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029B1 -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 Google Patents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029B1
KR101724029B1 KR1020160143434A KR20160143434A KR101724029B1 KR 101724029 B1 KR101724029 B1 KR 101724029B1 KR 1020160143434 A KR1020160143434 A KR 1020160143434A KR 20160143434 A KR20160143434 A KR 20160143434A KR 101724029 B1 KR101724029 B1 KR 10172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crete
crack
mort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102016014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41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2Super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0Defoamers, air detr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축물 바닥인 구체 콘크리트 상면에 구체 콘크리트와 분리를 위해 부직포를 설치하고, 부직포 상면에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크랙 방지 모르타르 상면에 바닥 마감재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구체 콘크리트로부터 올라오는 크랙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며 크랙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FLOOR COVERING STRUCTURE OF BUILDING USING FELT AND CRACK PREVENTION MORTAR}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축물 바닥인 구체 콘크리트 상면에 구체 콘크리트와 분리를 위해 부직포를 설치하고, 부직포 상면에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크랙 방지 모르타르 상면에 바닥 마감재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구체 콘크리트로부터 올라오는 크랙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며 크랙을 방지하도록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은 기둥, 보, 벽체 등과 같은 곳보다 거주자 혹은 이용자와 가장 활발하게 접하게 되는 이용 빈도가 매우 높은 구조부재로서 사람의 건강에 해롭지 않아야 하고, 상황에 따라 높은 물리적 강도, 내약품성, 내마모성, 부착성능 등이 요구되는 곳이다.
이러한 바닥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수화반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산성과 내약품성 등의 내화학성이 낮고, 조직이 치밀하지 않아 내마모성이 낮으므로 실내에서는 먼지를 일으켜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과 공기 중의 탄산가스에 의해 열화되는 단점 등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 개선하고 시각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바닥마감재가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다.
이처럼 콘크리트를 보호하고 위생적인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바닥마감재는 1980년대 이후 수도권 인구밀집 및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의 폭발적 증가로 그 적용이 증가해 왔으며, 특히 지하주차장의 활성화는 바닥마감재의 기술적 발전 및 적용을 더욱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시공되고 있는 바닥마감재는 크게 시멘트계 바닥마감재와 폴리머계 바닥마감재로 양분되어 있으며, 시멘트계 바닥마감재는 유동화제(유기물)를 첨가하여 미세 발포에 의한 바닥의 강도 보강에 주력하고 있으며, 폴리머계 바닥마감재는 아크릴, 천연 고무 라텍스 등으로 혼화하여 공장, 주차장 바닥 등에 시공을 한 다음 그 표면에 에폭시계 바닥마감재 또는 폴리우레탄계 바닥마감재 등을 이용하여 표면 시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폴리머계 바닥마감재는 원재료의 가격이 고가이고, 그리고 유기용제를 사용함에 따라 시공 시 또는 시공 후에 발생하는 유기용제의 휘발성분에 의해 환경 오염문제가 있으며 또한 시공 시 표면 미장을 하여야 하므로 인건비의 부담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에폭시계 바닥마감재의 경우에는 표면 강도가 강하고 내충격 강도가 떨어져 크랙이 발생하여 내구력에 문제점이 있어 보수 유지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며, 폴리우레탄계 바닥마감재는 원재료의 고가, 접착력에 의한 들뜸 현상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외의 바닥마감재의 동향은 국내와 유사하게 유동화제를 배합한 시멘트계와 폴리머를 배합하여 시멘트코-메트릭스(Co-Matrix)를 형성시키는 폴리머계, 석고계, 세라믹계, 자기수평제(Self levelling) 등의 바닥마감재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러한 바닥마감재는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크랙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036호(균열 저감 성능이 우수하고 내동해성이 향상된 바텀애쉬를 사용한 자동 수평 바닥재 조성물)가 개발되어 출원되었다.
