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060B1 -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060B1
KR101724060B1 KR1020160060937A KR20160060937A KR101724060B1 KR 101724060 B1 KR101724060 B1 KR 101724060B1 KR 1020160060937 A KR1020160060937 A KR 1020160060937A KR 20160060937 A KR20160060937 A KR 20160060937A KR 101724060 B1 KR101724060 B1 KR 101724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tack
electrolytic solution
power receiving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수
강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6006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60B1/ko
Priority to CN201680085762.3A priority patent/CN109072459B/zh
Priority to PCT/KR2016/005436 priority patent/WO2017200130A1/ko
Priority to EP16902497.3A priority patent/EP34601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3/08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ased on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B9/04
    • C25B9/10
    • C25B9/1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60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 C25B9/65Means for supplying current; Electrode connections; Electric inter-cell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이 개시된다. 알칼리 수전해 장치는 수전해 스택, 전압 인가부, 전압 제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수전해 스택은 복수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며, 알칼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킨다. 전압 인가부는 수전해 스택으로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 제거부는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일 때 수전해 스택과 통전되어 수전해 스택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여 제거한다. 제어부는 수전해 스택, 전압 인가부, 및 전압 제거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ALKALIN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칼리 수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해 스택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한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전해(water electrolysis) 장치에 의한 수소 에너지는 효율이 높고, 연료(물)가 풍부하며, 질소산화물(NOx)이나 황산화물(SOx) 같은 공해 물질의 배출이 없는 장점이 있다. 수소는 순수를 전기분해하거나 알칼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는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알칼리 수전해 방식 중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 AEM)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AEM 방식에서 단위 셀은 음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의 일측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과, 음이온 교환막의 타측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셀이 직렬로 적층되어 수전해 스택을 구성하며, 수전해 스택은 전해액 탱크로부터 알칼리 수용액(KOH 또는 NaOH)을 공급받는다.
AEM 방식에서, 알칼리 수용액(NaOH 또는 KOH)에서 분해된 수산화이온은 애노드 전극에서 촉매 반응하여 산소, 물, 전자를 발생시키고, 전자는 외부 도선을 따라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한다. 캐소드 전극에서는 전자와 물이 촉매 반응하여 수소와 수산화이온을 발생시킨다.
알칼리 수전해 장치가 임의로 정지되면, 수전해 스택으로 전압 공급은 중지되지만 알칼리 수용액이 스택 내부를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수전해 스택의 온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무부하 상태에서 수전해 스택에는 잔류 전압이 존재하게 되며, 잔류 전압이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의 촉매와 음이온 교환막의 열화를 가속화시킨다. 그리고 이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성능과 수명 저하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정지 시에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극 촉매와 음이온 교환막의 열화를 억제하며, 수전해 스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칼리 수전해 장치는 수전해 스택, 전압 인가부, 전압 제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수전해 스택은 복수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며, 알칼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킨다. 전압 인가부는 수전해 스택으로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 제거부는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일 때 수전해 스택과 통전되어 수전해 스택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여 제거한다. 제어부는 수전해 스택, 전압 인가부, 및 전압 제거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압 제거부는 전압 소모 장치와,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일 때 제어부에 의해 턴-온되어 전압 소모 장치와 수전해 스택을 통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전해 스택은 전해액 탱크로부터 알칼리 수용액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압 소모 장치는 전해액 탱크에 설치되는 보조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수전해 스택은 방열기가 설치된 배관을 통해 전해액 탱크로부터 알칼리 수용액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전압 소모 장치는 방열기에 설치된 냉각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막-전극 접합체 각각은 음이온 교환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운전 방법은, 정지 시퀀스 시작과 동시에 전해액 탱크의 히터가 오프(off)되고, 전압 인가부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제1 단계와, 제어부에서 수전해 스택의 전압을 감지하여 감지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단계와, 감지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하이면 전압 인가부가 오프(off)되고, 전압 소모 장치가 수전해 스택과 통전되어 수전해 스택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는 제3 단계와, 제어부에서 감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4 단계와, 감지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이면 전해액 순환 펌프와 전압 소모 장치가 오프(off)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수전해 스택은 음이온 교환막을 구비한 단위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 전압은 단위 셀의 이론적인 전해 전압보다 높을 수 있고, 제2 기준 전압은 단위 셀의 이론적인 전해 전압보다 낮을 수 있다.
