, 절단, 탈락 등과 같은 파손 현상이 발생한다. 주조 중에 이러한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용강이 대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성 개재물을 형성하게 되며, 주형에 혼입되어 후공정에서 품질결함의 요인이 된다. 또한 노즐이 파손되면 주조 중에 노즐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고온에 노출되어 위험이 따르고, 종국적으로는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종래의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로는 턴디쉬의 예열시 턴디쉬 내부에 노즐의 하단부를 삽입하여 함께 예열하는 방식(이하, “공지기술 1”이라 함)과, 노즐의 배관부 전단에 가열부를 설치하고, 후단에 송풍부를 설치하여 부압에 의해 턴디쉬의 고온 에어를 흡입시켜 노즐을 가열하는 방식(이하, “공지기술 2”라 함) 및 공기와 연료 버너를 사용하여 노즐을 예열하는 방식(이하, “공지기술 3”이라 함)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기술 1은 노즐의 하단부만을 가열함으로써 상단부와 하단부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여 주조 초기 용강 주입 시 열충격에 의해 목 부분 등이 파단될 뿐 아니라 작업성, 안전성 면에서도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지기술 2는 부압에 의해 턴디쉬의 고온 에어를 흡입시켜 노즐을 가열함으로써 종래 고압의 에어 또는 벤추리관 사용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노즐의 하단부만을 가열하는 것은 공지기술 1과 마찬가지여서 동일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지기술 3은 일반적인 연료 버너를 이용하여 노즐의 상단부부터 가열하기 때문에 상단부와 하단부의 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가열 면적이 매우 좁기 때문에 예열 적정 온도인 1000℃까지 가열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연료 버너의 긴 화염으로 인해 노즐 표면의 코팅층이 산화됨으로써 노즐 내부에 손상을 입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연속 주조용 노즐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나와 카본 혼합 계열에 열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실리카(SiO2)를 첨가한 소재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실리카는 내열충격성의 향상에는 기여하지만 용강에 대한 내식성이 약해 노즐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리카를 제외한 알루미나와 카본만으로 노즐을 제조하고, 노즐의 내외부에 단열재를 도포하거나, 노즐 구조 또는 알루미나 입도 조직을 최적화함으로써 부족한 내열충격성을 보완하고 있다. 이 경우, 주조 초기 열충격에 의한 노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즐을 적정 온도로 예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노즐 예열 과정에서 특정 온도 구간에 이르면 노즐을 구성하는 탄소가 산화함으로써 강도 저하, 취성 증가와 같은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탄소가 산화되는 온도 구간을 신속하게 통과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하여 노즐을 급속으로 가열하게 되면 노즐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온도차에 의한 크랙, 절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급속 가열시에는 반드시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가열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연속 주조용 노즐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주조 초기 열충격에 의한 노즐의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작업 생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 주조용 노즐이 장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을 예열하는 예열수단 및 상기 예열수단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하되, 상기 예열수단은 상기 본체의 측벽에 높이 및/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예열수단은 표면 연소 버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은 쉬라우드 노즐 또는 침지 노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면 연소 버너는, 일측에 형성되는 예혼합 가스 인렛을 통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연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연소 챔버와, 상기 연소 챔버의 타측에 설치되는 버너 미디어와, 상기 연소 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배판과, 상기 버너 미디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화염 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장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의 내측벽에는 세라믹 울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의 외측 및/또는 내측에는 단열 캐스터블이 축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도어부의 접지 부분은 세라믹 포 또는 세라믹 울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주조용 노즐의 넓은 면적을 근접 가열하여 예열함으로써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속 주조용 노즐을 균일하게 가열함으로써 고온의 용강 주입시 노즐이 크랙, 절단, 탈락 등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연속 주조용 노즐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성, 안전성은 물론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표면 연소 버너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열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100)는 대별하여 본체(20)와, 예열수단(30) 및 매니폴드(Manifold, 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20)는 연속 주조용 노즐(10)의 장입과 각 구성의 설치를 위한 구성으로, 내부가 빈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하부에 용접 또는 볼트(도면 