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571B1 -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571B1
KR101725571B1 KR1020120063017A KR20120063017A KR101725571B1 KR 101725571 B1 KR101725571 B1 KR 101725571B1 KR 1020120063017 A KR1020120063017 A KR 1020120063017A KR 20120063017 A KR20120063017 A KR 20120063017A KR 101725571 B1 KR101725571 B1 KR 10172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cells
mdm2
present
inhib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512A (ko
Inventor
김호연
조미라
전주연
변재경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5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i.e. the nucleic acid deliv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i.e. the nucleic acid delivered
    • A61K48/0058Nucleic acids adapted for tissue specific expression, e.g. having tissue specific promoters as part of a contru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DM2 억제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이를 분비하는 세포 독성 Th17 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고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특성을 갖는 면역조절 T 세포(Treg)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나아가 STAT3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SOCS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MDM2 억제제를 노인 대상으로 처리하였을 때 노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 각종 면역반응과 함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aging comprising MDM2 inhibitor}
본 발명은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어나는 신체의 모든 생리적 변화를 통칭하는 것으로 개체에 따라 수많은 요인에 의해 매우 다양하게 일어나는 생명 현상이다.암, 심혈관계 부전증,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 간 등 많은 질환을 가져다주는, 세포, 조직 및 기관의 퇴화와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생리학적 성능 한도가 쇠약해지는 것과 연관이 있다. 노화는 개체마다 그 양상과 속도가 다르고, 한 개체 내에서도 각 조직마다 그 양상이 다르므로 노화를 개체 수준에서 연구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노화 현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 구성 기관 및 조직의 기능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이는 구성단위인 세포들의 기능 변화에 기인한다. 즉, 뇌의 신경 세포 소실로 인해 인지기능이 저하된다든지, 피하 지방 세포의 소실로 피부의 탄력이 감소한다든지, 모근 멜라닌 세포가 멜라닌 색소 생성 능력을 소실함으로써 머리가 희어지는 등, 개체의 노화는 결국 그 개체를 구성하는 세포들의 노화에 기인한다.
또한, 세포노화는 정상 체세포가 일정 횟수 분열한 후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개체 및 조직의 노화에 기여하며,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암 형성을 억제하는 중요한 기전이다. 세포노화는 반복되는 체세포의 분열로 인해 염색체의 끝 부분인 텔로미어가 짧아지므로 생기거나, 암유전자 또는 암 억제 유전자의 활성 증가, 과다한 산화스트레스, 자외선이나 방사선 조사, 항암제와 같은 세포독성 물질, 염증반응 등에 의해서도 생긴다.
노화된 세포는 모양이 커지고, 편평해지며, 핵에 이질염색질이 증가하고, 세포질에 공포가 많아지는 형태학적 특징과 함께, 세포성장을 억제하는 단백질들의 양이 많아지고, 여러 가지 염증 단백질들을 분비한다.
또한, 세포노화는 단순히 개체나 조직의 노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다양한 질병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조직 특히 피부와 간에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세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은 피부노화를 유도하는 대표적인 자극으로, 자외선에 의해 피부의 섬유아세포와 각질세포의 세포노화가 유도되며, 이러한 세포들의 노화가 결국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의 발생에 기여하게 된다.
