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668B1 - 폐액증발장치 - Google Patents

폐액증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668B1
KR101723668B1 KR1020150134293A KR20150134293A KR101723668B1 KR 101723668 B1 KR101723668 B1 KR 101723668B1 KR 1020150134293 A KR1020150134293 A KR 1020150134293A KR 20150134293 A KR20150134293 A KR 20150134293A KR 101723668 B1 KR101723668 B1 KR 101723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liquid
waste liquid
incinerator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799A (ko
Inventor
강대엽
원남희
Original Assignee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강대엽
원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강대엽, 원남희 filed Critical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6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40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10Waste heat recuperation reintroducing the heat in the same process, e.g. for pre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0Liqu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의 폐액을 증기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다시 액상 폐기물 소각로에서 소각하여 폐기물과 폐액을 모두 한번에 소각할 수 있는 폐액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가스증발농축기(41)와, 액상 폐기물을 소각하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의 열교환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제공하는 연소가스 공급관(42)과, 연소가스 공급관(42)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연소가스 공급관(42)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가스공급 개폐부재(43)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액을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분사하는 폐액분사노즐(44)과,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에 연결되어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액과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5)과, 가스증발농축기(41)의 하부로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드레인(46)을 포함하여,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열교환보일러(20)에서 제공받은 연소가스로 폐액을 증기상태로 변화시킨 후에 연소가스와 증기상태의 폐액을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공급한다.

Description

폐액증발장치{WASTEWATER EVAPORATOR}
본 발명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의 폐액을 증기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다시 액상 폐기물 소각로에서 소각하여 폐기물과 폐액을 모두 한번에 소각할 수 있는 폐액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유, 폐유기용제, PCBs, 폐수, 폐알카리, 폐산 등의 액상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처리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액상 폐기물은 대부분 수분이므로, 이를 직접 소각하는 방법은 폐수 중의 가연성 성분이 낮고 에너지 낭비가 많아 경제성을 맞추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현재까지 제대로 된 액상 폐기물 소각 처리 시설이 갖춰지지 않아 처리 효율은 극히 미비한 수준이며, 기존의 액상 폐기물 소각 처리 시설을 통해 액상 폐기물의 처리시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처리 설비보다 월등히 향상된 액상 폐기물 처리 효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인 설비로서 사용이 가능한 액상 폐기물 소각 처리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폐액을 소각하는 시설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액소각시설은 산업폐기물을 모아서 일정량만큼씩 공급하는 폐기물 공급부(1)가 구비된다. 폐기물 공급부(1)에서 공급되는 폐기물을 소각하는 1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2)와 2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3)가 구비된다. 1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2)에서는 폐기물이 소각되면서 800~1,200℃의 온도가 발생된다. 2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3)에서는 1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2)의 연소가스를 제공받아서 폐기물을 소각하므로 약 850℃ 이상의 온도가 발생된다. 1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2)와 2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3)에 음폐수나 폐액을 공급하는 폐액공급부재(4)가 구비된다. 폐액공급부재(4)에 의해 절삭유와 같은 폐액이 1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2)나 2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3)로 분사되면서 소각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1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2)나 2차 액상 폐기물 소각로(3)에 음폐수나 폐액이 직접 분사되어서 공급되므로,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0849398호(2008.07.24.)가 게재된 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액상의 폐액을 증기상으로 변형시킨 후에 다시 액상 폐기물 소각로에서 소각하여 폐기물과 폐액을 모두 한번에 소각할 수 있는 폐액증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순환시키면서 소각되도록 하여 불완전 연소에 의해서 발생되는 악취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폐액증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액증발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가스증발농축기(41)와, 액상 폐기물을 소각하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의 열교환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제공하는 연소가스 공급관(42)과, 연소가스 공급관(42)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연소가스 공급관(42)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가스공급 개폐부재(43)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액을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분사하는 폐액분사노즐(44)과,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에 연결되어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액과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5)과, 가스증발농축기(41)의 