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097B1 -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 Google Patents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097B1
KR101724097B1 KR1020140079882A KR20140079882A KR101724097B1 KR 101724097 B1 KR101724097 B1 KR 101724097B1 KR 1020140079882 A KR1020140079882 A KR 1020140079882A KR 20140079882 A KR20140079882 A KR 20140079882A KR 101724097 B1 KR101724097 B1 KR 10172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awater
tube
inl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03A (ko
Inventor
최동주
Original Assignee
(주) 선안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안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 선안전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4007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은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와, 상기 해수 유입구에 유입된 해수가 이동하고, 하부로 굽어져 형성되는 해수 유입관과, 상기 해수 유입관의 하단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끝단에 형성되는 투입관과, 상기 해수 유입관에서 이동하는 해수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모래나 퇴적물이 합류하여 이동하고, 상기 해수 유입관과 마주하도록 상부로 굽어져 형성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와 함께 모래나 퇴적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밀물과 투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을 동시에 토출관으로 이동시켜 해안가로부터 유실되는 모래나 퇴적물을 해안가로 다시 이동시킴으로써 해안가가 침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Curved Tube for Preventing Coastal Erosion an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해수 유입관과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유입되어 이동되는 투입관을 통해 해수와 모래나 퇴적물을 함께 해안가로 토출함으로써 해안가로부터 모래나 퇴적물이 유실되고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침식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고, 서로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발생지만 주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산치수 사업에 의한 하천상류의 개발로 해안에 공급되는 토사의 감소에 기인하며, 둘째, 항로 또는 항내 토사의 준설 및 해사 채취로 인해 발생되며, 셋째, 긴 직선상 해안에서의 항만·어항의 건설 및 석호 해수교환을 위한 도류제 등 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연안 표사 저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해안침식의 원인 중 대표적인 것은 해안 토사의 평형상태 붕괴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하천 토사 공급의 감소에 기인한 것이다.
원래 백사장의 모래는 하천으로부터 공급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먼바다 해저사구로 이동 소멸되어 언제나 공급과 손실이 평형을 이루면서 아름다운 백사장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경제, 사회가 발전하면서 하천상류의 댐과 하천구조물이 건설되고 골재채취 등이 실시됨에 따라 하천으로부터의 토사공급은 현저히 감소되어 공급은 없고 손실만 발생하는 백사장 유실현상이 초래되고 있다. 문화가 발전된 선진국일수록 해안침식문제가 대두되는 것은 이와 같은 하천정비가 앞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항로 또는 항내 토사의 준설 및 해사 채취 등이 해안 토사 평형상태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항로 및 항내에 쌓인 토사는 대개 어딘가의 해안백사장에서 온 것이므로 결국 그 토사를 준설 채취하여 다른 곳에 이용해버리면 결국 그 해안의 총 토사잔여량은 줄어드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이러한 준설토는 반드시 원유출처를 찾아 돌려주어야 한다. 이것을 샌드바이패스(Sand bypass)라고 하며, 최근 해안침식방지대책의 기본사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동해안과 같이 연안 표사가 탁월한 해안에서는 국부적으로 항만 어항 등과 같은 해안구조물이 건설됨으로써 해안을 따라 평행하게 움직이는 연안 표사가 저지되고 이로 인해 구조물 주변의 백사장 침식이 발생되고 항내에는 항내매몰 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현상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해안침식 현상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방파제 등과 같은 구조물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해안 침식의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설치 한 그 구조물들은 오히려 해안 침식을 확장 가속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224999호에는 '티형 해안침식방지블럭'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면에 체결홈을 갖으며 측면에 관통되게 통수공이 형성된 차단벽체와 상기 차단벽체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지지날개로 이루어진 하부침식방지블럭 및 상기 체결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움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침식방지블럭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침식방지블럭은 하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어 볼트로 고정되는 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빠르게 이동되는 해수나 파랑을 감쇠시켜 하부침식방지블럭이 이동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파도에 의해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티형 해안침식방지블럭은 파도에 의해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바닷물의 이동에 따라 유실되는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을 해안가로 다시 이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해안가로 밀려오는 해수가 유입되어 해수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해수와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유입되어 투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모래나 퇴적물이 동시에 토출관을 통해 해안가로 토출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와, 상기 해수 유입구에 유입된 해수가 이동하고, 하부로 굽어져 형성되는 해수 유입관과, 상기 해수 유입관의 하단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끝단에 형성되는 투입관과, 상기 해수 유입관에서 이동하는 해수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모래나 퇴적물이 합류하여 이동하고, 상기 해수 유입관과 마주하도록 상부로 굽어져 형성되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와 함께 모래나 퇴적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유입구와 투입구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구와 토출구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입관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관과 투입관에는 고정지지대가 각각 구비되어 해안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대는 해안 바닥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지지대와 해안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은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수 유입구와 해수 유입관 사이에는 직선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직선관, 투입관 및 토출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로 상기 직선관, 투입관 및 토출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직선관과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상기 직선관과 투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투입관이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직선관과 투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토출관과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토출관이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은 강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해수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밀물과 투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을 동시에 토출관으로 이동시켜 해안가로부터 유실되는 모래나 퇴적물을 해안가로 다시 이동시킴으로써 해안가가 침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해안가에 설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해안가에 설치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해안가에 설치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해안가에 설치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수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해수 유입관과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유입되어 이동되는 투입관을 통해 해수와 모래나 퇴적물을 함께 해안가로 토출함으로써 해안가로부터 모래나 퇴적물이 유실되고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에 관한 것이다.