이렇듯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는 노화에 대해 건강하게 장수를 기대하는 사람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해 출산율 감소하고 있으며, 반면 노인인구의 비율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1960년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2.9%에 불과했는데, 1980년대에는 5.0%로 증가되었고, 2000년대에 7.1%로 증가되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한편,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대두되는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 중 하나가 노화로 인한 각종 질병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에서도 노화 억제를 위한 기술 개발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88,928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인 노화 억제 방법을 연구하던 중, MDM2 억제제가 노화 억제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즉 MDM2 억제제가 노화가 진행된 노인에게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은 억제하고, Foxp3 및 SOCS3의 발현은 증가시키는 활성이 우수하여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화 관련 질환은 탈모증, 주름, 곱사등,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천식 (Asthma), 피부염 (Dermititis), 건선 (Psoriasis), 낭섬유증 (Cystic Fibrosis), 고형장기 이식 후기 및 만성 거부증 (Post transplantation late and chronic solid organ rejection),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하시모토 갑상선(Hashimoto thyroiditis), 다발성근염(polymyositis), 경피증(scleroderma), 아디슨병(Addison disease), 백반증(vitiligo), 악성빈혈(pernicious anemia),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및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염증성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eseses), 자가면역성 당뇨 (Autoimmune Diabetes), 당뇨 망막증 (Diabetic retinopathy), 비염 (Rhinitis), 혀혈-재관류 손상 (Ischemia-reperfusion injury), 혈관성형술후 재협착 (Post-angioplasty restenosis), 만성 폐색성 심장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PD), 그레이브병 (Graves disease), 위장관 알러지 (Gastrointestinal allergies), 결막염 (Conjunctivitis),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관상동맥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협심증 (Angina), 암 전이 및 소동맥 질환,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versus-host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는 상기 MDM2에 특이적인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siRNA, 앱타머 또는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는 nutlin-3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은 억제하고, Foxp3 및 SOCS3의 발현은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DM2 억제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이를 분비하는 세포 독성 Th17 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고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특성을 갖는 면역조절 T 세포(Treg)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나아가 STAT3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SOCS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특히 MDM2 억제제를 노인 대상으로 처리하였을 때 노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 각종 면역반응과 함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노인과 젊은이를 대상으로 MDM2 억제제인 nutlin-3a를 처리한 후, Foxp3+ Treg 세포의 세포수를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노인 유래의 단핵세포를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이고, 1b는 젊은이 유래의 단핵세포를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1c는 1a와 1b의 Foxp3+ Treg 세포수를 막대그래프로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노인과 젊은이를 대상으로 MDM2 억제제인 nutlin-3a를 처리한 후, 세포내에서 MDM2 억제제에 의한 IL-17의 발현양, Foxp의 발현양 및 SOCS3의 발현양을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측정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MDM2( mouse double minute 2)는 p53 활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p53은 세포의 증식의 정지 및 사멸을 조절하는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인자로서 비정상적인 세포들은 제거하여 정상세포가 암세포화가 되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Michael and Oren, Cncer Biol., 13, 49-58,2003). 이러한 p53의 활성을 조절하는 Mdm2는 p53을 유비퀴틴화시켜 분해하는 E3 유비퀴틴 리가제로써 p53의 세포내 농도를 조절한다(Haupt et al., Nature, 387, 296-299,1997; Honda et al., FEBS Lett.,420,25-27,1997; Kubbutat et al., Nature, 387,299-302,1997). 또한, Mdm2는 p53의 전사를 조절을 받아 발현이 조절되기도 하는 자율조절 고리(autoregulatory loop)를 형성한다(Michael and Oren, Cncer Biol., 13, 49-58,2003). 따라서 Mdm2는 p53을 기질로 이용할 수 있으며, Mdm2 스스로를 유비퀴틴화시켜 분해할 수도 있다(Fang et al., J. Biol.Chem., 275,8945-8951,2000; Honda and Yasuda, oncogne, 19,4173-4176,2000). 따라서 이와 같이 Mdm2의 분해 작용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세포의 증식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Michael and Oren, Cncer Biol., 13, 49-58,2003).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Mdm2의 활성을 억제하는 경우, 노화 과정을 억제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는데,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노인과 젊은이를 대상으로 채취한 단핵세포를 대상으로 Mdm2 억제제를 처리한 경우와 처리하지 않은 경우를 대상으로 Foxp3+ Treg 세포의 세포수를 유세포 분석기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젊은이의 시료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Foxp3+ Treg 세포수가 Mdm2 억제제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인의 시료를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Mdm2 억제제를 처리한 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Foxp3+ Treg 세포수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a 내지 1c 참조).
한편, 전체적인 면역계뿐 아니라 그것의 특정 부분의 기능 장애는 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노화는 면역계 기관 특히, 흉선의 퇴화를 동반한다. 또한 노화와 관련된 흉선의 퇴화는 T-림프구의 기능적 활성을 감소시키고, 림프구에서의 단백질 합성에 장애를 일으키며, 면역적격 세포 소집단 비율을 변화시키고 면역조절 단백질의 생산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화와 관련된 면역 반응성의 변화는 조직 적합계 유전자를 포함하는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장애 구조 및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면역 조절 단백질의 생산이 감소되는데 있다.
