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272B1 -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272B1
KR101198272B1 KR1020100004675A KR20100004675A KR101198272B1 KR 101198272 B1 KR101198272 B1 KR 101198272B1 KR 1020100004675 A KR1020100004675 A KR 1020100004675A KR 20100004675 A KR20100004675 A KR 20100004675A KR 101198272 B1 KR101198272 B1 KR 10119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tube
construction
civil
tub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080A (ko
Inventor
김사동
임영근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10000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2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4Filling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댐, 방파제, 부두 또는 항구 등의 토목 공사용으로 시공되되 특히 저수지용으로 시공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저수지 튜브 구조물은 그 구성 일예로서, 저수지에 하나 이상의 열과 층으로 시공되는 토목 시공용 튜브 및, 상기 토목 시공용 튜브에 충진되되 저수지 침전물을 포함하는 튜브 채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수지 튜브 구조물 시공방법은, 저수지를 따라 하나 이상의 토목 시공용 튜브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튜브에 준설장치를 통하여 준설된 저수지 침전물을 채움재로 충진하여 튜브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뻘, 토사 등의 저수지 침전물을 준설한 준설물 또는 이에 더하여 응집제 투입에 의한 응집물을 시공되는 튜브 구조물의 채움재로 사용하여, 시공비용을 줄이는 한편, 저수지 주변의 지반 강화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저수지 준설이나 응집제 투입을 의한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토사 유입도 차단하는 등의 다목적 튜브 구조물을 제공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Geotextile Tube Structure for Reservoi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댐, 방파제, 부두 또는 항구 등의 토목 공사용으로 시공되는 토목 시공용 튜브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뻘, 토사 등의 저수지 침전물을 준설한 준설물 또는, 추가로 응집제 투입에 의한 응집물을 시공되는 튜브 구조물의 채움재로 사용하여, 시공비용을 줄이는 한편, 저수지 주변의 지반 강화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저수지 준설이나 응집제 투입을 의한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토사 유입도 차단하는 등의 다목적 튜브 구조물을 제공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섬유(geotextile)는 모래, 흙, 자갈 등의 환경에 사용되는 섬유, 고분자 재료로서 토목공사의 시공기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토목 섬유를 이용한 토목 시공용 튜브(통상 지오텍스타일 튜브(geotextile tube)라고도 함)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흙, 모래, 자갈과 같은 준설토 또는 기타 채움재를 채워 넣은 성토용 구조물이라 할 수 있는데, 근래 시공성과 경제성 및 환경보전 등을 고려하여 수중제방, 호수, 강, 바다의 호안 보호 또는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토목(건설) 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알려진 토목 시공용 튜브는, 투입구를 통하여 튜브 내부에 모래, 흙, 자갈 등의 채움재를 넣고, 투입구를 밀봉하여 채움재와 같이 투입되는 물은 튜브를 통하여 배수되고, 채움재만이 남아서 원하는 성토용 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토목 시공용 튜브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어야만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채움재를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준설이 가능한 지역(바닷가 등)은 인근 준설토를 채움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채움재를 준비, 운송하는 데에 비용이 적게 들지만, 이와 같은 준설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채움재 준비에도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한편, 저수지에는 계속적으로 물이 유입됨과 동시에, 물과 함께 대량의 토사가 유입되어 저수지 바닥에는 상당량의 침전물이 쌓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저수지에 토목 시공용 튜브를 주변을 둘러싸면서 시공하면, 지반 강화를 통하여 저수지의 붕괴나 침식 등이 방지되고, 특히 저수지 침전물을 준설한 준설물을 튜브 채움재로 바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채움재 준비와 운송이 필요없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저수지 침전물의 준설시 오염물질이 제거되기 때문에, 저수지의 수질도 개선시키는 이점을 자동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저수지 주변에 토목 시공용 튜브들을 축조시공하되, 토사 등의 저수지 침전물을 채움재로 사용하여 비용을 줄이면서, 저수지 준설을 통하여 저수지의 수질도 개선시키는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뻘, 토사 등의 저수지 침전물을 준설한 준설물 또는 이에 더하여 응집제 투입에 의한 응집물을 시공되는 튜브 구조물의 채움재로 사용하여, 시공비용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측면은, 저수지 주변의 지반 강화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저수지 준설이나 응집제 투입을 의한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토사 유입도 차단하는 등의 다목적 튜브 구조물을 제공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저수지 주변에 시공되고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는 하나 이상의 토목 시공용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채움재는 적어도 저수지 준설물을 포함하고,
