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620B1 -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620B1
KR101723620B1 KR1020100059887A KR20100059887A KR101723620B1 KR 101723620 B1 KR101723620 B1 KR 101723620B1 KR 1020100059887 A KR1020100059887 A KR 1020100059887A KR 20100059887 A KR20100059887 A KR 20100059887A KR 101723620 B1 KR101723620 B1 KR 10172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barcode
data
assistance data
ba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835A (ko
Inventor
파룩 칸
바오웨이 지
슈리다 라자고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816,864 external-priority patent/US8368594B2/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3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1Acquisition or tracking of other signals for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바코드를 생성하고, 그 바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위치 측정을 지원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획득하는 단계; 내부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지원하는 방법은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된 바코드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GPS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로킹하는 단계, 및 수신된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사용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AR CODE ASSISTED POSITIONING}
본 발명은 바코드 지원 위치 측정 기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차원(2D) 바코드를 이용한 바코드 지원 위치 측정 기법에 관한 것이다.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GNSS)는 전세계에 걸친 서비스 영역을 갖는 자체적인 지리-공간 위치 측정을 제공한다. GNSS에서는, 전자 수신기들이 위성으로부터의 무선 통신에 의해 조준선(line-of-sight)을 따라서 전송된 타임 신호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즉, 경도, 위도, 및 고도)를 몇 미터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고정 위치를 갖는 지면 상에 있는 수신기들은 과학적 실험을 위한 참조로서 정확한 타임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2009년도에, 미국 NAVSTA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유일하게 전체적으로 동작하는 GNSS이다. 러시아의 GLONASS는 완전 가동 상태로 복구 중에 있는 GNSS이다. 중국은 지역적 Beidou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2015년까지 글로벌 COMPASS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확장할 것이라 표명하였다. 유럽 연합의 Galileo 위치 측정 시스템은 초기 배치 단계에 있는 GNSS로, 2013년에 가동하기로 계획되어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탑재한 이동국(MS)은 현실화되어 가고 있다. MS의 위치가 긴급 통화 디스팻처(emergency call dispatcher)에 이용 가능하게 할 것을 요구하는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의 이머전시(E)-911 법안에 의해 그러한 MS의 개발이 부분적으로 가속화되어 가고 있다. GPS 인에이블드 MS(GPS enabled MS)는 E-911을 다룰 뿐만 아니라, 이동 네트워크 운영자들에게 신규 수입원을 창출할 새로운 기회로서 부상하고 있는 무선 위치 기반 서비스(wireless LBS)를 가능케 할 것이다. 운전 안내, 가장 가까운 은행이나 레스토랑의 확인, 및 사회적 인맥(social networking)이나 안전을 위한 또는 긴급 상황(북미에서는 E-911을 통해, 유럽에서는 E-112을 통해)을 위한 사람 추적과 같은 서비스들이 현재 무선 네트워크 운영자들에 의해 전개되고 있다.
LBS는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몇 가지 방법들에 의존하고 있다. 하나의 간단한 방법으로는 가장 근접한 셀 타워(cell tower)를 근사 위치로서 사용하며, 이 방법을 Cell ID(IDentifier)라고 하며 이미 상업적인 LBS를 도입한 운영자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다. Cell ID 정확도(즉, 셀 타워의 서비스 지역의 크기로, 보통은 수 킬로미터에 해당)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는 충분하지만, E-911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부합하기에는 분명 충분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동 네트워크 자원들을 사용하는 개선된 위치 측정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들 기술들은 네트워크 기반 솔루션과 GPS 및 특히 Assisted-GPS(A-GPS)와 같은 핸드셋 기반의 솔루션으로 분류될 수 있다. GPS 위성군(satellite constellation)을 도 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GPS 위성군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군 우주국(Air Force space division)를 통하여 미국 국방부에 의해 운용되고 있는 GPS 시스템은 지구(104) 주위에 24개의 위성(1~24)들의 위성군을 사용하고 있다. 위성(1~24)들은 6개의 지구 중심 궤도면(orbital plane)에 위치하고, 각각의 궤도면에는 4개의 위성들이 위치한다. 예를 들어, 위성(17~20)들은 궤도면(106)에 포함된다.
GPS 수신기는 이상적인 환경에서 약 10개의 위성들로부터 동시에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어야만 하지만, 대부분의 현실적인 조건에서 그 모두를 신뢰성 있게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는 거의 없다. 모든 위성들은, 전체 1,500 비트의 데이터에 대하여 초당 50비트가 각각의 위성으로부터 매 30초마다 변조되도록 하는 인코딩을 사용하여, 동일한 주파수 세트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데이터(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매 일분 30초마다, 각각의 위성은, 4시간 동안 유효한 그 위치 및 궤도에서의 경로(즉, 천체 위치표(ephemeris))에 이어서 정확한 타임 및 그 상태에 대한 판단을 전송한다. 각각의 위성은 또한 궤도(즉, 책력)상에 있는 다른 위성들에 대한 서브세트 데이터를 대략적인 위치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전체의 책력(almanac)을 조합하기 위하여, 단일의 위성으로부터 12.5분에 걸쳐서 완전히 수신된 모두 25개의 내비게이션 메시지가 필요하게 된다. 각각 300 비트(6초) 세그먼트 또는 서브프레임의 메시지의 일부로서 시간표(timestamp)가 또한 포함되어 있다.
GPS 위성들은 매우 정확한 궤도로 하루에 두 번씩 지구를 공전하고 신호 정보를 지구로 전송한다. GPS 수신기들은 이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삼각 측량술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GPS 수신기는 신호가 위성에 의해 전송되었던 시간을 수신된 시간과 비교한다. GPS 수신기는 이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위성이 얼마나 멀리 있는지를 결정한다. 좀 더 많은 위성들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그 수신기는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차원(2D) 위치(즉, 위도와 경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GSP 수신기는 적어도 세 개의 위성의 신호에 로킹(locking)되어 있어야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 개의 위성들에 의거한 2D 위치 측정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능한 위치(202)는 세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거한 지리적 삼변 측량술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네 개 이상의 위성으로, 수신기는 사용자의 삼차원(3D) 위치(즉, 위도, 경도 및 고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네 개의 위성에 의거한 3D 위치 측정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능한 위치(302)는 네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지리적 삼변 측량술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위성들은 상당히 정확한 원자 클록(atomic clock)을 구비하고 있는 반면에, GPS 수신기는 정확성이 많이 떨어지지 않고 저렴한 클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과적으로, GPS 수신기는 GPS 전파(radio wave)가 위성들로부터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부정확한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시간 오류를 고치기 위해 추가적인 위성 신호가 필요하다.
