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825B1 -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825B1
KR100607825B1 KR1020050015691A KR20050015691A KR100607825B1 KR 100607825 B1 KR100607825 B1 KR 100607825B1 KR 1020050015691 A KR1020050015691 A KR 1020050015691A KR 20050015691 A KR20050015691 A KR 20050015691A KR 100607825 B1 KR100607825 B1 KR 10060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plate
shaft
bucket
lever
balc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홍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1Lamps suspended above a water surface or pi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발코니(balcony)난간(1)이 고정되어있는 발코니(balcony) 벽(2)의 일측에 본체(21)의 일측 끝단을 회전기능이 있는 본체 힌지핀(hinge pin)(23)을 이용하여 부착시켜 장치하고, 이 본체(21)의 상부측에는 브라켓(bracket)(22)과 서포트(support)(16)를 이용하여 나사봉(20)을 끼워 연결하여 놓되 이 나사봉(20)의 일측 끝단을 감속기(9)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축큰기어(15)를 고정시켜 장치하고, 이 축큰기어(15)는 감속기(9) 내부의 축(13)에 장치된 축작은기어(14)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하고, 축(13)에 장치된 또 다른 기어인 큰기어(12)는 모터(motor)축(10)에 장치된 모터축 작은기어(11)와 맞물려 연결되게 장치하고, 회전모터(motor)(7)는 밧데리(battery)(6)와 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8)와 전기배선으로 연결하여 장치하고, 너트(nut)붙임 레버(lever)(18)의 일측 끝단을 발코니 난간(1)에 회전기능이 있는 힌지핀(hinge pin)(17)으로 연결시켜놓은 후 또 다른 일측 끝단은 너트붙임 브라켓(bracket)(19)을 이용하여 너트(nut)부분이 나사봉(20)에 조립되어 연결 되게 장치하고, 본체(21)의 좌측끝단에는 케이블(cable)걸이(4)를 형성시킨 후 케이블(cable)(5)의 일측을 고정시켜 연결하여 놓고, 이 케이블(5)은 버켓(bucket)(25) 내부 바닥면에 마찰판축 지지대(27)에 지지되도록 장치한 마찰판축(26)에 감겨있도록 하고, 이 마찰판축의 일측에 앞쪽마찰판(28) 고정시켜 장치하고, 이 앞쪽마찰판(28)과 대향되는 위치에 뒤쪽마찰판(29)을 장치하되 이 뒤쪽마찰판(29)은 마찰판 스프링지지대(31)에 의해 지지되는 마찰판 스프링(30)에 의해 앞쪽마찰판(28)과 압착되어 붙어 있게 하여, 앞쪽마찰판(28)과 마찰판축(26)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도록 장치하고, 뒤쪽마찰판(29)의 측면에는 마찰판레버(lever)(34)를 고정시켜 장치한 후 이 마찰판레버(34)에 서포트(support)(좌)(36)와 서포트(support)(우)(35)에 의해 고정된 중심축(38)에 회전기능이 있는 힌지(hinge)로 연결된 중간레버(lever)(37)의 일측을 회전이 가능한 힌지(hinge)로 연결하고, 이 중간레버(37)의 또 다른 일측은 중심축(38)에 장치한 페달(pedal)(40))의 아래쪽에 고정하여 장치된 페달 레버(pedal lever)의 일측과 힌지로 연결하여 장치하므로써, 페달(40)의 위쪽을 발로 밟으면 페달(40)의 아래쪽이 당겨져 중간레버(37)가 힌지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작용에 의해 마찰판레버(34)와 함께 뒤쪽마찰판(29)이 뒤로 밀리게 되어 앞쪽마찰판(28)과의 압착이 풀리게되어 마찰판축(26)은 버켓(25)의 하중으로 인해 회전하고 이때 마찰판축(26)에 감겨있던 케이블(5)이 풀리면서 버켓(25)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도록 장치하고, 버켓(25)의 하부에는 쿠션스프링조합(32)을 부착하여 놓으므로써 버켓(25)이 내려가 지면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로,