미도시)로 체결되는 받침대(21)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20)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본체(20)를 상기 받침대(21)에 고정되는 고정부(20a)와, 상기 고정부(20a)에 결합되어 공압 실린더(23)와 같은 개폐 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부(20b)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의 장입과 출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은 쉬라우드 노즐 또는 침지 노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노즐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예열수단(30)은 상기 본체(20)에 설치되어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예열수단(30)으로 상기 본체(20)의 측벽에 높이 및/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표면 연소 버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표면 연소 버너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 연소 버너(31)는 연소 챔버(32)와, 버너 미디어(36)와, 분배판(35)과, 점화기(37) 및 화염 감지기(3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소 챔버(32)는 플랜지(34)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20)에 결합되며, 일측에 형성된 예혼합 가스 인렛(Inlet, 33)을 통해 공기와 연료의 혼합체, 즉, 예혼합 가스를 공급 받는다. 이 경우, 예혼합 가스는 상기 매니폴드(40)로부터 공급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버너 미디어(36)는 상기 연소 챔버(32)의 타측에 설치되어 화염 발생 위치로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버너 미디어(36)로는 금속 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되는 매트(MAT), 금속 섬유 다발을 진공, 고온 상태에서 소결하여 제조되는 소결 매트 또는 다공질의 세라믹 미디어 중에서 가열 온도, 예혼합 가스의 유량 등을 고려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배판(35)은 상기 연소 챔버(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매니폴드(40)로부터 공급되는 예혼합 가스를 전 영역으로 고르게 분배한다. 이 경우, 상기 분배판(35)의 형태는 상술한 예혼합 가스의 고른 분배를 위해 평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버너의 크기와 형상, 예혼합 가스의 유량 및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변형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점화기(37)는 상기 버너 미디어(36)의 일측에 설치되어 순간적으로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점화 초기 분사되는 예혼합 가스에 점화한다.
상기 화염 감지기(38)는 상기 점화기(37)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표면 연소 버너(31)의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즉, 초기 점화 실패, 가열 중 실화 등을 감지한 후 화염 감지 릴레이(도면 미도시)를 통해 메인 컨트롤러(도면 미도시)에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점화기(37) 및 화염 감지기(38)는 공지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상기 표면 연소 버너(31)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처럼 상기 표면 연소 버너(31)는 상기 버너 미디어(36)의 표면에서 예혼합 가스를 연소시켜 열량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을 근거리에서 급속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가열 효율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에 화염이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코팅층의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면 연소 버너(31)는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본체(20)의 높이 및/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절한 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균일한 가열을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4개의 구역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매니폴드(40)는 상기 본체(20)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 챔버(32)에 예혼합 가스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니폴드(40)의 형태나 장착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 조건이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의 열흐름도이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고하면, 먼저, 상기 공압 실린더(23)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부(20b)를 개방하고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을 장입한 후 다시 상기 공압 실린더(23)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부(20b)를 닫는다.
여기서,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을 장입할 때에는 이송장치 취부 캡(11)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20a)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을 이격시키면, 상기 표면 연소 버너(31)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의 중공축을 따라 순환됨으로써 내부와 외부가 빠른 속도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을 상기 고정부(20a)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20a)에 상기 중공축과 대응하는 통기공(도면 미도시)을 형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10)의 장입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표면 연소 버너(31)를 점화하여 적정 온도까지 승온시키면서 예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여 연속 주조용 노즐을 예열하면 종래 1000℃까지 1시간 이상 소요되던 예열 시간을 종래 버너보다 더 적은 용량으로 1시간 이내로 단축할 수 있어 작업 시간 단축, 제품 불량 감소 및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예열과정에서 상기 본체(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20)의 내측벽에는 단열 캐스터블(castable)을 축조하고, 상기 본체(20) 내부의 고열이 상기 고정부(20a)와 상기 도어부(20b)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틈새에는 세라믹 포, 세라믹 울 등을 부착하여 상기 본체(20) 내부를 완전히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연속 주조용 노즐 11 : 이송장치 취부 캡