따라서 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치료제의 경우 면역 자극과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면역 조절 기전을 통해 물질대사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작용이 있는냐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노화 억제 물질로 개발된 것들 중, 펩티드성 면역증강제로 Tactivin (프랑스 특허 제2570278호), Thymosin(Goldstein A.L. et.al, Proc. Nat. Acad. Sci. USA5 1972, v. 69, p.1856-1863)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제제는 적합하지 않은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약물은 추출 복잡성 및 낮은 생산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합성 펩티드 면역증강제로 Thymopeptin (미국 특허 제5013723호), Thymogen (루마니아 특허 제1737798호, 유럽특허 제0445581호)의 유사체가 알려져 있지만 이들 역시 위와 같은 부작용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으며 효과적으로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 발굴이 시급한 실정이며, 면역계 장애는 노령자와 고령자에게서 발생하는, 특히 모든 자가면역 질환, 종양, 관절, 신장 질환뿐 아니라 아밀로오드증, 심맥관 병리, 감염성 질환과 같은 많은 질환과 관련성을 가지며, 인간 유기체에 넓은 범위의 악영향은 조기 노화 및 노화와 관련된 병리의 가속 성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노화 억제제의 개발은 더더욱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Mdm2를 억제할 경우, 면역조절 T 세포(Treg)의 활성을 촉진시키면서 동시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 억제를 통해 면역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설명하면 면역계는 정상상태에서는 자가항원에 대한 특이적 면역반응을 제어하고 있으며, 외부항원에 대한 면역반응도 억제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예컨대 임산부의 태아에 대한 반응 및 만성감염상태에 있는 미생물에 대한 면역반응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항원 특이적 면역관용이 유도될 수 있는 기전으로 클론 제거(clonal deletion), 클론 무반응(anergy) 및 면역조절 T 세포(Treg)에 의한 능동적 통제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식항원에 대한 면역관용이 우연히 획득된 일부 환자나 실험적으로 면역관용을 유도한 동물모델을 조사해 보면 위의 세 가지 기전 모두 이식면역관용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면역조절 T 림프구가 이식면역반응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종양면역, 감염면역반응 등 생체의 거의 모든 면역반응을 통제하는데 관여하는 중요한 세포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 그 존재가 밝혀진 면역조절 T 세포, 즉, 면역조절 T 림프구(Treg)는 크게 자연성(natural) Treg 와 적응성(adaptive) Treg 세포로 나눌 수 있으며, 자연성 Treg인 CD4+ CD25+ T 세포는 이 세포가 흉선에서 새로이 만들어질 때부터 면역억제기능을 부여받게 되며, 정상개체의 말초 CD4+ T 림프구 중 5 ~ 10%의 빈도로 존재한다. 아직까지 이 세포의 면역억제 기전은 정확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지만, Foxp3라는 유전자의 발현 제어 인자가 이 세포의 분화와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이 최근에 밝혀졌다. 또한, 말초 자연성 T 세포는 특정 환경하에서 자가 또는 외부항원의 자극을 받으면 면역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데, 이를 적응성(adaptive) 또는 유도성(inducible) Treg로 부르며, IL-10을 분비하는 Tr1, TGF-β를 분비하는 Th3 및 CD8 Ts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T 세포는 Treg 세포 이외에 분화 과정을 통해 Th17 세포로도 분화되는데, Th17 세포는 Treg 세포와 공통적으로 TGF-β의 존재 하에서 이루어지지만 Treg 세포의 경우 IL-6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반면, Th17 세포의 경우에는 TGF-β와 함께 IL-6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분화하고, IL-17을 분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Th17 세포는 염증 반응의 신호를 최대화시켜 노화 및 노화 관련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시키는 세포독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Th17 세포로의 분화 또는 활성의 억제는 면역질환 뿐만 아니라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Mdm2를 억제할 경우, 면역조절 T 세포(Treg)의 활성을 촉진시키면서 동시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 억제를 통해 면역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젊은이에 비해 노인의 경우 Treg의 활성 촉진 및 IL-17 발현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즉 노화가 진행될수록 노화 억제를 위한 세포내 회복시스템으로 Treg의 활성 촉진과 IL-17 발현 억제 기작이 발생하는데, 젊은이의 경우 정상적인 면역반응과 면역조절이 이뤄지고 있어 특별히 Treg의 활성 촉진과 IL-17 발현 억제 작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Treg의 활성 촉진과 IL-17 발현억제가 노인에게서도 이뤄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노화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노화를 억제할 수 있을 만큼의 Treg의 활성 촉진과 IL-17 발현억제가 노화가 진행되는 노인에게서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Mdm2 억제제 또는 Mdm2를 억제하는 기술은 Treg의 활성 촉진(Foxp3의 발현 촉진)과 IL-17의 발현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노화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Mdm2를 억제할 경우, SOCS3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SOCS3은 STAT3의 억제 피드백으로 거론된 바 있고, SOCS 단백질은 JAKs을 억제하여 리간드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으며, STAT3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tarr R, Hilton DJ Negative regulation of the JAK/STAT pathway. Bioessays 1999;21:4752).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암 종에서 STAT1, STAT3 및 STAT5의 활성화된 형태가 발견되고 있는데, STAT3는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 뿐만 아니라, 유방암, 두부경부암, 흑색종, 난소암, 폐암, 췌장암, 전립선암과 같은 다양한 고형암에서 활성화되어 있어 중요한 항암 타겟이 되고 있다(Hua Yu and Richard Jove, Nature Review Cancer.,2004 8, 945).