하부로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드레인(46)을 포함하여,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열교환보일러(20)에서 제공받은 연소가스로 폐액을 증기상태로 변화시킨 후에 연소가스와 증기상태의 폐액을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는 폐기물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폐기물을 800~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각하는 메인 소각로(11)와 메인 소각로(11)를 거쳐 소각된 폐기물을 다시 공급받아 850℃ 이상의 온도로 소각하는 보조 소각로(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폐액분사노즐(44)은 폐액을 에어와 함께 분사하여 미세한 안개형태로 분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증기공급관(45)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의 메인 소각로(11) 또는 보조 소각로(12)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폐액증발장치(40)는 폐액분사노즐(44)로 폐액을 공급하는 폐액공급부재(50)를 포함하며, 폐액공급부재(50)는 폐액분사노즐(44)에 연결되어 폐액을 공급하는 폐액공급관(51)과, 폐액분사노즐(44)로 공급되는 폐액이 저장되는 폐액탱크(52)와, 폐액공급관(51)으로 공급되는 폐액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폐액공급 개폐부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폐액증발장치(40)는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내면청소수단(60)을 포함하며, 내면청소수단(60)은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공간 중앙으로 연장된 회전축(61)과, 회전축(61)에서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으로 근접하게 연장된 다수의 블레이드(62)와, 블레이드(62)로 내주면에 퇴적되는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3)와, 회전축(61)과 블레이드(62)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회전날개(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액증발장치는, 액상 폐기물을 증기상태로 변환시켜서 폐기물과 별도로 소각하므로 액상 폐기물의 소각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각되지 못한 액상 폐기물을 다시 순환시켜서 소각하므로 액상 폐기물의 완전한 소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폐액이 증기상태로 제공되므로 액체상태의 폐액이 소각로에 직접 분사됨에 의해 불완전 연소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상태의 폐액이 소각로에 직접 분사됨에 의해 소각로의 내벽이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각이 이루어지지 못한 액상 폐기물을 순환시켜서 다시 소각하므로 액상 폐기물의 완전한 소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폐액이 증기상태로 제공됨에 의해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정해진 시간동안 많은 양의 폐액이 연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상 폐기물 소각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액증발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액증발장치의 개략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폐액증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액증발장치의 요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상 폐기물 소각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와, 열교환보일러(20)와, 가스정화부재(30)와, 폐액증발장치(40), 폐액공급부재(50), 제어부재(70)를 포함한다.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는 폐기물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폐기물을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같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소각한다. 이때,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는 폐기물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폐기물을 약 800~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각하는 메인 소각로(11)와 메인 소각로(11)를 거쳐 소각된 폐기물을 다시 공급받아 약 850℃ 이상의 온도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소각하는 보조 소각로(1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는 메인 소각로(11)만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폐기물의 완전연소를 위해서 메인 및 보조 소각로(11,12)가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 소각로(11) 또는 보조 소각로(12)는 후술하는 폐액증발장치(40)로부터 증기상태의 폐액과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함께 소각하게 된다.
열교환보일러(20)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부터 폐기물 소각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내부의 물을 열교환방식으로 가열하여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고, 물의 온도를 높여 고온의 물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생성된 고온의 물 또는 스팀은 난방용 또는 발전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열교환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약 200~400℃의 온도를 갖게 된다. 열교환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가스정화부재(30) 또는 폐액증발장치(40)로 제공된다.
가스정화부재(30)는 열교환보일러(20)에서 열교환된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세정하여 처리하고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대기중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가스정화부재(30)는 열교환보일러(20)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제공받는 연소가스 공급관(31)과, 연소가스 공급관(31)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연소가스 공급관(31)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가스배출 개폐부재(32)와, 연소가스 공급관(31)을 통해 열교환보일러(20)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제공받아 세정하는 세정탑(33)과, 세정탑(33)에서 배출되는 세정된 연소가스를 필터링하는 필터부(34) 등을 포함한다.
세정탑(33)에서는 소석회 및 물을 분사하여 연소가스에 포함된 산가스, 녹스, Cl 등을 제거한다.
필터부(34)에 의해 폐기물 연소시 발생되는 재와 같은 미세먼지 등이 필티링될 수 있다.
가스정화부재(30)를 통과면서 필터링된 연소가스는 또 다른 세정탑(33)에서 세정되어 깨끗한 상태로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폐액증발장치(40)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열교환보일러(20)에서 열교환된 연소가스를 내부로 제공받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폐액을 분무하여 폐액을 증기상태로 변화시켜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공급한다. 여기서, 폐액은 오폐수, 절삭유, 폐유 등을 포함한다.