고층의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피할 곳이 없어 창문으로 내려 뛰다 사고를 당하는 문제와 높은 층의 경우 창문에 매달려 대피하다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문제 그리고 아래층에서 연기가 발코니 벽을 타고 올라올 경우 발코니 창에 매달려 대피하다 연기에 질식되어 사고를 당하는 문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화재시 발코니벽(2)에 설치된 버켓(25)에 올라탄 후 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8)를 작동시키면 나사봉(20)의 회전에 의해 너트붙임 브라켓(19)은 나사봉(20)의 나사를 따라 이동하게되어 너트붙임 레버(18)의 위치변화로 버켓(25)은 발코니벽(2)으로부터 발코니 사이거리(ℓ2)가 멀리 떨어지게 되고, 발로 페달(40)을 밟으면 마찰판축(26)의 회전으로 케이블(5)이 풀리게 되어 버켓(25)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땅에 닿을 때는 쿠션스프링(32)에 의해 충격 없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 창문에 어렵게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아래층의 연기가 발코니 창을 타고 올라와도 발코니와 버켓(25)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질식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스스로 탈출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아파트 탈출장치, 위급시 탈출장치, 탈출장치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A escape system in a fire of apartment}
도1 : 본 발명의 정면도
도2 : 평면도(A에서 봄)
도3 : 단면도(B-B)
도4 : 단면도(C-C)
도5 : 상태도(버켓(bucket)(25)을 발코니에서 멀리 떨어지게 작동시킨 상태)
도6 : 상태도(페달(pedal)(40)을 밟아 버켓(25)을 밑으로 내리는 작동상태)
도면의 부호
(1)발코니(balcony) 난간 (2)발코니(balcony)벽 (3)발코니 난간대 (4)케이블(cable)걸이 (5)케이블(cable) (6)밧데리(battery) (7)회전모터(motor) (8)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 (9)감속기 (10)모터(motor)축 (11)모터축 작은기어 (12)큰기어 (13)축 (14)축작은기어 (15)축큰기어 (16)서포트(support) (17)힌지핀(hinge pin) (18)너트(nut)붙임 레버(lever) (19)너트(nut)붙임 브라켓(bracket) (20)나사봉 (21)본체 (22)브라켓(bracket) (23)본체 힌지핀(hinge pin) (24)균형잡이줄 (25)버켓(bucket) (26)마찰판축 (27)마찰판축 지지대 (28)앞쪽마찰판 (29)뒤쪽마찰판 (30)마찰판 스프링(spring) (31)마찰판 스프링지지대 (32)쿠션스프링조합 (33)발코니(balcony)바닥 콘크리트 (34)마찰판 레버(lever) (35)서포트(support)(우) (36)서포트(support)(좌) (37)중간레버(lever) (38)중심축 (39)페달레버(pedal lever) (40)페달(pedal) (ℓ1)버켓파 발코니 사이거리(장치를 접은 상태) (ℓ2)버켓과 발코니 사이거리(장치를 펼친 상태) (W)페달을 밟는 것에 의해 마찰차가 서로 떨어지는 부분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의 일측을 본체 힌지핀(hinge pin)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발코니 벽에 연결시켜 놓고, 이 본체의 타측 끝단에는 케이블(cable) 걸이를 장치 후 케이블(cable)의 일측을 고정시켜 연결하여 놓고, 본체의 상부에는 나사봉을 장치하되 이 나사봉의 일측 끝단은 감속기 속에 위치하게 하고, 이 감속기 내부에는 한 쌍의 축큰기어와 축작은기어 그리고 또 다른 한 쌍의 큰기어와 모터축 작은기어를 장치하되 모터축 작은기어는 모터축에, 축큰기어는 나사봉의 일측에, 축작은기어와 큰기어는 감속이 내부의 축에 각각 고정시켜 장치하고, 모터축이 연결된 모터는 밧데리(battery)와 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에 전기배선으로 연결하여 놓고, 나사봉에는 발코니 난간에 힌지핀으로 연결된 너트(nut)붙임 레버의 너트(nut)붙임 브라켓(bracket)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nut) 부분을 끼워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사봉이 회전하면 너트붙임 브라켓의 너트부분이 나사봉을 타고 이동하여 본체가 발코니 난간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 