상기 균열 저감 성능이 우수하고 내동해성이 향상된 바텀애쉬를 사용한 자동 수평 바닥재 조성물은 시멘트 10~50중량%와, 바텀애쉬 5~70중량%와, 잔골재 10~50중량%와, 석회석 5~30중량%와, 고분자강도증진제1~10중량%와, 유동화제 0.01~2중량%와, 지연제 0.01~2중량%와, 촉진제 0.01~2중량%와, 침상 규산질의 울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계 광물 0.1~5중량%와, 미세공기포연행제 0.0001~0.1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바닥재 조성물만의 구성만으로는 크랙 발생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0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 바닥인 구체 콘크리트 상면에 구체 콘크리트와 분리를 위해 부직포를 설치하고, 부직포 상면에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크랙 방지 모르타르 상면에 바닥 마감재를 타설하여 양생 및 마감함으로써 하부 구체 콘크리트로부터 전달되어 올라오는 크랙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부직포와 크랙을 방지하도록 하는 크랙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건축물 바닥인 구체 콘크리트층 상면에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과 분리를 위해 설치되는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층과;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와이어 메쉬층 상면에 타설되는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 및 상기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 상면에 타설되는 바닥 마감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은 상면 일부를 제거하여 면정리를 수행하거나,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 상면에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은 100~200㎜의 두께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은 테두리에 수축 팽창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합성 수지 재질의 필러를 부착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은 규사 8~61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0~30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5~15중량%, 석회석 5~15중량%, 황산칼슘 5~15중량%, 폴리머수지 3~9중량%, PVA 섬유 0.8~6.0중량%, 유동화제 0.1~1.0중량%, 소포제 0.1~1.0중량%를 혼합한 크랙 방지 모르타르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타설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은 30~150㎜의 두께로 형성되고, 양생후 상면에 아크릴계 또는 라텍스계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바닥 마감재층은 4~15㎜의 두께로 형성되고, 양생후 상면을 폴리싱한 다음 액상 코팅제를 도포하여 마감하거나 또는 액상 하드너를 도포하여 마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에 따르면, 건축물 바닥인 구체 콘크리트 상면에 구체 콘크리트와 분리를 위해 부직포를 설치하고, 부직포 상면에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크랙 방지 모르타르 상면에 바닥 마감재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구체 콘크리트로부터 올라오는 크랙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며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1)는, 구체 콘크리트층(10)과, 부직포층(20)과, 와이어 메쉬층(30)과,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 및 바닥 마감재층(50)으로 구성된다.
먼저, 구체 콘크리트층(10)은 기존에 건축물 바닥으로 타설된 구체 콘크리트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일부를 제거하여 면정리를 수행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 콘크리트층(10) 상면에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10')을 형성한다. 이때,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10')은 100~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두리에 수축 팽창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합성 수지 재질의 필러(11)를 부착시킨다. 또한, 선택에 따라 각 기둥의 코너 및 모서리에 별도의 철근(미도시)을 보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직포층(20)은 구체 콘크리트층(10)과 분리를 위해 구체 콘크리트층(10) 상면에 PP(Polypropylene)계 부직포를 설치하여 형성한다. 이때, 부직포는 토목용 평량 200g/㎡ 이상이 적용되고, 연결 부위를 겹침 시공한다.
또한, 와이어 메쉬층(30)은 부직포층(20)의 상면에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여 형성한다. 이때, 와이어 메쉬는 철선지름 5㎜ 이상, 철선간격 100ㅧ100㎜ 이하가 적용되고, 일정 간격으로 겹쳐 시공된다.
또,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은 부직포층(20)과 와이어 메쉬층(30) 상면에 30~150㎜의 두께로 타설되는 데, 30㎜ 미만으로 타설되는 경우 그 부직포와 와이에 메쉬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150㎜를 초과하여 타설하는 경우 그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때,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은 양생후 상면에 아크릴계 또는 라텍스계 프라이머를 빗자루나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은 규사 8~61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0~30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5~15중량%, 석회석 5~15중량%, 황산칼슘 5~15중량%, 폴리머수지 3~9중량%, PVA 섬유 0.8~6.0중량%, 유동화제 0.1~1.0중량%, 소포제 0.1~1.0중량%를 혼합한 크랙 방지 모르타르 조성물을 물과 혼합(단위수량비 24~26%)하여 타설한다.