GPS 위성들은 L1 및 L2로 나타낸 두 개의 저전력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일반 GPS는 UHF(Ultra High Frequence) 밴드에서 1575.42 메가 헤르츠(MHz)의 L1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 신호들은 조준선을 따라 이동하며, 이는 구름, 유리 및 플라스틱을 통과하지만 빌딩과 산과 같이 대부분의 고체 객체를 통과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GPS 신호는 세 개의 다른 비트 정보, 즉 의사 난수(pseudorandom) 코드, 천체 위치 데이터, 및 책력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의사 난수 코드는 간단하게는 어떤 위성이 정보를 전송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ID 코드이다. 천체 위치 데이터는 GPS 위성의 위치를 특정 시점에서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 세트이다. 그 천체 위치 데이터는 위성이 지구 주위를 궤도를 그리며 선회하는 것과 같이 이 위성이 따라가는 경로를 기술한다. GPS 책력은 GPS 위성마다 전송하는 데이터 세트이고, GPS 책력은 전체 GPS 위성 별자리의 상태(건강), 및 위성의 궤도마다의 대략의 데이터(coarse data)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GPS 수신기가 현재의 책력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가지고 있을 경우, GPS 수신기는 위성 신호를 획득하고 초기 위치를 보다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
수신기는 각 메시지의 전송 시간을 측정하고 각 위성의 거리를 계산한다.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리적 삼변 측량술이 이들 거리를 위성의 위치와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떤 조건에서, 기존의 독립형(standalone) GPS 장치는 열악한 신호 조건에서 신뢰성 있는 위치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빌딩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경우(다중 경로를 유발), 또는 GPS 장치가 실내나 나무 아래에서 사용될 때 위성 신호들이 쇠약해질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조건에서 처음으로 턴온할 경우, 몇몇 GPS 장치들은 책력과 천체 위치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없게 되어 깨끗한 신호가 40초 동안 연속적으로 수신될 수 있을 때까지 기능을 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어떠한 데이터 비트도 누락하거나 소실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면, 신호를 획득한 이후 방송 메시지로부터 천체 위치를 디코딩할 때까지는 최소한 18초가 걸리게 된다. 실제로는, 천체 위치 데이터를 디코딩할 때, TTFF(Time-To-First-Fix)는 수신기가 하늘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는 환경에 대하여 20 내지 60초 범위에 있게 된다. 도심지 협곡(urban canyon)이나 심지어 실내와 같이 환경이 조악한 경우, 이들을 모두 복구할 수 있다 하더라도 수신기는 데이터 비트를 복구시키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A-GPS 수신기는 보조 서버(assistance server)나 아니면 네트워크로부터의 다른 데이터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을 이용하여 몇 가지 방식으로 이들 문제점들을 다룰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지원은 2개의 카테고리, 즉 좀더 빠르게 위성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또는 원격으로 이뤄지는 계산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GPS 보조 데이터에 관한 몇몇 가능한 형태로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1
가시 위성 리스트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2
예상 GPS 위성 도플러 및 도플러 레이트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3
가시 위성에 대한 방위각(azimuth) 및 앙각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4
GPS 위성 천체 위치 정보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5
GPS 책력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6
위성 클록 보정 항목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7
근사 GPS 시간
Figure 112010040593871-pat00008
정확한 GPS 시간
A-GPS의 단점으로는 수신기가 보조 서버를 액세스하기 위해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카메라와 같은 몇몇 장치들은 내부 GPS 수신기를 포함하거나 사진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덧붙이기 위해 외부 GPS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들은 보조 데이터를 얻기 위해 외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열악한 서비스 지역이나 다른 이유로 말미암아 무선 링크를 통해 보조 서버에 도달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GPS에 의거한 현재의 위치 측정 시스템들에서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기 전에 GPS 수신기가 천체 위치 및 책력 정보와 같은 GPS 데이터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데 많은 지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GPS 보조 데이터를 수신기에 제공할 수 있는 보조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을 사용함으로써, A-GPS 수신기는 이들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도 있지만, GPS 수신기는 이 보조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외부 네트워크로의 액세스가 요구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동 서비스에 있어서 부각되고 있는 다른 경향은 바코드이며, 온라인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유력한 것으로서 급속하게 견인력을 얻고 있다. 어드레스와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저장하는 바코드는 잡지, 간판, 버스, 업무용 명함 또는 사용자들이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임의의 대상에 나타날 수도 있다. 정확한 판독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MS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은 이 바코드의 이미지를 스캐닝할 수 있고 이로 말미암아 MS의 브라우저가 개시되어 프로그래밍이 된 URL로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물리계(physical world)의 대상으로부터 링크하는 동작은 하드링크 또는 물리계 하이퍼링크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들은 또한 자신의 바코드를 다른 사람들이 스캔하도록 생성하거나 프린트할 수 있다.
일차원(1D)과 이차원(2D) 바코드 두 개가 존재한다. 1D 바코드(선형 바코드라고도 함)는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잘 알려진 글로벌 식별 애플리케이션 중에 하나이고 세계 어디에서나 찾아 볼 수 있다. 1D 바코드에 대한 표준은 1970년대 초기부터 발전하여 채용되어 왔다. 1D 바코드는 레이저 기반의 스캐너(현재 판매물 단말에 있으며 유통 경로를 통함) 및 카메라 기반의 판독기에 의해 판독된다. 1D 바코드의 일례를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다른 UPC(Universal Product Code) 바코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UPC는 그 내부에 GTIN(Global Trade Identification Number)이 인코딩되어 있다. 여기서, 첫 번째와 마지막 숫자들은 항상 심벌 외측에 위치하여 바코드 스캐너가 적절하게 동작하는데 필요한 잉여 여백(Quiet Zone)을 지시한다.