저수지의 물 유입영역에 시공된 토목 시공용 튜브사이에 연계 시공되고 적어도 저수지 준설물을 튜브 채움재에 포함하는 제2 토목 시공용 튜브를 더 포함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저수지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토목 시공용 튜브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토목 시공용 튜브에 준설장치를 통하여 준설된 저수지 준설물을 튜브 채움재로 충진하여 튜브를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저수지의 물 유입영역에는, 상기 토목 시공용 튜브를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제2 토목 시공용 튜브들을 더 시공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뻘, 토사 등의 저수지 침전물을 준설하여 발생된 저수지 준설물을 저수지 주변에 축조 시공되는 튜브 구조물의 튜브 채움재로 사용하거나, 더하여 준설물과 같이 저수지 순환수에 투입되는 응집제를 매개로 형성되는 응집물을 튜브 채움재로 사용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의 튜브 채움재 공급이 가능하여 튜브 채움재의 준비, 운송 등이 제거되기 때문에, 튜브 구조물의 시공비용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저수지 주변을 따라 시공된 튜브 구조물로 인하여 저수지의 지반 강화를 통한 침식이나 붕괴 등을 방지시키고, 이는 저수지 보수 비용을 줄이도록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튜브 채움재로 저수지 준설물을 사용하거나 응집제를 투입하기 때문에, 저수지의 수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튜브 구조물과 그 시공을 통하여, 다목적 및 다기능의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침전물 준설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저수지 특히, 물이 유입되는 부분의 본 발명의 튜브 구조물 시공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튜브 구조물에서 단위 튜브들의 연결 축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지 튜브 구조물(1)과 이와 같은 튜브 구조물(1)의 시공시 사용되는 준설장치(100)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저수지(2)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기타 물이 유입되고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규모가 작은 담수지 등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은, 물(W)이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물 저장지역 즉, 저수지(2)의 주변으로 저수지를 따라 하나 이상의 열과 층으로 시공되고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는 하나 이상의 토목 시공용 튜브(10)를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튜브 채움재는 적어도 저수지 준설물(30)을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저수지 준설물(30)을 저수지 침전물(30)로 설명하는데, 이와 같은 저수지 침전물(30)은, 저수지에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는 토사 또는 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은 기본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토목 시공용 튜브(10) 즉, 지오텍스타일 튜브를 사용하고, 도 1 및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도 3과 같이, 하나 이상의 튜브(10)들을 3층 정도의 다층으로 연이어 연결 축조 시공한다.
이때, 상기 단위 토목 시공용 튜브(10)는, 도 2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채움재 즉, 저수지 침전물(30)을 충진하기 위한 투입구(12)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목 시공용 튜브(10)는 여러 개의 단위 튜브 조각들을 재봉처리하여 연결 제작하는데,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토목 시공용 튜브(10)는, 물과 함께 채움재 예를 들어, 저수지 침전물(30)이 펌핑 공급되면, 물은 튜브 구조에 따라 외부 배출되고, 내부에는 저수지 침전물 즉, 준설된 토사, 뻘 등이 남게 되어 도 1 및 도 3과 같은 소정의 길이와 두께(폭)을 갖는 댐 형태의 구조물로 축조 시공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은, 저수지에 침전된 토사 등의 침전물(30)을 튜브 채움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채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시공 장소에서 바로 채움재를 준설 사용하기 때문에, 채움재의 운송과 같은 시공 지연 요소도 제거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은, 저수지의 침전물을 채움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준설장치(100)를 통하여 저수지 바닥의 침전물을 준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국, 이와 같은 저수지의 준설시 침전물의 여러 부패한 오염원도 같이 제거되기 때문에, 저수지의 물(W)은 준설 자체를 통하여 그 수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은, 튜브 채움재의 현장 공급과 준설을 통한 수질 개선을 동시에 구현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튜브 구조물 시공을 위한 준설장치(100)는, 저수지 침전물(30)을 튜브에 공급하는 침전물 흡입수단(11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준설장치(100)는, 상기 저수지에 응집제를 투입하는 응집제 투입수단(130)을 더 포함하여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응집된 응집물(32)을 튜브 채움재로 더 사용하여 수직 개선을 더 확실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침전물 흡입수단(110)과 응집제 투입수단(130)은, 기본적으로 저수지 물에 부유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부유수단(150)상에 제공된다.
