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089B1 -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 Google Patents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089B1
KR101726089B1 KR1020150183970A KR20150183970A KR101726089B1 KR 101726089 B1 KR101726089 B1 KR 101726089B1 KR 1020150183970 A KR1020150183970 A KR 1020150183970A KR 20150183970 A KR20150183970 A KR 20150183970A KR 101726089 B1 KR101726089 B1 KR 10172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continuous
winding
cu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협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3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 금속판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수단; 상기 용접수단에서 상기 제1 공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을 가이드하는 제1 피드테이블; 및, 상기 용접수단에서 상기 제2 공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용접수단에 의해 용접된 금속판를 가이드 하는 제2 피드테이블;을 구비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SEPERATING AND CONNECTING APPARATUS OF THR SERIS PROCESS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속공정에서 설비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킨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종래의 연속공정의 경우에는 금속판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각각의 공정이 진행되는 연속공정에서 어느 일측의 공정의 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중단된 공정의 수리가 완료시까지 연속공정 설비전체의 가동이 중지되어야 하는 점에서 조업중단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가 심각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연속공정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있어도 나머지 공정은 정상가동이 가능하게 하여 설비의 가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속공정설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연속공정 중 어느 일측의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연속공정 전체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 금속판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수단; 상기 용접수단에서 상기 제1 공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을 가이드하는 제1 피드테이블; 및, 상기 용접수단에서 상기 제2 공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용접수단에 의해 용접된 금속판를 가이드 하는 제2 피드테이블;을 구비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공급부에서 공급된 금속판의 선단부의 불량부를 절단토록 제공되는 보조절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던 금속판의 잔여부분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보조용접수단;을 더 포함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권취부,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되는 금속판을 권취하는 권취릴;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과 외부의 인출영역에 걸쳐서 설치된 이송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권취릴을 인출입시키는 권취대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정공급부는, 상기 제2 공정으로 금속판을 공급하는 공급릴;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과 외부의 인출영역에 걸쳐서 설치된 이송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공급릴을 인출입시키는 공급대차부;를 구비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은 압연된 연연속공정의 금속판를 풀림처리하는 소둔공정이고, 상기 제2 공정은 소둔공정에서 발생된 변형을 정정하는 정정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이고, 상기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은,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이 연속적으로 운영되는 연속공정모드와, 상기 제1 공정 및, 상기 제2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개별공정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공정모드와 상기 개별공정모드 중 어느 하나모드가 선택적으로 운영되는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연속공정모드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구비된 제1 공정권취부 및, 상기 제2 공정공급부가 금속판의 이송영역에서 인출되고, 금속판은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별공정모드에서 상기 제1 공정은,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구비된 제1 공정권취부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1 공정을 따라 이송된 금속판을 상기 제1 공정권취부에서 권취하여 코일링하고, 상기 개별공정모드에서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2 공정공급부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2 공정공급부에서 공급된 금속판은 제2 공정을 따라 이송된 금속판을 텐션릴에서 권취하여 코일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공정 중 어느 일측의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연속공정 전체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의 운용효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가 적용된 연속공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의해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의해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제1 공정과 제2 공정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가 적용된 연속공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금속판(S)은 페이오프릴(1)에서 풀려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면 소둔공정, 본 발명의 연속공정 분리연결장치 및, 정정공정을 거쳐서 텐션릴(2)에 감기면서 코일(3)이 형성될 수 있다.
금속판(S)은 페이오프릴(1)에서 풀려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연연속라인의 압연공정이 끝난 후 조밀한 입자의 철강조직을 소둔(풀림)열처리를 하는 소둔로(5)와 소둔 열처리 이후 금속판(S)의 표면에 산화스케일을 제거하는 산세탱크(6)과 린스(7)를 거치는 소둔공정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브라이드롤(8)에 의해 백텐션이 부여되면서 이후의 공정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소둔공정의 이후에는 열처리 이후 금속판(S)의 형상을 교정하는 텐션으로 소둔시 변형된 스트립 표면을 교정하는 텐션레벨러(9)와 압연롤로 스트립의 표면을 펴주는 스킨패스(11)를 거치는 정정공정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둔공정과 정정공정의 사이에는 본 발명의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가 설치될 수 있어, 소둔공정과 정정공정을 분리하여 적어도 어느 일측의 공정을 개별적으로 운영하거나, 소둔공정과 정정공정을 연결하여 일체로 운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소둔공정과 정정공정을 연결 및, 분리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가 적용되는 제1 공정(P1) 및, 제2 공정(P2)은 상기한 소둔공정과 정정공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연속공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는 공정분리부(100), 공정연결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제1 공정권취부(300) 및, 제2 공정공급부(400), 보조절단수단(500), 보조용접수단(600), 제1 핀치롤부재(700) 및, 제2 핀치롤부재(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는 연속공정인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S)를 절단하는 절단수단(110)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100)와, 상기 공정분리부(100)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의 금속판(S)를 연결하는 용접수단(210)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200)와,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110)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P1)의 금속판(S)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300) 및,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P2)으로 금속판(S)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분리부(100)는 연속공정인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을 분리하여 단절시켜 개별공정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고, 공정연결부(200)는 단절된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을 연결하여 연속공정을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공정분리부(100)의 절단수단(110)은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금속판(S)를 절단하여,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을 단절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공정연결부(200)의 용접수단(210)은 공정분리부(100)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공정(P1)의 금속판(S)와 상기 제2 공정(P2)의 금속판(S)를 용접하여 상기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이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절단수단(110)은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S)를 절단한다.