2D 바코드는 UPC 코드와 같은 1D 선형 바코드보다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1D 바코드는 더 많은 데이터가 인코딩됨에 따라 더 넓어진다. 반면에, 2D 바코드는 수직적 차원을 사용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패킹하는데 사용한다.
몇몇 2D 바코드 기호들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와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 의해 표준화되어 왔다. ISO/IEC 18004 표준은 QR(Quick Response) 코드라고 하는 2D 바코드 기호를 특정하고 있다. QR 코드의 일례를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QR 2005 코드의 버전 7 심벌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QR 2005 코드 심벌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배열로 배치된 정사각형 모듈로 구조화되어 있고 각각은 인코딩 영역 및 기능 패턴을 포함한다. 인코딩 영역은 포맷 정보(502), 버전 정보(504), 및 데이터와 에러 보정 코드어(506)를 포함한다. 기능 패턴은 파인더(finder) 패턴(512), 세퍼레이터(514), 타이밍 패턴(516), 및 배열 패턴(518)을 포함한다.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는 기능 패턴으로 인코딩되지 않는다. QR 2005 코드 심벌은 사방이 잉여 여백(520)으로 둘러싸여 있다.
QR 2005 코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QR 2005 코드 심벌에는 40개의 크기가 존재하고, 이들을 버전 1, 버전 2, ..., 버전 40이라고 한다. 버전 1은 21 모듈 x 21 모듈을 측정하고, 버전 2는 25 모듈 x 25 모듈을 측정하고 177 모듈 x 177 모듈을 측정하는 버전 40까지 한 변(side)마다 4 모듈의 스텝으로 증가한다. 도 5에 도시된 QR 2005 코드는 QR 코드 심벌의 버전 7의 일례를 나타낸다. QR 2005 코드 심벌의 버전 1을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QR 2005의 버전 1 심벌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QR 2005 코드의 버전 1 심벌은 21 모듈 x 21 모듈을 측정한다. 데이터는 2x4 블록(600)으로 인코딩되고, 각각의 블록은 8비트 데이터, 즉 0~7비트를 포함하고 있다.
2D 코드는 색깔을 채용함으로써 더 높은 비트 밀도를 갖고 인코딩될 수도 있으며, 이것의 일례를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HCCB(High Capacity Color Bar code)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HCCB 코드는 다른 바코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흑백 라인이나 정사각형 대신에, 색칠된 삼각형을 이용하는 바코드의 타입이다. HCCB 코드는 MicrosoftTM 태그(Tag)라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술한 문제점들 및/또는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이하에 기재된 이점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 기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차원(2D) 바코드를 사용하여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을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위치 측정을 보조하는 바코드(bar code)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획득하는 단계; 내부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바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보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로킹(locking)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위치 측정을 보조하는 바코드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GPS 수신기; 내부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기; 및 상기 바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바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보조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바코드 스캐너;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바코드 디코딩 모듈; 및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로킹하고,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 이점, 및 현저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는 다음의 상세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별자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 개의 위성에 의거한 이차원(2D) 위치 측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네 개의 위성에 의거한 삼차원(3D) 위치 측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UPC(Universal Product Code) 바코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QR(Quick Response) 2005 코드의 버전 7 심벌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QR 2005 코드의 버전 1 심벌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HCCB(High Capacity Color Bar code)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제공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제공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 바코드 판독기 장치 및 위치 측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제공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와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와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와 GPS 보조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와 GPS 시간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상에 2D 바코드를 경유 및 보조 서버로부터 GPS 지원를 얻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에 의거한 위치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에 의거한 위치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차트.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하기 쉬운 라벨(label)에 의해 둘러싸인 2D 바코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공급된 암호화된 GPS 지원 또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공급된 압축된 GPS 지원 또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술 및 그 밖의 형태,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기술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부분, 컴포넌트, 및 구조를 참조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범위와 이들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상세를 포함한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기재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과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주지의 기능 및 구조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다.
다음의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단지 발명자에 의해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이 단지 목적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목적이 아님을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문맥상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은 한, 단수의 형태로 사용된 용어는 복수의 지시 대상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컴포넌트 표면"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표면을 참조하고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용어 "실질적으로"에 의해서는, 인용된 특징, 파라미터, 또는 값이 정확하게 언급될 필요가 없지만, 예를 들어 공차, 측정 에러, 측정 정밀도 한계 및 그 밖의 당업자가 알고 있는 요소들과 같은 편차나 변화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발생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동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일반적인 사항으로 본 발명이 임의의 이동국(MS), 손바닥 크기의 개인용 컴퓨터(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hand-held) PC(HPC), 스마트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단말 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용어 "이동 장치"의 사용은 본 발명 개념의 응용을 임의의 형태의 장비 또는 장치에 한정하려고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차원(2D) 바코드(이하 2D 코드로 언급)를 사용하는 위치 측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2D 바코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현재의 발명 원리는 1D 바코드뿐만 아니라 RFID(Radio Frequencey Identification)이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같은 정보를 물리적으로 제시하는 다른 방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QR(Quick Response) 코드는 2D 코드의 일례로서 이하에 기재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QR 코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타입의 바코드를 사용한 때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표준들에 사용되는 용어들을 언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은 OMA(Open Mobile Alliance) 이동 코드 표준뿐만 아니라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5.7 가시광 통신 표준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을 언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설명은 이러한 표준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메커니즘과는 상관없이, 바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능력이 표준화된 메커니즘을 따르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QR 코드와 같은 2D 바코드가 GPS 보조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공급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803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800)은 GPS 수신기(810) 및/또는 보조 서버(820)로부터 GPS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GPS 수신기(810)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참조 GPS 수신기가 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GPS 보조 데이터의 제1 부분이 GPS 수신기(810)로부터 획득되고 GPS 보조 데이터의 제2 부분이 보조 서버(820)로부터 획득된다. GPS 수신기(810) 및/또는 GPS 수신기(810)와 연관된 GPS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하늘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도록 위치된다. GPS 수신기(810)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800)의 근방(20 내지 30km) 내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GPS 수신기(810)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800)의 상대적 근접성 때문에, 가시적 위성의 리스트는 GPS 수신기(810)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800)에 대하여 사실상 동일하다. 805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800)은 내부에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2D 바코드를 생성한다. 807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800)은, 그 내부에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있는 2D 바코드를 표시한다.