폐액증발장치(4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가스증발농축기(41)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열교환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제공하는 연소가스 공급관(42)과, 연소가스 공급관(42)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연소가스 공급관(42)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가스공급 개폐부재(43)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액을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분사하는 폐액분사노즐(44)과,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에 연결되어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액과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5)과, 가스증발농축기(41)의 하부로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드레인(46)을 포함한다.
이때, 연소가스 공급관(42)과 폐액분사노즐(44)은 가스증발농축기(4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폐액분사노즐(44)은 폐액을 에어와 함께 분사하여 미세한 안개형태로 분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증기공급관(45)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가 메인 소각로(11) 또는 보조 소각로(12)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액증발장치(40)에 의해서 가스증발농축기(41) 내부에서 폐액분사노즐(44)을 통해 분사된 폐액은 공급된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상태로 변화된 후에 증기공급관(45)을 통해서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공급되어 다시 소각되는 것이다.
그리고, 폐액공급부재(50)는 폐액증발장치(40)으로 폐액을 공급하는 것으로 폐액분사노즐(44)에 연결된 폐액공급관(51)과, 폐액분사노즐(44)로 공급되는 폐액이 저장되는 폐액탱크(52)를 포함한다. 또한, 폐액공급부재(50)는 폐액탱크(52)에 액상의 폐액이 저장되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된 폐액이 저장된 원폐액탱크(53)의 폐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고액분리기(54)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폐액공급관(51)에는 폐액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폐액공급 개폐부재(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폐액증발장치(40)는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내면청소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청소수단(60)은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공간 중앙으로 연장된 회전축(61)과, 회전축(61)에서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으로 근접하게 연장된 다수의 블레이드(62) 및 블레이드(62)로 내주면에 퇴적되는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물질은 폐액에 포함된 슬러지가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에 쌓여서 형성되는 케이크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63)를 구동시키면 회전축(61)이 회전되므로 다수의 블레이드(62)가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하부로 낙하되어 드레인(4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블레이드(62)는 회전되면서 공기를 상승시키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축(61)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62)가 회전되면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승하게 되므로 내부공간으로 분사되는 폐액이 바로 낙하되지 않으면서 소정시간동안 부유하면서 증기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즉, 폐액의 증기상태로의 변환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축(61)과 블레이드(62)의 사이에 공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회전날개(6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날개(64)가 블레이드(62)와 함께 회전됨에 의해 내부공간의 공기가 더 상승될 수 있어서 많은 양의 폐액이 증기상태로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다.
또한, 폐액증발장치(40)는 드레인(46)을 통해 배출되는 폐액이 모여지는 드레인탱크(47)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에서 분사된 폐액이 증기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미처 변환되지 못하여 하부로 모여지면서 드레인(46)을 통해 배출되어 드레인탱크(47)로 모여지게 되고, 드레인탱크(47)에 모여진 폐액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공급되어서 소각되거나 폐액증발장치(40)로 재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재(70)는 가스정화부재(30) 또는 폐액증발장치(40)로 공급되는 연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스배출 개폐부재(32) 및 가스공급 개폐부재(43)의 개폐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폐액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폐액공급 개폐부재(55)가 형성된 경우에는 개폐량도 조절하여 폐액의 분사량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재(70)에 의해서 가스배출 개폐부재(32)가 연소가스 공급관(31)을 완전히 폐쇄하면 연소가스가 폐액증발장치(40)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를 계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완전히 소각될 수 있다. 그리고, 폐액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가스배출 개폐부재(32)에 의해 연소가스 공급관(31)이 개방되면 연소가스가 가스정화부재(30)로 제공되어서 정화된 후에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가스의 순환주기에 따라 가스배출 개폐부재(32)와 가스공급 개폐부재(43)의 개방정도를 다르게 설정하면 일부는 가스정화부재(30)로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폐액증발장치(4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연소가스의 완전소각을 위해서 순환되는 경우에는 폐액의 분무량이 소량이 되도록 조절하여 연소가스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에서 폐기물이 소각된다. 이때, 액상 폐기물 소각로(10)가 메인 소각로(11)와 보조 소각로(12)로 이루어진 경우에 메인 소각로(11)는 유입된 폐기물이 약 800~1,200℃의 온도로 가열되고, 보조 소각로(12)는 약 85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다.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에서 폐기물의 소각에 의해 발생된 약 800~1,200℃의 연소가스는 열교환보일러(20)로 공급되어 물과 열교환되면서 약 200~400℃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열교환보일러(20)의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흡수한 물 또는 스팀은 난방용 또는 발전용 등으로 사용되게 된다.
