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017B1 - 매거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매거진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017B1
KR101723017B1 KR1020160009196A KR20160009196A KR101723017B1 KR 101723017 B1 KR101723017 B1 KR 101723017B1 KR 1020160009196 A KR1020160009196 A KR 1020160009196A KR 20160009196 A KR20160009196 A KR 20160009196A KR 101723017 B1 KR101723017 B1 KR 10172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se
magazine
moving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아메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스산업(주) filed Critical 아메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0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9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거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가 안착부에 안착된 매거진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안착부가 회전 또는 이동될 때, 매거진의 위치가 안착부에서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매거진이 안착부에서 떨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부가 상부로 이동될 때, 이동부가 안착부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매거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고정부를 매거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그 구성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거진 이송 장치{Transfer Apparatus for Magazine}
본 발명은 매거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거진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회전 또는 이동될 때, 매거진이 안착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매거진이 안착부에서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산업은 각종 전자기기의 발달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반도체 산업이 한국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은 기술,자본 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많은 반도체 기업들이 반도체 제조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설비 기술 및 생산 기술 분야에서 많은 투자와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은 세정공정, 확산공정,사진감광, 형성공정, 식각공정,중착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에 있어서, 어느 한 공정을 마친 대상물은 매거진에 적재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며, 이때, 매거진은 매거진 이송 장치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도 1은 종래 매거진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거진 이송 장치(10)는 지면을 따라 이동 또는 지지되는 지지부(11)와, 지지부(11)의 상부에 위치되는 베이스(13)와, 베이스(1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되는 회전부(14)와, 회전부(14)에 결합되며 그 상부에 매거진(1)이 안착되는 안착부(15)와, 지지부(11)와 베이스(13) 사이에 위치되며 지지부(11)에 지지된 상태로 베이스(13)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거진(1)은 반도체 제조를 위한 기판(미도시)이 임시로 저장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육면체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이 삽입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매거진 이송 장치(10)는 지지부(11)를 이동시키거나, 베이스(13)를 상하 이동시키거나, 회전부(14)를 회전시켜서, 안착부(15)에 안착된 매거진(1)을 어느 한 공정에서 다른 한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안착부(15)에는 그 양측에 가이드부(15a)가 돌출 형성되긴 하나, 상기 가이드부(15a)는 안착부(1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매거진(1)을 고정시킬 수 없어, 매거진(1)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안착부(15)에 안착된 매거진(1)의 위치가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매거진(1)이 안착부(15)에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24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058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거진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회전 또는 이동될 때, 매거진이 안착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매거진이 안착부에서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이격 가능하도록 위치되며 그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안내홈을 갖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안착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고정안내홈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안내홈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된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측부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후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상기 후측부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상기 후측부 사이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상기 고정안내홈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되, 그 하방은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착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고정안내홈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된 매거진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시키지 않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전측부 또는 상기 후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상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안내레일; 및 일측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레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안착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의 타측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고정안내홈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안내홈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안내홈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전측부 또는 상기 후측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그 상부로 갈수록 상호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와 한 쌍의 안내레일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전측부 또는 상기 후측부에 레일안내판이 장착되고, 상기 레일안내판에 상기 안내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부가 상부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부가 하부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안내홈에 위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걸림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부의 하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안착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부걸림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부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안착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걸림부가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걸린 상태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정부가 안착부에 안착된 매거진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안착부가 회전 또는 이동될 때, 매거진의 위치가 안착부에서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매거진이 안착부에서 떨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부가 상부로 이동될 때, 이동부가 안착부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매거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고정부를 매거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그 구성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매거진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에 매거진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안내레일과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부가 이동되면서 매거진을 가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에 매거진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50)는 반도체 제조를 위한 기판(미도시)이 저장되는 매거진(1)을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100), 안착부(200), 상하이동부(300) 및 고정수단(400)을 포함하며, 회전부(미도시) 및 무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측부는, 전측부(110)와, 전측부(110)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후측부(120)와, 전측부(110)와 후측부(120)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측부(130)와, 전측부(110)와 후측부(120) 사이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2 측부(140)와, 전측부(110)와 후측부(120) 사이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부(150)와, 전측부(110)와 후측부(120) 사이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측부(160)를 포함한다.