절단수단(110)은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의 상에 설치되고, 금속판(S)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절단부재(111) 및, 금속판(S)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절단부재(1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절단부재(111) 및, 제2 절단부재(113)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된 가압실린더(115)에 의해 제1 절단부재(111)와 제2 절단부재(113)가 교차되면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S)은 절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연결부(200)는 용접수단(210), 제1 피드테이블(230-1) 및, 제2 피드테이블(230-2)을 구비할 수 있다.
공정연결부(200)는 상기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P1)에서 이송된 금속판(S)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P2) 금속판(S)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수단(210)과, 상기 용접수단(210)에서 상기 제1 공정(P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P1)에서 이송된 금속판(S)을 가이드하는 제1 피드테이블(230-1) 및, 상기 용접수단(210)에서 상기 제2 공정(P2)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용접수단(210)에 의해 용접된 금속판(S)를 가이드 하는 제2 피드테이블(230-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피드테이블(230-1)은 상기 용접수단(210)에서 상기 제1 공정(P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P1)에서 이송된 금속판(S)을 상기 용접수단(210)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피드테이블(230-2)은 상기 용접수단(210)에서 상기 제1 공정(P1)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P1)에서 이송된 금속판(S)의 후단부를 상기 용접수단(210)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연속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피드테이블(230-1)의 피드플레이트(233)가 제1 공정(P1)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공정(P1)에서 이송되는 금속판(S)을 지지하여 안내하고, 제2 피드테이블(230-2)의 피드플레이트(233)가 제2 공정(P2)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공정(P1)에서 이송되는 금속판(S)을 지지하여 안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분리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피드테이블(230-1)의 피드플레이트(233)가 테이블본체(231)의 내부로 슬라이드되면서 수축되고, 제2 피트테이블의 피드플레이트(233)가 테이블본체(231)의 내브로 슬라이드되면서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다시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피드테이블(230-1)의 피드플레이트(233)가 제1 공정(P1)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제1 공정(P1)에서 이송되는 금속판(S)을 지지하여 안내하고, 제2 피드테이블(230-2)의 피드플레이트(233)가 제2 공정(P2)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공정연결부(200)의 용접수단(210)에 의해 용접된 금속판(S)이 제2 피드테이블(230-2) 상으로 안내되면서 제2 공정(P2)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피드테이블(230)은 테이블본체(231)와, 피딩실린더(235)의 구동력을 매개로 상기 테이블본체(231)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드플레이트(23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본체(231)는 용접수단(210)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피드테이블(230-1)의 테이블본체(231)는 제1 공정(P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피드테이블(230-2)의 테이블본체(231)는 제2 공정(P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본체(231)는 판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피드플레이트(233)는 테이블본체(231)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테이블본체(231)의 내부에 형성된 피딩실린더(235)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테이블본체(231) 및, 피드플레이트(233)에는 이송되는 금속판(S)을 테이블본체(231)에 형성된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되면서 금속판(S)을 슬라이드시켜 지지하는 테이블롤이 연설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수단(210)은 제1 크램핑부재, 제2 클램핑부재(213) 및, 용접휠(215)을 구비할 수 있다.