보조 소각로(12) 또는 열교환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연소가스 공급관(42)를 통해서 폐액증발장치(40)의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공급되고, 또한, 외부의 폐액은 폐액분사노즐(44)을 통해서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분사되면서 연소가스로 가열되어 증기상태로 변환된다.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액과 연소가스는 증기공급관(45)을 따라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공급되어 소각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체 상태의 폐액은 고온의 증기로 변환되어 연소되기 때문에 손쉽게 소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증기상태의 폐액을 완전히 소각시키기 위하여 연소가스로써 다시 연소가스 공급관(42)을 통해 폐액증발장치(40)로 공급되어서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재공급되는 과정을 되풀이 할 수 있다. 이때,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의 연소가스가 1차, 2차, 3차 등으로 순환되는 경우에 가스증발농축기(41)로 분무되는 폐액의 량이 감소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소가스에 포함된 폐액을 완전히 소각하여 폐액의 불완전 연소에 따른 냄새 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소가스에 포함된 폐액이 완전히 소각되면 가스배출 개폐부재(32)를 작동시켜 연소가스 공급관(31)을 개방하면 완전한 소각이 이루어진 연소가스가 가스정화부재(30)를 통해 세정되면서 필터링 되어서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에서 폐기물이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폐액을 증기상태로 변화시킨 후에 함께 소각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200~400℃의 연소가스에 의해 폐액이 증기상태로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고, 800~1,200℃의 연소가스에 의해 증기상태인 폐액의 소각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폐액이 소각되면서 연폐가스 및 악취도 제거되므로 폐액을 소각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널리 적용되어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액상 폐기물 소각로 11 : 메인 소각로
12 : 보조 소각로 20 : 열교환보일러
30 : 가스정화부재 31 : 연소가스 공급관
32 : 가스배출 개폐부재 33 : 세정탑
34 : 필터부 40 : 폐액증발장치
41 : 가스증발농축기 42 : 연소가스 공급관
43 : 가스공급 개폐부재 44 : 폐액분사노즐
45 : 증기공급관 46 : 드레인
47 : 드레인탱크 50 : 폐액공급부재
51 : 폐액공급관 52 : 폐액탱크
53 : 원폐액탱크 54 : 고액분리기
55 : 폐액공급 개폐부재 60 : 내면청소수단
61 : 회전축 62 : 블레이드
63 : 회전모터 64 : 회전날개
70 : 제어부재

Claims (6)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가스증발농축기(41)와,
    액상 폐기물을 소각하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의 열교환보일러(2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제공하는 연소가스 공급관(42)과,
    연소가스 공급관(42)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연소가스 공급관(42)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가스공급 개폐부재(43)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폐액을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로 분사하는 폐액분사노즐(44)과,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에 연결되어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액과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5)과,
    가스증발농축기(41)의 하부로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드레인(46)을 포함하여,
    액상 폐기물 소각로(10) 또는 열교환보일러(20)에서 제공받은 연소가스로 폐액을 증기상태로 변화시킨 후에 연소가스와 증기상태의 폐액을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증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상 폐기물 소각로(10)는 폐기물 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폐기물을 800~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각하는 메인 소각로(11)와 메인 소각로(11)를 거쳐 소각된 폐기물을 다시 공급받아 850℃ 이상의 온도로 소각하는 보조 소각로(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증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폐액분사노즐(44)은 폐액을 에어와 함께 분사하여 미세한 안개형태로 분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증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증기공급관(45)은 액상 폐기물 소각로(10)의 메인 소각로(11) 또는 보조 소각로(12)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증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폐액증발장치(40)는 폐액분사노즐(44)로 폐액을 공급하는 폐액공급부재(50)를 포함하며,
    폐액공급부재(50)는 폐액분사노즐(44)에 연결되어 폐액을 공급하는 폐액공급관(51)과, 폐액분사노즐(44)로 공급되는 폐액이 저장되는 폐액탱크(52)와, 폐액공급관(51)으로 공급되는 폐액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폐액공급 개폐부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증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폐액증발장치(40)는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에 퇴적되는 찌꺼기를 제거하는 내면청소수단(60)을 포함하며,
    내면청소수단(60)은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부공간 중앙으로 연장된 회전축(61)과, 회전축(61)에서 가스증발농축기(41)의 내주면으로 근접하게 연장된 다수의 블레이드(62)와, 블레이드(62)로 내주면에 퇴적되는 찌꺼기를 제거하도록 회전축(6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3)와, 회전축(61)과 블레이드(62)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회전날개(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증발장치.