또한, STAT3의 활성은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신생혈관(angiogenesis)을 유도하며, 면역회피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Wang T. et al., Nature Medicine., 2004, 10, 48). 따라서 STAT3 활성 억제는 복합적인 항암 기작으로 종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STAT3 단백질은 종양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포내 기능에도 관여하므로 이의 저해제 발굴은 면역조절제로의 개발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 결과를 보면, 노인을 대상으로 수득한 단핵세포에 MDM2 억제제를 처리한 경우 STAT3 활성 억제작용을 하는 SOCS3의 발현이 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MDM2 억제제가 SOCS3의 발현 증가를 유도하고 따라서 면역 조절 능력 향상으로 노화를 억제시킬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MDM2 억제제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을 억제하고 IL-17을 분비하는 Th17 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작용 또는/및 과도한 면역반응을 정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T 세포(Treg)의 활성 또는 증폭을 촉진 또는 증가시키는 작용을 통해 고령층의 면역력 약화 및 조절 부전에 따른 암, 감염, 만성 염증성 질환, 즉 노인을 대상으로 한 면역 또는 염증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면역질환이 고령에 발생하게 되면 질병의 활성도가 높게 유지되고 예를 들어 관절염의 경우 뼈와 관절의 파괴가 빠르며 전신증상이 더 많이 동반되고 관절의 기능이 더 빨리 망가져 예후가 젊은 사람들에 비해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화 관련 질환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탈모증, 주름, 곱사등,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천식 (Asthma), 피부염 (Dermititis), 건선 (Psoriasis), 낭섬유증 (Cystic Fibrosis), 고형장기 이식 후기 및 만성 거부증 (Post transplantation late and chronic solid organ rejection),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쇼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하시모토 갑상선(Hashimoto thyroiditis), 다발성근염(polymyositis), 경피증(scleroderma), 아디슨병(Addison disease), 백반증(vitiligo), 악성빈혈(pernicious anemia),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및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염증성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eseses), 자가면역성 당뇨 (Autoimmune Diabetes), 당뇨 망막증 (Diabetic retinopathy), 비염 (Rhinitis), 혀혈-재관류 손상 (Ischemia-reperfusion injury), 혈관성형술후 재협착 (Post-angioplasty restenosis), 만성 폐색성 심장 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PD), 그레이브병 (Graves disease), 위장관 알러지 (Gastrointestinal allergies), 결막염 (Conjunctivitis), 죽상경화증 (Atherosclerosis), 관상동맥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협심증 (Angina), 암 전이 및 소동맥 질환, 이식편대숙주질환(graft-versus-host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역질환은 포유류 면역계의 구성성분들이 포유류의 병리상태를 야기하거나, 매개하거나 또는 기타 공헌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또한, 면역 반응의 자극 또는 중단이 그 질병의 진행에 보상적인 효과를 갖는 질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과민성 면역반응으로 인해 야기되는 질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역질환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 세포, 조직 또는 기관의 이식거부(transplantation rejection)질환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정상 개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는 자기(self)를 구성하고 있는 항원물질에 대해서는 해롭게 반응하지 않는 반면, 비자기(non-self) 항원들에 대해서는 이를 인식하고 반응하여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자기항원에 대한 생체의 무반응을 면역학적 무반응성(immunologic unresponsiveness) 또는 관용(tolerance)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관용을 유도하거나 계속 유지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생기게 되면 자기항원에 대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한다.
