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853B1 -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853B1
KR101723853B1 KR1020150097902A KR20150097902A KR101723853B1 KR 101723853 B1 KR101723853 B1 KR 101723853B1 KR 1020150097902 A KR1020150097902 A KR 1020150097902A KR 20150097902 A KR20150097902 A KR 20150097902A KR 101723853 B1 KR101723853 B1 KR 10172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rmula
dye
transfer
nyl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618A (ko
Inventor
박상률
Original Assignee
일신교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신교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신교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8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24Polyamides;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00Dyes with anthracene nucleus not condensed with any other ring
    • C09B1/50Amino-hydroxy-anthraquinones; Ethers and esters thereof
    • C09B1/51N-substituted amino-hydroxy anthraquinone
    • C09B1/514N-aryl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00Dyes with anthracene nucleus not condensed with any other ring
    • C09B1/50Amino-hydroxy-anthraquinones; Ethers and esters thereof
    • C09B1/54Amino-hydroxy-anthraquinones; Ethers and esters thereof etherified
    • C09B1/547Anthraquinones with aromatic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5/00Quinophthal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6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amino as the only directing group
    • C09B29/08Amino benzenes
    • C09B29/0805Amino benzenes free of acid groups
    • C09B29/0807Amino benzenes free of acid groups characterised by the amino group
    • C09B29/0809Amino benzenes free of acid groups characterised by the amino group substituted amino group
    • C09B29/0811Amino benzenes free of acid groups characterised by the amino group substituted amino group further substituted alkylamino, alkenylamino, alkynylamino, cycloalkylamino aralkylamino or arylamino
    • C09B29/0813Amino benzenes free of acid groups characterised by the amino group substituted amino group further substituted alkylamino, alkenylamino, alkynylamino, cycloalkylamino aralkylamino or arylamino substituted by OH, O-C(=X)-R, O-C(=X)-X-R, O-R (X being O,S,NR; R being hydrocarbony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1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 C09B29/18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ortho-Hydroxy carbonamides
    • C09B29/2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hydroxy as the only directing group ortho-Hydroxy carbonamides of the naphthalene s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3Transfer printing
    • D06P5/004Transfer printing using subliming dyes
    • D06P5/006Transfer printing using subliming dyes using specified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일론(Nylon)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점 및 상용성이 유사하고 견뢰도가 우수한 계열의 Eco-type 염료 화합물들을 새로운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나일론에의 전사날염시 발생되는 표리색차 문제를 극복하고, 고착성, 빌드업(Build-up)성 및 제반 견뢰도(세탁, 마찰, 일광 견뢰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3원색(Yellow, Red, Blue)과 흑색(Full black) 염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사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DYES COMPOSITION FOR HEAT TRANSFER PRINTING ON NYLON FABRICS}
본 발명은 나일론(Nylon)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점 및 상용성이 유사하고 견뢰도가 우수한 계열의 Eco-type 염료 화합물들을 새로운 조합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나일론에의 전사날염시 발생되는 표리색차 문제를 극복하고, 고착성, 빌드업(Build-up)성 및 제반 견뢰도(세탁, 마찰, 일광 견뢰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3원색(Yellow, Red, Blue)과 흑색(Full black) 염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전사용액, 및 이를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Nylon) 섬유를 염색 또는 날염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산성염료, 직접염료 또는 분산염료를 사용하게 되며, 이 중 날염은 일반 날염, D.T.P 및 전사날염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일반 날염은 호료에 염료를 교반하고 섬유상에 직접 프린팅(Printing)하여 착색시키는 형태로서 대부분의 날염에 적용되고 있는 방식이지만, 색호 및 폐수량이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D.T.P는 섬유상에 바로 인쇄하여 고착시키는 형태로서 작업성 및 생산효율 면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현장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샘플(Sample) 제조시에만 사용되고 있다.