안착부(200)는 베이스(100)의 상측부(150)의 상부에 위치되되, 후술하는 상하이동부(300)에 의하여 상측부(150)의 상부 방향으로 이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안착부(200)는 매거진(1)이 안착되는 평면을 갖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부(200)의 양측에는 고정안내홈(210: 도 4 도시)이 형성된다. 고정안내홈(210)은 안착부(200)의 중앙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그 상측과 하측은 개방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안내홈(210)의 하측은 제 1, 2 측부(130, 140)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상하이동부(3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일측은 베이스(100) 내부에 삽입되어 베이스(100)에 지지되고, 타측은 베이스(100)의 상측부(150)를 관통하여 안착부(2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부(300)는 예를 들면, 베이스(100)에 구비된 유압 또는 구동모터 등을 이용한 이동안내부(미도시)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면서 안착부(200)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수단(400)은 고정안내홈(210)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부(200)의 상면에 안착된 매거진(1)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고정부(410), 안내레일(422) 및 이동부(430)를 포함한다. 이들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별도의 부연 설명이 없는 한, 내측 방향이라 함은 매거진(1)의 중심 방향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일컫고, 외측 방향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일컫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안내홈(210)은 안착부(200)의 양측에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고, 고정부(410)는 한 쌍의 상기 고정안내홈(210)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안내레일(422)은 전측부(110)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동부(430)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410)와 한 쌍의 안내레일(422)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안내홈(210)은 경우에 따라, 안착부(200)의 일측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안착부(200)의 타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가이드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410), 안내레일(422) 및 이동부(430)는 한 개의 고정안내홈(210)에 대응되도록 한 개씩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베이스(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베이스(100)를 자전시키는 것으로, 회전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부는 베이스(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베이스(1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롤러(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410)는 안착부(200)의 고정안내홈(210)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안착부(200)의 상면에 안착된 매거진(1)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삽입부(412), 상부걸림부(414) 및 하부걸림부(416)를 포함한다.
삽입부(412)는 안착부(200)의 고정안내홈(2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부걸림부(414)는 삽입부(412)의 상단에서 안착부(200)의 상면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부걸림부(414)는 안착부(200)에 안착되는 매거진(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부걸림부(414)는 안착부(200)의 상면에 걸림 위치된다. 이러한 상부걸림부(414)는 후술하는 이동부(430)가 고정부(410)를 고정안내홈(2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안착부(200)의 상면에 안착된 매거진(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걸림부(416)는 삽입부(412)의 하단에서 안착부(200)의 하면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하부걸림부(416)는 상부걸림부(414)와 수평하도록 형성되어, 하부걸림부(416)는 안착부(200)의 하면에 걸림 위치된다. 이에 따라 안착부(200)가 상하이동부(300)에 의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때, 고정부(410) 또한 안착부(200)에 걸린 상태로 안착부(200)를 따라 상하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수단에 구비되는 안내레일과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내레일(422)은 예를 들면 베이스(100)의 전측부(11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레일안내판(4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안내레일(422)이 레일안내판(420)에 형성되는 경우, 레일안내판(420)은 베이스(100)의 전측부(110)에 장착되어, 베이스(100)에 안내레일(422)이 구비된다.
이러한 안내레일(422)은 한 쌍으로 구성되되 레일안내판(420)의 일면에 나란하게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베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422a)와, 상기 경사부(422a)의 상단에서 안착부(200)가 상부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422b)와, 상기 경사부(422a)의 하단에서 안착부(200)가 하부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422c)를 포함한다.
이동부(430)는 일측은 고정부(4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안내레일(422) 방향으로 연장되되 안내레일(42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부(430)는 고정부(410)에 고정된 상태로 안내레일(422)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부(430)의 타측에는 안내레일(422)에 삽입되도록 이동가이드부(43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이동부(300)가 안착부(200)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이동부(430)의 이동가이드부(432)는 안내레일(422)을 따라 그 상부로 이동되면서 베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부(410) 또한, 이동부(430)를 따라 베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고정부(410)가 고정안내홈(2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안착부(200)에 위치된 매거진(1)을 가압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안착부(200)의 상하 이동에 따른 고정부(410)의 이동에 의하여 매거진(1)이 가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의 고정부가 이동되면서 매거진을 가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거진 이송 장치(50)의 안착부(200)는 베이스(100) 방향으로 하강되어 있고, 이동부(430)의 이동가이드부(432)는 안내레일(422)의 하부연장부(422c)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안착부(200)에 매거진(1)이 안착된다. 이때, 고정부(410)는 안착부(200)의 고정안내홈(210)의 외측 방향 즉, 매거진(1)의 외측 방향에 위치되어, 매거진(1)을 고정시키지 않고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상하이동부(300)가 안착부(200)를 베이스(10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고정부(410)는 안착부(200)에 걸림 위치된 상태로 안착부(20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고, 고정부(410)와 연결된 이동부(430)의 이동가이드부(432)는 안내레일(422)의 경사부(422a)를 지나 상부연장부(422b)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안내레일(422)의 경사부(422a)는 베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부(430)는 안내레일(422)을 따라 이동되면서 베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부(430)와 연결된 고정부(410) 또한, 베이스(100)의 내측 방향 즉, 고정안내홈(2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고정부(410)가 고정안내홈(2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고정부(410)는 매거진(1)과 가까이 위치되면서 매거진(1)을 가압하게 되어, 매거진(1)은 안착부(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무빙부가 베이스(100)를 회전시키거나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안착부(200)에 안착된 매거진(1)은 안착부(20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매거진(1)의 위치가 안착부(200)에서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매거진(1)이 안착부(200)에서 떨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부(200)가 상부로 이동될 때, 이동부(430)가 안착부(200)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고정부(410)를 매거진(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고정부(410)를 매거진(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그 구성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50: 매거진 이송 장치