카메라와 같은 2D 바코드 판독기가 탑재된 위치 측정 장치(830)는 835단계에서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833단계에서 그 2D 바코드를 스캔한다. GPS 보조 데이터는 위치 측정 장치(830) 내에 있는 GPS 수신기로 보내진다. 다른 방법으로는, GPS 보조 데이터는 보다 신속한 위치 결정에 외부 장치에 의한 사용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도 있다. 837단계에서 GPS 수신기는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위성에 로킹하고 839단계에서 위치 측정 장치(830)의 위치를 결정한다.
GPS 보조 데이터가 2D 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획득될 경우, GPS 수신기가 수십 초 걸리는 내비게이션 데이터 비트의 디코딩 작업을 더 이상 행하지 않기 때문에 TTFF(Time-To-First-Fix)는 감소한다. 대신에, 2D 바코드로 인코딩된 GPS 보조 데이터는 위성 궤도와 클록 파라미터 값을 GPS 수신기에 제공한다. 위치 측정 장치(830)는 GPS 수신기가 각각의 가시적 위성에 대하여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을 대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 짧아진 TTFF는 감소한 전력 소비를 초래하게 된다. 2D 바코드에 의해 제공된 GPS 보조 데이터로 인해, 검색 공간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하고 TTFF는 수 분에서 수 초로 짧아진다. 예를 들어, 천체 위치 데이터가 위성에 의해 매 30초마다 전송되지만, 매 2시간마다 갱신되고 4시간 동안 유효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천체 위치 데이터는 2시간 전의 것일 수도 있고, 4시간 전의 것인 천체 위치 데이터가 위치를 계산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4시간 전의 데이터는 위성의 실제 위치를 지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신속한 TTFF가 필요할 경우, GPS 수신기가 시간을 설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10초 이내의 위치 고정을 제공하게 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천체 위치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례를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900)은 GPS 수신기 모듈(902), 네트워크 데이터 검색 모듈(904), 바코드 생성 모듈(906), 디스플레이 모듈(908), 프로세싱 모듈(910), 저장 모듈(912), 입력 모듈(914), 및 전력 모듈(916)을 포함한다.
GPS 수신기 모듈(902)은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GPS 신호를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다. GPS 수신기 모듈(902)은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참조 GPS 수신기가 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데이터 검색 모듈(904)은 GPS 보조 데이터를 보조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바코드 생성 모듈(906)은, 그 내부에 인코딩되어 있는 GPS 수신기 모듈(902)과 네트워크 데이터 검색 모듈(904)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GPS 보조 데이터를 갖는 2D 바코드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908)은 바코드 생성 모듈(906)에 의해 생성된 2D 바코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모듈(908)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임의의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모듈(910)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9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 모듈(912)은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또는 다른 모듈의 동작 실행에 있어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모듈(914)은 그 밖의 모듈들 중에서 임의의 모듈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전력 모듈(916)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9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동작에 있어서,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수신기(902)에 의해 및/또는 네트워크 데이터 검색 모듈(904)을 통하여 획득되고, 2D 바코드 생성기(906)에 전달하여 2D 바코드에 매핑된다. 2D 바코드는 디스플레이 모듈(908)에 표시된다. GPS 보조 데이터는 저장 모듈(912)에 장래에 사용을 위해 저장될 수도 있다.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900)의 다른 모듈들은 분산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어서, 몇몇 모듈들은 다른 모듈들과는 다른 물리적 위치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GPS 수신기 및/또는 GPS 안테나(1002)는, 하늘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는 지붕 위와 같은 구조물(1008)의 외측에 위치된다. 반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006)은 구조물의 내측에 위치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디스플레이 모듈(1006)은 GPS 신호의 수신에 방해되는 도심지 협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수신기(1002)에 의해 획득되고 2D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004)에 전달되어 2D 바코드에 매핑되고,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 모듈(1006)에 의해 표시된다.
열악한 환경에서의 2D 코드를 경유한 GPS 보조 데이터의 이용가능성은 TTFF를 저감시키고 보다 신속한 위치 정보를 위치 측정 장치들에게 제공하게 된다. 일단 위치 측정 장치가 2D 바코드에 의해 제공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을 경우, 위치 측정 장치는 한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 중일 경우 자신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GPS 신호가 더 미약한 환경에서 내비게이션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LBS(Location Based Service)의 성능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위치 측정 장치의 일례를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참조하면, 위치 측정 장치(1100)는 바코드 스캐닝 모듈(1102), 바코드 디코딩 모듈(1104), GPS 수신기 모듈(1106), 프로세싱 모듈(1108), 저장 모듈(1110), 입력 모듈(1112), 출력 모듈(1114), 및 전력 모듈(1116)을 포함한다.
바코드 스캐너 모듈(1102)은 2D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바코드 데이터를 바코드 디코딩 모듈(1204)에 제공한다. 바코드 디코딩 모듈(1204)은, 그 내부에 인코딩되어 있는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2D 바코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GPS 수신기 모듈(1106)은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프로세싱 모듈(1108)은 위치 측정 장치(1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 모듈(1110)은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 또는 GPS 보조 데이터와 같이 다른 모듈의 임의 동작 실행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모듈(1112)은 그 밖의 모듈들 중에서 임의의 모듈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출력 모듈(1114)은 위치 정보 또는 LBS에 관한 정보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출력 모듈(1114)은 LCD, OLED 등과 같은 임의의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모듈(1116)은 위치 측정 장치(1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위치 측정 장치(1110)는 위치 정보에 액세스를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LBS로 이용될 수도 있다.