전사날염의 경우 페이스트(Paste)상으로 제조한 염료를 먼저 전사지에 인날한 후 건조시킨 다음 인날된 전사지를 섬유상에 올려놓고 프레스(Press) 또는 롤러(Roller)로 소정 온도 및 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섬유상으로 전이시키는 방법이다. 전사날염은 열처리를 통해 전사지상의 염료를 승화시켜 섬유상으로 전이되도록 하여 염착을 수행하는바, 생산성이 높고 폐수 절감에 상당한 효과가 있으며 일반 날염에서 얻을 수 없는 세선 무늬 효과를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섬유 종류 중 나일론(Nylon) 섬유에 전사날염을 성공적으로 실시한 기술은 세계적으로 개발된 바가 없다. 구체적으로, 분산염료 및 용제(Solvent)염료가 나일론 섬유와 같은 소수성 섬유의 염색, 날염 내지 전사날염에 사용되고 있는바, 이들 염료는 열 및 고압에 의해 승화되어 나일론 섬유 내부로 침투하고 이온결합, 반데르발스(Van der waals)결합 또는 고착화되는데, 이러한 가열 승화 과정에서 열 고착에 의한 전이 형태에 따라 염료간 상용성이 좋지 않으면 동일한 색상을 얻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표리차에 의한 이색성 및 견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나일론 섬유에의 전사날염은 염료의 상용성 등이 부족하여 표리색차가 발생하고, 빌드업(Build-up)성이 열악하며, 특히 세탁, 마찰, 일광 등 제반 견뢰도가 현저히 떨어져 상용화가 사실상 불가능했다.
이에,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융점이 낮고 유사한 염료들을 적용하여 열전이에 의한 침투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우수한 고착성, 빌드업성, 균염성과 더불어 섬유용으로 요구되는 제반 견뢰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대체 염료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53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염료 화합물을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시 발생되는 침투성, 염료 상용성, 표리색차, 빌드업성 및 견뢰도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3원색 및 흑색(Full black) 염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혼합되는 다양한 염료간의 용융점 및 상용성에 대해 심도있는 검토를 수행하고, 이들 특성이 유사한 특정 염료들 및 분산제의 조합을 통해 본 과제가 해결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특정 계열 및 종류의 염료 화합물들과 나프탈렌계 분산제로 이루어진 나일론(Nylon)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염료 조성물; 메틸알콜; 폴리비닐알콜(PVA); 및 물;을 포함하는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용액과, 이를 전사용액으로 사용하는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은 용융점이 유사한 특정 염료 화합물들로 구성된 것으로서, 염료 상호간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종래 기술의 큰 단점인 표리색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염료의 열 고착성, 침투 균염성 및 빌드업성이 뛰어나다.
특히, 기존의 전사날염된 나일론 섬유 대비 세탁, 마찰, 일광 등 제반 견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세탁 견뢰도: 3급 이상, 마찰 및 일광 견뢰도: 4급 이상).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은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Eco-type 염료로서 친환경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 조성물을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원색(Yellow, Red, Blue) 및 흑색(Black)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전사날염한 경우, 온도, 시간 및 농도에 따른 염료의 고착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원색(Yellow, Red, Blue)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전사날염한 경우, 온도, 시간 및 농도별 염착성과 전사지상 이염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흑색(Black)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전사날염한 경우, 온도, 시간 및 농도별 염색특성과 열전이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3원색(Yellow, Red, Blue) 및 흑색(Black) 염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견뢰도 등 제반 물성 및 친환경성이 우수함을 증빙하는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염료 조성물은 나일론(Nylon) 섬유의 전사날염에 특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 2, 5, 7, 8, 11, 12 및 13으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염료 화합물;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나프탈렌계 분산제; 및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나프탈렌계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66679475-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5066679475-pat00002
[화학식 5]
Figure 112015066679475-pat00003
[화학식 7]
Figure 112015066679475-pat00004
[화학식 8]
Figure 112015066679475-pat00005
[화학식 11]
Figure 112015066679475-pat00006
[화학식 12]
Figure 112015066679475-pat00007
[화학식 13]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9