먼저, 규사는 모래로서, 입자의 크기가 4~6호사인 것이 바람직한 데, 모래 입자의 크기가 4호사보다 클 경우에는 바닥 마감재의 자기 수평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강사 입자의 크기가 6호사보다 적을 경우에는 바닥마감재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그 함량은 8~61중량%인 데, 61중량%를 초과되면 강도저하 및 작업성, 충진성 저하가 발생되고, 8중량%미만에는 수축증가 및 충진성의 저하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게는 45중량%가 혼합된다.
그리고,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분말도가 3,000~4,000㎠/g의 범위를 갖는 1종 보통 포틀랜드가 가장 적절하며, 20~30중량%이 혼합되는 데, 20중량% 초과하는 경우 수축율 증가 단점이 있고, 3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저하 단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30중량%가 혼합된다.
또한, 알루미나 시멘트는 초속경, 응결지연을 방지, 초기강도 구현, 내화학성을 고려하여 5~15중량%가 함유되는 데, 15중량% 초과일 경우 초기응결이 빨라 크랙유발 및 작업성 저하가 발생되며, 5중량% 미만일 경우 응결지연이 발생되고 공기지연 강도 저하의 문제점이 생기므로 바람직하게는 10중량%가 혼합된다.
또, 석회석은 탄산칼슘(CaCO3) 함량이 75~90중량%이고, 분말도가 5,000~8,000㎡/g로서, 조기 강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5~15중량%가 함유되는 데, 10중량% 초과일 경우 초기 유동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5중량% 미만일 경우 원하는 조기 강도를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중량%가 혼합된다.
이어서, 황산칼슘은 장기적인 강도 발현을 위해 5~15중량%가 함유되는 데, 15중량%를 초과하면 작업성 저하가 발생되고, 5중량% 미만이면, 내염해성, 미세공극 충진에 문제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게는 5중량%가 혼합된다.
계속해서, 폴리머수지는 아크릴에멀젼으로서, 내구성 발현과 내오염성, 강도를 구현하도록 3~9중량%가 함유되는 데, 9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낮아지고, 3중량% 미만이면, 내구성과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게는 3중량%가 혼합된다.
그리고, PVA(Polyvinyl Alcohol) 섬유는 크랙을 방지한 첨가제로서 0.8~6.0중량%가 함유되는 데, 6.0중량%를 초과하면 작업성 저하가 발생하고, 0.8중량% 미만이면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바람직하게는 3중량%가 혼합된다. 또한, PVA 섬유는 길이 4~8㎜, 직경 9~12㎛, 인장강도 850~950Mpa를 갖는다.
또한, 유동화제는 조성물의 유동성을 증진시켜 작업성을 개선하고, 그에 따른 자동 수평 조절기능을 제공하며, 혼수량 감소를 통하여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0.1~1.0중량% 범위에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최소 0.1중량% 보다 적게 포함되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최대 1.0중량% 보다 많이 포함되면 과도한 유동성 발현으로 재료분리 및 블리딩이 발생하여 좋지 못하다. 이때, 유동화제는 리그노술폰산염(Ligno sulphonates), 하이드록시 폴리 카르본산(Hydroxypolycarboxylicacids), 나프탈렌 포름알데하이드 술폰산염(Salts of naphtalene formaldehyde sulphonic acids) 및 멜라민 포름알데하이드 술폰산염(Salt of melamine formaldehyde sulphonates)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포제는 조성물 내에 기포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0.1~1.0중량%가 함유되는 데, 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공기량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1.0중량%을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공기량이 많아져 품질 저하가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크랙 방지 모르타르는 KS F 4041(시멘트계 자기수평 모르타르) 기준으로 재령 28일 압축강도 28N/㎟ 이상, 플로우 180㎜ 이상, 응결시간 초결 1시간이상, 종결 15시간이내, 재령 28일 부착강도 0.8N/㎟, 길이변화율 재령 28일 ±0.05%의 물성치(나머지 물성치 이상없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KS F 4937(주차장 바닥용 표면 마감재) 기준으로 부착성능 1.7N/㎟, 윤하중 저항 성능 두께 감소 1.2㎜, 오염물질 방출 TVOC(4이하) 0.247, HCHO(1.25이하) 0.001의 물성치(나머지 물성치 이상없음)를 갖는다.