동작에 있어서, 2D 바코드는 2D 바코드 스캐닝 모듈(1102)에 의해 사용된다. 2D 바코드 데이터에 인코딩된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2D 바코드 디코딩 모듈(1104)에 의해 결과적인 2D 바코드 데이터가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GPS 위성 신호들이 로킹되어 있을 때, 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수신기 모듈(1106)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위치 측정 장치(1100)의 모듈들은 바코드를 이용함으로써 목표하는 개선된 위치 측정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장치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례를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제공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코드 판독기 장치 및 위치 측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와 위치 측정 장치(1230)가 도시되어 있다.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는 바코드 스캐닝 모듈(1202), 바코드 디코딩 모듈(1204), 통신 모듈(1206), 프로세싱 모듈(1208), 저장 모듈(1210), 입력 모듈(1212), 출력 모듈(1214), 및 전력 모듈(1216)을 포함한다.
바코드 스캐닝 모듈(1202)은 2D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바코드 데이터를 바코드 디코딩 모듈(1104)에 제공한다. 바코드 디코딩 모듈(1204)은, 그 내부에 인코딩되어 있는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2D 바코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통신 모듈(1206)은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GPS 보조 데이터를 위치 측정 장치(1230)에 전송한다. 프로세싱 모듈(1208)은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 모듈(1210)은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 또는 GPS 보조 데이터와 같이 다른 모듈의 임의 동작 실행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모듈(1212)은 그 밖의 모듈들 중에서 임의의 모듈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출력 모듈(1214)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출력 모듈(1214)은 LCD, OLED 등과 같은 임의의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모듈(1216)은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에 전력을 공급한다.
위치 측정 장치(1230)는 통신 모듈(1232), GPS 수신기 모듈(1234), 프로세싱 모듈(1236), 저장 모듈(1238), 입력 모듈(1240), 출력 모듈(1242), 및 전력 모듈(1244)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1232)은 유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수신한다. GPS 수신기 모듈(1234)은 통신 모듈(1232)이 수신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신호를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고 이에 로킹된다. 프로세싱 모듈(1236)은 위치 측정 장치(12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 모듈(1238)은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 또는 GPS 보조 데이터와 같이 다른 모듈의 임의 동작 실행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모듈(1240)은 그 밖의 모듈들 중에서 임의의 모듈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출력 모듈(1242)은 위치 정보 또는 LBS에 관한 정보와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출력 모듈(1242)은 LCD, OLED 등과 같은 임의의 이용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력 모듈(1244)은 위치 측정 장치(1230)에 전력을 공급한다. 위치 측정 장치(1230)는 위치 정보에 액세스를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LBS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코드 판독 기능들을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에 구현하고 위치 측정 기능들은 위치 측정 장치(1230)에 구현한다. 이러한 배치에서,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는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디코딩하여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한다.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GPS 보조 데이터를 위치 측정 장치(1230)에 전달한다. 유선 통신의 일례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경유한 통신을 들 수 있다. 무선 통신의 예로는 Wi-Fi와 BluetoothTM을 포함한다.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 및 위치 측정 장치(1230)의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MS가 될 수도 있다. 도 12의 바코드 판독기 장치(1200) 및 위치 측정 장치(1230)의 실시의 일례를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제공된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코드 스캐닝 기능을 갖는 MS(1304)가 1303단계에서 GPS 보조 데이터로 인코딩된 2D 바코드(1302)를 스캐닝한다. 여기서, MS(1304)는 스캐닝된 2D 바코드(1302)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한다. 1305단계에서, MS(1304)는 GPS 보조 데이터를 GPS 유닛(1306)에 전송한다. 통신은 BluetoothTM 접속을 통해 행해질 수도 있다. 여기서, GPS 유닛(1306)은 GPS 신호에 로킹하기 위해 GPS 보조 데이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표시된 2D 바코드는,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이 대신에, 이것의 2D(즉, 위도 및 경도) 위치 또는 3D(즉, 위도, 경도, 및 고도) 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2D 또는 3D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하에서는 위치 데이터라 한다.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2D 또는 3D 위치에 관한 정보는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와 같은 표준 포맷으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위치 데이터 및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바코드의 생성 프로세스의 일례를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및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GPS 보조 데이터(1404)는 GPS 수신기(1402)로부터 획득하고, 이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원격에 위치될 수도 있다. GPS 보조 데이터(1404)는 바코드 생성 모듈(1406)로 입력된다.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데이터(1408)는 바코드 생성 모듈(1406)로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 데이터(1408)는 GPS 수신기(1402)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바코드 생성 모듈(1406)은 GPS 보조 데이터(1404)와 위치 데이터(1408)를 2D 바코드로 인코딩하고, 생성된 2D 바코드(1410)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어 위치 측정 장치가 이용가능하게 준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코드를 스캐닝할 때 위치 측정 장치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과 충분히 근접하다고 가정할 경우, 위치 측정 장치들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데이터(1408)에 의거한 이들의 근사 위치뿐만 아니라, GPS 보조 데이터(1404)를 획득할 수도 있다. 위치 데이터(1408)뿐만 아니라 GPS 보조 데이터(1404)를 획득함으로써, 수신된 GPS 신호들이 미약하더라도, 위치 측정 장치는 자신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보조 데이터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모두는 GPS 수신기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으며, 이것의 일례를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와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GPS 보조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1504)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에 배치될 수도 있는 GPS 수신기(1502)로부터 획득된다. GPS 수신기(1502)는 GPS 보조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1504)를 획득하기 위해 GPS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GPS 보조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1504)는 바코드 생성 모듈(1506)로 입력된다. 바코드 생성 모듈(1506)은 GPS 보조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1504)를 2D 바코드로 인코딩하고 생성된 2D 바코드(1508)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어 위치 측정 장치가 이용가능하게 준비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504)이 노매딕(nomadic) 또는 모바일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측정 장치들은 이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 보조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로세싱 및 전력 자원을 절약하게 된다. 