[화학식 14]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0
(상기 화학식 14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15]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1
삭제
(상기 화학식 15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삭제
본 발명자는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에 사용되는 염료들의 용융점과 열전이도, 견뢰도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분자 구조(분자량)가 작고 용융점이 낮을수록 열전이도(침투성)는 높아지지만 견뢰도가 저하되고, 용융점이 높을수록 열전이도(침투성)는 낮아지지만 견뢰도는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료의 상용성이 동일 내지 유사하지 못할 경우 표리색차가 발생하며, 염료의 용융점 및 열전이성에 따라 빌드업(Build-up)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자는 우수한 열전이성(표리색차 최소화), 고착성, 견뢰도 및 빌드업(Build-up) 등 제반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상의 특정적 염료 조합을 도출하였다.
즉, 본 발명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염료는 용융점 및 상용성이 동등 내지 유사한 것으로서, 침투에 따른 불균염 효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열전이성이 뛰어나 빌드업(Build-up)이 좋으며, 표리색차가 최소화된 3원색 및 Full black의 전사물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었으며, 특히 세탁, 마찰 및 일광 견뢰도가 최소 3급 이상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후술의 실험예 부분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염료들을 특정적으로 조합함과 동시에, 가장 적절한 분산제를 함께 배합함으로써 전술한 효과들이 더욱 극대화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염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나프탈렌계 분산제(NNO) 및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나프탈렌계 분산제(MFB)가 소정 함량으로 혼합된 것으로서, 이들 나프탈렌계 분산제는 2-Naphthalenesulfonic acid, polymer with formaldehyde, sodium salt[CAS 번호: 36290-04-7, Molecular Formula: (C10-H8-O3-S.C-H2-O)x-.x-Na, n: 1~100의 정수(예컨대, 1, 2 또는 3~50)]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의 조합 사용을 통해 염료의 농도 및 균염성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화학식 14]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2
(상기 화학식 14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15]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3
삭제
(상기 화학식 15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삭제
제1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은 황색(Yellow) 염료 조성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40~80 중량%; 화학식 2의 화합물(Disperse Yellow 64) 5~2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0~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황색(Yellow) 염료로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화학식 2의 화합물(Disperse Yellow 64), 화학식 3의 화합물(Disperse Yellow 211) 및 화학식 4의 화합물(Disperse Yellow 126)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들 중 다른 조합은 용융점의 상이함에 따라 열전사시 침투되는 형태가 달라져 이색성이 발생하고, 특히 혼합 염료 중 고융점을 갖는 염료와 저융점을 갖는 염료간의 침투 문제로 표리색차 및 빌드업(Build-up)성의 문제가 발생한 반면,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및 화학식 2의 화합물(Disperse Yellow 64)의 특정적 조합은 상용성 및 제반 물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66679475-pat00013
[화학식 2]
Figure 112015066679475-pa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15066679475-pat00015
[화학식 4]
Figure 112015066679475-pat00016
본 구체예의 황색(Yellow) 염료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40~80 중량%; 화학식 2의 화합물(Disperse Yellow 64) 5~2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0~20 중량%;가 혼합된 것이다. 화학식 1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빌드업(Build-up)성이 저하되며, 80 중량%를 초과하면 빌드업(Build-up)성은 우수하나 견뢰도가 열악해진다. 또한 화학식 2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견뢰도, 특히 세탁 견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화학식 1의 상대적 함량 감소로 빌드업(Build-up)성이 저하된다. 한편 분산제인 화학식 14 및 15의 함량은 각각 5~20 중량% 및 10~20 중량% 범위인 것이 염료의 농도 및 균염을 적절히 조절하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제2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은 적색(Red) 염료 조성물로서,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40~80 중량%; 화학식 7의 화합물(Solvent Red 146) 5~2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0~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적색(Red) 염료로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화학식 6의 화합물(Disperse Red 146) 및 화학식 7의 화합물(Solvent Red 146)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들 중 다른 조합은 용융점의 상이함에 따라 열전사시 침투되는 형태가 달라져 이색성이 발생하고, 특히 혼합 염료 중 고융점을 갖는 염료와 저융점을 갖는 염료간의 침투 문제로 표리색차 및 빌드업(Build-up)성의 문제가 발생한 반면,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및 화학식 7의 화합물(Solvent Red 146)의 특정적 조합은 상용성 및 제반 물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5066679475-pat00017