밀물이 해안가로 밀려왔다가 빠져나가거나 파도에 의해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바다로 이동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해안이 침식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밀물이나 파도에 의해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관과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투입되는 투입관이 형성되고 해수 유입관을 따라 이동하는 해수와 투입관을 통해 이동하는 모래나 퇴적물이 합류하여 토출관을 통해 해안가로 모래나 퇴적물을 이동시킴으로써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밀물이나 파도에 의해 바다로 이동하여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유실되어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안가와 반대방향을 향하여 해수 유입구(12)가 형성되고, 상기 해수 유입구(12)로 유입되는 해수가 해수 유입관(1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수 유입구(12)는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의 양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해수 유입구(12)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수 유입관(10)은 하부로 곡선형태로 굽어져 형성되어 상기 해수 유입구(12)로 유입되는 해수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수 유입관(10)의 직경은 상기 해수 유입구(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해수 유입관(10)을 통해 해수가 빠르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해수 유입관(10)의 하단과 연결되어 해안가를 향해 일정 길이로 투입관(20)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관(20)의 끝단에는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2)가 상기 해수 유입구(12)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22)는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해수와 함께 투입되는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투입구(22)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해수 유입관(10)을 통해 이동하는 해수와 상기 투입관(20)을 통해 이동하는 모래나 퇴적물이 상기 해수 유입관(10)과 상기 투입관(20)이 연결되는 지점에서 합류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는 토출관(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투입관(20)을 통해 해수와 함께 이동하는 모래나 퇴적물이 상기 해수 유입관(10)을 통해 이동하는 해수의 압력에 의해 더 빠르게 상기 토출관(3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투입관(20)을 통해 모래나 퇴적물이 빠르게 상기 토출관(30)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투입관(20)의 길이는 너무 길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토출관(30)은 상기 해수 유입관(10)과 마주하도록 상부로 곡선형태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30)의 끝단에는 상기 토출관(30)을 따라 이동하는 모래와 퇴적물이 해안가로 토출되도록 토출구(32)가 형성된다.
