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314B1 -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314B1
KR101725314B1 KR1020160152567A KR20160152567A KR101725314B1 KR 101725314 B1 KR101725314 B1 KR 101725314B1 KR 1020160152567 A KR1020160152567 A KR 1020160152567A KR 20160152567 A KR20160152567 A KR 20160152567A KR 101725314 B1 KR101725314 B1 KR 10172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color
user client
sticky no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연
김진아
Original Assignee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314B1/ko
Priority to JP2018566860A priority patent/JP6636658B2/ja
Priority to US16/312,610 priority patent/US10648859B2/en
Priority to PCT/KR2017/007836 priority patent/WO2018093011A1/ko
Priority to EP17871833.4A priority patent/EP3459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에 있어서,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되는, 상기 프린터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프린터와 연결가능하며,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을 이용하여 소정의 프린터와 연결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PRINTER FOR PRINTING A REPOSITIONABLE NOTE AND PRINTER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이나 학업 또는 업무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붙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는 접착성이 있는 재접착식 메모지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접착성이 있는 메모지에 원하는 내용을 직접 필기하는 방식으로 재접착식 메모지를 사용하였다. 이 경우, 필기로 표현하기 어려운 이미지, 표, 그래프, 기호, 도형 및 사진 등의 컨텐츠는 재접착식 메모지에 기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거나, 채팅방을 이용하여 회의를 진행하는 등 종래의 업무환경에 비해 다양한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자유로운 의견교환과 표현의 다양성을 위해 여전히 오프라인을 통한 업무처리 및 회의진행방식 또한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될 수 있는 프린터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의 편의성과 오프라인의 자율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4160호, 2009.01.12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은,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되는, 상기 프린터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프린터와 연결가능하며,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을 이용하여 소정의 프린터와 연결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접착식 메모지는 일 측면에 재접착 가능한 점착부가 구비된 롤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롤 형태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하고, 상기 프린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은 상기 프린터의 명칭을 나타내는 명칭 필드와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변경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프린터의 명칭 필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프린터와 다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프린터와 연결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의 색상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하는 프린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린터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프린터가 출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의 블루투스 탐색명에 포함된 색상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색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변경된 상기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상기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상기 획득된 블루투스 탐색명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의 외측에 상기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프린터의 내측에 상기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린터의 하우징은 상기 조명장치의 불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프린터의 색상은 상기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프린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은,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블루투스 탐색명을 설정하되,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은 상기 프린터의 명칭을 나타내는 명칭 필드와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상기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 필드로 구성되고,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상기 재접착식 메모지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를 변경하는, 상기 프린터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프린터와 연결가능하며,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을 이용하여 소정의 프린터와 연결하되, 하나 이상의 상기 프린터 각각의 블루투스 탐색명에 포함된 색상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의 색상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하는 프린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프린터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프린터가 출력을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페어링 이전 단계에서는 양방향 통신이 어려운 블루투스 4.0 이전의 블루투스 클래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프린터로부터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하는 프린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롤 형태로 구성된 재접착식 메모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한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장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시채널 및 감지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린터가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이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색상에 기초하여 프린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편집영역에 점착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가 표시된 방향에 따라 프린터가 편집화면을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편집영역의 크기를 변경하고, 프린터가 편집영역의 크기 변경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린터를 이용하는 채팅방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참여자 클라이언트가 채팅방에 참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방을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채팅방에 업로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방장 클라이언트와 참여자 클라이언트가 채팅방을 이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된 재접착식 메모지를 이용하여 회의를 진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도 26에 도시된 회의 결과를 촬영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화면에서 재접착식 메모지가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재접착식 메모지에 표시된 이미지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매칭하지 못한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촬영된 재접착식 메모지를 추출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프린터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 및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린터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블루투스, WiFi 또는 3G, LTE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USB, 5핀, 8핀 또는 C타입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프린터와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연결되기 위한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시된 실시 예들은 프린터와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터(1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프린터(100)는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한다. 재접착식 메모지(300)는 일 측면에 재접착이 가능한 점착부(310)가 구비된다.