[화학식 6]
Figure 112015066679475-pat00018
[화학식 7]
Figure 112015066679475-pat00019
본 구체예의 적색(Red) 염료 조성물은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40~80 중량%; 화학식 7의 화합물(Solvent Red 146) 5~2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0~20 중량%;가 혼합된 것이다. 화학식 5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빌드업(Build-up)성이 저하되며, 80 중량%를 초과하면 빌드업(Build-up)성은 우수하나 견뢰도가 열악해진다. 또한 화학식 7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견뢰도, 특히 세탁 및 일광 견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화학식 5의 상대적 함량 감소로 빌드업(Build-up)성이 저하된다. 한편 분산제인 화학식 14 및 15의 함량은 각각 5~20 중량% 및 10~20 중량% 범위인 것이 염료의 농도 및 균염을 적절히 조절하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제3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은 청색(Blue) 염료 조성물로서,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5~20 중량%; 화학식 11의 화합물(Solvent Blue 36) 5~10 중량%;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40~8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청색(Blue) 염료로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화학식 9의 화합물(Disperse Blue 359), 화학식 10의 화합물(Disperse Blue 360), 화학식 11의 화합물(Solvent Blue 36) 및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들 중 다른 조합은 용융점의 상이함에 따라 열전사시 침투되는 형태가 달라져 이색성이 발생하고, 특히 혼합 염료 중 고융점을 갖는 염료와 저융점을 갖는 염료간의 침투 문제로 표리색차 및 빌드업(Build-up)성의 문제가 발생한 반면,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화학식 11의 화합물(Solvent Blue 36) 및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의 특정적 조합은 상용성 및 제반 물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화학식 8]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0
[화학식 9]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1
[화학식 10]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2
[화학식 11]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3
[화학식 12]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4
본 구체예의 청색(Blue) 염료 조성물은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5~20 중량%; 화학식 11의 화합물(Solvent Blue 36) 5~10 중량%;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40~8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가 혼합된 것이다. 화학식 8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세탁 견뢰도가 열악해지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빌드업(Build-up)성이 저하된다. 화학식 11의 화합물(Solvent Blue 36)은 침투 및 색상 조절용으로서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색방향이 적색톤(Reddish), 10 중량%를 초과하면 녹색톤(Greenish)으로 색상이 변화하며 세탁 견뢰도가 저하된다. 또한 화학식 12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빌드업(Build-up)성이 저하되며, 80 중량%를 초과하면 빌드업(Build-up)성 및 침투성은 우수하나 견뢰도, 특히 세탁 견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분산제인 화학식 14 및 15의 함량은 각각 5~20 중량% 및 10~20 중량% 범위인 것이 염료의 농도 및 균염을 적절히 조절하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제4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은 흑색(Black) 염료 조성물로서,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40~60 중량%;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1~5 중량%;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1~5 중량%;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1~5 중량%; 화학식 13의 화합물(Disperse Orange 155) 20~4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1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0~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흑색(Black) 염료가 상기와 같은 특정적 조합을 가질 때 Full black 색상이 온전히 구현됨과 더불어 상용성 및 제반 물성이 모두 우수해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들의 용융점을 검토해보면,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 화학식 13의 화합물(Disperse Orange 155) 순으로 용융점에 따라 열 고착에 의한 침투가 일어나며, 이러한 염료 화합물들로 구성된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흑색(Black) 분산염료는 융점의 미차는 있으나 염색특성 및 날염물의 물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화학식 8]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5
[화학식 12]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6
[화학식 1]
Figure 112015066679475-pat00027
[화학식 5]
Figure 112017016308774-pat00028

