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502B1 - 대피 안전구 - Google Patents

대피 안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502B1
KR101722502B1 KR1020150076297A KR20150076297A KR101722502B1 KR 101722502 B1 KR101722502 B1 KR 101722502B1 KR 1020150076297 A KR1020150076297 A KR 1020150076297A KR 20150076297 A KR20150076297 A KR 20150076297A KR 101722502 B1 KR101722502 B1 KR 101722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side plate
fixing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109A (ko
Inventor
우강섭
윤태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윤태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윤태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7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 안전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대피 안전구는 건축물의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건물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며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대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대피부재는 평판형상이고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하부판;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1측면판; 평판 형상이고 상기 제1측면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2측면판; 및 평판 형상이고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의 타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3측면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사람들이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절첩이 이루어져서 좁은 공간에도 비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대피 안전구{SAFETY SHUNT APPARATUS}
본 발명은 대피 안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 안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비상계단을 통하여 탈출을 시도하거나 헬리콥터에 의하여 탈출하게 된다. 그러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굴뚝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비상계단에 유독한 가스가 가득 차게되어서 탈출이 어렵게 되고, 화재 시에는 정전이 동반하므로 엘리베이터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헬리콥터에 의하여 구조를 받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화재 발생 초기에 탈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에 의하여 질식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10-0566322호(2006.03.30. 공고) 문헌2: 공개특허공보 10-2009-0042692호(2009.04.30. 공개) 문헌3: 공개특허공보 10-2011-0083820호(2011.07.21. 공개) 문헌4: 등록특허공보 10-1058118호(2011.08.19. 공고) 문헌5: 공개특허공보 10-2014-0117030호(2014.10.07. 공개) 문헌6: 공개특허공보 10-2009-0115922호(2009.11.10.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 된 "화재시 대피 안전망(문헌6: 공개특허공보 10-2009-0115922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재시 대피 안전망"은 평상시 보관할 때, 넓은 보관장소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절첩이 이루어져서 좁은 공간에도 비치할 수 있는 대피 안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대피 안전구는, 건축물의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건물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며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대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대피부재는 평판형상이고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하부판과;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1측면판과; 평판 형상이고 상기 제1측면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2측면판; 및 평판 형상이고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의 타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3측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는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는 하부고정구가 장착되어, 상기 하부판이 상기 고정판에서 90°이상 하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측면판에는 출입문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유리창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과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2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과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대피부재와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대피부재 사이에는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제3측면판과 연결되는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는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는 측면고정구가 장착되어, 상기 제3측면판이 상기 고정판에서 90°이상 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측면고정구의 상단부에는 "ㄷ"자로 절곡된 형상이고, 상기 측면고정구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고정구가 장착되어, 상기 제3측면판이 상기 고정판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외부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고, 박스 형상의 상기 대피부재가 경첩에 의하여 절첩이 이루어지므로 평상시에는 좁은 공간에 비치할 수 있고, 상기 대피부재가 박스 형상으로 조립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고정구와 상기 측면고정구와 상기 승강고정구에 의하여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 안전구의 사시도.
도 2는 대피 안전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대피부재의 분리 전개도.
도 4는 대피부재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대피부재가 접힌 상태의 평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6은 하부판이 절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동부재가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대피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피 안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대피 안전구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대피 안전구는 고정부재(20), 회동부재(30) 및 대피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공동주택의 베란다의 내측에 위치하는 벽(100)에 고정되는 지지대이다. 상기 고정부재(20)는 형상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고, 앵커볼트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재(30)가 벽면(10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상기 고정부재(20)가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20)에 고정되고, 타단은 건물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회동부재(30)의 단부는 베란다가 위치하는 상부의 빈공간으로 돌출되게 회동할 수도 있고, 베란다의 내부 공간으로 위치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0)는 3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20)와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1프레임(31)과, 상기 제1프레임(31)의 타단과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2프레임(32) 및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32)과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대피부재(40)와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3프레임(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대피부재(40) 사이에는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30)가 연결되는 것이, 사람이 탑승하는 상기 대피부재(40)에 가하는 하중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30)는 각각의 상기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므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프레임(33)의 단부과 건물의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상시에 사람이 탑승하는 상기 대피부재(40)는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BOX) 형상인데, 상기 대피부재(40)를 전개한 도면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피부재(40)는 고정판(41), 하부판(42), 제1측면판(43), 제2측면판(44) 및 제3측면판(4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41)은 평판형상이고 상기 제3프레임(33)의 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프레임(33)의 단부는 상기 고정판(41)에서 힌지로 고정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부판(42)도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41)의 하단부와 경첩(3)으로 연결되어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41)의 하단부에는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는 하부고정구(51)가 장착되어서, 상기 하부판(42)이 상기 고정판(41)에서 90°이상 하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측면판(43)은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41)의 일측 단부와 경첩(3)에 의하여 회동되게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43)에는 출입문(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문(60)에는 유리창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대피부재(40)에 대피 된 사람들이 상기 유리창을 통하여 위급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위급 시에 상기 출입문(60)의 개방이 어려울 때에는 상기 출입문의 유리창을 파손하여 상기 대피부재(40)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대피 안전구(10)에는 비상용 망치(미도시)를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평판 형상이고 상기 제1측면판(43)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경첩(3)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기 제2측면판(44)이 구비되고, 평판 형상이고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41)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경첩(3)으로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41)의 타측 단부와 회동되게 경첩(3)으로 연결되는 제3측면판(4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판(41)과 상기 제1측면판(43)과 상기 제2측면판(44)과 상기 제3측면판(45)은 서로 경첩(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피부재(40)를 접어서 비치하게 되므로 베란다의 공간활용이 증대되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측면판(45)과 연결되는 상기 고정판(41)의 가장자리에는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는 측면고정구(53)가 장착되어, 따라서 상기 제3측면판(45)이 상기 고정판(41)에서 90°이상 하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된다.
상기 대피부재(40)를 도 4와 같이 절첩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고정구(53)에 의하여 상기 제3측면판(45)이 접히는 것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도 8과 같이 박스형상으로 조립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측면판(45)이 상기 고정판(41)에서 90°이상 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대피부재(40)가 박스(BOX) 형상으로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제3측면판(45)이 상기 고정판(41)에 겹쳐지도록 접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고정구(55)가 장착된다.
상기 승강고정구(55)는 도 3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로 절곡된 형상이고, 상기 측면고정구(53)에서 상하로 승강되게 된다. 평소에는 상기 승강고정구(55)가 상기 측면고정구(53)에 형성된 고리(56)에 안착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고정구(55)가 상기 제3측면판(45)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비상시에 상기 대피부재(40)를 조랍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승강고정구(55)의 단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41)과 상기 제3측면판(4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고정구(55)의 각재(角材)와 같은 단부가 상기 제3측면판(45)와 상기 고정판(41)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제3측면판(45)이 상기 제1고정판(41)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피부재(40)가 견고한 박스(BOX)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대피 안전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대피 안전구, 20: 고정부재,
30: 회동부재, 31: 제1프레임,
32: 제2프레임, 33: 제3프레임
40: 대피부재, 41: 고정판,
42: 하부판, 43: 제1측면판,
44: 제2측면판, 45: 제3측면판,
51: 하부고정구, 53: 측면고정구,
55: 승강고정부, 56: 고리,
60: 출입문