재접착식 메모지(300)에서, 그림 또는 텍스트가 출력되는 면과 일 측면에 재접착이 가능한 점착부(310)가 구비되는 면은 상이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에 있어서, 일 측면에 구비되는 재접착이 가능한 점착부(310)는 도 1에 도시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배면에 구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배면에 구비된 재접착이 가능한 점착부(310)를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전면에 도시하였으나, 이는 재접착이 가능한 점착부(310)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제로 재접착이 가능한 점착부(310)가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프린터(100)와 페어링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는 프린터(100)에서 인쇄될 이미지에 관한 편집화면(210)이 표시될 수 있다. 편집화면(210)은 프린터(100)에서 인쇄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를 프린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전송된 이미지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재접착식 메모지(300)는 일 측면에 재접착 가능한 점착부(310)가 구비된 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롤 형태로 구성된 재접착식 메모지(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롤 형태로 구성된 재접착식 메모지(300)는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프린터(100)에 장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수용한 카트리지(400)가 프린터(100)에 장착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400)에는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에 대하여 사전에 정의된 색상정보를 지시하는 지시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는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는 사전에 정의된 값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1번은 흰색, 2번은 노란색, 3번은 초록색 등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지시부(410)는 사전에 정의된 값을 표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프린터(100)의 카트리지 수용부(110)에는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가 지시하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지시부(4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 각각에 매칭되어, 지시부(4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 각각이 지시하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시채널 및 감지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는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을 포함한다. 또한,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지시채널 및 감지채널의 개수 및 형태는 예시를 위하여 제공된 것이고, 지시부(410)에 포함될 수 있는 지시채널의 수, 감지부(120)에 포함될 수 있는 감지채널의 수 및 지시채널과 감지채널 각각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는 이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현하는 이진수의 각 자리수인 0 또는 1을 지시할 수 있다.
프린터(100)의 감지부(1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 각각은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현하는 이진수의 각 자리수를 감지할 수 있다.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을 이용하여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이 지시하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현하는 이진수를 획득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획득된 이진수로부터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은 흰색, 2번은 노란색, 3번은 초록색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숫자는 이진수로 변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따르면,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는 네 자리의 이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흰색은 0001, 노란색은 0010, 초록색은 0011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각각의 색상정보를 숫자로 표현하는 방법 및 각 숫자의 자리수에 대한 내용은 예시를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 및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포토 인터럽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포토 인터럽터로 구성될 수 있다. 포토 인터럽터는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포토트랜지스터에 수광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지시부(410)의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에 구비된 포토트랜지스터의 수광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지시하는 숫자가 1이면 포토트랜지스터의 수광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지시하는 숫자가 0이면 포토트랜지스터의 수광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포토트랜지스터의 수광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은 포토 인터럽터의 발광 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 사이에 삽입되어 발광 다이오드의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 구성 및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돌출부는 카트리지(400)가 생산될 때 형성되어, 그 형태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돌출부는 카트리지(400)에 삽입 및 사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는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에 따라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교체할 수 있다.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사용자는 돌출부가 삽입 또는 사출되도록 하여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가 지시하는 색상정보를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400)는 색상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감지하고, 감지된 색상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각 지시채널의 돌출부를 삽입 또는 사출할 수 있다.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에 구비된 포토트랜지스터의 수광여부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감지부(120)가 지시부(410)로부터 이진수 1010을 획득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 및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저항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소정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가할 수 있는 수단 및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지시부(410)의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에 따라 상이한 저항을 갖는 저항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시부(410)의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에 따라 저항소자의 구비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지시하는 숫자가 1이면 저항소자를 구비하고, 지시하는 숫자가 0이면 저항소자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과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상호 접촉될 수 있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이 구비되지 않은 지시채널의 한 쌍의 전극은 서로 단락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저항 없이 전선 기타 전도체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상호 접촉된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이 감지한 저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감지부(120)가 지시부(410)로부터 이진수 1010을 획득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 및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전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전류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전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지시부(410)의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에 따라 상이한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시부(410)의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에 따라 전류를 흘려보내거나,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지시하는 숫자가 1이면 전류를 흘려보내고, 지시하는 숫자가 0이면 전류를 흘려보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과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상호 접촉될 수 있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상호 접촉된 전극을 이용하여 전류를 감지하거나, 전류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이 감지한 전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감지부(120)가 지시부(410)로부터 이진수 1010을 획득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 및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홀 센서와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시부(410)의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에 따라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지시하는 숫자가 1이면 포토트랜지스터의 자석을 구비하고, 지시하는 숫자가 0이면 자석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홀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를 감지할 수 있다.
홀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감지부(120)와 지시부(410)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에는 감지부(120)가 지시부(410)로부터 이진수 1010을 획득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 및 프린터(100)의 감지부(120)는 기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기계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시부(410)의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에 따라 감지채널에 포함된 기계식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지시하는 숫자가 1이면 돌출부를 구비하고, 지시하는 숫자가 0이면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감지부(120)의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122 내지 128) 각각은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숫자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는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는 4진수, 10진수 또는 16진수로 표현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현하는 4진수, 10진수 또는 16진수의 각 자리수를 지시할 수 있다.