일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케이블 걸이에 고정된 케이블은 버켓 내부에 설치된 마찰판축에 감겨있게 하되 이 마찰판촉의 일측 끝단에 앞쪽마찰판을 고정시켜 장치 후 그 대항되는 곳에 마찰판 스프링에 의해 앞쪽마찰판을 밀면서 맞닿아있는 뒤쪽마찰판을 장치하고, 이 뒤쪽마찰판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마찰판 레버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역할을 하는 중간레버(lever)와 페달(pedal)이 서로 연결되어 페달 위쪽을 밟으면 중간레버의 시이소오작동을 통해 뒤쪽마찰판이 마찰판스프링을 누르면서 이동하여 앞쪽마찰판과의 마찰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이 감겨있는 마찰판축은 버켓(backet)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감겨있는 케이블이 풀려 버켓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버켓이 땅에 닿을 때는 버켓 하부에 장치한 쿠션스프링으로 인해 충격 없이 정지할 수 있도록 해놓으므로써,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 창문에 어렵게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아래층의 연기가 발코니 창을 타고 올라와도 발코니와 버켓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질식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스스로 탈출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고층의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피할 곳이 없어 창문으로 내려 뛰다 사고를 당하는 문제와 높은 층의 경우 창문에 매달려 대피하다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문제 그리고 아래층에서 연기가 발코니 벽을 타고 올라올 경우 발코니 창에 매달려 대피하다 연기에 질식되어 사고를 당하는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국내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032213호는 하체가 무겁게 중량체를 매설한 오뚜기형의 내충, 내파열성 합성수지제 몸통의 내부에 전구와 경음기를 장설하여 전지약으로 작동되게 회로를 구성하여 스위치를 달고 상체를 내충격 내파열성인 합성수지제 투명캡으로 밀봉시킨 화재시 비상탈출 안내구에 관한 것이고,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0005908호는 기존 낙하산은 생명줄에 의해 낙하산이 전개되는 것을 낙하산에 튜브를 설치 고압가스를 주입 낙하산을 전개 고압 가스통을 직접 부착하여 손잡이를 잡아당기며 낙하산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고,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0005847호는 저면판의 양측 상부로 고정돌기를 갖고 이를 수평와이어로 연결한 좌측면판과 우측면판을 경첩으로 절첩하도록 설치하고, 전방으로 정면판을 경첩으로 절첩하도록 설치하며, 후방, 상부의 안착편에 밧데리, 모우터, 감속기, 드럼 및 위험방지레버를 갖는 배면판의 후방으로 한쌍의 슬라이드판을 결착 고정하는 승강기의 정면판, 좌, 우측면판 및 배면판의 외측에 철망과 내측에 단열재로 형성시켜 승강기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상기의 발명들은 화재시 발코니 창문을 통해 직접 아래로 뛰어 내리는 보조기구이거나 승강기 형식으로 구성된 것들로 위급시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에서 화제발생으로 위급시 쉽게 대피가 가능하도록, 본체의 일측을 본체 힌지핀(hinge pin)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발코니 벽에 연결시켜 놓고, 이 본체의 타측 끝단에는 케이블(cable) 걸이를 장치 후 케이블(cable)의 일측을 고정시켜 연결하여 놓고, 본체의 상부에는 나사봉을 장치하되 이 나사봉의 일측 끝단은 감속기 속에 위치하게 하고, 이 감속기 내부에는 한 쌍의 축큰기어와 축작은기어 그리고 또 다른 한 쌍의 큰기어와 모터축 작은기어를 장치하되 모터축 작은기어는 모터축에, 축큰기어는 나사봉의 일측에, 축작은기어와 큰기어는 감속이 내부의 축에 각각 고정시켜 장치하고, 모터축이 연결된 모터는 밧데리(battery)와 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에 전기배선으로 연결하여 놓고, 나사봉에는 발코니 난간에 힌지핀으로 연결된 너트(nut)붙임 