위치 정보로의 액세스가 요구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GPS 보조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는 근방에 있는 2D 바코드를 스캐닝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보조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 모두는 각각 2D 바코드로 인코딩되어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것의 일례를 도 1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데이터와 GPS 보조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GPS 보조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1604)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에 배치될 수도 있는 GPS 수신기(1602)로부터 획득된다. GPS 수신기(1602)는 GPS 보조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1604)를 획득하기 위해 GPS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GPS 보조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1604)는 바코드 생성 모듈(1606)로 입력된다. 바코드 생성 모듈(1606)은 GPS 보조 데이터를 제1 2D 바코드(1608)로 인코딩하고 위치 데이터를 제2 2D 바코드(1610)로 인코딩한다. 생성된 2D 바코드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1 2D 바코드(1608) 및 제2 2D 바코드(161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이용하여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GPS 보조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바코드 생성 모듈(1606) 내로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GPS 보조 데이터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데이터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바코드 생성 모듈(1606) 내로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GPS 보조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는 많은 다른 조합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천체 위치 데이터, 책력 데이터 및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세 개의 분리된 2D 바코드들로 표시할 수도 있다. 천체 위치 데이터 및 책력 데이터를 다중 송신하고, 2009년 9월 16일에 출원된 "2D 바코드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제목의 미국 특허 출원 12/561,0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위치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2D 바코드들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전체 개시 내용을 여기에 참고로 채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안테나가 차량에 탑재되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가 제공되고, 이것의 일례를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GPS 안테나(1704)는 버스와 같은 차량(1702)의 상단에 탑재되어 있고, GPS 안테나는 하늘에 대해 방해받지 않은 시야를 갖는다. GPS 안테나에서 수신된 GPS 신호들은 GPS 수신기 및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706)에 입력된다. 그런 다음, GPS 데이터는 2D 바코드(1702)로 인코딩되고 차량(1702)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어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들이 알아볼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다른 차량에 탑재된 위치 측정 장치들이나 보행자들이 지니고 있는 위치 측정 장치들로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위치 데이터와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코드 디스플레이들은 교통 신호등 지주에 위치되거나 요금 징수소에 위치될 수도 있어서 차량이나 보행자들이 이들 코드를 스캐닝하고 GPS 데이터뿐만 아니라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들은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GPS 수신기 또는 보조 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보조 데이터의 몇 부분들만이 2D 바코드로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GPS 수신기는 2D 위치(즉, 위도 및 경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세 개의 위성에서의 신호에 로킹될 필요가 있다. 위성들은 상당히 정확한 원자 클록(atomic clock)을 구비하고 있는 반면에, GPS 수신기는 정확성이 많이 떨어지지 않고 저렴한 클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과적으로, GPS 수신기는 GPS 전파(radio wave)가 위성들로부터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부정확한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 시간 에러를 보정하기 위하여 제4 위성 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GPS 시간 정보는 2D 바코드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것의 일례를 도 1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및 GPS 시간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2D 바코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GPS 시간 정보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804)의 위치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에 배치될 수도 있는 GPS 수신기(1802)로부터 획득된다. GPS 수신기(1802)는 GPS 시간 정보와 위치 데이터(1804)를 획득하기 위하여 GPS 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GPS 시간 정보와 위치 정보(1804)는 바코드 생성 모듈(1806)로 입력된다. 바코드 생성 모듈(1806)은 GPS 시간 정보를 제1 2D 바코드(1808)로 인코딩하고 위치 데이터를 제2 2D 바코드(1810)로 인코딩한다. 생성된 2D 바코드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1 2D 바코드(1808)와 제2 2D 바코드(181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사용하여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GPS 보조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바코드 생성 모듈(1806) 내로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GPS 보조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는 도 14에 나타내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바코드 생성 모듈(1606) 내로 입력될 수도 있다.
GPS 시간 정보가 2D 바코드를 사용하여 제공될 경우, GPS 수신기는 더 적은 수의 위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GPS 시간 정보가 하늘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는 안테나 또는 보조 서버를 갖는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되기 때문에, 이는 GPS 신호들이 미약하거나 또는 단지 몇 개의 위성들만이 보이는 열악한 조건에서 위치 정보가 계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보조 데이터의 몇몇 부분들은 무선 링크를 통하여 보조 서버로부터 획득되고, 반면에 다른 부분의 GPS 보조 데이터는 2D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획득되며, 이것의 일례를 도 19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링크 상에 2D 바코드를 경유 및 보조 서버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902)은 위치 측정 장치(1910)에 의해 표시되고 스캐닝되는 위치 데이터 및/또는 GPS 보조 데이터를 갖는 2D 바코드(1904)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GPS 보조 서버(1906)는 위치 데이터 및/또는 GPS 보조 데이터를 무선 시스템(1908)을 통해 위치 측정 장치(1910)에 제공한다. 무선 시스템(1908)은 셀룰러 시스템 또는 Wi-Fi 링크일 수도 있다. 보조 서버(1906)에 의해 제공된 위치 데이터 및/또는 GPS 보조 데이터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902)에 의해 제공된 위치 데이터 및/또는 GPS 보조 데이터와 다르거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GPS 수신기(1912)를 이용하여 그의 위치를 결정할 때에, 위치 측정 장치(1910)는 보조 서버(1906) 및/또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1902)에 의해 제공된 위치 데이터 및/또는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한다. 여기서, 위치 측정 장치(1910)는 다른 자원으로부터 획득된 위치 데이터 또는 GPS 보조 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가중치를 연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측정 장치(1910)는 GPS 신호를 직접 수신함으로써 결정된 위치보다 바코드를 통해 획득된 위치 데이터에 우선 순위를 둘 수도 있다. 이는 미약한 신호 강도 또는 다중 경로 전파 등과 같은 수많은 이유 중 어떤 것에 의해서, 지원 없이 GPS 단독만으로는 때때로 잘못된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D 바코드에 의거하여 위치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 2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에 의거하여 위치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2002단계에서 2D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바코드 데이터로 디코딩한다. 2004단계에서, 바코드 데이터가 GPS 보조 데이터인지 위치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바코드 데이터가 GPS 보조 데이터나 위치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2006단계에서 바코드 데이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만일 바코드 데이터가 GPS 보조 데이터 또는 위치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2008단계에서 위치 애플리케이션이 호출된다. 그런 다음,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위치 애플리케이션은 위치 정보를 요구하는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2D 바코드에서 비트 필드는 2D 바코드로 인코딩된 데이터(예를 들어, GPS 지원 또는 위치 데이터) 타입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GPS 보조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2D 바코드를 스캐닝할 때에 사진을 촬상하기 바로 전후에 GPS가 장착된 카메라가 촬상한 사진에 위치 정보가 첨부된다.
