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125B1 -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 Google Patents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125B1
KR101723125B1 KR1020150107076A KR20150107076A KR101723125B1 KR 101723125 B1 KR101723125 B1 KR 101723125B1 KR 1020150107076 A KR1020150107076 A KR 1020150107076A KR 20150107076 A KR20150107076 A KR 20150107076A KR 101723125 B1 KR101723125 B1 KR 101723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chopstick
present
delete delete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175A (ko
Inventor
이은솔
Original Assignee
이은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솔 filed Critical 이은솔
Priority to KR1020150107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1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을 집어 먹을 수 있도록 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늘고 긴 형태의 젓가락에 있어 젓가락의 중간부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젓가락의 선단에는 확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확장부의 하측으로는 파형부를 각기 형성함에 따라,
평평한 식탁 상면 등에 올려진 젓가락은 젓가락의 하단부가 식탁 상면으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이므로 식탁으로부터 젓가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젓가락의 음식물이 식탁 상면에 묻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젓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젓가락의 후측부가 식탁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떠 있어 더욱 손쉽고 빠르게 젓가락을 들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젓가락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젓가락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지 아니하므로 초보자 혹은 미숙련자라 할지라도 젓가락을 사용함에 있어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Health chopsticks}
본 발명은 음식을 집어 먹을 수 있도록 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젓가락의 구조를 개선하여 손으로부터 젓가락이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젓가락의 하단부가 식탁 상면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젓가락이 오염되거나 식탁 상면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한 위생 젓가락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숟가락과 함께 가장 널리 쓰이는 식사 도구의 하나로서, 한 쌍의 기다란 막대기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단이 하단보다 굵은 모양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젓가락은 나무나 금속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고, 하단 외면에는 거친 가공부를 형성하여 젓가락으로 집은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며, 젓가락의 선단 외면에는 다양한 장식 무늬를 형성하여 고급스러운 장식성이 연출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목재와 금속재를 혼합하여 젓가락을 만들기도 하고 금속재를 이용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것으로도 제작하여 사용상의 편리성과 함께 우수한 장식성이 연출되도록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젓가락들은 가늘고 긴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젓가락의 특성상 항상 식탁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식탁 상면이 지저분한 경우에 젓가락이 오염되어 사용자가 이를 그대로 섭취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젓가락에 음식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이를 식탁 상면에 내려놓을 경우 식탁 상면에 음식물이 그대로 묻어 지저분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늘고 긴 젓가락은 쉽게 집어들기가 불편한 것으로 납작한 형태의 젓가락은 평평한 상태의 식탁 상면으로부터 손쉽게 집어들지 못하므로 부득이 식탁 상면의 끝단으로 젓가락을 옮긴 후 집어들게 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젓가락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보다 선단이 굵은 테이퍼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으나, 금속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만들어지는 젓가락의 특성상 반복적인 사용시 사용자의 손에서 하나 또는 한 쌍의 젓가락 모두가 점차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젓가락을 다시 잡아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갖고 있는 것이고, 젓가락의 사용이 원활하지 못한 사용자의 경우 한쪽의 젓가락만 계속하여 미끄러져 내려가므로 사용이 더욱 불편한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가늘고 긴 형태의 젓가락에 있어 젓가락의 중간부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젓가락의 선단에는 확장부를 형성하며 상기 확장부의 하측으로는 파형부를 각기 형성함에 따라,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는 젓가락의 하단부가 식탁 상면에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상기 확장부에 의해서는 젓가락을 손쉽게 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파형부에 의해서는 젓가락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젓가락을 더욱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보다 선단이 굵은 형태의 가늘고 긴 젓가락에 있어서, 젓가락의 하단에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철부의 상측으로는 볼록부를 형성하며, 상기 젓가락의 선단에는 확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장부의 하측으로는 파형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철부에 의해서는 음식물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게 하고, 상기 볼록부에 의해서는 상기 요철부가 식탁 상면에 닿는 것이 방지되게 하며, 상기 확장부 및 파형부에 의해서는 젓가락이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평평한 식탁 상면 등에 올려진 젓가락은 젓가락의 하단부가 식탁 상면으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이므로 식탁으로부터 젓가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젓가락의 음식물이 식탁 상면에 묻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젓가락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젓가락의 후측부가 식탁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떠 있어 더욱 손쉽고 빠르게 젓가락을 