또한, 염증성 질환이란 염증유발인자 또는 방사선조사 등 유해한 자극으로 인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루코트리엔(luecotriene) 또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한편, 성공적인 장기 이식을 위해서는 이식할 세포 및 장기에 대한 수혜자의 면역 거부반응을 극복해야 한다. 이식면역거부반응의 주요 매개체는 T 세포로서, 이식편(graft)에 발현되어져 있는 주조직적합성분자(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를 T 세포 수용체(T cell receptor)가 인지함으로써 면역반응이 유도되어 이식거부반응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식면역거부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면역억제제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면역억제제들의 공통된 목적은 이식편에 대한 T 세포-매개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것이며, 최근에는 조절 T 세포를 이용하여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이식거부질환을 치료하려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면역질환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베체트병, 다발성 근육염/피부 근육염, 자가면역 혈구감소증, 자가면역 심근염, 아토피피부염, 천식, 일차성간경변, 피부근염, 굿파이처 증후군, 자가면역 뇌수막염, 쇼그렌 증후군, 전신 홍반성 루프스, 애디슨병, 원형 탈모증, 강직성 척수염,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이하선염, 크론병,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이영양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부고환염, 사구체 신염, 그레이브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하시모토병, 용혈성 빈혈,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심상천포창, 건선, 류마티스열, 류마티스 관절염, 유육종증, 피부 경화증, 척추관절증, 갑상선염, 혈관염, 백반증, 점액수종, 악성빈혈, 궤양성 대장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란 용어는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MDM2 억제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 및 분비하는 세포 독성 Th17 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고 염증 반응을 제어하는 특성을 갖는 면역조절 T 세포(Treg)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MDM2 억제제를 노인 대상으로 처리하였을 때 그 효과가 더 뛰어나 각종 면역반응의 조절 이상으로 유발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질환 및 이식거부질환과 같은 노인 대상의 면역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MDM2 억제제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MDM2 억제제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5 ~ 1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0.5 ~ 5 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노인 대상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면역 조절 T 세포(Treg)의 활성 또는 증폭 효과가 우수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하는 병원성 세포인 Th17 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체내에 대해 안정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MDM2( mouse double minute 2) 억제제는 상기 MDM2에 특이적인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RNAi, siRNA, shRNA, 앱타머, 항체, 단일사슬 가변영역 단편, 저분자량의 화합물 또는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nutlin-3a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란 용어는 특정 mRNA의 서열에 상보적인 핵산 서열을 함유하고 있는 DNA 또는 RNA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의미하고, mRNA 내의 상보적인 서열에 결합하여 mRNA의 단백질로의 번역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안티센스 서열은 상기 유전자의 mRNA에 상보적이고 상기 mRNA에 결합할 수 있는 DNA 또는 RNA 서열을 의미하며, 상기 mRNA의 번역, 세포질내로의 전위(translocation), 성숙(maturation) 또는 다른 모든 전체적인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필수적인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센스 핵산은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염기, 당 또는 골격(backbone)의 위치에서 변형될 수 있다(De Mesmaeker et al., Curr Opin Struct Biol., 5, 3, 343-55, 1995). 핵산 골격은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메틸 포스포네이트, 단쇄 알킬, 시클로알킬, 단쇄 헤테로아토믹, 헤테로시클릭 당간 결합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안티센스 핵산은 하나 이상의 치환된 당 모이어티(sugar moiety)를 포함할 수 있다. 안티센스 핵산은 변형된 염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된 염기에는 하이포크잔틴, 6-메틸아데닌, 5-메틸피리미딘(특히 5-메틸시토신), 5-하이드록시메틸시토신(HMC), 글리코실 HMC, 젠토비오실 HMC, 2-아미노아데닌, 2-티오우라실, 2-티오티민, 5-브로모우라실, 5-하이드록시메틸우라실, 8-아자구아닌, 7-데아자구아닌, N6 (6-아미노헥실)아데닌, 2,6-디아미노퓨린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티센스 핵산은 상기 안티센스 핵산의 활성 및 세포 흡착성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moiety) 또는 컨쥬게이트(conjugate)와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콜레스테롤 모이어티, 콜레스테릴 모이어티, 콜릭산, 티오에테르, 티오콜레스테롤, 지방성 사슬, 인지질, 폴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 아다맨탄 아세트산, 팔미틸 모이어티, 옥타데실아민, 헥실아미노-카르보닐-옥시콜에스테롤 모이어티 등의 지용성 모이어티 등이 있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지용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5,138,045호, 제5,218,105호 및 제5,459,255호). 