GPS 보조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형성된 2D 바코드를 갱신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 2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에 의거하여 위치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2102단계에서 GPS 보조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가 수신된다. 2104단계에서, GPS 보조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이후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GPS 보조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이후로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2106단계에서 현재 표시된 2D 바코드를 계속해서 표시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만일 GPS 보조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가 마지막으로 갱신된 이후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2108단계에서, 변경된 GPS 보조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새로운 2D 바코드가 생성된다. 그런 다음,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여기서, GPS 데이터 및/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2D 바코드가 LCD, OLED 또는 유사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2D 바코드 이미지가 새로이 표시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된 2D 바코드는 사용하기 쉬운 라벨에 의해 둘러싸여 사용자가 다른 표시된 바코드들 가운데서 이것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며, 이것의 일례를 도 22에 나타낸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하기 쉬운 라벨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2D 바코드를 도시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그 내부에 인코딩되어 있는 GPS 보조 데이터를 갖는 2D 바코드(2202)가 도시되어 있다. 2D 바코드(2202)는, 2D 바코드(2202)를 위치 측정 서비스를 위한 2D 바코드로 식별하는 라벨(220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2D 바코드(2202)를 위치 서비스를 위한 2D 바코드로서 식별하는 라벨(2204)의 표시 및 그 내부에 인코딩되어 있는 GPS 보조 데이터를 갖는 2D 바코드의 표시 사이에서 토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2D 바코드가 표시될 때 스캐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GPS 보조 데이터"와 같은 표시를 나타낼 경우, 사용자는 스캐닝을 실행하기 위해 이 표시가 2D 바코드로 토글될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GPS 지원 또는 위치 데이터는 유효한 암호 해독 키를 가진 사용자들만이 보조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암호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암호화된 GPS 지원 또는 위치 데이터의 사용례를 도 2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제공된 암호화된 GPS 지원 또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2303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300)은 GPS 수신기(2310) 및/또는 보조 서버(2320)로부터 GPS 데이터를 획득한다. GPS 수신기(2310)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들로부터 GPS 신호들을 수신하는 참조 GPS 수신기가 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보조 데이터의 제1 부분을 GPS 수신기(2310)로부터 획득하고 보조 데이터의 제2 부분을 보조 서버(2320)로부터 획득한다. GPS 수신기(2310)와 연관된 GPS 수신기(2310) 및/또는 GPS 안테나는 하늘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게 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GPS 수신기(2310)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300)의 근방(20 내지 30km) 내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GPS 수신기(2310)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300)의 상대적 근접성 때문에, 가시적 위성의 리스트는 GPS 수신기(2310)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300)에 대하여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2305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800)은 GPS 보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그 내부에 인코딩되어 있는 암호화 GPS 보조 데이터를 갖는 2D 바코드를 생성한다. GPS 보조 데이터는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도 있다. 2307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3400)은 암호화 GPS 보조 데이터가 그 내부에 인코딩되어 있는 2D 바코드를 표시한다.
카메라와 같은 2D 바코드 판독기가 탑재된 위치 측정 장치(2330)는 2333단계에서 바코드를 스캐닝한다. 2335단계에서, 바코드 데이터는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유효한 암호 해독 키를 이용하여 해독된다. 그런 다음, GPS 보조 데이터는 위치 측정 장치(2330) 내에 있는 GPS 수신기로 전달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GPS 보조 데이터는 보다 신속한 위치 결정에 외부 장치에 의한 사용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도 있다. 2337단계에서 GPS 수신기는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위성에 로킹하고 2339단계에서 위치 측정 장치(2330)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D 바코드로 인코딩된 보조 또는 위치 데이터는 호프만(Huffman) 또는 렘펠-지브(Lempel-Ziv) 코딩법과 같은 주지의 무손실 데이터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위치 측정 장치는 압축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2D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압축 보조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하는 데이터를 복원(decompression)한다. 압축 GPS 보조 또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일례를 도 2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D 바코드를 통해 제공된 압축 GPS 보조 또는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는 GPS 위치 측정을 도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2403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400)은 GPS 수신기(2410) 및/또는 보조 서버(2420)로부터 GPS 데이터를 획득한다. GPS 수신기(2410)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들로부터 GPS 신호들을 수신하는 참조 GPS 수신기가 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GPS 보조 데이터의 제1 부분이 GPS 수신기(2410)로부터 획득되고 GPS 보조 데이터의 제2 부분이 보조 서버(2420)로부터 획득된다. GPS 수신기(2410) 및/또는 GPS 수신기(2410)와 연관된 GPS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하늘의 시야를 방해받지 않도록 위치된다. GPS 수신기(2410)는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400)의 근방(20 내지 30km) 내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GPS 수신기(2410)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400)의 상대적 근접성 때문에, 가시적 위성의 리스트는 GPS 수신기(2410)와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400)에 대하여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2405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400)은 인코딩된 GPS 보조 데이터를 갖는 2D 바코드를 생성한다. 2407단계에서,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2400)은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있는 2D 바코드를 표시한다.
