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781A - 숟가락 반지 - Google Patents

숟가락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781A
KR20160086781A KR1020160082391A KR20160082391A KR20160086781A KR 20160086781 A KR20160086781 A KR 20160086781A KR 1020160082391 A KR1020160082391 A KR 1020160082391A KR 20160082391 A KR20160082391 A KR 20160082391A KR 20160086781 A KR20160086781 A KR 2016008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poon
pendant
lin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942B1 (ko
Inventor
김준구
Original Assignee
김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구 filed Critical 김준구
Priority to KR1020160082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9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781A/ko
Priority to US15/349,066 priority patent/US2018000026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A44C9/0061Hold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8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2Finger-ring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위생부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숟가락을 바닥에 놓을 때 헤드 부분[12]이 바닥[51]에 닿지 않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무게 중심이 반지의 하단부분[42]에 위치하여 반지를 상하로 움직였을 때 움직이는 위치에 따라 식탁 바닥[51]에 안착시켰을 때 안정적으로 반지의 하단[42]부분이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지의 줄 부분[41]은 크기가 늘어나는 고무실리콘 재질로 대부분의 숟가락과 포크에 끼는 것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늘어나는 재질의 반지가 숟가락의 하단부분[31]에 끼워서 별도의 끼우는 홈이 필요없는 것이 특징이다. 하단부분[31]에 끼운 반지는 숟가락의 중간부분[21]까지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발명의 주요특징이다.
반지의 팬던트부분[42]은 자석으로 구성되어 무게중심이 아래로 향하여 흔들리지 않고 별도의 패션팬던트[43]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패션팬던트[43]를 교체하게 되면 더욱 무게에 안정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숟가락반지는 숟가락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시 휴대가 간편하고 쉽게 세척이 항상 위생적이다. 외관 또한 화려하거나 수수한 형태의 외형을 선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숟가락 반지{Spoon Ring}
본 고안은 숟가락과 포크를 테이블 위에 놓았을 대 음식을 떠먹거나 찍어먹는 헤드부분[12]이 테이블[51]에 닿지 않게 함으로써 식당이나 집에서도 테이블 위에 따로 수저받침대나 종이나 냅킨을 깔지 않아도 되는 위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강과 위생적인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숟가락과 포크 연결반지에 관한 것이다.
숟가락과 포크는 각종 음식을 떠먹거나 찍어먹는 가장 중요한 식사도구이다.
한식을 먹으러 식당에 가게 되면 종이를 깔아 주거나 냅킨이나 받침대를 두고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음식물을 떠 나르는 헤드 부분[12]이 음식잔여물과 젖은 행주의 반복된 비위생적 청소로 인해 세균의 번식가능성이 큰 식탁[51]과 닿게 되기 때문이다.