제1 단계 내지 제4 단계에서, 수전해 스택은 방열기가 설치된 배관을 통해 전해액 탱크로부터 알칼리 수용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3 단계에서, 전압 소모 장치는 전해액 탱크에 설치된 보조 히터 또는 방열기에 설치된 냉각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단계에서, 제어부는 수전해 스택에 연결 설치된 퍼지 밸브를 온(on)시켜 수전해 스택의 내부 압력을 낮출 수 있고, 냉각 팬을 온(on)시켜 알칼리 수용액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제4 단계는, 감지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일 때 퍼지 밸브를 오프(off)시키고, 제어부에서 수전해 스택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온도와 설정 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단계는 감지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일 때 수행될 수 있으며, 제5 단계에서 냉각 팬이 오프(off)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알칼리 수전해 장치는 전압 제거부를 이용하여 수전해 스택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의 촉매와 음이온 교환막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전해 스택 중 하나의 단위 셀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압 소모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압 소모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정지 시 운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시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전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수전해 장치(100)는 수전해 스택(10), 전해액 공급부(20), 전압 인가부(30), 전압 제거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수전해 스택(10)은 복수의 단위 셀이 직렬로 연결 및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전해 스택 중 하나의 단위 셀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수전해 스택(10)의 단위 셀은 막-전극 접합체(11)와, 막-전극 접합체(1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분리판(17)을 포함한다.
막-전극 접합체(11)는 음이온 교환막(12)과, 음이온 교환막(12)의 일측에 밀착된 애노드 전극(13)과, 음이온 교환막(12)의 타측에 밀착된 캐소드 전극(14)을 포함한다.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13, 14) 각각은 전도성 다공체로 이루어진 전극 지지체(131, 141)와, 음이온 교환막(12)을 향한 전극 지지체(131, 141)의 일면에 형성된 촉매층(132, 142)으로 구성된다.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13, 14)의 외측에는 전도성 다공체로 이루어진 가스 확산층(15)이 위치할 수 있고, 막-전극 접합체(10)의 가장자리에는 밀봉을 위한 가스켓(16)이 고정될 수 있다.
분리판(17)은 금속판으로서 이웃한 두 개의 막-전극 접합체(11)를 직렬로 연결함과 동시에 막-전극 접합체(11)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웃한 두 개의 막-전극 접합체(11) 사이에 하나의 분리판(17)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라 한다. 분리판(17)에는 도시하지 않은 유로가 형성되어 막-전극 접합체(11)로 알칼리 수용액을 공급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전해액 공급부(20)는 알칼리 수용액을 저장하는 전해액 탱크(21)와, 전해액 탱크(21)의 알칼리 수용액을 수전해 스택(10)으로 공급하는 펌프(전해액 순환 펌프)(22)를 포함한다. 전해액 탱크(21)에는 알칼리 수용액의 온도 상승을 위한 히터(23)가 구비되며, 알칼리 수용액의 수위 감지를 위한 수위 센서(24)가 설치된다.
펌프(22)가 설치된 알칼리 수용액의 공급관에 방열기(라디에이터)(25)가 설치될 수 있다. 방열기(25)는 공랭식 열교환기로서, 공기 순환을 위한 냉각 팬(26)을 구비하며, 냉각 팬(26) 작동 시 수전해 스택(10)으로 공급되는 알칼리 수용액을 냉각시킨다.
수전해 스택(10)은 공급받은 알칼리 수용액의 일부를 소모하고, 나머지 알칼리 수용액을 다시 전해액 탱크(21)로 배출한다. 즉, 알칼리 수용액은 수전해 스택(10)과 전해액 탱크(21)를 순환한다. 알칼리 수용액의 배출관에는 알칼리 수용액의 배출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27)가 설치될 수 있다.
전압 인가부(30)는 전원 공급기(도시하지 않음) 및 수전해 스택(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전해 스택(10)으로 알칼리 수용액의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한다. 전원 공급기는 전해액 공급부(20)의 펌프(22)와 히터(23) 및 냉각 팬(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기는 수전해 스택(10)용과 전해액 공급부(20)용으로 나누어 구비될 수 있다.
수전해 스택(10)은 히터(23)에 의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알칼리 수용액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전압 인가부(30)로부터 정격 전압을 인가받는다. 알칼리 수용액의 농도는 0.2M 내지 1M일 수 있다. 수전해 스택(10)의 전기 반응은 아래와 같다.