카메라와 같은 2D 바코드 판독기가 탑재된 위치 측정 장치(2430)는 2433단계에서 이 바코드를 스캔한다. 2435단계에서, 바코드 데이터는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복원된다. 그런 다음, GPS 보조 데이터는 위치 측정 장치(2430) 내에 있는 GPS 수신기로 전달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GPS 보조 데이터는 보다 신속한 위치 결정에 외부 장치에 의한 사용을 위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도 있다. 2437단계에서 GPS 수신기는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위성에 로킹하고 2439단계에서 위치 측정 장치(2430)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첨부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형태 및 상세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810: GPS 수신기 820: 보조 서버
800: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 807: 2D 바코드
830: 위치 측정 장치 900: GPS 데이터 디스플레이 유닛
902: GPS 수신기 904: 네트워크 데이터 검색 모듈
906: 2D 바코드 생성 모듈 908: 디스플레이 모듈
910: 프로세싱 모듈 912: 저장 모듈
914: 입력 모듈 916: 전력 모듈

Claims (40)

  1.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위치 측정을 보조하는 바코드(bar code)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측정에 이용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GPS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이동 단말 자신의 위치 측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이차원(2D) 바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수신기 및 보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서버로부터 획득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는 내부에 상기 위치 데이터 및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모두 인코딩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내부에 상기 위치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에 상기 위치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상기 바코드 및 상기 내부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바코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내부에 상기 변경된 GPS 보조 데이터로 인코딩되는 새로운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새로운 바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위치 측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코드를 식별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가 생성되기 전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가 생성되기 전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생성 방법.
  12. 이동 단말에서 바코드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에 있어서,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로킹(locking)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이차원(2D) 바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근사 위치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다른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된 다른 바코드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위치 데이터에 의거하여 근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코드 및 상기 다른 바코드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스캐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가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가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위치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해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복원(uncompress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방법.
  2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이동 단말 자신의 위치 측정에 이용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GPS 수신기;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기; 및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이동 단말 자신의 위치 측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코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이차원(2D) 바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상기 GPS 수신기 및 보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상기 보조 서버로부터 획득될 경우,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보조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기 및 상기 GPS 수신기와 연관된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하늘의 시야가 방해받지 않도록 위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하늘의 시야가 방해받는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기는,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바코드 생성기는 내부에 상기 위치 데이터 및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모두 인코딩되는 상기 바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기는,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바코드 생성기는 내부에 상기 위치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다른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바코드 및 상기 다른 바코드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가 변경될 경우, 상기 바코드 생성기는 내부에 상기 변경된 GPS 보조 데이터가 인코딩되는 새로운 바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새로운 바코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위치 측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코드를 식별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기는,
    상기 바코드가 생성되기 전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기는,
    상기 바코드가 생성되기 전에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바코드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바코드를 스캐닝하는 바코드 스캐너;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로부터 GPS 보조 데이터를 획득하는 바코드 디코딩 모듈; 및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로킹하고,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이차원(2D) 바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스캐너 및 상기 바코드 디코딩 모듈은,
    바코드 판독기에 포함되고, 상기 바코드 판독기는 제1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 수신기는 위치 측정 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위치 측정 장치는 제2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전송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선 및 유선 통신 중 하나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디코딩 모듈은,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근사 위치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스캐너는,
    다른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바코드 디코딩 모듈은 상기 스캐닝된 다른 바코드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GPS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근사 위치를 판단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바코드 및 상기 다른 바코드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스캐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GPS 보조 데이터는,
    GPS 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된 바코드가 GPS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위치 애플리케이션이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디코딩 모듈은,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디코딩 모듈은,
    상기 GPS 보조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KR1020100059887A 2009-06-24 2010-06-24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723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940009P 2009-06-24 2009-06-24
US61/269,400 2009-06-24
US12/816,864 US8368594B2 (en) 2009-06-24 2010-06-16 Techniques for bar code assisted positioning
US12/816,864 2010-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835A KR20100138835A (ko) 2010-12-31
KR101723620B1 true KR101723620B1 (ko) 2017-04-06

Family

ID=4351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887A KR101723620B1 (ko) 2009-06-24 2010-06-24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5848B1 (en) * 2017-12-08 2020-11-11 Centre National d'Etudes Spatiales Device and method to detect spoofing of a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241A (ja) * 2001-11-22 2003-05-30 Fuji Photo Film Co Ltd 位置証明装置、時刻証明装置、位置認証装置、時刻認証装置、位置認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6292611A (ja) * 2005-04-13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測位装置
US7933234B2 (en) 2003-07-17 2011-04-26 Ntt Docomo, Inc. Guide apparatus, guide system, and guid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468A (ja) * 2005-10-06 2009-03-1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初期gps信号を取得する方法及びそれによ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241A (ja) * 2001-11-22 2003-05-30 Fuji Photo Film Co Ltd 位置証明装置、時刻証明装置、位置認証装置、時刻認証装置、位置認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7933234B2 (en) 2003-07-17 2011-04-26 Ntt Docomo, Inc. Guide apparatus, guide system, and guide method
JP2006292611A (ja) * 2005-04-13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測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835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8594B2 (en) Techniques for bar code assisted positioning
EP18405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ltitude information in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JP4255441B2 (ja) Gpsシステム用インターフェース
US63075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data to a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US7948437B2 (en)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os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ransmitter
JP4613334B2 (ja) 衛星航法システムにおける衛星軌道情報の伝送方法及びそれらの装置
JP2012230111A (ja) 全地球ナビゲーション衛星システム
KR101419339B1 (ko) 위성항법 보정시스템의 보정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U2008297766B2 (en) Survivor loca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earch and rescue beacon equipped with navigation chipset
RU2439604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оборудование пользователя, элемент сети и программный продукт для передачи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данных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в универсальном формате
Sahoo et al. Integrating GPS, GSM and cellular phone for location tracking and monitoring
KR101723620B1 (ko) 바코드 보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US6326916B1 (en) Signal conversion device for coupling RTCM correction data to a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Mulassano et al. 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An enabling technology for high demanding location-based services
KR100399703B1 (ko) 공중파 부가방송을 이용한 디지피에스 정보 자료처리부내장형 고정밀 지피에스 칩셋
Shahid Study of the Impact of Dual-Band GNSS in Urban Environment
JP2004144480A (ja) Gps信号受信装置
CN117295977A (zh) 智能穿戴设备的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050118910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gps의 콜드 스타트 시간단축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476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retrieval of gps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