레버의 너트(nut)붙임 브라켓(bracket)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nut)부분을 끼워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사봉이 회전하면 너트붙임 브라켓의 너트부분이 나사봉을 타고 이동하여 본체가 발코니 난간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케이블 걸이에 고정된 케이블은 버켓 내부에 설치된 마찰판축에 감겨있게 하되 이 마찰판축의 일측 끝단에 앞쪽마찰판을 고정시켜 장치후 그 대항되는 곳에 마찰판 스프링에 의해 앞쪽마찰판을 밀면서 맞닿아있는 뒤쪽마찰판을 장치하고, 이 뒤쪽마찰판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마찰판 레버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역할을 하는 중간레버(lever)와 페달(pedal)이 서로 연결되어 페달 위쪽을 밟으면 중간레버의 시이소오작동을 통해 뒤쪽마찰판이 마찰판스프링을 누르면서 이동하여 앞쪽마찰판과의 마찰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이 감겨있는 마찰판 축은 버켓(backet)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감겨있는 케이블이 풀려 버켓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버켓이 땅에 닿을 때는 버켓 하부에 장치한 쿠션스프링으로 인해 충격 없이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한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 창문에 어렵게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아래층의 연기가 발코니 창을 타고 올라와도 발코니와 버켓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질식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스스로 탈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을 본체 힌지핀(hinge pin)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발코니 벽에 연결시켜 놓고, 이 본체의 타측 끝단에는 케이블(cable) 걸이를 장치 후 케이블(cable)의 일측을 고정시켜 연결하여 놓고, 본체의 상부에는 나사봉을 장치하되 이 나사봉의 일측 끝단은 감속기 속에 위치하게 하고, 이 감속기 내부에는 한 쌍의 축큰기어와 축작은기어 그리고 또 다른 한 쌍의 큰기어와 모터축 작은기어를 장치하되 모터축 작은기어는 모터축에, 축큰기어는 나사봉의 일측에, 축작은기어와 큰기어는 감속이 내부의 축에 각각 고정시켜 장치하고, 모터축이 연결된 모터는 밧데리(battery)와 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에 전기배선으로 연결하여 놓고, 나사봉에는 발코니 난간에 힌지핀으로 연결된 너트(nut)붙임 레버의 너트(nut)붙임 브라켓(bracket)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nut) 부분을 끼워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사봉이 회전하면 너트붙임 브라켓의 너트부분이 나사봉을 타고 이동하여 본체가 발코니 난간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케이블 걸이에 고정된 케이블은 버켓 내부에 설치된 마찰판축에 감겨있게 하되 이 마찰 판축의 일측 끝단에 앞쪽마찰판을 고정시켜 장치 후 그 대항되는 곳에 마찰판 스프링에 의해 앞쪽마찰판을 밀면서 맞닿아있는 뒤쪽마찰판을 장치하고, 이 뒤쪽마찰판에 고정되어 형성되어 있는 마찰판 레버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역할을 하는 중간레버(lever)와 페달(pedal)이 서로 연결되어 페달 위쪽을 밟으면 중간레버의 시이소오작동을 통해 뒤쪽마찰판이 마찰판스프링을 누르면서 이동하여 앞쪽마찰판과의 마찰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이 감겨있는 마찰판 축은 버켓(backet)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면서 감겨있는 케이블이 풀려 버켓이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버켓이 땅에 닿을 때는 버켓 하부에 장치한 쿠션스프링으로 인해 충격 없이 정지할 수 있도록 해놓으므로써,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 창문에 어렵게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아래층의 연기가 발코니 창을 타고 올라와도 발코니와 버켓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질식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스스로 탈출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로,