애노드 전극: 4OH- → O2 + 2H2O + 2e- (Eo = 0.4V)
캐소드 전극: 2H2O + 2e- → 2H2 + 4OH- (Eo = -0.83V)
전체: 2H2O → 2H2 + O2 (Eo = 1.23V)
전해액인 알칼리 수용액(NaOH 또는 KOH)에서 분해된 수산화이온이 애노드 전극(13)에서 촉매 반응하여 산소, 물, 전자를 발생시키고, 전자는 외부 도선을 따라 캐소드 전극(14)으로 이동한다. 캐소드 전극(14)에서는 전자와 물이 촉매 반응하여 수소와 수산화이온을 발생시킨다.
이때 애노드 전극(13)과 캐소드 전극(14) 모두에 알칼리 수용액이 공급되거나, 애노드 전극(13)에만 알칼리 수용액이 공급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캐소드 전극(14)에서 건조한 수소가 생성된다.
수전해 스택(10)에서 발생된 수소는 수소 저장탱크(18)로 모이며, 수전해 스택(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퍼지 밸브(19)가 수전해 스택(10)에 연결 설치된다. 또한, 수전해 스택(10)에는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수전해 스택(10)의 작동 온도를 감지한다.
전술한 전기 반응에서 애노드 전극(13)과 캐소드 전극(14)의 전위 차인 1.23V는 이론적인 전해 전압이며, 수전해 스택(10)의 정상 가동 상태에서 각 단위 셀에 인가되는 전압은 대략 1.7V 내지 2.2V일 수 있다.
수전해 스택(10)이 정상 가동 상태일 때는 중요하지 않지만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가 정지하여 전압 인가부(30)가 오프(off)되면,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또는 전류)은 수전해 스택(10)의 장기적인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즉, 수전해 스택(10)이 무부하 상태에 노출되면 잔류 전압이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13, 14)의 촉매와 음이온 교환막(12)의 열화를 가속시킨다.
전압 제거부(40)는 수전해 스택(10)이 무부하 상태일 때 수전해 스택(10)과 통전되어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또는 전류)을 소모하는 전압 소모 장치(41)를 포함한다. 전압 소모 장치(41)는 스위치(42) 작동에 의해 수전해 스택(10)과의 통전이 제어된다. 전압 소모 장치(41)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에 구비된 기계 장치이거나, 방전 저항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수전해 스택(10), 전해액 공급부(20), 전압 인가부(30), 및 전압 제거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 상태를 감지함과 더불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수전해 스택(10)의 전압, 전류, 온도를 감지하고, 전압 인가부(30)의 작동을 제어하며, 퍼지 밸브(19)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수전해 스택(10)의 내부 전압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전해액 공급부(20)의 히터(23)와 냉각 팬(26)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해액 및 수전해 스택(10)의 온도를 조절하고, 스위치(42)를 작동시켜 전압 소모 장치(41)와 수전해 스택(10)의 통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유량 센서(27)와 연결되어 알칼리 수용액의 배출 유량을 감지하며, 이상 감지 시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50)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의 운전 정지 시 수전해 스택(10)의 무부하 상태를 감지하고, 무부하 상태일 때 스위치(42)를 턴-온시켜 전압 소모 장치(41)가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여 제거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압 소모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압 소모 장치(41a)는 전해액 탱크(21)에 구비된 보조 히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히터는 수전해 스택(10)과 통전 시 대략 30초 내지 1분 정도 작동(방열) 후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을 모두 소모할 수 있으며, 보조 히터에 의한 방출 열량은 크지 않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압 소모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전압 소모 장치(41b)는 전해액 공급부(20)의 방열기(25)에 구비된 냉각 팬(26)일 수 있다. 냉각 팬(26)은 기본적으로 전원 공급기의 전력에 의해 작동하며, 수전해 스택(10)과 통전 시 전원 공급기와의 연결이 차단된다. 냉각 팬(26)은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잔류 전압을 소모하고, 잔류 전압을 모두 소모한 후에는 다시 전원 공급기와 연결된다.
전압 소모 장치(41a, 41b)는 전술한 보조 히터와 냉각 팬 이외에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에 내장된 각종 기계 장치 또는 저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는 전압 제거부(40)를 이용하여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전해 스택(10)이 무부하 상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13, 14)의 촉매와 음이온 교환막(12)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정지 시 운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고하면,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정지 시 운전 방법은 정지 시퀀스 시작과 동시에 전해액 탱크의 히터가 오프(off)되고, 전압 인가부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제1 단계(S10)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0)에서, 전해액 탱크(21)의 알칼리 수용액은 점진적으로 온도가 내려가며, 알칼리 수용액의 순환에 의해 수전해 스택(10)의 온도 또한 점진적으로 내려간다. 전압 인가부(30)는 수전해 스택(10)으로 인가되는 출력 전압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작동한다.