그리고, 바닥 마감재층(50)은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 상면에 타설되어 전용 스크리드 및 스파이크 롤러로 균일하게 형성되는 데,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10-1586489호의 자기 수평 컬러 마감재가 적용된다. 이때, 바닥 마감재층(50)은 4~15㎜의 두께로 타설되고, 양생후 상면을 폴리싱한 다음 코팅제로 마감하거나 또는 액상 하드너로 마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의 설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건축물 바닥으로 타설된 구체 콘크리트층(10)의 상면 일부를 제거하여 면정리를 수행한다. 이때, 바닥을 높이거나 필요로 하는 경우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면정리가 완료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 콘크리트층(10)의 테두리에 수축 팽창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합성 수지 재질의 필러(11)를 부착시킨다. 한편,
필러(11)의 부착이 완료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 콘크리트층(10) 상면에 부직포를 설치하여 부직포층(2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층(20)의 상면에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여 와이어 메쉬층(3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층(20)과 와이어 메쉬층(30) 상면에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을 형성하여 와이어 메쉬가 매설되도록 한다. 이때,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은 두께로 인해 타설 후 최소 10일 이상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양생이 완료되면 상면에 수용성 아크릴계 또는 수용성 라텍스계 프라이머를 물과 1:2~3비율로 희석하여 도포하는 데, 프라이머 도포는 적당한 시간 간격을 두고 2회 도포 시공한다.
또한, 프라이머를 도포 전에 바닥정리시 시공 1일전 물청소 등으로 바닥을 충분히 적셔(Wetting)주고, 프라이머를 깨끗한 물로 희석하여 로울러나 스프레이 등으로 고르게 도포하여 피막이 형성될 때까지 2~3시간 건조시키며, 흡수성이 높거나 거친 표면은 표면상태에 따라 물과의 희석비를 높여 2~3회로 나누어 도포한다. 한편,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을 타설 이후 사용중인 바닥 표면은 상태에 따라 추가적으로 레이턴스와 분진을 제거가 필요한 경우 면처리를 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40)(프라이머층 상면)에 바닥 마감재층(50)을 형성한다. 이때, 바닥 마감재층(50)은 타설 후 10℃ 이상에서 최소 72시간 이상 양생후, 경화 정도를 점검한 다음 폴리싱(Polishing)장비를 이용하여 그라인딩을 해주며, 기포 등 표면 상태에 따라 메꿈 공정을 통해 표면의 상태를 개선해가며 그라인딩을 하고, 상면을 코팅제로 마감하거나 또는 폴리싱한 다음 액상 하드너로 마감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구체 콘크리트층 10' :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
20 : 부직포층 30 : 와이어 메쉬층
40 :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 50 : 바닥 마감재층

Claims (7)

  1. 건축물 바닥인 구체 콘크리트층 상면에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과 분리를 위해 설치되는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설치되는 와이어 메쉬층과;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와이어 메쉬층 상면에 타설되는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 및
    상기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 상면에 타설되는 바닥 마감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은,
    상면 일부를 제거하여 면정리를 수행하거나,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 상면에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철근 콘크리트층은,
    100~20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체 콘크리트층은,
    테두리에 수축 팽창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합성 수지 재질의 필러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은,
    규사 8~61중량%,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20~30중량%, 알루미나 시멘트 5~15중량%, 석회석 5~15중량%, 황산칼슘 5~15중량%, 폴리머수지 3~9중량%, PVA 섬유 0.8~6.0중량%, 유동화제 0.1~1.0중량%, 소포제 0.1~1.0중량%를 혼합한 크랙 방지 모르타르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방지 모르타르층은,
    30~150㎜의 두께로 형성되고, 양생후 상면에 아크릴계 또는 라텍스계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마감재층은,