[화학식 13]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4
(KE-07419)
삭제
본 구체예의 흑색(Black) 염료 조성물은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40~60 중량%;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1~5 중량%;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1~5 중량%;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1~5 중량%; 화학식 13의 화합물(Disperse Orange 155) 20~4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10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0~20 중량%;가 혼합된 것이다. 화학식 8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세탁 견뢰도가 열악해지며, 60 중량%를 초과하면 빌드업(Build-up)성이 저하된다. 또한 화학식 12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침투성이 저하되며, 5 중량%를 초과하면 세탁 견뢰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화학식 13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우수한 빌드업(Build-up)성 및 흑색(Black)의 색상을 얻기 어려워지며, 40 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염료 성분들의 상대적 함량 감소로 견뢰도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 및 화학식 5은 색상방향을 적절히 설정하는 측면에서 1~5 중량%의 소량으로 사용한다. 한편 분산제인 화학식 14 및 15의 함량은 각각 5~10 중량% 및 10~20 중량% 범위인 것이 염료의 농도 및 균염을 적절히 조절하는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은 각 염료 화합물간의 조성 비율은 나일론 섬유에 전사날염이 가능한 3원색 내지 흑색 염료의 열 고착성 및 열전이에 의한 침투성, 상용성을 좌우하며, 또한 표리색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당분야의 통상적인 기기 및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 케이크(Press cake)(단일 Disperse 및 Solvent 염료) --> 단일염료 밀링(Milling)(6~8시간) --> 액상 혼합 후 색상 조절(교반) --> 스프레이(Spray)(180~200℃) --> 완제품」의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전사날염법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염료 조성물; 메틸알콜; 폴리비닐알콜(PVA); 및 물;을 포함하는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용액과, 이를 전사용액으로 사용하는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이 제공된다.
상기 메틸알콜은 염료의 승화 조절 내지 분산용해를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PVA)은 점도 조절을 위해 투입되는 조제이며, 상기 물은 희석제로 작용하는 성분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용액은 전술한 염료 조성물 5~40 중량%; 메틸알콜 10~30 중량%; 폴리비닐알콜(PVA) 10~30 중량%; 및 잔량의 물(예컨대, 10~3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염색특성, 물성 및 공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전사용액으로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전사날염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분야의 통상적인 전사날염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나일론 섬유에의 전사는 염료 조성물이 5~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 전사용액을 이용하여 전사지에 인날한 후, 190~220℃의 온도범위에서 5~2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이 열전이성, 상용성 및 균염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색( Yellow ) 염료 전사용액을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60 중량%; 화학식 2의 화합물(Disperse Yellow 64) 14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8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8 중량%;를 포함하도록 각 성분을 골고루 배합하여 황색(Yellow) 염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메틸알콜, 폴리비닐알콜(PVA) 및 물로 구성된 페이스트(Paste)에 상기 염료 조성물을 첨가하고 완전히 교반하여 전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전사용액을 이용해 전사지에 인날한 후 건조시킨 다음, 인날된 전사지를 나일론 섬유 상에 올려 열을 가하여 전사지의 염료가 섬유상으로 전이 및 고착되도록 하였다(도 1 참조).
여기서, 전사지에의 인날은 「각 롤러마다 전사지에 인날(Printing on paper) → 인날과 동시에 중간건조(160℃, 10sec) → 최종건조→ 롤링」의 순서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적색( Red ) 염료 전사용액을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60 중량%; 화학식 7의 화합물(Solvent Red 146) 14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8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8 중량%;를 포함하는 적색(Red) 염료 조성물을 제조 및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청색( Blue ) 염료 전사용액을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10 중량%; 화학식 11의 화합물(Solvent Blue 36) 5 중량%;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6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20 중량%;를 포함하는 청색(Blue) 염료 조성물을 제조 및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흑색( Black ) 염료 전사용액을 이용한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50 중량%;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1 중량%;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1 중량%;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1 중량%; 화학식 13의 화합물(Disperse Orange 155) 30 중량%;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 중량%; 및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2 중량%;를 포함하는 흑색(Black) 염료 조성물을 제조 및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험예 : 열 고착성 , 상용성, 견뢰도 및 유해성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전사된 나일론 섬유를 대상으로 열 고착성, 상용성 및 제반 견뢰도 등을 테스트하였다.