프린터(100)의 감지부(1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 각각은 카트리지(400)의 지시부(4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현하는 4진수, 10진수 또는 16진수의 각 자리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흘려보내는 전류의 크기,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의 저항의 세기 또는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에 포함된 자석의 자력 등에 기초하여 4진수, 10진수 또는 16진수의 각 자리수를 지시할 수 있다.
프린터(100)의 감지부(1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지채널 각각은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으로부터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00)는 카트리지(400)로부터 재접착식 메모지(300)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400)는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이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중 일부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지시하고, 나머지 일부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잔량에 대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 이상의 지시채널(412 내지 418) 각각은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와 잔량에 대한 정보가 조합된 이진수, 4진수, 10진수 또는 16진수의 각 자릿수를 지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카트리지 수용부(110)에 수용된 카트리지(400)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카트리지(400)의 무게에 기초하여 카트리지(4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잔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린터가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130)를 프린터(100)의 외측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표시부(130)는 흰색, 노란색 및 초록색 LED를 포함하고,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에 대응하는 LED를 점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LED 표시부(130)는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조명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LED 표시부(130)는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정보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을 텍스트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의 내측에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조명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00)의 하우징은 조명장치(150)의 불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100)의 하우징은 불투명하지만 조명장치(150)의 불빛이 투과될 수 있는 흰색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100)의 하우징을 통해 보이는 외관 자체가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출력용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출력용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에 따라 블루투스 탐색명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의 블루투스 탐색명은 프린터(100)의 명칭을 나타내는 명칭 필드(10)와 출력용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 필드(2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100)의 이름은 printer1일 수 있다. 블루투스 탐색명의 명칭 필드(10)는 출력용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 변경에 의해 변경되지 않으며, 프린터(100)를 탐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색상 필드(20)는 프린터(100)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이 흰색이면 W, 노란색이면 Y, 초록색이면 G가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색상 필드(20)에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색상을 나타내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이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세 개의 프린터(100, 101 및 10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일 예에 따르면, 세 개의 프린터(100, 101 및 102) 각각의 명칭은 printer1, printer2 및 printer3이다.
또한, printer1(100), printer2(101) 및 printer3(102) 각각에는 흰색, 노란색 및 초록색 재접착식 메모지(300)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printer1(100)의 블루투스 탐색명은 printer1_W, printer2(101)의 블루투스 탐색명은 printer2_Y 이고, printer3(102)의 블루투스 탐색명은 printer3_G이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주변에 위치한 블루투스 기기들을 탐색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는 프린터들(100 내지 102) 각각의 블루투스 탐색명인 printer1_W, printer2_Y 및 printer3_G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블루투스 탐색명을 보고 원하는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프린터들(100 내지 102)의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거나,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프린터들(100 내지 102) 과 동시에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1은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1)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300)가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노란색 재접착식 메모지가 수용되어 있다가, 빨간색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될 수 있다.
프린터(101)는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101)는 블루투스 탐색명을 printer2_R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1)의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변경된 프린터(101)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획득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기존에 저장된 프린터(101)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획득된 블루투스 탐색명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린터(101)의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되면, 프린터(101)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프린터(101)의 명칭 필드(printer2)를 이용하여 다시 블루투스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린터(101)의 블루투스 탐색명이 변경되었어도, 프린터(101)의 블루투스 탐색명의 명칭 필드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프린터(101)를 찾을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변경된 블루투스 탐색명을 갖는 프린터(101)와 다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프린터 리스트에서는 printer2_Y가 삭제되고, printer2_R이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 리스트에는 페어링 정보가 저장된 모든 프린터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리스트에는 현재 페어링되어 있는 프린터만이 표시될 수 있다.
프린터 리스트에 현재 페어링되어 있는 프린터만이 표시되는 경우, 프린터(101)와의 페어링이 해제되면 printer2_Y는 리스트에서 삭제될 것이다. 또한, 프린터(101)와 다시 페어링하는 경우 printer_R이 리스트에 추가될 수 있다.