냅킨을 깔 경우에도 저가의 냅킨은 특히 부푸러기나 사람 손이 오고 감으로써 오염물질이 묻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해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일반적으로 수저나 포크를 식탁에 올려놓게 되면 식탁[51]에 수저 헤드[12]부분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숟가락은 모든 수저에 해당하는 헤드[12]와 자루에 해당하는 숟가락 손잡이부분[31]에 오갈 수 있는 숟가락반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숟가락의 헤드[12]아래의 목부분[21]을 구부려 일체형으로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급식이나 식당에서도 사용하는 받침대나 냅킨보다 반지처럼 휴대가 간편한 반지숟가락을 고안하게 되었다. 숟가락의 하단부분[31]은 크기가 제각각이나 늘어나는 재질이나 구부릴 수 있는 재질로 링을 만들면 부착 및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발명하게 되었다.
숟가락반지는 줄부분[41], 팬던트를 연결하는 자석부분[42], 교체가 가능한 팬던트부분[43]으로 구성된다
숟가락 반지의 줄부분[41]은 반지처럼 원형으로 구성되며 늘어나는 고무형태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다
숟가락반지의 팬던트[43]와 줄부분[41]을 연결하는 자석부분[42]는 원형으로 구성되며 교체하는 팬던트가 부착되었을 때 붙을 수 있는 접착력을 가진다.
숟가락반지의 팬던트[43]부분은 연결자석부분[42]에 장착이 되는 원형으로 구성되며 그 재질은 금속으로 연결자석부분[42]에 탈부착 및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숟가락반지는 위생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대표특징으로 하였다.
수저에 식음부가 닿는 부분이 테이블 사이에 뜨게 하여 위생에 대한 위험요인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게 하중부분이 반지하단의 자석이 부착되어 있어 그 부분이 식탁과 밀착하여 사이가 뜨는 요소를 감소시켰다.
본 숟가락반지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별도의 세척과 건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숟가락반지에 의하면 숟가락의 하단부에 홈을 따로 낼 필요없이 바로 끼워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수저를 끼울 때 무게가 돌아가지 않도록 하단부분이 위로 돌아가지 않도록 자석을 장착하여 저절로 하단이 고정되어 아래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 도면2: 숟가락과 포크의 숟가락반지 사용예.
도면4: 숟가락반지의 원 형태의 실행예
도면3, 도면3a: 숟가락을 식탁[51]에 놓을 때의 사용예
도면4, 도면4a: 평상시의 사용예
도면5,도면5a: 숟가락반지의 형태, 팬던트 교체의 예
도면6: 스틱형태의 줄 응용부분
도면8: 도면6의 응용부분, 줄부분[41]을 길게 했을 때의 사용예
도면7: 구부러지는 금속재질을 줄[41]로 활용한 예
본 발명에 따른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시키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면1과 도면2는 숟가락과 포크의 숟가락반지 사용예이다.
도면4는 숟가락반지의 원 형태의 실행예이다. 원형의 실리콘의 줄부분[41]위에 팬던트고정장치인 자석부분[42], 교체할 수 있는 숟가락반지의 팬던트[43]부분이다.
도면3은 숟가락을 식탁[51]에 놓을 때의 사용예 이다. 숟가락의 하단 자루부분[31]에 숟가락반지를 끼워 숟가락 목부분[21]까지 이동한 경우이다. 이어 도면 3a는 도면3과 동일하나 식탁[51]에 놓았을 때 어느 부분이 바닥에 닿았는지를 보여주는 사용예이다.
도면4는 숟가락을 식탁[51]에 놓기 전이나 식탁[51]에 놓고 세팅하고 사용하고 나서 식사할 때의 평상시의 사용예이다. 이어 도면 4a는 식탁[51]에 놓았을 때 어느 부분이 바닥에 닿았는지를 보여주는 사용예이다.
도면6은 숟가락반지의 응용부분으로 줄부분[41]이 내부에 구부러지는 금속재질이 들어있어 숟가락에 가져대 대었을 때 찰탁이 되는 형태이다.
도면8은 도면6의 응용부분으로 줄부분[41]을 길게 했을 때의 사용예이다. 긴 줄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금속재질도 가능하고 실리콘형태의 늘어나는 형태의 재질도 활용이 가능하여 재질에 다양성을 둔다.
도면7은 크기조절반지를 응용하여 구부러지는 금속재질을 줄[41]로 활용한 예다. 숟가락의 크기에 손으로 구부려 조정이 가능하다.
11: 숟가락 헤드 상단부분
12: 숟가락 헤드 하단부분
21: 숟가락 목부분
31: 숟가락 하단 자루부분
41: 숟가락반지 줄부분
42: 숟가락반지 팬던트자석
43: 숟가락반지 팬던트
51: 식탁 상단