들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젓가락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젓가락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지 아니하므로 초보자 혹은 미숙련자라 할지라도 젓가락을 사용함에 있어 더욱 간편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정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이 식탁에 올려져 있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볼록부에 대한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을 응용한 식사도구의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의 정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젓가락은 기존과 같이 가늘고 긴 막대기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하단에 비하여 상단이 굵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속 또는 목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젓가락(10)은 단면상 원형 또는 정사각이나 직사각 혹은 삼각이나 타원형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금속재와 목재 및 합성수지를 다양하게 혼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젓가락(10)은 하단 외면에 반복되는 요홈 형태 혹은 격자 형태 등의 요철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철부(11)에 의해 젓가락을 이용하여 집어 올린 음식물이 젓가락으로부터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젓가락(10)의 중간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볼록부(12)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볼록부(12)에 의해 본 발명의 젓가락(10)이 식탁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젓가락(10)을 도 3의 도시와 같이 평평한 식탁 상면 등에 내려놓을 경우 젓가락(10)의 하단은 상기 볼록부(12)에 의해 식탁 상면으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오염된 식탁 상면으로부터 젓가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젓가락(10)에 남아 있던 음식물이 식탁 상면으로 지저분하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젓가락(10)은 선단에 확장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확장부(13)는 젓가락의 선단으로부터 곡면 형태를 갖고 외향 확장되어 있어 상기 확장부(13)에 의해 도 3의 도시와 같이 식탁 상면 등에 놓인 상태의 젓가락은 젓가락의 선단부가 식탁 상면으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가 이루어져 젓가락을 집거나 사용함에 있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젓가락(10)은 상기 볼록부(12)에 의해 젓가락의 하단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상기 확장부(13)에 의해서는 젓가락의 선단이 식탁 상면으로부터 들떠 있는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젓가락을 빠르고 간편하게 집어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부(13)의 하측인 젓가락(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파형부(14)는 상,하 반복적인 파형의 단면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젓가락(10)을 쥐고 사용하는 경우 미숙련자이거나 초보자인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파형부(14)로 인해 손으로부터 젓가락(1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견고한 파지 및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위생 젓가락은 더욱 청결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젓가락을 사용함에 있어서도 더욱 간편하고 신속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효율적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젓가락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젓가락(10)의 볼록부(12)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볼록부(12)에 해당하는 위치에 끼움홈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15)에 대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인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진 연질 탄력재로 된 링체(2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의 링체(20)로 인한 볼록부(12)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링체(20)에 대한 외경의 조절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링체(20)를 다양한 색상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흥미로움과 함께 고급스러운 장식성이 연출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젓가락(10)의 확장부(13) 상면에 대하여 요홈 형태로 된 나사홈(13a)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홈(13a)을 이용하여 별도로 구비된 컬러버튼(3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상기의 컬러버튼(30)은 저면에 상기 나사홈(13a)과 대응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컬러버튼(30)의 회전을 통해 견고하게 나사 결합하면 상기 확장부(13)에 대하여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컬러버튼(30)은 젓가락(10)에 대하여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는 동시에 다양한 색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할 것이므로,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각자 고유의 색상으로 만들어진 컬러버튼(30)을 조립 사용할 수 있어 자신의 젓가락에 대한 지정 및 해당 젓가락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위생적인 사용은 물론 흥미로움까지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확장부(13)에 대하여 요홈 형태로 된 나사홈(13a)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홈(13a)에 대하여 별도의 장식표시구(40)를 나사 결합 형성하되, 상기 장식표시구(40)는 저면에 나사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평평한 형태로 된 인쇄부(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인쇄부(42)에는 상호 혹은 다양한 케릭터나 문구 등을 인쇄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어 이러한 장식표시구(40)를 상기 확장부(13)의 상측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장식표시구(40)에 의해 식당이나 카페 혹은 각종 휴게 및 편의시설에서 사용되는 경우 해당 영업장에 대한 홍보 및 광고 효과가 사용자로 하여금 지속될 수 있는 것이고, 타영업장과의 혼용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젓가락(10)의 상부 즉, 확장부(13)과 파형부(14)의 사이에 별도로 구비된 연질튜브(50)를 끼워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연질튜브(50)의 선단은 확장부(13)의 곡면에 의해 확장된 형태를 갖고 연질튜브(50)의 하단은 파형부(14)에 의해 오므라든 형태를 갖고 결합될 것인바, 