1. 열 고착성 실험
열고착성 실험은 온도별, 시간별, 농도별로 구분하여 고착 정도를 C.C.M(Computer color matching)을 적용하여 K/S 수치로 측정하였다(실험 조건: 하기 표 1 참조).
(1) 온도별 실험
먼저 온도별 실험은 인날된 전사지상의 염료를 각 온도별(190℃, 200℃, 210℃ 및 220℃)로 열을 가한 뒤 섬유상으로 전이, 고착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사날염시 최적의 온도 조건을 찾는데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제조된 전사용액을 사용하여 전사지상에 먼저 전사 후 온도별로 섬유상에 전사하여 고착된 염료를 C.C.M(Computer color matching)을 적용 측색 후 K/S 수치로 검토하여 가장 이상적인 온도 범위를 측정하였다.
(2) 시간별 실험
시간별 실험은 인날된 전사지상의 염료를 각 시간별(5sec., 10sec., 15sec. 및 20sec.)로 열을 가한 뒤 섬유상으로 전이, 고착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사날염시 최적의 시간 조건을 찾는데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된 전사용액을 사용하여 전사지상에 먼저 전사 후 시간별로 섬유상에 전사하여 고착된 염료를 C.C.M(Computer color matching)을 적용 측색 후 K/S 수치로 검토하여 가장 이상적인 시간 범위를 측정하였다.
(3) 농도별 실험
농도별 실험은 인날된 전사지상의 염료를 각 농도별(5%, 10%, 20% 및 40%)로 사용하여 섬유상으로의 승화, 고착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전사날염시 최적의 빌(Build-up) 조건을 찾는데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된 전사용액을 사용하여 전사지상에 먼저 전사 후 농도별로 섬유상에 전사하여 고착된 염료를 C.C.M(Computer color matching)을 적용 측색 후 K/S 수치로 검토하여 농도에 따른 고착량(Build-up)을 측정하였다.
[표 1] 온도별, 시간별, 농도별 열 고착성 실험 조건
Figure 112015066679475-pat00030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원색(Yellow, Red, Blue) 및 흑색(Black)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전사날염한 경우, 온도, 시간 및 농도에 따른 염료의 고착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Yellow 염료는 같은 온도, 시간 및 농도에서 고착 정도가 화학식 1 > 화학식 2 순으로 형성되었으나 전체적인 빌드업(Build-up) 형성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참조). Red 염료는 온도, 시간 및 농도 조건에서 화학식 5, 7 모두 고착 정도가 유사하였다(도 3 참조). Blue 염료는 같은 온도, 시간 및 농도에서 고착 정도가 화학식 12 > 화학식 8 순으로 형성되었으나 전체적인 빌드업(Build-up) 형성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참조). Black 염료는 온도, 시간 및 농도 조건에서 화학식 12, 화학식 1의 염료가 빌드업(Build-up)성이 우수하였으며, 화학식 5는 중간, 화학식 13은 빌드업(Build-up)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학식 13의 경우 견뢰도 측면이 매우 뛰어난 염료이므로 실제 흑색 염료 조성물에 적용시 전체적으로 우수한 열전이 및 상용성을 구현할 수 있었으며(도 5 참조), 특히 세탁, 마찰, 일광 견뢰도 면에서도 극히 양호한 등급을 보여주었다.
2. 상용성 실험
상용성 실험은 3원색 및 Black 염료를 시간별로 전사지에 전사한 전사물의 염료가 열에 의해 섬유상으로 전이되는 형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혼합 염료의 전사물을 사용하여 열처리 시간 15sec.를 기준으로 전사 시간별(2, 4, 6, 8, 12 및 15sec.)로 섬유상으로 전사되는 색상, 농도 등을 측정하여 전사날염시 유사한 색상방향으로 전사가 형성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3원색의 농도는 10%, Black의 농도는 40%, 온도는 220℃로 고정하고, 제조된 전사용액을 사용하여 전사지상에 먼저 전사 후 섬유상에 전사 시간별로 전사하여 고착상태와 색상방향을 판단하고 고착 정도 및 색상을 C.C.M(Computer color matching)을 적용 측색 후 K/S 수치로 검토하여 전이성을 통한 상용성을 측정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원색(Yellow, Red, Blue)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전사날염한 경우, 온도, 시간 및 농도별 염착성과 전사지상 이염성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흑색(Black) 염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나일론 섬유를 전사날염한 경우, 온도, 시간 및 농도별 염색특성과 열전이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3원색 및 Black 염료 조성물은 상용성 및 열전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 견뢰도 실험
(1) 세탁 견뢰도 실험
세탁견뢰도 실험은 ISO 105-C06(60℃ x 30min.) 조건을 기준으로 하여 규격에 따라 제조된 비누액을 사용하며, 전사날염 후의 피염물면에 동일한 백포 원단(Polyester)과 상반된 백포 원단(Cotton)을 첨부하되 날염 원단과 백포 원단의 간격이 떨어지지 않게 실로 꿰매어 규격에 따라 세탁 견뢰도를 테스트한 다음 백포 원단에 오염된 정도를 그레이 스케일(Gray-Scale)로 판단하였다. (Gray-Scale 기준 최저등급 1급, 최고등급 5급)
(2) 마찰 견뢰도 실험
마찰견뢰도 실험은 ISO 105-X12 조건을 기준(건마찰 및 습마찰)으로 하여 전사날염 후의 피염물면에 마찰 견뢰도에 적용할 백포 원단(Cotton)을 사용하여 규격에 따라 건, 습 마찰 견뢰도를 테스트한 다음 백포 원단에 오염된 정도를 그레이 스케일(Gray-Scale)로 판단하였다. (Gray-Scale 기준 최저등급 1급, 최고등급 5급)
(3) 일광 견뢰도 실험
일광견뢰도 실험은 ISO 105-B02 조건을 기준으로 하여 전사날염 후의 피염물 표면에 절반은 빛이 통과하지 않도록 커버를 적용하고 절반은 노출되도록 하여 일광 시험기에 장착하고 규격에 따라 일광 견뢰도를 테스트한 다음 시험포의 변색된 정도를 블루 스케일(Blue-Scale) 또는 그레이 스케일(Gray-Scale)로 판단하였다. (Blue-Scale 기준 최저등급 1급, 최고등급 8급; Gray-Scale 기준 최저등급 1급, 최고등급 5급)
하기 표 2에 본 발명에 따른 3원색 및 Black 염료로 염색된 나일론 섬유의 제반 견뢰도 결과를 나타내었다.
Yellow, Red, Blue의 3원색 및 Black 색상의 경우 모두 세탁 견뢰도가 3급 이상, 마찰 및 일광 견뢰도가 4급 이상으로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표 2] Yellow, Red, Blue 및 Black 조합 염료 견뢰도 Test
Figure 112015066679475-pat00031