여기서, 토출압력을 높여 상기 토출구(32)를 통해 모래나 퇴적물이 빠르게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32)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해수 유입관(10)의 상부와 상기 토출관(30)의 상부는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해수 유입구(12)와 상기 토출구(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2)와 상기 투입구(22)는 같은 방향으로 해안가를 향해 형성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32)는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나 모래나 퇴적물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퇴적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크기에 따라 상기 토출구(32)로부터 해안가로 모래나 퇴적물이 토출될 때 토출되는 범위를 넓히기 위해 상기 토출구(32)는 다양한 방향으로 상기 토출구(32)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해수 유입구(12)와 해수 유입관(10) 사이에는 직선관(14)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해수 유입구(12)를 통해 상기 해수 유입관(10)으로 유입되는 해수가 곡선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해수 유입관(10)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투입관(2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선관(14)과 상기 투입관(20)이 직선형태의 관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후술할 연결수단으로 복수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본 발명인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은 해안가로부터 일정거리에 떨어진 바다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데, 토사유실지점의 수심과 조류의 흐름을 파악하여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이 수심의 H/3 지점에서 조류의 흐름과 일치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을 설치함으로써 조류를 이용하여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을 순환시키고,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해안가로부터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관(30)과 투입관(20)에 고정지지대(40)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토출관(30)과 투입관(20) 하단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고정지지대(40)가 결합되어 해안 바닥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관(30)과 투입관(20)에 상기 고정지지대(40)를 결합할 때 용접을 하여 결합시키면 해수에서 용접한 부위가 부식될 수도 있고, 물살에 의해 용접한 부분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대(40)는 물살에 대한 고정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해안 바닥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지지대(42)와 해안 바닥에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경사지지대(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대(40)는 해안의 수심이나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철골과 함께 콘크리트로 형성되거나 해수에서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강관으로 형성되어 세라믹코팅을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지지대(42)와 상기 경사지지대(44)는 상기 토출관(30)과 투입관(20)의 하단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나 본 발명인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크기나 무게, 해안가의 파도의 세기 등을 고려하여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수직지지대(42)와 상기 경사지지대(44)의 갯수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이 복수 개가 일렬로 상기 고정지지대(40)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된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들은 연결수단(5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50)은 상기 직선관(14), 투입관(20) 및 토출관(30)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나사(52)와, 상기 고정나사(52)로 상기 직선관(14), 투입관(20) 및 토출관(30)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56)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인접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상기 직선관(14), 투입관(20) 및 토출관(30)의 상측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지지대로 구비되는 상기 연결부재(56)의 끝단이 각각 위치하고, 볼트로 구비되는 상기 고정나사(52)가 상기 연결부재(56)와 상기 직선관(14), 투입관(20) 및 토출관(30)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나사(52)는 상기 직선관(14), 투입관(20) 및 토출관(30)의 상측면을 관통하는 아이볼트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56)로 철근으로 구비되어 상기 아이볼트와 연결함으로써 인접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을 각각 연결하는 등 상호 연결되는 곡관들을 연결하여 지지해 줄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연결수단(50)은 어떠한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연결수단(50)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직선관(14)에 상기 연결부재(56)의 일단이 상기 고정나사(52)에 의해 고정되고,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상기 직선관(14)과 투입관(20)에 상기 연결부재(56)의 타단이 상기 고정나사(52)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투입관(20)에 상기 연결부재(56)의 일단이 상기 고정나사(52)에 의해 고정되고,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직선관(14)과 투입관(20)에 상기 연결부재(56)의 타단이 상기 고정나사(52)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토출관(30)에 상기 연결부재(56)의 일단이 상기 고정나사(52)에 의해 고정되고,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토출관(30)에 상기 연결부재(56)의 타단이 상기 고정나사(52)에 의해 고정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수단(50)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이 스페이스 프레임으로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인접하는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의 직선관(14), 투입관(20) 및 토출관(30)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재(56)가 교차되는 지점에 고정수단(54)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56)가 해수의 유동으로부터 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54)은 철근으로 교차지점을 감아주는 구조로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1)은 95% 이상의 철분과 함께 탄소, 크로뮴, 망가니즈, 몰리브데넘, 니켈 등의 부가물을 함유하고 있는 금속인 강재료로 형성되며 해수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세라믹코팅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안가의 수심을 고려하여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크기를 결정하고, 파도나 물살의 세기에 따라 해안가의 퇴적물이 잘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해수유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직경을 설정하여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제작한다.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물 속에 설치하도록 해안 바닥에 상기 고정지지대를 삽입한다.