용접수단(210)은 상기 제1 공정(P1)의 금속판(S)의 후단부를 가압고정하는 제1 클램핑부재(211)와, 상기 제2 공정(P2)의 제2 금속판(S)의 선단부를 가압고정하는 제2 클랭핑부재 및, 상기 제1 공정(P1)의 금속판(S)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P2)의 금속판(S)의 선단부가 맞대진 상태에서 용접라인을 따라 회전되면서 용접하는 용접휠(215)을 구비할 수 있다.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는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110)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P1)의 금속판(S)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300) 및,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P2)으로 금속판(S)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정권취부(300)는 권취릴(310) 및, 권취대차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공정(P1)권취부(300) 제1 공정(P1)에서 이송되는 금속판(S)을 권취하는 권취릴(310) 및, 금속판(S)의 이송영역과 외부의 인출영역에 걸쳐서 설치된 이송레일(R)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권취릴(310)을 인출입시키는 권취대차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공정공급부(400)는 공급릴(410) 및, 공급대차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공정공급부(400)는 상기 제2 공정(P2)으로 금속판(S)을 공급하는 공급릴(410) 및, 금속판(S)의 이송영역과 외부의 인출영역에 걸쳐서 설치된 이송레일(R)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공급릴(410)을 인출입시키는 공급대차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권취대차부(330)와 공급대차부(430)의 일측에는 금속판(S)의 이송영역 및, 이송영역 외부의 인출영역으로 인출입시키는 대차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정(P1) 및, 제2 공정(P2) 중 어느 하나가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 공정이 중단될 필요가 있는 경우, 대차구동부는 제1 공정권취부(300)와 제2 공정공급부(400) 중에서 중단된 공정 측을 인출영역으로 인출시키고, 나머지 운행중인 공정 측을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속공정모드에서는 대차구동부에 의해 권취대차부(330)와 공급대차부(430)가 금속판(S)의 이송영역에서 인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개별공정모드에서는 대차구동부가 권취대차부(330)와 공급대차부(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는 제2 공정공급부(400)에서 공급된 금속판(S)의 선단부의 불량부를 절단토록 제공되는 보조절단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분리되면서, 제2 공정(P2)이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경우 제2 공정공급부(400)의 공급릴(410)에서 금속판(S)이 공급될 수 있는데, 보조절단수단(500)은 공급되는 금속판(S)의 선단부의 불량부를 절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는 제2 공정(P2)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정분리부(100)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공정(P1)에서 이송된 금속판(S)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공급부(400)에 의해 공급되던 금속판(S)의 잔여부분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보조용접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정공급부(400)의 공급릴(410)에서 공급된 금속판(S)은 보조절단수단(500)에 의해 불량부가 절단되어 제거될 수 있고, 공정분리부(100)에서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을 분리시 제2 공정(P2) 상에 존재하던 금속판(S)의 잔여부분의 선단부와 불량부가 제거된 금속판(S)의 선단부가 보조용접수단(600)에 의해 용접되면서 제2 공정(P2)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다시 연결되어 연속공정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는 경우, 공정연결부(200)의 용접수단(210)에 의해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의 금속판(S)을 연결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제2 공정(P2) 상에 존재하던 금속판(S)의 잔여부분이 역행하여 공정연결부(200) 방향으로 이송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정(P2)으로 이송된 금속판(S)을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정연결부(200)의 용접수단(210) 쪽으로 역행시킬 필요없이, 제2 영역에 설치된 보조용접수단(600)에 의해 제1 공정(P1)에서 2 공정으로 이송된 금속판(S)과, 제2 공정공급부(400)에 의해 공급되던 금속판(S)의 잔여부분을 용접하여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을 연속공정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는 제1 핀치로부재 및, 제2 핀치롤부재(80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는 제1 피드테이블(230-1)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공정(P1)에서 이송된 금속판(S)을 상기 제1 피드테이블(230-1) 상으로 적어도 가이드하는 제1 핀치롤부재(700) 및, 상기 제2 피드테이블(230-2)의 후방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공정(P2)으로 이송되는 금속판(S)을 적어도 가이드하는 제2 핀치롤부재(8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핀치롤부재(700)는 이송되는 금속판(S)을 적어도 리프팅하도록 구성되고, 절단수단(110)과 용접수단(210)의 사이의 금속판(S)이 이송경로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핀치롤부재(800)는 용접수단(210)에 의해 용접된 금속판(S)을 적어도 리프팅하도록 구성되고, 용접수단(210)과 제2 공정(P2)의 사이의 금속판(S)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의 제1 공정(P1)은 소둔공정으로 구비되고, 제2 공정(P2)은 정정공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정(P1)인 소둔공정은 압연된 연연속공정의 금속판(S)를 풀림처리하는 과정이고, 제2 공정(P2)인 정정공정은 소둔공정에서 발생된 변형을 정정하는 과정이다.