제1 단계(S10) 이후, 제어부(50)에서 수전해 스택(10)의 전압을 감지하여 감지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단계(S20)가 진행된다. 제1 기준 전압은 수전해 스택(10)에 역전압이 걸리지 않는 전압으로서, 이론적인 전해 전압(1.23V)보다 약간 높은 전압이며, 예를 들어 단위 셀당 1.3V 내지 1.5V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단계(S20) 이후, 감지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하이면 전압 인가부(30)가 오프(off)되고, 전압 소모 장치(41)가 수전해 스택(10)과 통전되어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는 제3 단계(S30)가 진행된다.
제3 단계(S30)에서, 제어부(50)는 감지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이하일 때 스위치(42)를 온(on)시켜 전압 소모 장치(41)와 수전해 스택(10)을 통전시킨다. 전압 소모 장치(41)는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잔류 전압을 소모한다.
제3 단계(S30)에서, 제어부(50)는 퍼지 밸브(19)를 온(on)시켜 수전해 스택(10)의 내부 압력을 낮추고, 방열기(25)의 냉각 팬(26)을 온(on)시켜 알칼리 수용액을 냉각시킨다. 전압 소모 장치(41)가 보조 히터로 구성되는 경우, 보조 히터에 의한 열량은 냉각 팬(26)에 의한 냉각 열량보다 작기 때문에 제3 단계(S30)에서 알칼리 수용액은 냉각 팬(26)에 의해 냉각된다.
제3 단계(S30) 이후, 제어부(50)에서 감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4 단계(S40)가 진행된다. 제2 기준 전압은 이론적인 전해 전압(1.23V)보다 낮은 전압으로서, 예를 들어 1V로 설정될 수 있다.
전압 소모 장치(41)가 방열기(25)의 냉각 팬(26)으로 구성되는 경우, 냉각 팬(26)은 제3 단계(S30)에서 수전해 스택(10)의 잔류 전압에 의해 작동하다가 제4 단계(S40)에서 감지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일 때 다시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받아 작동한다.
제4 단계(S40)는 감지 전압이 제2 기준 전압 이하일 때 퍼지 밸브(19)가 오프(off)되고, 제어부(50)에서 수전해 스택(10)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온도와 설정 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상 가동 상태에서 수전해 스택(10)의 온도는 대략 45℃ 내지 55℃이다. 설정 온도는 정상 가동 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며, 대략 20℃ 내지 30℃ 범위 내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3 단계(S30)에서 알칼리 수용액이 냉각되고, 알칼리 수용액의 순환에 의해 수전해 스택(10)의 온도가 내려간다. 제4 단계(S40)에서 제어부(50)가 감지한 수전해 스택(10)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일 때, 전해액 순환 펌프(22)와 냉각 팬(26) 및 전압 소모 장치(41)가 오프(off)되는 제5 단계(S50)가 진행되며,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의 운전이 종료된다.
전술한 정지 시 운전 방법에 따르면, 수전해 스택(10)은 무부하 상태에 노출되지 않으며,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13, 14)의 촉매와 음이온 교환막(12)의 열화를 방지하여 알칼리 수전해 장치(10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알칼리 수전해 장치 10: 수전해 스택
20: 전해액 공급부 21: 전해액 탱크
22: 전해액 순환 펌프 23: 히터
24: 수위 센서 25: 방열기
26: 냉각 팬 27: 유량 센서
30: 전압 인가부 40: 전압 제거부
41: 전압 소모 장치 42: 스위치
50: 제어부

Claims (11)

  1. 복수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며, 전해액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전해 스택;
    상기 수전해 스택으로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수전해 스택과 통전되어 상기 수전해 스택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여 제거하는 전압 소모 장치; 및
    상기 수전해 스택, 상기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전압 소모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소모 장치는 상기 전해액 탱크에 설치된 보조 히터로 구성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전압 소모 장치와 상기 수전해 스택을 통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
  3. 복수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며, 방열기가 설치된 배관을 통해 전해액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알칼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전해 스택;
    상기 수전해 스택으로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수전해 스택과 통전되어 상기 수전해 스택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여 제거하는 전압 소모 장치; 및
    상기 수전해 스택, 상기 전압 인가부, 및 상기 전압 소모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소모 장치는 상기 방열기에 설치된 냉각 팬으로 구성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해 스택이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어부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전압 소모 장치와 상기 수전해 스택을 통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막-전극 접합체 각각은 음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
  6. 정지 시퀀스 시작과 동시에 전해액 탱크의 히터가 오프(off)되고, 전압 인가부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제1 단계;