Claims (8)

  1. 건축물의 벽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건물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며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는 대피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대피부재는 평판형상이고 상기 회동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회동되는 하부판과; 평판 형상이고 상기 고정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1측면판과; 평판 형상이고 상기 제1측면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2측면판; 및 평판 형상이고 일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의 일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는 상기 고정판의 타측 단부와 회동되게 연결되는 제3측면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는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는 하부고정구가 장착되어, 상기 하부판이 상기 고정판에서 90°이상 하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측면판에는 출입문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문에는 유리창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과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2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과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대피부재와 힌지축에 의하여 회동되도록 고정되는 제3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대피부재 사이에는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제3측면판과 연결되는 상기 고정판의 가장자리에는 단면이 "ㄴ"자로 형성되는 측면고정구가 장착되어, 상기 제3측면판이 상기 고정판에서 90°이상 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측면고정구의 상단부에는 "ㄷ"자로 절곡된 형상이고, 상기 측면고정구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고정구가 장착되어, 상기 제3측면판이 상기 고정판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 안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76297A 2015-05-29 2015-05-29 대피 안전구 KR101722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97A KR101722502B1 (ko) 2015-05-29 2015-05-29 대피 안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297A KR101722502B1 (ko) 2015-05-29 2015-05-29 대피 안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109A KR20150067109A (ko) 2015-06-17
KR101722502B1 true KR101722502B1 (ko) 2017-04-03

Family

ID=5351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297A KR101722502B1 (ko) 2015-05-29 2015-05-29 대피 안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011A (ja) 2001-10-10 2003-04-22 Koyama Rescue:Kk 避難具
KR100607825B1 (ko) 2005-02-25 2006-08-02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3197U (ko) * 1973-06-27 1975-03-15
KR100566322B1 (ko) 2005-11-17 2006-03-30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비상용 안전 대피장치
KR20090042692A (ko) 2007-10-26 2009-04-30 장수일 화재 대피 기능을 가지는 베란다 안전 회전 난간
KR100983680B1 (ko) * 2008-02-13 2010-09-27 양해완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KR20090115922A (ko) 2009-10-12 2009-11-10 윤태병 화재시 대피 안전망
KR20110083820A (ko)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에스엠텍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1058118B1 (ko) 2010-12-22 2011-08-19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대피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20140117030A (ko) 2013-03-26 2014-10-07 김상종 화재 대피용 안전 난간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011A (ja) 2001-10-10 2003-04-22 Koyama Rescue:Kk 避難具
KR100607825B1 (ko) 2005-02-25 2006-08-02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109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US11828070B2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JP5086147B2 (ja) 養生装置付きゴンドラ
KR101565284B1 (ko) 레벨조절부가 구비된 하향식 피난사다리
KR101722502B1 (ko) 대피 안전구
JP6514954B2 (ja)
WO2007106522A3 (en) Access and escape devices
KR200448244Y1 (ko) 호이스트 출입문용 안전 발판
KR200486513Y1 (ko) 화재 대피용 시설물
US10329812B1 (en) Tank cover access hatch with safety barrier
KR10103586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18814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110084639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160137877A (ko) 공동주택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63174Y1 (ko) 조립식 물탱크용 맨홀
KR20180138471A (ko) 피난용 사다리 덮개장치
JP2003307031A (ja) ピット開口部廻りの養生装置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KR101824327B1 (ko) 비상 탈출 장치
KR10103620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JP3160702U (ja) 避難梯子を備えたバルコニー
KR10154629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KR102572551B1 (ko) 고층 건물 실외기실에 설치하는 화재 대피 시설의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