100: 베이스 110: 전측부
120: 후측부 130: 제 1 측부
140: 제 2 측부 150: 상측부
160: 하측부 200: 안착부
210: 고정안내홈 300: 상하이동부
400: 고정수단 410: 고정부
412: 삽입부 414: 상부걸림부
416: 하부걸림부 420: 레일안내판
422: 안내레일 422a: 경사부
422b: 상부연장부 422c: 하부연장부
430: 이동부 432: 이동가이드부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이격 가능하도록 위치되며 그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안내홈을 갖는 안착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안착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 및
    상기 고정안내홈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안내홈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된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 측부는, 전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후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상기 후측부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측부와, 상기 전측부와 상기 후측부 사이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2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의 상기 고정안내홈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되, 그 하방은 상기 제 1 측부 또는 상기 제 2 측부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착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고정안내홈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안착된 매거진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시키지 않도록 위치되는 고정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전측부 또는 상기 후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상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안내레일; 및
    일측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안내레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안착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의 타측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고정안내홈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안내홈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안내홈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전측부 또는 상기 후측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그 상부로 갈수록 상호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부와 한 쌍의 안내레일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전측부 또는 상기 후측부에 레일안내판이 장착되고,
    상기 레일안내판에 상기 안내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부가 상부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연장부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부가 하부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안내홈에 위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걸림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서 상기 안착부의 하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안착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상부걸림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 걸린 상태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부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상하이동부가 상기 안착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부걸림부가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걸린 상태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부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KR1020160009196A 2016-01-26 2016-01-26 매거진 이송 장치 KR10172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96A KR101723017B1 (ko) 2016-01-26 2016-01-26 매거진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96A KR101723017B1 (ko) 2016-01-26 2016-01-26 매거진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017B1 true KR101723017B1 (ko) 2017-04-05

Family

ID=5858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96A KR101723017B1 (ko) 2016-01-26 2016-01-26 매거진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374B1 (ko) * 2019-05-23 2020-11-24 아메스산업(주) 포켓부재를 구비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5176A (ja) * 1992-11-27 1994-06-03 Miyazaki Oki Electric Co Ltd リードフレームマガジンのクランプ方法
KR100723336B1 (ko) * 2007-03-15 2007-05-30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Ic 칩 센터링장치
KR100851242B1 (ko) * 2008-03-27 2008-08-08 비전세미콘 주식회사 반도체용 플라즈마 세정장치
KR20090010585A (ko) 2007-07-24 2009-01-30 세크론 주식회사 매거진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장치
JP2010165706A (ja) * 2009-01-13 2010-07-29 Yaskawa Electric Corp ウェハのアライメント装置
KR20120042418A (ko)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케이씨텍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5176A (ja) * 1992-11-27 1994-06-03 Miyazaki Oki Electric Co Ltd リードフレームマガジンのクランプ方法
KR100723336B1 (ko) * 2007-03-15 2007-05-30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Ic 칩 센터링장치
KR20090010585A (ko) 2007-07-24 2009-01-30 세크론 주식회사 매거진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제조장치
KR100851242B1 (ko) * 2008-03-27 2008-08-08 비전세미콘 주식회사 반도체용 플라즈마 세정장치
JP2010165706A (ja) * 2009-01-13 2010-07-29 Yaskawa Electric Corp ウェハのアライメント装置
KR20120042418A (ko)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케이씨텍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374B1 (ko) * 2019-05-23 2020-11-24 아메스산업(주) 포켓부재를 구비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0662B2 (en) Terminal insertion apparatus
TWI663671B (zh) 晶圓轉換裝置及其晶圓轉換方法
CN103959454A (zh) 基板保持装置
KR101723017B1 (ko) 매거진 이송 장치
US20170062246A1 (en) Wafer leveling device
US8459928B2 (en) Conveyor robot
CN107614137A (zh) Usb金属外壳的扩管传递冲床
US9664335B2 (en) Article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two types of articles on support device
CN113808977B (zh) 晶圆存取总成及其晶圆存取装置与晶圆载具
JP2013239587A (ja) 多段式スライドユニット、搬送装置、及び真空処理装置
US11705352B2 (en) Base frame of substrate carrier, substrate carrier and substrate transfer mechanism
KR20180077559A (ko) 트레이 이송 장치
JP4848916B2 (ja) クランプ機構
KR20210142259A (ko) 커버부재를 갖는 기판 이송 장치
JP2020087806A (ja) 基板ソケットおよび基板固定方法
JP2010080462A (ja) 部品実装装置
KR20090038088A (ko) 웨이퍼 카세트
KR102412635B1 (ko) 치수 변형이 가능한 반도체 pcb 용 지그 제작을 위한 금형 장치 및 지그의 제조 방법
JP3944485B2 (ja) 基板チャッキング装置
US10985517B2 (en) Apparatus for assembling cases made of thin plate
KR100967543B1 (ko) 엘씨엠 거치용 파레트
CN105161912A (zh) 一种设置有滚轮槽的电力供电设备
KR200470096Y1 (ko) 웨이퍼 블레이드
TW201701802A (zh) 滑軌安裝機構
CN105705438B (zh) 玻璃板保持器和玻璃板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