    제어부에서 수전해 스택의 전압을 감지하여 감지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단계;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 이하이면 상기 전압 인가부가 오프(off)되고, 전압 소모 장치가 상기 수전해 스택과 통전되어 상기 수전해 스택의 잔류 전압을 소모하는 제3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 이하이면 전해액 순환 펌프와 상기 전압 소모 장치가 오프(off)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운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해 스택은 음이온 교환막을 구비한 단위 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상기 단위 셀의 이론적인 전해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단위 셀의 이론적인 전해 전압보다 낮은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운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내지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수전해 스택은 방열기가 설치된 배관을 통해 상기 전해액 탱크로부터 알칼리 수용액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전압 소모 장치는 상기 전해액 탱크에 설치된 보조 히터 또는 상기 방열기에 설치된 냉각 팬으로 구성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운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전해 스택에 연결 설치된 퍼지 밸브를 온(on)시켜 상기 수전해 스택의 내부 압력을 낮추며, 상기 냉각 팬을 온(on)시켜 알칼리 수용액을 냉각시키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운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감지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 이하일 때 상기 퍼지 밸브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수전해 스택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온도와 설정 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운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감지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하일 때 수행되며,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냉각 팬이 오프(off)되는 알칼리 수전해 장치의 운전 방법.
KR1020160060937A 2016-05-18 2016-05-18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KR101724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937A KR101724060B1 (ko) 2016-05-18 2016-05-18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CN201680085762.3A CN109072459B (zh) 2016-05-18 2016-05-23 碱性水电解装置及其驱动方法
PCT/KR2016/005436 WO2017200130A1 (ko) 2016-05-18 2016-05-23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EP16902497.3A EP3460100B1 (en) 2016-05-18 2016-05-23 Alkalin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937A KR101724060B1 (ko) 2016-05-18 2016-05-18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060B1 true KR101724060B1 (ko) 2017-04-06

Family

ID=5858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937A KR101724060B1 (ko) 2016-05-18 2016-05-18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60100B1 (ko)
KR (1) KR101724060B1 (ko)
CN (1) CN109072459B (ko)
WO (1) WO2017200130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8217A (zh) * 2017-11-15 2019-05-21 株式会社东芝 电解槽及制氢装置
KR20200060146A (ko) 2018-11-22 2020-05-29 한국기계연구원 수전해 시스템
KR20200127076A (ko) 2019-04-30 2020-11-10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안정적인 수전해시스템
KR20210010231A (ko) * 2019-07-19 2021-01-27 이엠솔루션 주식회사 알칼리 수전해조 스택
US11339483B1 (en) 2021-04-05 2022-05-24 Alchemr, Inc. Water electrolyzers employing anion exchange membranes
KR20220097576A (ko) 2020-12-30 2022-07-08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실시간 위험상태 감지 수전해시스템
KR20220164833A (ko) 2021-06-04 2022-12-14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수전해스택 내부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전해시스템
KR102526673B1 (ko) 2022-12-27 2023-05-02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내구성이 우수한 수전해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US11661663B2 (en) 2020-06-22 2023-05-30 Hyundai Motor Company Water electrolysis system
KR102629362B1 (ko) * 2023-11-22 2024-01-30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스택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58252A (en) * 2018-03-20 2018-06-28 Technion Res & Development Found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ga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081A (en) * 1992-08-04 1993-12-07 Ceskoslovenska Akademie Ved Electrolytic source of pressurized hydrogen
KR20060095182A (ko) * 2005-02-28 2006-08-31 (주)엘켐텍 다공성 전극 촉매층을 갖는 막전극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과이를 구비한 전기화학 셀
JP2010162544A (ja) * 2004-08-11 2010-07-29 Mizu Kk 電解機能水生成装置における性能維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2833U (zh) * 1991-01-14 1992-01-08 于兴根 消除半导体压降和漏电流装置
JP2851544B2 (ja) * 1994-11-28 1999-01-27 神鋼パンテツク株式会社 水電解セルの残留電圧除去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04076721A2 (en) * 2003-02-21 2004-09-10 Avalence Llc Electrolyzer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gen production
CN2809694Y (zh) * 2005-01-14 2006-08-23 美国凹凸微系有限公司 消除负电压瞬变的使能电路以及电池充电装置
JP4315208B2 (ja) * 2007-03-20 2009-08-19 富士電機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の制御回路及び制御方法
US9255333B2 (en) * 2008-10-15 2016-0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 pressure proton exchange membrane based water electrolyzer system
CN102181878B (zh) * 2011-04-22 2013-11-13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静态供水质子交换膜电解水装置