금속판(S)은 페이오프릴(1)에서 풀려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연연속라인의 압연공정이 끝난 후 조밀한 입자의 철강조직을 소둔(풀림)열처리를 하는 소둔로(5)와 소둔 열처리 이후 금속판(S)의 표면에 산화스케일을 제거하는 산세탱크(6)과 린스(7)를 거치는 소둔공정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브라이드롤(8)에 의해 백텐션이 부여되면서 이후의 공정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소둔공정의 이후에는 열처리 이후 금속판(S)의 형상을 교정하는 텐션으로 소둔시 변형된 스트립 표면을 교정하는 텐션레벨러(9)와 압연롤로 스트립의 표면을 펴주는 스킨패스(11)를 거치는 정정공정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은 상기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이 연속적으로 운영되는 연속공정모드와, 상기 제1 공정(P1) 및, 상기 제2 공정(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개별공정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공정모드와 상기 개별공정모드 중 어느 하나모드가 선택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에는 연속공정인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S)를 절단하는 절단수단(110)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100)와, 상기 공정분리부(100)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의 금속판(S)를 연결하는 용접수단(210)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200)와,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110)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P1)의 금속판(S)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300) 및,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P2)으로 금속판(S)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400)를 포함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연속공정모드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구비된 제1 공정권취부(300) 및, 상기 제2 공정공급부(400)가 금속판(S)의 이송영역에서 인출되고, 금속판(S)은 상기 제1 공정(P1)과 상기 제2 공정(P2)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연속공정모드에서는 대차구동부에 의해 권취대차부(330)와 공급대차부(430)가 금속판(S)의 이송영역에서 인출될 수 있다.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된 금속판(S)은 텐션릴(2)에서 권취되어 코일링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정(P1)과 제2 공정(P2)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개별공정모드에서는 대차구동부가 권취대차부(330)와 공급대차부(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개별공정모드에서 상기 제1 공정(P1)은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구비된 제1 공정권취부(300)가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1 공정(P1)을 따라 이송된 금속판(S)을 상기 제1 공정권취부(300)에서 권취하여 코일링한다.
그리고, 개별공정모드에서 상기 제2 공정(P2)은 상기 제2 공정공급부(400)가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2 공정공급부(400)에서 공급된 금속판(S)은 제2 공정(P2)을 따라 이송된 후 텐션릴(2)에서 권취하여 코일링한ㄴ다.
또한, 제1 공정(P1) 및, 제2 공정(P2) 중 어느 하나가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 공정이 중단될 필요가 있는 경우, 대차구동부는 제1 공정권취부(300)와 제2 공정공급부(400) 중에서 중단된 공정 측을 인출영역으로 인출시키고, 나머지 운행중인 공정 측을 금속판(S)의 이송영역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페이오프릴 2: 텐션릴
3: 코일 5: 소둔로
6: 산세탱크 7: 드라이어
8: 브라이드롤 9: 스킨패스
10: 텐션레벨러 100: 공정분리부
110: 절단수단 111: 제1 절단부재
113: 제2 절단부재 115: 가압실린더
200: 공정연결부 210: 용접수단
211: 제1 클램핑부재 213: 제2 클램핑부재
215: 용접휠 230: 피드테이블
230-1: 제1 피드테이블 230-2: 제2 피드테이블
231: 테이블본체 233: 피드플레이트
235: 피딩실린더 300: 제1 공정권취부
310: 권취릴 330: 권취대차부
400: 제2 공정공급부 410: 공급릴
430: 공급대차부 500: 보조절단수단
600: 보조용접수단 700: 제1 핀치롤부재
800: 제2 핀치롤부재 R: 이송레일
S: 금속판 P1: 제1 공정
P2: 제2 공정

Claims (9)

  1. 삭제
  2.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 금속판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용접수단;
    상기 용접수단에서 상기 제1 공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을 가이드하는 제1 피드테이블; 및,
    상기 용접수단에서 상기 제2 공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용접수단에 의해 용접된 금속판를 가이드 하는 제2 피드테이블;을 구비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3.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공급부에서 공급된 금속판의 선단부의 불량부를 절단토록 제공되는 보조절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4.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분할된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된 금속판의 후단부와 상기 제2 공정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던 금속판의 잔여부분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보조용접수단;을 더 포함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5.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권취부는,