물론, 이와 같은 부유수단(150)은 소형의 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배에는 스크류 등의 구동원이 구비된 것도 가능하고, 배와 연계되는 바지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구(152)들이 하부에 구비된 부유판(154)으로 된 바지선 형태의 부유수단(150)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유수단(150)은 저수지 물의 표면에서 부유 이동하면서 침전물(30)의 흡입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 가능한데, 예컨대 상기 부유수단의 부유판(154)에 와이어를 연결하면 된다.
이때, 상기 침전물 흡입수단(110)은, 구체적으로는 부유판에 제공되는 흡입펌프(11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펌프(112)의 일측에는 적어도 저수지 바닥 근처까지 신장되어 토사 등의 채움재로 제공되는 침전물(30)을 물과 함께, 흡입하고, 상기 흡입펌프(112)에 연결된 침전물 공급관(116)을 통하여 침전물(30)의 튜브 채움재는 단위 토목 시공용 튜브(10)의 투입구(12)를 통하여 튜브 내부에 충진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전물 공급관(116)에는 커플링 연결을 매개로 튜브(10)로의 준설되는 침전물(30)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는 플렉시블 관(116a)이 연결 사용하는 것이다.
즉, 물과 함께 흡입된 토사 등의 침전물(30)이 튜브(10)내에 투입되고, 이때 물은 외부 배출되고 토사 등의 침전물만이 튜브 채움재로 남아. 튜브들은 연이어 하나 이상의 열 또는 다열의 층으로 축조 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튜브 구조물(1)의 시공시 다른 특징은 저수지 침전물 뿐만 아니라, 응집물(32)도 채움재로 사용하여, 저수지 수질 개선을 더 촉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준설장치(100)는, 부유수단(150)의 부유판(154) 상에 제공되는 응집제 투입수단(130)을 통하여, 순환되는 저수지 물에 연속적으로 응집제를 투입하고, 이와 같은 응집제 투입시 형성되는 응집물(32)(플럭 등)은 앞에서 설명한 흡입수단(110)을 통하여 튜브 내로 공급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준설장치(100)의 응집제 투입수단(130)은, 부유판을 관통하여 저수지에 일부분이 침지되는 순환관(140)과 연결된 흡입펌프(138)와 부유판 상의 물 유입-응집제 투입조(130)가 연결되고, 상기 물 유입-응집제 투입조(130)의 펌프 반대측에는 응집물 배출관(142)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물 유입-응집제 투입조(130)는, 내부에 격벽(136)을 구비하여 물 유입부분과 응집제 투입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고, 상기 응집제 투입부분에 맞추어 조의 상부에 (소형의) 응집제 투입호퍼(134)가 연통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서는 관과 조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등을 도시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물이 응집제 투입수단의 흡입펌프(138)의 가동시 순환관(140)을 통하여 유입된 순환수는 물 유입-응집제 투입조(130)의 내부로 공급되고 격벽에서 1차 침전물이 침전되고, 이후 응집제 투입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응집제는 물에 포함된 이물 등과 혼합되어 배출관(142)을 통하여 응집물(32)로 배출되면, 이를 튜브에 공급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은, 준설장치(100)를 통하여, 저수지 바닥측의 침전물 준설은 물론,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응집제로 제거하기 때문에, 수질의 개선이 튜브 시공중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튜브 구조물을 둘레를 따라 시공한 저수지는, 우천시 주변 토사의 저수지 유입이나 범람 등이 방지되어 저수지 자체의 토모 구조가 견고하게 됨은 물론, 저수지의 오염이나 주변 환경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고, 무엇보다도 현장 침전물을 튜브 채움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에서, 저수지로 물이 유입되어 하천의 토사가 가장 먼저 유입되는 물 유입영역(4)에는, 저수지를 따라 시공된 메인의 제1 토목 시공용 튜브(10)들을 가로질러 저수지 바닥에 단계적으로 소정 간격으로 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들은 특히, 물이 유입되는 지역(4)에서, 양측 제1 토목 시공용 튜브(10)들 사이를 가로질러 바닥에 시공되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토사(T) 또는 기타 오염물질 등이 저수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댐 역활을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는, 더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메인의 제1 토목 시공용 튜브(10)사이를 가로질러 연결수단(70)을 매개로 견고하게 연결 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수단(70)을 매개로 연결된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들은 물이 흐르는 유동에 의한 수압에 의하여 밀리면서 앞에서 설명한 댐 역활이 불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를 다층으로 설치하면, 물의 유입영역에서 의도적으로 침전물을 침전시키거나, 물의 유입량이 비정상적으로 증대되는 경우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연결수단(70)은, 메인의 제1 단위 토목 시공용 튜브(10)를 감싸는 원형 형태의 플라스틱 또는 천(튜브재질) 구조물(72)의 끝단(72a)과 제2의 토목 시공용 튜브(50)의 연결단(54)을 보강판(74)을 매개로 볼트(B)와 너트(W) 및, 와셔(W)를 통하여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70)은, 메인의 제1 토목 시공용 튜브(10)과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의 연결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제1 튜브(10)를 감싸는 플라스틱이나 천 구조물(72)의 위치를 조정하면 쉽게 제2 토목 시공용 튜브 와의 연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8과 같이 다른 형태로 저수지 특히, 물 유입영역(4)의 물 유입통로 양측에 설치된 메인의 제1 튜브(10)들 사이를 다른 연결수단(70') 즉, 앞의 제1 튜브(10)를 감싸는 플라스틱이나 천 구조물(72') 사이에 와이어(74')의 연결부재로 연결하고, 그 상류측에 제2의 토목 시공용 튜브(50)를 배치하는 것이다.