JP2013199697A (ja) * 2012-03-26 2013-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電解装置及び水電解装置の動作方法。
JP2013231213A (ja) * 2012-04-27 2013-11-14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電解システム及び水電解システムの動作方法。
KR101451554B1 (ko) * 2014-04-25 2014-10-17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회로 보호 장치
US20170254297A1 (en) * 2014-09-10 2017-09-07 Brc Global Corporation Vehicle emissions redu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081A (en) * 1992-08-04 1993-12-07 Ceskoslovenska Akademie Ved Electrolytic source of pressurized hydrogen
JP2010162544A (ja) * 2004-08-11 2010-07-29 Mizu Kk 電解機能水生成装置における性能維持方法
KR20060095182A (ko) * 2005-02-28 2006-08-31 (주)엘켐텍 다공성 전극 촉매층을 갖는 막전극접합체 및 그 제조방법과이를 구비한 전기화학 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ierre Millet등. Chemical engineering transactions. 2014. vol.41, pp.7~12 *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8217A (zh) * 2017-11-15 2019-05-21 株式会社东芝 电解槽及制氢装置
JP2019090087A (ja) * 2017-11-15 2019-06-13 株式会社東芝 電解槽及び水素製造装置
US10760167B2 (en) 2017-11-15 2020-09-0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lytic cell and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CN109778217B (zh) * 2017-11-15 2021-08-10 株式会社东芝 电解槽及制氢装置
KR20200060146A (ko) 2018-11-22 2020-05-29 한국기계연구원 수전해 시스템
KR20200127076A (ko) 2019-04-30 2020-11-10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안정적인 수전해시스템
KR20210010231A (ko) * 2019-07-19 2021-01-27 이엠솔루션 주식회사 알칼리 수전해조 스택
KR102266282B1 (ko) 2019-07-19 2021-06-17 이엠솔루션 주식회사 알칼리 수전해조 스택
US11661663B2 (en) 2020-06-22 2023-05-30 Hyundai Motor Company Water electrolysis system
KR20220097576A (ko) 2020-12-30 2022-07-08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실시간 위험상태 감지 수전해시스템
US11339483B1 (en) 2021-04-05 2022-05-24 Alchemr, Inc. Water electrolyzers employing anion exchange membranes
KR20220164833A (ko) 2021-06-04 2022-12-14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수전해스택 내부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전해시스템
KR20230088317A (ko) 2021-06-04 2023-06-19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실시간 위험상태 감지 수전해시스템
KR102608784B1 (ko) * 2021-06-04 2023-12-05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실시간 위험상태 감지 수전해시스템
KR102526673B1 (ko) 2022-12-27 2023-05-02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내구성이 우수한 수전해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KR102629362B1 (ko) * 2023-11-22 2024-01-30 아크로랩스 주식회사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스택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0100A1 (en) 2019-03-27
CN109072459B (zh) 2020-12-01
EP3460100A4 (en) 2020-02-26
EP3460100B1 (en) 2021-11-10
CN109072459A (zh) 2018-12-21
WO2017200130A1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060B1 (ko) 알칼리 수전해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
US8277993B2 (en) Fuel cell system
US8721867B2 (en) Method of shutting down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JP2006313691A (ja)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システム
JP3982424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18174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200127076A (ko) 안정적인 수전해시스템
KR102608784B1 (ko) 실시간 위험상태 감지 수전해시스템
JP2005032610A (ja) 燃料電池装置及び燃料電池の燃料供給方法
US9437889B2 (en) Powering a fuel cell stack during standby
JP2007012402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820210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782353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냉시동 방법
US20140072887A1 (en) Oxidation of fuel cell electrode contaminants
US10003093B2 (en) Fuel cell system including a fuel cel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water vapor amount or average flow rate of a fuel gas
JP5415168B2 (ja) 水電解システム
JP200516642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113452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236789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592682B1 (ko) 연료 전지 스택 제어 방법
KR20220097576A (ko) 실시간 위험상태 감지 수전해시스템
KR102526673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수전해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JP720883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車両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601912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717979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