    상기 제1 공정에서 이송되는 금속판을 권취하는 권취릴;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과 외부의 인출영역에 걸쳐서 설치된 이송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권취릴을 인출입시키는 권취대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정공급부는,
    상기 제2 공정으로 금속판을 공급하는 공급릴;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과 외부의 인출영역에 걸쳐서 설치된 이송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공급릴을 인출입시키는 공급대차부;를 구비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6. 연속공정인 제1 공정과 제2 공정의 사이에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금속판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구비하는 공정분리부;
    상기 공정분리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의 금속판를 연결하는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공정연결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상기 제1 공정의 금속판를 권취하는 제1 공정권취부; 및,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제2 공정으로 금속판를 공급하는 제2 공정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정은 압연된 연연속공정의 금속판를 풀림처리하는 소둔공정이고,
    상기 제2 공정은 소둔공정에서 발생된 변형을 정정하는 정정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이고,
    상기 연속공정의 가동방법은,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이 연속적으로 운영되는 연속공정모드와, 상기 제1 공정 및, 상기 제2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개별공정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속공정모드와 상기 개별공정모드 중 어느 하나모드가 선택적으로 운영되는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공정모드는,
    상기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구비된 제1 공정권취부 및, 상기 제2 공정공급부가 금속판의 이송영역에서 인출되고, 금속판은 상기 제1 공정과 상기 제2 공정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공정모드에서 상기 제1 공정은,
    상기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구비된 제1 공정권취부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1 공정을 따라 이송된 금속판을 상기 제1 공정권취부에서 권취하여 코일링하고,
    상기 개별공정모드에서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에 구비된 제2 공정공급부가 금속판의 이송영역으로 인입되고, 상기 제2 공정공급부에서 공급된 금속판은 제2 공정을 따라 이송된 금속판을 텐션릴에서 권취하여 코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KR1020150183970A 2015-12-22 2015-12-22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KR101726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70A KR101726089B1 (ko) 2015-12-22 2015-12-22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970A KR101726089B1 (ko) 2015-12-22 2015-12-22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089B1 true KR101726089B1 (ko) 2017-04-12

Family

ID=5858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970A KR101726089B1 (ko) 2015-12-22 2015-12-22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167B1 (ko) 2018-04-11 2018-11-01 한상훈 롤러 가공 공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124Y1 (ko) * 1996-05-02 2001-10-25 이구택 강판불량부자동절단장치
KR20050022861A (ko) * 2003-08-29 2005-03-0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124Y1 (ko) * 1996-05-02 2001-10-25 이구택 강판불량부자동절단장치
KR20050022861A (ko) * 2003-08-29 2005-03-0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167B1 (ko) 2018-04-11 2018-11-01 한상훈 롤러 가공 공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353B2 (en) Welder for metal rolling system, metal rolling system, and metal rolling method
KR20210115952A (ko) 철판 슬릿팅 절단장비
KR101726089B1 (ko) 연속공정의 분리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공정의 가동방법
JP6427952B2 (ja) 搬送装置
US3700157A (en) Apparatus for feeding strip-like material to a processing apparatus
JP6438150B2 (ja) ワイヤ更新装置およびワイヤ更新方法
CN108341291B (zh) 直线式卷纸包装机及其控制方法
KR100798035B1 (ko) 코일 강판 불량부 제거 장치
CN108284327B (zh) 复合卷撕分精整重卷设备及方法
JP2013006187A (ja) 短尺材の圧延装置及び短尺材の圧延方法
JP4268551B2 (ja) 鋼帯コイルの終端部固定装置
JP3414922B2 (ja) 複胴型コイル巻出し装置
KR101746966B1 (ko) 스트립 유도장치
JP2006516483A (ja) 帯板初端を移送しまたは引き入れるための装置
JP2593018B2 (ja) 複胴型コイル巻出装置
KR20190041201A (ko) 미압연 강판 재활용 장치
CN116618473B (zh) 一种不锈钢带用的矫直设备和方法
KR101196254B1 (ko) 용접와이어용 강판의 연속 슬리팅 및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와이어용 강판스트립의 제조방법
JP3256136B2 (ja) 走間加工台車を設置した鋼材搬送テーブルのロール復帰方法とその装置
JP5353258B2 (ja) 高強度厚肉熱延鋼板の巻き取り方法および巻き取り装置
JP2008254016A (ja) 薄板材の連結装置およびその巻き解き方法
WO2010140626A1 (ja) 線材の巻出補助装置
JP2019181515A (ja) 金属帯先端部の通板方法および装置
KR20210152711A (ko) 밴드부재 연결구조 및 코일 밴딩방법
KR101424885B1 (ko) 스트립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