상기 변형된 핵산은 뉴클레아제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안티센스 핵산과 표적 mRNA와의 결합 친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통상의 방법으로 시험관에서 합성되어 생체 내로 투여하거나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합성되도록 할 수 있다. 시험관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하는 일예는 RNA 중합효소 I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체 내에서 안티센스 RNA가 합성되도록 하는 한 가지 예는 인식부위(MCS)의 기원이 반대 방향에 있는 벡터를 사용하여 안티센스 RNA가 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안티센스 RNA는 서열 내에 번역 중지 코돈이 존재하도록 하여 펩타이드 서열로 번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RNAi"는 RNA Interference를 지칭하는 말로, 우리말로 풀이하면 RNA 간섭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RNA 간섭은 대부분의 생물체 사이에서 잘 보존되어 있는 특이적 유전자억제 현상이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나 트랜스포손을 억제하기 위하여 혹은 비정상적 mRNA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포가 사용하는 유전자 감시기작의 일종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small RNA에 의한 유전자 억제현상을 넓은 의미에서 RNA간섭이라 하고, 좁은 의미의 RNA 간섭은 siRNA에 의한 mRNA 분해 현상을 뜻한다. 또한 RNA간섭은 siRNA를 이용한 유전자 억제 실험 기술을 뜻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siRNA라는 용어는 RNA 방해 또는 유전자 사일런싱을 매개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의미한다(국제공개 특허번호 00/44895, 01/36646, 99/32619, 01/29058, 99/07409 및 00/44914 참조). siRNA는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유전자 넉다운(knock-down) 방법으로서 또는 유전자치료 방법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센스 가닥(상기 마커 유전자의 mRNA 서열에 상응하는 서열)과 안티센스 가닥(상기 mRNA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이중쇄를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자기-상보성(self-complementary) 센스 및 안티센스 가닥을 가지는 단일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siRNA는 RNA끼리 짝을 이루는 이중사슬 RNA 부분이 완전히 쌍을 이루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미스매치(대응하는 염기가 상보적이지 않음), 벌지(일방의 사슬에 대응하는 염기가 없음) 등에 의하여 쌍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siRNA 말단 구조는 상기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RNAi 효과에 의하여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평활(blunt) 말단 혹은 점착(cohesive) 말단 모두 가능하고, 점착 말단 구조는 3'-말단 돌출 구조와 5'-말단 돌출 구조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siRNA 분자는 자기-상보성(self-complementary) 센스 및 안티센스 가닥 사이에 짧은 뉴클레오티드 서열이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발현에 의해 형성된 siRNA 분자는 분자 내 혼성화에 의하여 헤어핀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전체적으로는 스템-앤드-루프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스템-앤드-루프 구조는 인 비트로 또는 인 비보에서 프로세싱되어 RNAi를 매개할 수 있는 활성의 siRNA 분자를 생성한다.
siRNA를 제조하는 방법은 시험관에서 siRNA를 직접 합성한 뒤, 형질전환 과정을 거쳐 세포 안으로 도입시키는 방법과 siRNA가 세포 안에서 발현되도록 제조된 siRNA 발현 벡터 또는 PCR-유래의 siRNA 발현 카세트 등을 세포 안으로 형질전환 또는 감염(infection)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앱타머(aptamer)"라는 용어는 소정의 표적 분자에 대한 결합 활성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분자를 말한다. 앱타머는, 소정의 표적 분자에 대하여 결합함으로써, 소정의 표적 분자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앱타머는 RNA, DNA, 수식(modified)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앱타머는 또한, 직쇄상 또는 환상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앱타머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약 15∼약 200 뉴클레오타이드일 수 있지만, 예컨대 약 100 뉴클레오타이드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80 뉴클레오타이드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0 뉴클레오타이드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5 뉴클레오타이드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앱타머의 길이는 또한, 예컨대 약 18, 20 또는 25 뉴클레오타이드 이상일 수 있다. 총 뉴클레오타이드 개수가 적으면 화학합성, 화학수식 및 대량 생산이 보다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생체 내 안정성은 높으면서 독성은 낮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MDM2 억제제로는 MDM2 단백질 활성 억제제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백질 활성 억제제로서 바람직하게는 MDM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단일사슬 가변영역 단편, 펩타이드, 저분자량의 화합물 또는 천연추출물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MDM2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는 폴리클로날 또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MDM2 단백질에 대한 항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방법들, 예를 들어, 융합 방법(Kohler et al.,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6:511-519(1976)), 재조합 DNA 방법(미국 특허 제4,816,56호) 또는 파아지 