물론,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실제 축조 시공된 하나의 단위 튜브(10)(50)들의 길이는 최소 수 M에서 수십 M 이고, 높이도 수 M 에 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결수단(70)(70')들의 사용은 필요 없을 수도 있으나, 연결수단의 사용으로 튜브 구조물의 견고성을 확보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특히 비정상적으로 물의 유입량이 증대되는 우천시기에는, 다량의 토사가 유입되므로, 이와 같은 연결수단(70)(70')들은 튜브 구조물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시킬 것이다.
다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의 축조 시공단계를 정리하면,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저수지(2)의 둘레를 따라 시공할 토목 시공용 튜브(10)들을 배치한다.
물론, 이때 튜브들의 시공열이나 적층 열을 미리 결정하여 이에 맞게 튜브들을 배치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 다음, 앞에서 설명한 저수지에 미리 준비한 준설장치(100)를 통하여, 도 1과 같이 저수지 바닥측의 저수지 침전물(30)을 연속적으로 흡입하여, 튜브(10)의 투입구(12)를 통하여 물과 함께 펌핑 충진시킨다.
이때, 준설장치의 부유수단(150)을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바닥측의 튜브들을 연이어 축조 시공하고, 그 다음 그 위로 2층의 튜브들은 축조 시공하는 것이, 한 지점에서 예를 들어, 3층의 튜브들을 모두 시공하고, 그 다음 인접하여 튜브들을 시공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즉, 최하측의 튜브들은 도 1과 같이, 구조물의 기반 역할을 할 것이다.
다음, 준설장치(100)에서는, 저수지 물은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준설장치(100)의 응집제 투입수단(130)을 매개로 순환 배출되는 물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저수지 바닥에 가라앉는 응집물(32)을, 준설장치의 흡입수단(110)을 통하여 튜브의 채움재로 사용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물 유입영역(4)에 이미 시공 축조된 메인 튜브 구조물사이에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를 소정 간격으로 연결 배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들을 통하여, 물 유입영역에서 토사 또는 기타 오염물질이 저수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저수지 튜브 구조물(1)은, 저수기 침전물을 채움재로 이용하고, 더하여 응집제 투입을 통하여 응집물을 튜브 채움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채움재 준비와 운송 등에 따른 부담이 없어 시공 비용을 줄이는 한편, 특히 준설이나 오염물질의 응집 제거를 통하여 저수지의 수질 개선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저수지 튜브 구조물 2.... 저수지
4.... 저수지 물 유입영역 10.... 토목 시공용 튜브
30.... 저수지 침전물(튜브 채움재) 32.... 응집물
50.... 제2 토목 시공용 튜브 70.... 튜브 연결수단
100.... 준설장치 110.... 침전물 흡입수단
130.... 응집제 투입수단 150.... 부유수단

Claims (9)

  1. 저수지 주변에 시공되고 내부에 채움재가 충진되는 하나 이상의 토목 시공용 튜브(10)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채움재는 적어도 저수지 준설물(30)을 포함하고,
    저수지의 물 유입영역에 시공된 토목 시공용 튜브(10)사이에 연계 시공되고 적어도 저수지 준설물(30)을 튜브 채움재에 포함하는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를 더 포함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채움재는, 준설장치를 통하여 투입되는 응집제를 매개로 형성되는 응집물(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는, 저수지의 물 유입영역(4)의 양측 토목 시공용 튜브(10)사이를 가로질러 연결수단(70)을 매개로 하나 이상이 소정 간격으로 연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5. 저수지 주변에 하나 이상의 토목 시공용 튜브(10)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토목 시공용 튜브(10)에 준설장치(100)를 통하여 준설된 저수지 준설물(30)을 튜브 채움재로 충진하여 튜브를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저수지의 물 유입영역에는, 상기 토목 시공용 튜브(10)를 가로질러 소정 간격으로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들을 더 시공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 시공용 튜브(10)는, 저수지를 따라 다층으로 연이어 연계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시공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목 시공용 튜브(50)는 준설장치(100)를 통하여 준설된 저수지 준설물(30)을 튜브 채움재로 사용하고,