상호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연질튜브(50) 자체의 장식성 및 다양한 색상으로의 제작을 통해 고급스러움과 뛰어난 장식성을 연출하는 것이고, 연질튜브(50)로 인해 젓가락(10)이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젓가락(10)의 중간부를 절단을 통해 분할 형성하되, 일측 절단부에는 결합돌기(16)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절단부에는 결합홈(17)을 형성하되, 상기 절단부는 젓가락(10)에 형성된 볼록부(12)를 기준으로 분할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이들 결합돌기(16) 및 결합홈(17)에 의해 상기의 젓가락(10)이 분할 및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분할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젓가락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재질로 만들어진 각 개체를 서로 결합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목재와 금속재를 혼용하거나 목재와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수지재와 금속재를 조합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서로 다른 색상으로의 조합을 통해 더욱 미려한 장식성은 물론 상호 구분성을 제공하여 본인의 젓가락을 구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젓가락(10)에 대하여 선단의 확장부(13)에 별도의 장식캡(60)을 결합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장식캡(60)은 하측 저면에 삽입홈부(6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부(61)의 내측으로 젓가락(10)의 확장부(13)가 긴밀하게 끼워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장식캡(60)에 의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장식캡(60)의 상측에 다양한 케릭터의 형상 또는 문자나 숫자 등을 조합 형성할 수도 있어 우수한 장식성과 함께 고급스러움을 함께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식탁 상면과의 직접적인 상호 접촉을 피하면서도 더욱 편리한 사용 및 취급이 가능한 본 발명의 젓가락은, 이러한 구조를 도 10의 도시와 같이 숟가락 및 나이프와 포크 등에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전기한 볼록부(12)와 확장부(13) 및 파형부(14)를 모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숟가락이나 포크 및 나이프 이외에도 다양한 주방용 기구와 도구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젓가락 11 : 요철부
12 : 볼록부 13 : 확장부
13a : 나사홈 14 : 파형부
15 : 끼움홈부 16 : 결합돌기
17 : 결합홈
20 : 링체
30 : 컬러버튼 31 : 나사부
40 : 장식표시구 41 : 나사부
42 : 인쇄부
50 : 연질튜브
60 : 장식캡 61 : 삽입홈부

Claims (8)

  1. 젓가락(10)의 하단에는 요철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11)의 상측으로는 볼록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젓가락(10)의 선단에는 확장부(13)가 형성된 하단보다 선단이 굵은 형태의 가늘고 긴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12)는 젓가락의 하측에 끼움홈부(15)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부(15)에 연질 탄력재로 된 링체(20)를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부(13)의 하측으로는 파형부(14)를 형성하되,
    상기 확장부(13)와 파형부(14)의 사이에는 연질튜브(5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확장부(13)의 선단에는 하측에 삽입홈부(61)가 형성된 장식캡(60)을 결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07076A 2015-07-29 2015-07-29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KR101723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76A KR101723125B1 (ko) 2015-07-29 2015-07-29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076A KR101723125B1 (ko) 2015-07-29 2015-07-29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175A KR20170014175A (ko) 2017-02-08
KR101723125B1 true KR101723125B1 (ko) 2017-04-04

Family

ID=5815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076A KR101723125B1 (ko) 2015-07-29 2015-07-29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1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07Y1 (ko) 1999-05-25 2000-05-15 김광석 위생수저
JP2000201792A (ja) 1999-01-14 2000-07-25 Hyozaemon:Kk 装飾体付き箸
JP3157179B2 (ja) 1990-03-08 2001-04-16 サノフィ−サンテラボ 3−アリールカルボニル−1−アミノアルキル−1h−インドール含有抗緑内障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845A (ja) * 1992-09-10 1994-04-05 Koichi Nishitani 自然保護表示及び滑り止め付きプラスチック箸、並びにこれの二段接続式携帯用箸
JP3157179U (ja) * 2009-11-19 2010-01-28 ▲トウ▼宇 許 箸の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7179B2 (ja) 1990-03-08 2001-04-16 サノフィ−サンテラボ 3−アリールカルボニル−1−アミノアルキル−1h−インドール含有抗緑内障組成物
JP2000201792A (ja) 1999-01-14 2000-07-25 Hyozaemon:Kk 装飾体付き箸
KR200181207Y1 (ko) 1999-05-25 2000-05-15 김광석 위생수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175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4274A (en) Reusable cup holder
US10092067B2 (en) Walking stick
US4787663A (en) Chopstick holder
US2751683A (en) Baby spoon
US11253091B2 (en) Spoon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US20120272527A1 (en) Combination chopstick utensil
US20130209155A1 (en) Handle and connector for an illustration unit
US20100212115A1 (en) Holder
KR101723125B1 (ko)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US20170202383A1 (en) Elevated utensil
KR20190108309A (ko) 꼬치 막대기의 하측에 끼워서 사용하는 꼬치보조구
KR20160086781A (ko) 숟가락 반지
WO2014056062A1 (pt) Abridor multifuncional 21 em 1
JP6216900B1 (ja) 箸用小物セット、及び箸
JP4049322B2 (ja) 杖用持ち手カバー
KR20130007155U (ko)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
USD1026691S1 (en) Ergonomic ruler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US20160058221A1 (en) Baby spoon and bowl
KR102212761B1 (ko) 위생 숟가락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100749153B1 (ko) 젓가락
KR20220029918A (ko) 음식물 수납용기가 복수개 형성되는 유아용 식판
KR200216445Y1 (ko)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