항체 라이브러리 방법(Clackson et al, Nature, 352:624-628(1991) 및 Marks et al.,J. Mol. Biol., 222:58, 1-597(1991))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항체 제조에 대한 일반적인 과정은 문헌[Harlow, E. et al., Using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Press, New York, 1999; Zola, H., Monoclonal Antibodies: A Manual of Technique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1984; 및 Coligan ,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Wiley/Greene, NY, 1991]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예를 들어,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제조는 불사멸화 세포주를 항체-생산 림프구와 융합시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 필요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폴리클로날 항체는 MDM2 단백질 항원을 적합한 동물에게 주사하고, 이 동물로부터 항혈청을 수집한 다음, 공지의 친화성(affinity) 기술을 이용하여 항혈청으로부터 항체를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체는 단일사슬 가변영역 단편(scFv)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일사슬 가변영역 단편은 "경사슬의 가변성 부위(VL)-링커-중사슬의 가변성 부위(VH)"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중사슬 및 경사슬의 가변성 부위를 인위적으로 연결하는 작용을 하는 일정 길이의 아미노산 서열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MDM2 억제제 처리에 따른 Foxp3 + Treg 세포 분석
본 발명자들은 MDM2 억제제 처리 시 Foxp3+를 발현하는 Treg 세포수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노인과 젊은이로부터 채취한 말초혈액에서 단핵세포를 분리하고, 단핵세포에 MDM2 억제제인 nutlin-3a를 5uM씩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Foxp3+를 발현하는 Treg 세포를 관찰하기 위해 CD4-PECY7 CD25-APC, Foxp3-FITC 항체를 사용하였는데, 즉, 상기 24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를 다시 수집하고, 수집한 세포에 anti-CD4-PECY7, anti-CD25-APC, anti-CD45RO-PE 항체를 첨가한 후, 4℃에서 30분간 암 조건하에서 반응시킨 뒤 FACs 버퍼(0.002% sodium azide, 0.2% BSA/PBS)로 세척하고, 이 세포들을 Treg 전용 cytofix/cytoperm 버퍼로 4℃에서 30분 동안 암 조건하에서 다시 반응시킨 후, 세척하고 anti-Foxp3 FITC로 4℃에서 30분간 암 조건하에서 반응시켰다. 그런 뒤, permwash 버퍼로 세포들을 세척하였고 이후 FACs 버퍼에 세포들을 재부유시킨 후, Foxp3+ Treg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젊은이를 대상으로 채취한 단핵세포에 비해 노인으로부터 채취한 단핵세포에 MDM2 억제제를 처리한 경우, 면역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는 Foxp3+를 발현하는 Treg 세포의 증가가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노화가 이미 진행되었다 할지라도 MDM2 억제제를 처리하면 면역 조절 능력을 갖는 Foxp3+를 발현하는 Treg 세포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어, 면역조절 상승으로 인한 노화 억제를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2>
MDM2 억제제 처리에 따른 IL -17, Foxp3 SOCS3 의 발현 변화 분석
본 발명자들은 MDM2 억제제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과 Foxp3 및 SOCS3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수집한 단핵세포들을 대상으로 MDM2 억제제인 nutlin-3a를 5uM씩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Th0(aCD3 0.5ug/ml+aCD28 1ug/ml) 조건으로 단핵세포들을 자극시킨 다음, 48시간 후에 세포를 수집하고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IL-17과 Foxp3 및 SOCS3의 mRNA의 양을 분석하였다. Real time PCR 반응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사용한 프라이머들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Holding Stage 95℃ 10분 40회 반복
Cycling Stage 95℃ 10초
Annealing Stage 60℃ 30초
Melt curve stage 95℃ 15초
Extension stage 60℃ 1분 Foxp3, SOCS3, IL-17
모두 동일조건으로 수행
Foxp3
정방향 5'-CAC TGC CCC TAG TCA TGG T-3'
역방향 5'-GGA GGA GTG CCT GTA AGT GG-3'
SOCS3
정방향 5'-CTC AAG ACC TTC AGC TCC AA-3'
역방향 5'-TTC TCA TAG GAG TCC AGG TA-3'
IL-17
정방향 5'-CAA CCG ATC CAC CTC ACC TT-3'
역방향 5'-GGC ACT TTG CCT CCC AGA T-3'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경우 MDM2 억제제의 처리로 인해 발현양이 MDM2 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젊은이에 비해 노인의 단핵세포에서 그 감소량은 매우 현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oxp3 및 SOCS3의 경우 MDM2 억제제의 처리 결과가 젊은이와 노인의 단핵세포에서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젊은이의 경우 MDM2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Foxp3 및 SOCS3의 발현양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인의 단핵세포에서는 MDM2 억제제를 처리한 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Foxp3 및 SOCS3의 발현양이 매우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MDM2 억제제를 노인에게 처리하는 경우, 젊은이에 비해 면역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는 Foxp3 및 SOCS3의 발현 증가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면역조절 향상으로 인해 노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nutlin-3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상기 노화는 단핵세포의 노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utlin-3a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7의 발현을 억제하고, Foxp3 및 SOCS3의 발현은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63017A 2012-06-13 2012-06-13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72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17A KR101725571B1 (ko) 2012-06-13 2012-06-13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017A KR101725571B1 (ko) 2012-06-13 2012-06-13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12A KR20130139512A (ko) 2013-12-23