해안 바닥에는 상기 고정지지대가 삽입되도록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천공크기는 상기 고정지지대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크기에 따른 상기 고정지지대의 길이 및 굵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지지대는 물살에 대한 고정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해안 바닥에 수직으로 상기 수직지지대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인접하여 해안 바닥에 비스듬하게 상기 경사지지대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고정지지대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상기 토출관과 투입관이 결합되어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수 유입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상기 해수 유입구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어 상기 해수 유입관을 통해 빠르게 해수가 이동하면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투입관으로 투입되는 모래나 퇴적물을 상기 토출관으로 이동시켜 상기 토출구로 모래나 퇴적물을 다시 해안가로 이동시킴으로써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해안가로부터 유실되어 해안가가 침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10 : 해수 유입관
12 : 해수 유입구 14 : 직선관
20 : 투입관 22 : 투입구
30 : 토출관 32 : 토출구
40 : 고정지지대 42 : 수직지지대
44 : 경사지지대 50 : 연결수단
52 : 고정나사 54 : 고정수단
56 : 연결부재

Claims (12)

  1.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 유입구;
    상기 해수 유입구에 유입된 해수가 이동하고, 하부로 굽어져 형성되는 해수 유입관;
    상기 해수 유입관의 하단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해안가의 모래나 퇴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끝단에 형성되는 투입관;
    상기 해수 유입관에서 이동하는 해수와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모래나 퇴적물이 합류하여 이동하고, 상기 해수 유입관과 마주하도록 상부로 굽어져 형성되는 토출관; 및
    상기 토출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해수와 함께 모래나 퇴적물이 토출되는 토출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구와 투입구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토출구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과 투입관에는 고정지지대가 각각 구비되어 해안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는 해안 바닥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수직지지대와 해안 바닥으로부터 경사지게 삽입되는 경사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구와 해수 유입관 사이에는 직선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은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 개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직선관, 투입관 및 토출관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로 상기 직선관, 투입관 및 토출관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직선관과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상기 직선관과 투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투입관이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직선관과 투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토출관과 인접하는 타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의 토출관이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방지용 곡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안침식방지용 곡관은 강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곡관.
KR1020140079882A 2014-06-27 2014-06-27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KR10172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82A KR101724097B1 (ko) 2014-06-27 2014-06-27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882A KR101724097B1 (ko) 2014-06-27 2014-06-27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03A KR20160001403A (ko) 2016-01-06
KR101724097B1 true KR101724097B1 (ko) 2017-04-06

Family

ID=5516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882A KR101724097B1 (ko) 2014-06-27 2014-06-27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2497B (zh) * 2019-12-10 2021-04-30 宁夏信远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水利工程综合的漏斗滤泥斜刷沙壁的泥沙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73Y1 (ko) * 2002-03-25 2002-07-02 조만익 착탈이 가능한 u자형원통파쇄관
KR101377437B1 (ko) * 2013-05-22 2014-03-25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73Y1 (ko) * 2002-03-25 2002-07-02 조만익 착탈이 가능한 u자형원통파쇄관
KR101377437B1 (ko) * 2013-05-22 2014-03-25 주식회사 우리창우종합건축사사무소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03A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4636B2 (en) Multi-stage suspended wave screen and coastal protection system
WO2011157211A1 (zh) 水动力自动清淤机
KR101198272B1 (ko)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7226242B2 (en) Catch basin for salt water sand
KR101724097B1 (ko) 해안침식방지용 곡관과 그 구조체
CN105155464B (zh) 一种用于沉排促淤加固的浮板装置
JP4663145B2 (ja) 静水圧を利用した水中堆積物の流送方法と開口付きパイプ並びに水中堆積物の流送設備
CN100560877C (zh) 永久性局部水底吸泥清淤的方法
CN106939580B (zh) 一种交错埋管型透水丁坝
CN105715908B (zh) 一种海底管道柔性板群冲刷防护装置
JP2016166476A (ja) ライザー管
CN102400451B (zh) 重力土工管灌泥装置
CN2758332Y (zh) 河道扰沙清淤器
JP4183601B2 (ja) 石樋魚道と石積堰堤とからなる治水堰堤
US6394698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iverting tidal flows in brackish fairways
KR101377443B1 (ko)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JP4675061B2 (ja) 堆積物の吸引流送設備
CN209144897U (zh) 河道固定漂浮平台底部旋转吹扫清淤装置
KR20100069524A (ko) 침전물 퇴적 방지용 수중보 구조물
KR20090079572A (ko) 파랑에너지 용출형 철근콘크리트 조립 말뚝식 블록.
CN205640044U (zh) 一种海底管道柔性板群冲刷防护装置
JP2008223446A (ja) 航路埋没防止方法及び埋没を防止した港湾設備
CN109011732A (zh) 一种用于对污水池池底沉积淤泥进行扰动的水力扰动装置
JPH09279539A (ja) 河川の流れ制御方法及び装置
JP4687901B2 (ja) 鉛直方向海水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