프린터 리스트에 페어링 정보가 저장된 모든 프린터가 표시되는 경우, 프린터(101)와의 페어링이 해제되어도 printer2_Y가 리스트에서 삭제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페어링이 해제되면 페어링이 해제된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재연결시 다시 페어링 정보를 탐색 및 저장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페어링이 해제되는 것만으로는 프린터 리스트에서 블루투스 탐색명을 삭제하지 않고, 추후에 동일한 명칭 필드를 갖되, 다른 색상 필드를 갖는 프린터명이 추가되는 경우 기존에 저장되었던 프린터명을 삭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inter2_R이 탐색되어 프린터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printer2_Y를 삭제하여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색상에 기초하여 프린터를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는 프린터에서 인쇄될 이미지에 관한 편집화면(210)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을 이용하여 프린터에서 재접착식 메모지에 출력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서로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하는 복수의 프린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원하는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하는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프린터 리스트에서 각 블루투스 탐색명에 포함된 색상 필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연결된 프린터들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각 블루투스 탐색명에 포함된 색상 필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된 프린터들이 출력할 수 있는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편집화면(210)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출력가능한 색상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는 흰색, 노란색 및 초록색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들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집화면(210)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흰색, 노란색 및 초록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색상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선택된 색상에 대응하는 프린터와 연결을 수행하고, 연결된 프린터에 편집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란색을 선택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에 “Y”가 포함된 프린터(101)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 화면을 프린터(101)에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프린터들(100 내지 102) 각각과 항상 페어링되어 있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각각의 프린터에 대한 페어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된 프린터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편집화면에 대한 정보 및 출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페어링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프린터가 ‘연결’ 되었다고 하는 것은 반드시 페어링된 상태만을 의미하지는 않고,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편집화면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페어링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3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편집화면에 점착부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 일 측 또는 타 측에 재접착 가능한 점착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에 따라 인쇄방향을 결정한다.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는 편집화면(210)에 포함된 이미지를 인쇄할 때 점착부가 위치할 방향을 표시한다.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프린터(100)에 편집화면(21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때, 점착부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프린터(100)는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포함된 이미지가 인쇄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포함된 이미지가 인쇄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결정된 인쇄방향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포함된 이미지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를 편집화면(210)의 다른 일 측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일 측면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30)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제1 지점을 소정의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점착부 위치 변경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약간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그림자 효과를 통해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떨어져 나온 것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짧은 진동을 통해 모드 전환을 알릴 수 있다. 점착부 위치 변경 모드로 전환되는 효과 및 점착부 위치 변경 모드로 전환된 것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점착부 변경 모드에서 사용자가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를 제1 지점으로부터 편집화면(210)의 좌측 일 측면의 제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드래그된 편집화면(210)의 좌측 일 측면에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30)를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는 편집화면(210)의 우측 또는 하측 일 측면에도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는 점착부 회전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점착부 회전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방향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변경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30)의 위치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포함된 이미지가 인쇄될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변경된 인쇄방향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포함된 이미지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5는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가 표시된 방향에 따라 프린터가 편집화면을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가 편집화면(210)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100)는 점착부(310)가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의 위에 오도록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가 편집화면(210)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100)는 점착부(310)가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의 왼쪽에 오도록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가 편집화면(210)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100)는 점착부(310)가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의 아래에 오도록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가 편집화면(210)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100)는 점착부(310)가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의 오른쪽에 오도록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의 위치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를 회전하여 프린터(10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회전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회전되지 않은 이미지를 프린터(100)에 전달하되, 점착부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프린터(100)에 함께 전달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점착부의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가 인쇄될 방향을 결정하고, 이미지를 회전하여 인쇄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은 편집화면의 크기를 변경하고, 프린터가 편집화면의 크기 변경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일측에 점착부가 구비된 롤 형태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되, 롤 형태의 재접착식 메모지가 출력되는 길이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에 있어서, 편집화면(2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은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즉,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구비된 부분을 위쪽으로 보아,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와 평행한 방향을 가로방향, 점착부와 수직한 방향을 세로방향이라 지칭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0에 있어서, 프린터(100)에서 출력되는 재접착식 메모지(300) 또한 점착부(310)를 기준으로 하여 가로 및 세로 방향이 결정된다. 즉, 점착부(310)가 구비된 부분을 위쪽으로 보아, 점착부(310)와 평행한 방향을 가로방향, 점착부(310)와 수직한 방향을 세로방향이라 지칭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0에 있어서, 프린터(100)에서 출력되는 편집화면(210)은 ‘출력물’ 이라 지칭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0에 있어서, ‘좌우’ 및 ‘상하’ 방향은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의 우측 일 측면의 제1 지점을 터치하고, 오른쪽으로 드래그한 후 제2 지점에서 드랍하는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우측 모서리는 도 16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제1 모서리에서 제1 모서리보다 오른쪽에 위치하고, 도 16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2 모서리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좌우 길이가 우측 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 또한 편집화면(210)과 함께 우측 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편집화면(210)에 위치한 이미지는 원래 자리에 위치하고, 편집화면(210)이 우측 방향으로 길어지면서 생긴 공간은 공백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기존에 편집화면(210)에 위치한 이미지가 우측 모서리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고, 편집화면(210)의 좌측에 공백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크기, 즉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길이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동작의 결과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길어졌으므로, 프린터(100)는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길어진 만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더 길게 출력할 수 있다.