    4~15㎜의 두께로 형성되고, 양생후 상면을 폴리싱한 다음 액상 코팅제를 도포하여 마감하거나 또는 액상 하드너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KR1020160143434A 2016-10-31 2016-10-31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KR101724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34A KR101724029B1 (ko) 2016-10-31 2016-10-31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434A KR101724029B1 (ko) 2016-10-31 2016-10-31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029B1 true KR101724029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434A KR101724029B1 (ko) 2016-10-31 2016-10-31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0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862A (ko) * 2003-12-11 2005-06-16 주식회사 지앤씨글로벌 층간 구조 및 층간 구조 시공방법
KR100809006B1 (ko) * 2007-01-16 2008-03-05 길인환 콘크리트 포장방법
KR20100068761A (ko) * 2008-12-15 2010-06-24 고덕기 층간 바닥 충격음 차단 시공방법
KR20130017036A (ko) 2011-08-09 2013-02-19 주식회사 케미콘 균열 저감 성능이 우수하고 내동해성이 향상된 바텀애쉬를 사용한 자동 수평 바닥재 조성물
KR101586489B1 (ko) * 2015-06-11 2016-02-02 (주)식스코메트리얼즈 자기 수평 칼라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862A (ko) * 2003-12-11 2005-06-16 주식회사 지앤씨글로벌 층간 구조 및 층간 구조 시공방법
KR100809006B1 (ko) * 2007-01-16 2008-03-05 길인환 콘크리트 포장방법
KR20100068761A (ko) * 2008-12-15 2010-06-24 고덕기 층간 바닥 충격음 차단 시공방법
KR20130017036A (ko) 2011-08-09 2013-02-19 주식회사 케미콘 균열 저감 성능이 우수하고 내동해성이 향상된 바텀애쉬를 사용한 자동 수평 바닥재 조성물
KR101586489B1 (ko) * 2015-06-11 2016-02-02 (주)식스코메트리얼즈 자기 수평 칼라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668B1 (en) Finished flooring underlay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7084359A (ja) 自己流動性水硬性組成物、モルタル及び床の施工方法
CA3000469C (en) Decorative concrete topping process
US20090277127A1 (en) Decorative aggregate concrete surface preparation process
KR101355111B1 (ko)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KR101891565B1 (ko) 습윤 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습윤 상태에서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공법
JP5120122B2 (ja) 防水床構造体の施工方法
US20170036960A1 (en) Polyurethane hybrid system combining high compressive strength and early water resistance
JP4613686B2 (ja) 床構造体及び床の改修方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1724030B1 (ko)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설치 공법
JP2013170436A (ja) コンクリート床構造体の施工方法
KR100920025B1 (ko) 교면 포장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1138669B1 (ko) 교면 포장용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 공법
US20230373860A1 (en) Paver adhesive and method of laying pavers using same
KR101724029B1 (ko) 부직포와 크랙 방지 모르타르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 마감 구조
KR20040106167A (ko) 교면 포장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방법
KR102008856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자기 충전형 콘크리트 포장체 보수공법
US10745923B2 (en) Moisture vapor reduction system
EP3339346A1 (en) Pu hybrid as bedding mortar, adhesive, joint grout or joint filler
JP6512908B2 (ja) 床版構造体の施工方法
KR101586489B1 (ko) 자기 수평 칼라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80928B1 (ko) 교면 함침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포장공법
KR102366661B1 (ko) 콘크리트 및 철재류에 시공하는 친환경 무기질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RU2289005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полов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