Claims (6)

  1. 숟가락반지를 자루부분[31]에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끼워진 숟가락 자루부분[31]에서 헤드[11]와 자루[31]를 연결하는 목부분[21]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목부분[21]으로 이어진 숟가락반지는 숟가락의 헤드하단부분[12]이 하단부바닥[51]과 닿지 않게 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상기 수저세트를 세팅할 수 있다
    세팅된 숟가락은 포크[도면2]부분까지 응용이 가능하다.
  2. 숟가락반지를 링부분을 끼우고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
    상기 숟가락과 결합 후에는 실리콘링 부분[41]이 흡착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숟가락을 자루[31]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조
  3. [도면5, 도면5a]숟가락반지의 자석팬던트[42]의 상단부분 교체 가능 구조
  4. 반지링의 응용부분으로 줄부분[41]이 구부러지는 재질로 내장되어 숟가락에 감아서 장착시키는 것이다.
    반지링 부분의 줄재질[41]은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있어 숟가락 자루[31]부분에 장착하면 다양한 크기에 맞춰 반지줄부분[41]이 감기듯 부착이 가능하다.
    나머지 반지부분은 상기 도면[도면6]의 모양과 동일하다.
  5. 반지링의 응용부분으로 구부러지는 금속재질의 줄부분[41]에 대한 구성이다. 반지링 부분의 줄부분[41]이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손으로 크기에 맞춰 장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나머지 반지 부분은 상기 도면[도면7]의 모양과 동일하다.
  6. 반지링의 응용부분으로 줄부분[41]이 구부러지는 재질이 내장되어 숟가락에 감아서 장착시키는 것에서 줄을 길게 해서 좀 더 밀착감을 높인 것이다. 반지의 줄 부분[41]이 길어지면 숟가락과의 밀착도가 높아져 구부러지는 재질 뿐만 아니라 고무, 실리콘 등의 응용도 가능하다.
    나머지 반지부분은[도면8]의 모양과 동일하다
KR1020160082391A 2016-06-30 2016-06-30 숟가락 반지 KR10190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91A KR101903942B1 (ko) 2016-06-30 2016-06-30 숟가락 반지
US15/349,066 US20180000267A1 (en) 2016-06-30 2016-11-11 Spoon or fork with center-of-gravity chang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391A KR101903942B1 (ko) 2016-06-30 2016-06-30 숟가락 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781A true KR20160086781A (ko) 2016-07-20
KR101903942B1 KR101903942B1 (ko) 2018-10-04

Family

ID=5668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391A KR101903942B1 (ko) 2016-06-30 2016-06-30 숟가락 반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000267A1 (ko)
KR (1) KR101903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18611D0 (en) * 2017-11-10 2017-12-27 Petrella Filomena Table utensil having a decorative attachment
US11674852B1 (en) * 2019-09-06 2023-06-13 Robert T. Lapeyre Stirring paddle with integrated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0008A (en) * 1918-10-29 1919-04-08 Sidney Plasclascovitie Spoon attachment.
GB438474A (en) * 1934-08-09 1935-11-18 Alexander Simpson Mathieson Improvements in spoons for preserves
US5105963A (en) * 1990-04-30 1992-04-21 Wayne Scott Device for holding a cooking utensil
KR200241641Y1 (ko) * 2000-11-04 2001-09-26 김진태 음식물을 먹는데 사용하는 도구의 받침대
US20130020367A1 (en) * 2011-07-21 2013-01-24 Joel Buckley Golf ball marker holder and method
US20130061426A1 (en) * 2011-08-15 2013-03-14 Itai Achiaz Shield for cooking utens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00267A1 (en) 2018-01-04
KR101903942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6837A (ko) 위생 숟가락과 젓가락
KR101903942B1 (ko) 숟가락 반지
JPS6324910A (ja) 足部分付採食用食器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JP3118634U (ja) 食卓用品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200405657Y1 (ko) 바닥에 닿지 않는 위생 젓가락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100937551B1 (ko) 밥주걱
CN216602401U (zh) 一种设置有双吸盘结构的新型儿童餐垫
CN212972622U (zh) 一种防滑卫生筷子
KR102212761B1 (ko) 위생 숟가락
KR20110136010A (ko) 취식구
KR101723125B1 (ko) 개선된 구조의 위생 젓가락
CN104856534A (zh) 具有限位功能的一种可快拆式筷子
CN203220209U (zh) 凹凸卫生筷
JP3129314U (ja) 食事用自助具セット
CN204120698U (zh) 环层卫生碗
KR200432440Y1 (ko) 위생 취식 도구
JP2022173012A (ja) 把手付き食器
KR20210154931A (ko) 위생수저
KR20070013641A (ko) 위생 숟가락과 젓가락
KR101492111B1 (ko) 국물을 흘리지 않고 밥을 먹을 수 있게 하는 위생그릇
KR20150000463U (ko)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