프린터(100)는 지정된 길이로 재접착식 메모지(300)가 출력되면,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커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출력이 완료되면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린터(100)는 출력이 완료되어도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바로 커팅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때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커팅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의 우측 일 측면의 제1 지점을 터치하고, 왼쪽으로 드래그한 후 제2 지점에서 드랍하는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우측 모서리는 도 16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제1 모서리에서 제1 모서리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도 16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2 모서리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좌우 길이는 좌측 방향으로 짧아질 수 있다.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 또한 편집화면(210)과 함께 좌측 방향으로 짧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존에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는 편집화면(210)이 짧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축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기존에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는 편집화면(210)의 좌우 길이가 짧아지는 것과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의 일부가 잘릴 수 있다. 또는, 이미지의 길이가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길이보다 길어서 이미지가 잘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미지가 짧아진 편집화면(21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축소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크기, 즉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길이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동작의 결과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짧아졌으므로, 프린터(100)는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짧아진 만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더 짧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의 우측 일 측면의 제1 지점을 터치하고, 왼쪽으로 드래그한 후 제2 지점에서 드랍하는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우측 모서리는 도 16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제1 모서리에서 제1 모서리보다 왼쪽에 위치하고, 도 16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2 모서리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좌우 길이가 좌측 방향으로 짧아질 수 있다.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 또한 편집화면(210)과 함께 좌측 방향으로 짧아질 수 있다.
도 18에 따르면, 도 17과 상이하게,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편집화면(210)의 좌우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가 좌측 일 측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 변경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좌우 길이가 짧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축소될 수 있다. 하지만, 재점착식 메모지(300)의 세로 길이는 변경될 수 없으므로, 실제 프린터(100)에서 출력되는 출력물의 좌우 길이는 변경되지 않고,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크기 또한 달라지지 않는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크기, 즉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길이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좌우 길이가 짧아졌으나,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세로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하지만,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세로 길이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상대적으로 길게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길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100)는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길어진 만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더 길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의 하측 일 측면의 제1 지점을 터치하고, 아래쪽으로 드래그한 후 제2 지점에서 드랍하는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하측 모서리는 도 19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제1 모서리에서 제1 모서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도 19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2 모서리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상하 길이는 아래 방향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는 편집화면(210)의 상측에 그대로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재접착식 메모지는 롤 형태로 구성되어 가로로는 길게 출력할 수 있으나, 세로 길이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편집화면(210)의 상측에 그대로 위치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크기는 커졌지만, 실제 출력물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길이만이 짧아지게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가 좌측 일 측면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의 위치 변경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편집화면(210)의 상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편집화면(210)에 위치한 이미지는 원래 자리에 위치하고,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상하 길이가 아래쪽으로 길어지면서 생긴 공간은 공백이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기존에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에 위치한 이미지가 하측 모서리와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편집화면(210)의 위쪽에 공백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프린터(100)는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크기, 즉 변경된 편집화면(210)의 길이에 따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100)는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길어진 만큼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더 길게 출력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편집화면(210)의 하측 일 측면의 제1 지점을 터치하고, 위쪽으로 드래그한 후 제2 지점에서 드랍하는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랍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하측 모서리는 도 19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제1 모서리에서 제1 모서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도 19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제2 모서리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상하 길이는 위쪽 방향으로 짧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상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상하 길이가 짧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축소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출력되는 편집화면(210)의 세로 길이는 변경될 수 없으므로,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크기 또한 달라지지 않는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세로 길이는 짧아졌으나, 프린터(100)에서 실제로 출력되는 재접착식 메모지(300)의 세로 길이는 짧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프린터(100)에서 출력되는 출력물의 길이 또한 길어지게 된다.
도 20의 편집화면(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어지면서 편집화면(210)의 우측 일 측면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이미지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편집화면(210)의 좌측 일 측면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편집화면(210)에 표시된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점착부의 위치 지시자(220)가 편집화면(210)의 좌측 일 측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프린터(100)에서 출력되는 출력물의 길이 또한 짧아지게 된다. 프린터(10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또한 출력물의 가로 길이가 짧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작아질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배율은 고정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편집화면(210)의 배율이 고정되는 모드 또는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는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집화면(210)의 가로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편집화면(210)의 배율이 고정되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도 17에서와 같이 실제 출력물의 가로의 길이가 함께 짧아진다. 이 경우, 실제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반면에, 편집화면(210)의 배율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는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도 18에서와 같이 점착부의 위치가 변경되고, 실제 출력물의 가로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실제 출력되는 이미지의 크기는 변경되지 않는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린터를 이용하는 채팅방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하나 이상의 프린터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채팅방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채팅 및 데이터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서버에 채팅방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요청에 따라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채팅방을 생성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를 방장 클라이언트로 지칭한다. 또한, 채팅방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를 참여자 클라이언트로 지칭한다.