20 : 본체 20a : 고정부
20b : 도어부 21 : 받침부
22 : 연결부재 23 : 공압 실린더
30 : 예열수단 31 : 표면 연소 버너
32 : 연소 챔버 33 : 예혼합 가스 인렛
34 : 플랜지 35 : 분배판
36 : 버너 미디어 37 : 점화기
38 : 화염 감지기 40 : 매니폴드
100 :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Claims (9)

  1. 연속 주조용 노즐이 장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을 예열하는 예열수단; 및
    상기 예열수단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를 포함하되,
    상기 예열수단은 상기 본체의 측벽에 높이 및/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수단은 표면 연소 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은 쉬라우드 노즐 또는 침지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연소 버너는,
    일측에 형성되는 예혼합 가스 인렛을 통해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연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받는 연소 챔버와;
    상기 연소 챔버의 타측에 설치되는 버너 미디어와;
    상기 연소 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배판과;
    상기 버너 미디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점화기; 및
    상기 점화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화염 감지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주조용 노즐은 상기 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장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벽에 세라믹 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측 및/또는 내측에 단열 캐스터블이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도어부의 접지 부분은 세라믹 포 또는 세라믹 울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KR1020100066888A 2010-07-12 2010-07-12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KR20120006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88A KR20120006255A (ko) 2010-07-12 2010-07-12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888A KR20120006255A (ko) 2010-07-12 2010-07-12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55A true KR20120006255A (ko) 2012-01-18

Family

ID=4561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888A KR20120006255A (ko) 2010-07-12 2010-07-12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2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5344A (zh) * 2018-11-13 2019-01-11 四川德胜集团钒钛有限公司 一种水口烘烤设备
CN110170642A (zh) * 2019-07-11 2019-08-27 山西通才工贸有限公司 一种浸入式水口在线烘烤装置及方法
CN112775424A (zh) * 2020-12-11 2021-05-11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中间包水口烘烤系统
CN114523097A (zh) * 2022-01-13 2022-05-24 北京科技大学 一种连铸生产中长水口包覆调温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5344A (zh) * 2018-11-13 2019-01-11 四川德胜集团钒钛有限公司 一种水口烘烤设备
CN110170642A (zh) * 2019-07-11 2019-08-27 山西通才工贸有限公司 一种浸入式水口在线烘烤装置及方法
CN112775424A (zh) * 2020-12-11 2021-05-11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中间包水口烘烤系统
CN114523097A (zh) * 2022-01-13 2022-05-24 北京科技大学 一种连铸生产中长水口包覆调温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255A (ko) 연속 주조용 노즐 예열 장치
KR20120129832A (ko) 밀폐된 공간 내로의 공기 진입을 제어하기 위한 가열 방법 및 시스템
CN111360239B (zh) 一种浸入式水口的烘烤方法及装置
JP4658231B1 (ja) トーピードカー用加熱装置
CN110449570B (zh) 一种超低碳钢用浸入式水口的烘烤方法
WO2013136841A1 (ja) 金属溶解炉および金属溶解方法
JP2013194991A (ja) 焼結機点火炉用バーナ
KR20170001017U (ko) 레이들 예열 장치
WO2021220802A1 (ja) 冷鉄源の溶解・精錬炉、及び溶解・精錬炉の操業方法
JP5065108B2 (ja) 加熱炉
CN104928508A (zh) 一种铝合金熔炼工艺
US4455014A (en) Production of refractory linings or walls
WO2019064433A1 (ja) 溶解・精錬炉の操業方法及び溶解・精錬炉
KR101860897B1 (ko) 노즐 예열 장치
JP5588045B1 (ja) 流動焼却炉および該流動焼却炉を用いた処理物の焼却方法
KR100561064B1 (ko) 스테인레스 주조용 래들의 균일 가열 장치
JP3912717B2 (ja) 放射性廃棄物の焼却溶融処理装置および焼却溶融処理方法
CN102809147B (zh) 一种立式向下液排渣煤粉燃烧装置
JP6421851B2 (ja) 焼結機点火炉用バーナ
JPH10232090A (ja) コークス炉炭化室の溶射修理方法
US4411617A (en) Burners for soaking pit furnaces
KR101717924B1 (ko) 시편제작용 용해로
JP6393291B2 (ja) 溶解・精錬炉の操業方法及び溶解・精錬炉
JP2006122972A (ja) 使用前に予熱される製鋼用耐火れんがとその保温方法
JP2015030036A (ja) トリベ予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