    저수지의 순환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형성된 응집물(32)을 상기 튜브(10) (50)들의 튜브 채움재로 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장치(100)는, 저수지 침전물을 튜브에 공급토록 제공되는 침전물 흡입수단(110) 및, 순환수에 응집제를 투입토록 제공되는 응집제 투입수단(130) 중 적어도 침전물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장치(100)의 침전물 흡입수단과 응집제 투입수단은, 저수지에 제공되는 부유수단(150) 상에 배치되어 준설위치를 변경 가능토록 제공되는 특징으로 하는 저수지 튜브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00004675A 2010-01-19 2010-01-19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9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75A KR101198272B1 (ko) 2010-01-19 2010-01-19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675A KR101198272B1 (ko) 2010-01-19 2010-01-19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80A KR20110085080A (ko) 2011-07-27
KR101198272B1 true KR101198272B1 (ko) 2012-11-07

Family

ID=4492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675A KR101198272B1 (ko) 2010-01-19 2010-01-19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45B1 (ko) * 2012-02-08 2014-02-17 주식회사 젠트로 토목 구조물 시공방법
KR101372236B1 (ko) * 2013-07-04 2014-03-11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구조체 충진용 호스연결모듈 및 튜브구조체 충진용 호스연결모듈을 구비한 준설토주입모듈
KR101396480B1 (ko) * 2013-07-31 2014-05-19 주식회사 준건설 유연한 배출부가 구비된 튜브구조체 충진용 호스연결모듈
WO2015002482A1 (ko) * 2013-07-04 2015-01-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토목섬유튜브체의 준설토 충진을 위한 분지된 타입의 주입포트
KR101710363B1 (ko) * 2015-09-11 2017-02-27 박을재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용 지오튜브 및 그 봉합방법
KR102449582B1 (ko) * 2020-03-23 2022-09-30 대윤지오텍 주식회사 이동식 튜브형 고액분리장치
KR102252153B1 (ko) 2020-06-11 2021-05-14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수중 지오텍스타일튜브 시공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27B1 (ko) * 2009-01-13 2009-06-12 재현토건(주) 지오튜브를 이용한 제방축조 및 매립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27B1 (ko) * 2009-01-13 2009-06-12 재현토건(주) 지오튜브를 이용한 제방축조 및 매립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80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272B1 (ko) 저수지 튜브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7708495B1 (en) Levee system
CN211368589U (zh) 一种复合型生态护岸结构
CN113957913A (zh) 一种膜袋充砂结合钢板桩围堰施工方法
CN108316236B (zh) 一种围垦工程中适用于大潮差的堤坝及其多龙口合龙方法
KR100574741B1 (ko)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CN111778922A (zh) 一种河道流域防汛堤坝的施工方法
KR100774551B1 (ko) 침식방지용 튜브형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침식방지 공법
CN115897757A (zh) 冲挖法施工用的泥浆处理及水循环的方法和系统
JP6593703B2 (ja) 石炭灰の埋立方法
CN211080123U (zh) 一种河湖生态岸坡保护装置
KR100411314B1 (ko) 수공구조물, 해안 세굴보수 및 침식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1367848B1 (ko) 간척지의 제염촉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염공법
KR100300230B1 (ko) 교량 세굴보수 및 침식방지 섬유대와 시공방법
CN207934068U (zh) 一种检查井自排水结构
KR100290334B1 (ko) 호안(護岸)공사용 환경친화적 섬유대(纖維袋) 및 이를 이용한 호안공사방법
KR20140140911A (ko)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280958B1 (ko) 차수형(담수용) 섬유대 및 이를 이용한 호안공사방법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20414126U (zh) 一种适用于水治理工程的埋石混凝土挡墙护岸
CN114108555B (zh) 一种河道抢险吸力式组合桩坝施工方法
CN216664037U (zh) 一种河道抢险吸力式组合桩坝结构
CN117618997B (zh) 一种沉井泥浆快速处理系统及其方法
Karnati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to reuse and retain dredged sediment for erosion control using geotextile containers in ecosystem restoration
KR101917988B1 (ko)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