채팅방이 생성됨에 따라,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채팅방에 참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500)를 생성하고, 2차원 코드(500)를 프린터(100)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생성된 2차원 코드(500)를 프린터(100)에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서버에 채팅방에 참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500)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채팅방에 참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2차원 코드(500)를 생성하고, 생성된 2차원 코드(500)를 방장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2차원 코드(500)는 채팅방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정보 및 채팅방을 이용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코드(500)는 채팅방에 접속할 수 있는 URL 및 채팅방을 이용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2차원 코드(500)는 2차원 코드(500)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여자 클라이언트가 2차원 코드(500)를 촬영하여 채팅방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 또는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참여자 클라이언트가 촬영한 2차원 코드(500)에 포함된, 2차원 코드(500)를 생성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2차원 코드(500)를 생성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서버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참여자 클라이언트의 채팅방 입장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서버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2차원 코드(500)를 생성 및 출력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출력된 2차원 코드(500)를 촬영한 참여자 클라이언트에게만 채팅방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2차원 코드(500)는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하는 특정 프린터(100)에서만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하는 특정 프린터(100)에는 암호화 및 복호화에 이용되는 비밀 키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00)를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는 공개 키가 배포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공개 키를 이용하여 2차원 코드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프린터(100)는 비밀 키를 이용하여 2차원 코드를 복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공개 키 및 비밀 키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도, 기타 다양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2차원 코드(500)에 대한 암호화 및 복호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2차원 코드(500)를 암호화하는 대신 프린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된 프린터(100)에서만 2차원 코드(500)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2는 참여자 클라이언트가 채팅방에 참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2차원 코드(500)가 출력된 재접착식 메모지(510)를 촬영할 수 있다.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촬영된 2차원 코드(500)로부터 채팅방에 접속하기 위한 링크정보 및 채팅방을 이용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획득된 링크정보를 이용하여 채팅방에 접속하고, 획득된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채팅방 입장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 또는 방장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채팅방에 참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 또는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 또는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참여자 클라이언트(25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채팅방 입장 승인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정보에는 2차원 코드(500)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또는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에 포함된, 2차원 코드(500)가 생성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인증정보를 수신한 경우 인증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방장 클라이언트(200)는 방장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서버로부터 방장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방장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린터와 페어링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린터와 페어링하기 위한 정보는 방장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 또는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암호를 포함할 수 있다.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방장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프린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 클라이언트(250)는 블루투스 탐색을 수행하고, 수신된 정보에 포함된 블루투스 탐색명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린터를 선택하고, 하나 이상의 프린터 각각에 대응하는 암호를 전송하여 하나 이상의 프린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채팅방을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채팅방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사용자는 A, 참여자 클라이언트(250)의 사용자는 B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은 사용자들 간에 텍스트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채팅방에 업로드된 텍스트 및 이미지는 프린터(100)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채팅방에 업로드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선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프린터(100)에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채팅방에 업로드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에는 프린터(100)에 전송하여 출력되기 위한 출력 버튼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출력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선택된 출력 버튼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프린터(100)에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채팅방에 업로드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는 채팅방에 업로드됨과 동시에 프린터(100)에 전송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채팅방에 업로드함과 동시에 프린터(1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채팅방에 업로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는 재접착식 메모지(300)를 출력하는 특정 프린터(100)에서만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4는 채팅방에 업로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하나 이상의 프린터(100, 101 및 102)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출력 버튼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출력가능한 색상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는 흰색, 노란색 및 초록색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들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채팅방에 업로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흰색, 노란색 및 초록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색상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선택된 색상에 대응하는 프린터에 편집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채팅방에 업로드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610)를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 입력 및 흰색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제1 이미지(610)에 대한 정보를 흰색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100)에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채팅방에 업로드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제2 이미지(620)를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 입력 및 초록색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제2 이미지(620)에 대한 정보를 초록색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102)에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방장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와 참여자 클라이언트인 사용자 클라이언트(250)가 채팅방을 이용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50)의 화면에는 채팅방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50)의 화면에 표시된 채팅방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업로드한 제1 이미지(610)와 사용자 클라이언트(250)가 업로드한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채팅방은 서버(70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서버(7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50)로부터 업로드된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와 하나 이상의 텍스트 메시지를 수신한다.