KR1020150134293A 2015-09-23 2015-09-23 폐액증발장치 KR101723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93A KR101723668B1 (ko) 2015-09-23 2015-09-23 폐액증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293A KR101723668B1 (ko) 2015-09-23 2015-09-23 폐액증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446A Division KR101568117B1 (ko) 2015-07-03 2015-07-03 액상 폐기물 소각장치용 폐액증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99A KR20170004799A (ko) 2017-01-11
KR101723668B1 true KR101723668B1 (ko) 2017-04-05

Family

ID=5783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293A KR101723668B1 (ko) 2015-09-23 2015-09-23 폐액증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544B1 (ko) 2021-10-18 2022-11-03 김용호 액상 폐기물 증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406B1 (ko) * 2017-07-26 2018-06-04 신대원보일러 주식회사 폐기물 소각로용 폐액증발장치
KR102408989B1 (ko) 2019-05-28 2022-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폐수 소각 방법 및 폐수 소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225B1 (ko) 1997-01-15 1999-07-15 최수현 선회연소식 액상 폐기물 소각장치
JP2004138373A (ja) 2002-10-18 2004-05-13 Mateeku Kk 廃油燃焼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241A (ja) * 1994-04-04 1995-10-27 Takashige Sangyo Kk 廃液処理装置
JPH09229324A (ja) * 1995-12-21 1997-09-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該装置の運転方法
KR20110031813A (ko) * 2009-09-21 2011-03-29 호형철 액상 폐기물 소각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225B1 (ko) 1997-01-15 1999-07-15 최수현 선회연소식 액상 폐기물 소각장치
JP2004138373A (ja) 2002-10-18 2004-05-13 Mateeku Kk 廃油燃焼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544B1 (ko) 2021-10-18 2022-11-03 김용호 액상 폐기물 증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99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668B1 (ko) 폐액증발장치
KR101568117B1 (ko) 액상 폐기물 소각장치용 폐액증발장치
KR101773080B1 (ko) 폐기물 소각로용 폐액증발장치
CN103017177A (zh) 一种高含盐废水焚烧处理方法
KR20140141343A (ko) 폐기물 소각장치
CN106439859A (zh) 污泥两段式碳化加焚烧方法及系统
KR100983853B1 (ko) 슬러지건조로
KR101178515B1 (ko) 매연포집부를 가진 소각로
KR100400613B1 (ko) 오폐수 슬러지의 연료화 소각처리 방법
KR101187581B1 (ko) 바이오매스 발전 장치
JP2008304131A (ja) 廃棄物処理発電炉
KR101864406B1 (ko) 폐기물 소각로용 폐액증발장치
CN109179535A (zh) 垃圾焚烧余热回收蒸发结晶垃圾渗滤浓缩液工艺及除尘器
EP0784189B1 (en) System for controlled self-combustion of urban solid waste
KR101472923B1 (ko) 연속 가동이 가능하고 폐열 회수 및 연소 효율이 향상되는 폐열회수 보일러 시스템
KR100416959B1 (ko) 직가열식 폐수증발농축 처리장치
KR101666501B1 (ko) 건류식 폐전선 및 폐통신선 열분해 처리시스템
CN109974008B (zh) 便于烘干的餐厨垃圾焚烧处理设备
KR101453387B1 (ko) 열발생로의 배기가스 습식 집진장치
CN105509067A (zh) 典型生活垃圾焚烧处理系统
JP3510511B2 (ja) 焼却炉
KR102322020B1 (ko) 소각 보일러의 집진 및 폐열회수 시스템
JPH10185135A (ja) 塩化水素とダイオキシン類を発生する難燃性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焼却処理法並びに焼却炉
KR20150129516A (ko) 바이오매스 연소 및 폐열 이용 장치
KR102254637B1 (ko) 유기성 잔재 폐자원의 혼합 연소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