KR101725571B1 true KR101725571B1 (ko) 2017-04-11

Family

ID=4998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017A KR101725571B1 (ko) 2012-06-13 2012-06-13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573A1 (en) * 2020-02-17 2021-08-26 Bahcesehir Universitesi Drg-mdm2-4 for use as a novel mouse double minute 2 (mdm2) inhibi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805670QA (en) * 2014-01-28 2018-08-30 Buck Inst Res Agin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killing senescent cells and for treating senescence-associated diseases and disorders
US10328058B2 (en) 2014-01-28 2019-06-25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Treating atherosclerosis by removing senescent foam cell macrophages from atherosclerotic plaques
WO2015116735A1 (en) 2014-01-28 2015-08-0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ethods and combinations for killing senescent cells and for treating senescence-associated diseases and disorders
WO2023191513A1 (ko) * 2022-03-29 2023-10-05 주식회사 퓨전바이오텍 당 결합된 이미다졸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8127B2 (en) 2004-04-06 2013-12-03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 Biotechnology Peptides for inhibiting MDM2 func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Jung Jung, et al., J Biol Chem., Vol. 285(11), pages 7995-8002 (2010.01.14. 공개)*
Wang W, et al., Rheumatol Int. Vol. 32(4), pages 887-893 (2011.01.11. 공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573A1 (en) * 2020-02-17 2021-08-26 Bahcesehir Universitesi Drg-mdm2-4 for use as a novel mouse double minute 2 (mdm2) inhib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512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8688B2 (ja) T制御性細胞の増殖または枯渇方法
Fung et al. Activation of group 2 innate lymphoid cells alleviates aging-associated cognitive decline
JP2021512090A (ja) 免疫細胞に薬剤を送達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101725571B1 (ko) Mdm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WO2017047769A1 (ja) トール様受容体7またはトール様受容体9の活性化阻害剤
JP5291129B2 (ja) 細胞および/または組織および/または疾患フェーズ特異的な薬剤の製造方法
JP2022543773A (ja) 免疫細胞へのrna干渉剤の送達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22501336A (ja) mRNA治療薬を使用したがん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US11730810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ntigen and a substituted imidazo[1,2-a]pyrimidine for enhancing human immune response
WO2002072144A1 (fr) Remedes pour lesions nerveuses
Lee et al. Venlafaxine inhibits the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of dendritic cells through the regulation of P-glycoprotein
JP6124785B2 (ja) 核酸多糖複合体
Liu et al. Erythromycin suppresses the cigarette smoke extract-exposed dendritic cell-mediated polarization of CD4+ T cells into Th17 cells
KR20220026959A (ko)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치료, 예방 또는 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037103A1 (en) Procainamide for treating immune disorders and for modulating ido expression
US20130142832A1 (en) Nucleic acid/ polysaccharide complex
CN111886248A (zh) GM-CSF或GM-CSF受体的配体用于在已接受Allo-HCT的患者中治疗恶性血液病
JP6963560B2 (ja) T細胞の拡張及び活性化の方法
US20240076616A1 (en) Method for t-cell expansion and related medical applications
KR102352126B1 (ko) Mitf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수-유래 억제세포 저해용 조성물
KR101273747B1 (ko) Sta-2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62868B1 (ko) miR-29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299069A1 (en) Psammaplin a for modulating ido expression
US20190192543A1 (en) Novel use
EP4349858A1 (en) Chimeric antigen receptor specifically binding to cd300c antigen or receptor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