서버(7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50)에 전달하고, 사용자 클라이언트(25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전달한다.
또한, 서버(7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5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250)가 이용중인 채팅방에 대응하는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50)는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하는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50)는 수신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프린터(100, 101 또는 102)에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은 프린터를 이용하여 출력된 재접착식 메모지를 이용하여 회의를 진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를 이용하는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린터(100 내지 102)를 이용하여 출력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내지 632)를 이용한 회의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내지 632)를 화이트보드에 부착하고, 화이트보드에 필기를 하면서 회의가 진행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내지 632)는 각각 도 25에 도시된 채팅방에 업로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610 내지 630) 각각을 출력한 것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도 26에 도시된 회의 결과를 촬영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출력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출력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포함하는 영역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인식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에 포함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연결된 채팅방에서 업로드되어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에 포함된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서버(7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대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소속된 채팅방에 대응하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이미지들에 대해서만 접근권한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채팅방을 이용하여 회의를 수행한 사용자 클라이언트만이 도 26에 도시된 재접착식 메모지들을 촬영하였을 때 매칭되는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612)에 포함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제1 이미지(610)를 매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포함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제2 이미지(620)를 매칭할 수 있고, 재접착식 메모지(632)에 포함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제3 이미지(630)를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재접착식 메모지에 포함된 이미지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하는 데에는 이미지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 기타 알고리즘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에 포함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재접착식 메모지에 포함된 이미지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갖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선택된 이미지를 재접착식 메모지에 포함된 이미지와 매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에 포함된 이미지를 서버(7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700)는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들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수신된 이미지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갖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700)는 선택된 이미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에 포함된 이미지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매칭하는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또는 서버(7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에 포함된 이미지 각각을 매칭되는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23)에 표시된 이미지들은 출력과정에서 화질이 다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23)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또 한번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23)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화질이 손상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된 화면에서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의 파일(또는 원본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이미지로 촬영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들을 대체함으로써, 화질의 손상 없이 선명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612)가 인식된 영역에 재접착식 메모지(612)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61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제1 이미지(610)를 재접착식 메모지(612)가 인식된 영역의 크기로 변환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612)에 포함된 이미지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제1 이미지(610)를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622)가 인식된 영역에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620)를 표시할 수 있고, 재접착식 메모지(632)가 인식된 영역에 재접착식 메모지(632)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6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화면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 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의 크기 또한 확대 또는 축소된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가 인식된 영역에 표시된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의 크기 또한 확대 또는 축소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화면에서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가 인식된 영역에는 촬영된 이미지가 아니라, 서버(700)로부터 다운로드된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및 제3 이미지(630)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화면이 확대 또는 축소되어도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가 인식된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는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촬영화면에서 재접착식 메모지(622 및 632)가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에 표시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매칭하지 못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표시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매칭하지 못한 경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표시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한 결과,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표시된 이미지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이미지가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매칭에 실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표시된 이미지를 서버(7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700)가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표시된 이미지와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들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한 결과,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표시된 이미지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이미지가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700)는 매칭에 실패하였다는 메시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전송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에 표시된 이미지가 서버에 저장된 이미지로 대체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촬영화면이 확대되면 촬영화면의 해상도에 따라 확대된 촬영화면이 선명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촬영화면에 표시된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포함된 이미지 또한 선명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를 매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서버(7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620 및 630)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한 제2 이미지(620)를 재접착식 메모지(622)에 표시된 이미지와 매칭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제2 이미지(620)를 재접착식 메모지(622)가 인식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또는 제3 이미지(63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이미지(610), 제2 이미지(620) 또는 제3 이미지(63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선택 입력이 수신된 이미지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된 제1 이미지(61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서버(700)로부터 다운로드된 제1 이미지(610)를 확대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중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50%) 이상의 이미지에 대하여 서버(700)에 저장된 이미지와 매칭에 실패하는 