4. 유해성분 실험
도 8 내지 도 18의 시험성적서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3원색(Yellow, Red, Blue) 및 흑색(Black) 염료는 견뢰도 등 제반 물성과 더불어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친환경성 또한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용융점 및 상용성이 유사한 계열의 염료들로 조성물을 구성하되 각 염료의 장점들이 부각되고 단점들이 상호 보완되도록 특정 조합한 것으로, 예를 들어 i) Yellow 염료의 경우 화학식 1의 빌드업(Build-up)성과 화학식 2의 우수한 세탁 견뢰성을 병합하여 제조하고, ii) Red 염료의 경우 화학식 5의 빌드업(Build-up)성과 화학식 7의 우수한 세탁 견뢰성을 병합 제조하며, iii) Blue 염료의 경우 화학식 8의 침투성과 화학식 12의 우수한 세탁 견뢰성을 병합 제조하고, iv) Black 염료의 경우 화학식 8의 우수한 세탁 견뢰성, 화학식 12의 침투성, 화학식 1 및 화학식 5의 색상 조절 기능과 화학식 13의 빌드업(Build-up)성 및 흑색 설정 기능을 병합 제조한 것이다.
그 결과, 3원색 및 Black 각각의 염료 모두 유사한 색상방향으로 열전이되고, 빌드업(Build-up)성, 침투성 및 견뢰도 등 제반 물성 면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며, 특히 Black 염료의 경우 상용성 면에서 표리색차가 최소화되어 Full black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들 염료들은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환경친화성 또한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청색(Blue) 염료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5~20 중량%; 하기 화학식 11의 화합물(Solvent Blue 36) 5~10 중량%; 하기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40~80 중량%; 하기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화학식 8]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0