경우,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에게 재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0은 촬영된 재접착식 메모지를 추출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화면에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도 27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에 표시된 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인식하고, 인식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추출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도 27의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촬영한 화면에서 인식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고, 인식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만을 추출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정렬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가 추출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정렬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도 27에 도시된 촬영화면에서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 각각의 위치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00)는 획득된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재접착식 메모지(612, 622 및 632)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200 : 사용자 클라이언트
210 : 편집영역
300 : 재접착식 메모지
310 : 점착부

Claims (11)

  1.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에 있어서,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 필드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탐색명을 가지고,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색상이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가 지시하는 색상과 상이한 경우 상기 인식된 색상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를 변경하는, 상기 프린터; 및
    블루투스 탐색을 수행하여 페어링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하나 이상의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색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색상 중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색상에 대응하는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를 가진 블루투스 프린터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착식 메모지는 일 측면에 재접착 가능한 점착부가 구비된 롤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롤 형태의 재접착식 메모지를 수용하고, 상기 프린터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은 상기 프린터의 명칭을 나타내는 명칭 필드와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 필드로 구성되는,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인식하고, 상기 변경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탐색명의 색상 필드를 변경하는,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프린터의 명칭 필드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프린터와 다시 연결하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프린터에 수용된 재접착식 메모지가 다른 색상의 재접착식 메모지로 교체되는 경우, 상기 교체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변경된 상기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상기 프린터의 블루투스 탐색명을 상기 획득된 블루투스 탐색명으로 변경하는,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는,
    상기 프린터의 외측에 상기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프린터의 내측에 상기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을 표시하기 위한 조명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린터의 하우징은 상기 조명장치의 불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프린터의 색상은 상기 인식된 재접착식 메모지의 색상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52567A 2016-11-16 2016-11-16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KR10172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67A KR101725314B1 (ko) 2016-11-16 2016-11-16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JP2018566860A JP6636658B2 (ja) 2016-11-16 2017-07-20 再接着式メモ紙を出力する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システム
US16/312,610 US10648859B2 (en) 2016-11-16 2017-07-20 Printer and printer system for printing re-adherable memo paper
PCT/KR2017/007836 WO2018093011A1 (ko) 2016-11-16 2017-07-20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EP17871833.4A EP3459748B1 (en) 2016-11-16 2017-07-20 Printer and printer system for printing re-adherable memo 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67A KR101725314B1 (ko) 2016-11-16 2016-11-16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314B1 true KR101725314B1 (ko) 2017-04-10

Family

ID=5858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567A KR101725314B1 (ko) 2016-11-16 2016-11-16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3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281A (zh) * 2017-12-19 2020-08-07 佳能株式会社 无线终端、管理服务器、意图解读服务器、其控制方法、以及程序
CN116403342A (zh) * 2022-12-12 2023-07-07 珠海芯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pos终端打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160A (ko) 2007-07-06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장치, 인쇄 제어 시스템 및 이동 통신 장치를이용한 인쇄 제어 방법
JP4960818B2 (ja) * 2007-09-19 2012-06-27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プリンタ、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140125610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코레이트 인쇄용지 감지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KR20160094252A (ko) * 2015-01-30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노트 인쇄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160A (ko) 2007-07-06 2009-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장치, 인쇄 제어 시스템 및 이동 통신 장치를이용한 인쇄 제어 방법
JP4960818B2 (ja) * 2007-09-19 2012-06-27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プリンタ、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20140125610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코레이트 인쇄용지 감지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KR20160094252A (ko) * 2015-01-30 201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노트 인쇄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2281A (zh) * 2017-12-19 2020-08-07 佳能株式会社 无线终端、管理服务器、意图解读服务器、其控制方法、以及程序
CN111512281B (zh) * 2017-12-19 2024-05-14 佳能株式会社 无线终端、管理服务器、意图解读服务器、及其控制方法
CN116403342A (zh) * 2022-12-12 2023-07-07 珠海芯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pos终端打印方法
CN116403342B (zh) * 2022-12-12 2023-11-21 珠海芯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的pos终端打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4700B (zh) 使用列印圖案之內容遞送服務方法
US8554690B2 (en) Techniques for using media keys
USRE49242E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CN106415508B (zh) 信息处理程序产品、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系统
US9525547B2 (en) Transmission of media keys
US20070229678A1 (en) Camera for generating and sharing media keys
JP6503771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制御方法
JP5030643B2 (ja) メディアキーの使用方法
JP508102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233612A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a media key
JP2013161246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を含む表示システム
US10648859B2 (en) Printer and printer system for printing re-adherable memo paper
EP34606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inter to a client
KR101725314B1 (ko)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KR101725324B1 (ko)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 및 방법
JP5998620B2 (ja) 投写型表示装置
US20130019178A1 (en) Presentation system, present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37928B1 (ko)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및 프린터 시스템
KR101725319B1 (ko)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
KR101737933B1 (ko) 재접착식 메모지를 출력하는 프린터 시스템 및 방법
JP2005150895A (ja) ネットワーク設定情報設定システム
JP2007336528A (ja) 画像生成出力装置
JP6299824B2 (ja) 投写型表示装置
CN104243766A (zh) 具有传输功能的图像形成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517741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装置、撮像装置、無線接続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