    [화학식 11]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1

    [화학식 12]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2

    [화학식 14]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5

    (상기 화학식 14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15]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6

    (상기 화학식 15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2.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흑색(Black) 염료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Disperse Blue 72) 40~60 중량%; 하기 화학식 12의 화합물(Solvent Blue 68) 1~5 중량%;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Disperse Yellow 54) 1~5 중량%;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Disperse Red 60) 1~5 중량%; 하기 화학식 13의 화합물(Disperse Orange 155) 20~40 중량%; 하기 화학식 14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5~1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15의 나프탈렌계 분산제 10~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5

    [화학식 5]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6

    [화학식 8]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7

    [화학식 12]
    Figure 112017016308774-pat00068

    [화학식 13]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7

    [화학식 14]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8

    (상기 화학식 14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15]
    Figure 112017016308774-pat00079

    (상기 화학식 15에서, n은 1~100의 정수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염료 조성물; 메틸알콜; 폴리비닐알콜(PVA); 및 물;을 포함하는,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용액.
  4. 제3항에 따른 용액을 전사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
  5. 제4항에 있어서,
    나일론 섬유에의 전사는 190~22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
  6. 제4항에 있어서,
    나일론 섬유에의 전사는 5~2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
  7. 제4항에 있어서,
    전사에 사용되는 전사용액 중 염료 조성물의 함량은 5~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섬유의 전사날염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97902A 2015-07-09 2015-07-09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KR10172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02A KR101723853B1 (ko) 2015-07-09 2015-07-09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02A KR101723853B1 (ko) 2015-07-09 2015-07-09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618A KR20170007618A (ko) 2017-01-19
KR101723853B1 true KR101723853B1 (ko) 2017-04-07

Family

ID=5799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02A KR101723853B1 (ko) 2015-07-09 2015-07-09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099B1 (ko) * 2019-11-08 2021-03-31 박상률 나일론섬유 전사날염용 고세탁 황색 염료 조성물
KR102102084B1 (ko) * 2019-11-08 2020-04-20 형석훈 고세탁성 황색 염료 조성물을 이용한 나일론 전사날염 방법
JPWO2021149703A1 (ko) * 2020-01-20 2021-07-29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111B1 (ko) 2010-04-28 2010-08-11 김경규 칼라풀한 색상 구현이 가능한 모피 산성 칼라나염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528B1 (ko) * 1977-12-30 1981-05-25 키다시마 오리에 방염용 전사(防染用轉寫)시이트
KR970065880A (ko) * 1996-03-29 1997-10-13 박대순 열승화침투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안전벨트의 전사나염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KR20060085350A (ko) 2005-01-24 2006-07-27 (주)덕운다이텍 광변색성 스피로 옥사진계 색소를 이용한 나일론의 염색방법 및 광변색 특성
WO2007058209A1 (ja) * 2005-11-16 2007-05-24 Kiwa Chemical Industry Co., Ltd. 分散染料、分散染料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インク、これらを用いた染色方法及び染色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111B1 (ko) 2010-04-28 2010-08-11 김경규 칼라풀한 색상 구현이 가능한 모피 산성 칼라나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618A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3740C (zh) 一种分散黑染料组合物
CN103694740B (zh) 藏青色酸性染料组合物及其染色应用
KR20130130966A (ko) 고 습윤견뢰도의 흑색 및 네이비블루 분산염료 조성물
KR101984771B1 (ko) 날염용 흑색 분산염료 조성물
KR101723853B1 (ko) 나일론 섬유 전사날염용 염료 조성물
CN107418249A (zh) 一种经济复合型分散翠蓝染料
CN108410209B (zh) 一种环保型高牢度黄棕分散染料组合物、染料制品及应用
CN102585551A (zh) 一种复合分散染料
KR101871556B1 (ko) 산성 염료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하는 염색법
KR101865357B1 (ko) 폴리에스터 섬유 전사날염용 환경친화형 고농도 분산 흑색 염료 조성물
JP5955224B2 (ja) 分散染料及びそれを用いる疎水性繊維材料の染色法
CN106977979B (zh) 一种高水洗型分散黑染料组合物
KR100337746B1 (ko) 염료 조성물
CN106700648A (zh) 一种黑色分散染料组合物
CN111712547B (zh) 碱性染料组合物以及使用该碱性染料组合物的染色方法及染色物
CN104194385A (zh) 一种偶氮基1:2金属络合染料组合物及其染色应用
KR102102084B1 (ko) 고세탁성 황색 염료 조성물을 이용한 나일론 전사날염 방법
KR100581542B1 (ko) 고습윤견뢰도의 흑색 및 네이비블루 분산염료 조성물
CN107312357B (zh) 一种深色偶氮型染料分散染料组合物
CN102532941B (zh) 一种复合艳蓝分散染料
CN108276801A (zh) 一种分散染料组合物及其应用
CN107312358A (zh) 一种分散染料组合物、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046855A (zh) 一种分散蓝染料组合物
CN108841202B (zh) 一种升华牢度提高型分散黄染料混合物
CN107345083A (zh) 一种蓝至黑色分散染料组合物和染料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