종래에는 고층의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피할 곳이 없어 창문으로 내려 뛰다 사고를 당하는 문제와 높은 층의 경우 창문에 매달려 대피하다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문제 그리고 아래층에서 연기가 발코니 벽을 타고 올라올 경우 발코니 창에 매달려 대피하다 연기에 질식되어 사고를 당하는 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 창문에 어렵게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아래층의 연기가 발코니 창을 타고 올라와도 발코니와 버켓이 멀리 떨어 져 있기 때문에 질식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스스로 탈출 가능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도2는 평면도(A에서 봄)이고 도3은 단면도(B-B)이고 도4는 단면도(C-C)이고 도5는 상태도(버켓(bucket)(25)을 발코니에서 멀리 떨어지게 작동시킨 상태)이고 도6은 상태도(페달(pedal)(40)을 밟아 버켓(25)을 밑으로 내리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의 부호는 (1)발코니(balcony) 난간, (2)발코니(balcony)벽, (3)발코니 난간대, (4)케이블(cable)걸이, (5)케이블(cable), (6)밧데리(battery), (7)회전모터(motor), (8)모터구동방향 변환 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 (9)감속기, (10)모터(motor)축, (11)모터축 작은기어, (12)큰기어, (13)축, (14)축작은기어, (15)축큰기어, (16)서포트(support), (17)힌지핀(hinge pin), (18)너트(nut)붙임 레버(lever), (19)너트(nut)붙임 브라켓(bracket), (20)나사봉, (21)본체, (22)브라켓(bracket), (23)본체 힌지핀(hinge pin), (24)균형잡이줄, (25)버켓(bucket), (26)마찰판축, (27)마찰판축 지지대, (28)앞쪽마찰판, (29)뒤쪽마찰판, (30)마찰판 스프링(spring), (31)마찰판 스프링지지대, (32)쿠션스프링조합, (33)발코니(balcony)바닥 콘크리트, (34)마찰판 레버(lever), (35)서포트(support)(우), (36)서포트(support)(좌), (37)중간레버(lever), (38)중심축, (39)페달레버(pedal lever), (40)페달(pedal), (ℓ1)버켓과 발코니 사이거리(장치를 접은 상태), (ℓ2)버켓과 발코니 사이거리(장치를 펼친 상태), (W)페달을 밟는 것에 의해 마찰차가 서로 떨어지는 부분임을 알 수 있다.
공동주택의 발코니(balcony)난간(1)이 고정되어있는 발코니(balcony) 벽(2)의 일측에 본체(21)의 일측 끝단을 회전기능이 있는 본체 힌지핀(hinge pin)(23)을 이용하여 부착시켜 장치하고, 이 본체(21)의 상부측에는 브라켓(bracket)(22)과 서포트(support)(16)를 이용하여 나사봉(20)을 끼워 연결하여 놓되 이 나사봉(20)의 일측 끝단을 감속기(9)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축큰기어(15)를 고정시켜 장치하고, 이 축큰기어(15)는 감속기(9) 내부의 축(13)에 장치된 축작은기어(14)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하고, 축(13)에 장치된 또 다른 기어인 큰기어(12)는 모터(motor)축(10)에 장치된 모터축 작은기어(11)와 맞물려 연결되게 장치하고, 회전모터(motor)(7)는 밧데리(battery)(6)와 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8)와 전기배선으로 연결하여 장치하고, 너트(nut)붙임 레버(lever)(18)의 일측 끝단을 발코니 난간(1)에 회전기능이 있는 힌지핀(hinge pin)(17)으로 연결시켜놓은 후 또 다른 일측 끝단은 너트붙임 브라켓(bracket)(19)을 이용하여 너트(nut)부분이 나사봉(20)에 조립되어 연결 되게 장치하고, 본체(21)의 좌측끝단에는 케이블(cable)걸이(4)를 형성시킨 후 케이블(cable)(5)의 일측을 고정시켜 연결하여 놓고, 이 케이블(5)은 버켓(bucket)(25) 내부 바닥면에 마찰판축 지지대(27)에 지지되도록 장치한 마찰판축(26)에 감겨 있도록 하고, 이 마찰판축의 일측에 앞쪽마찰판(28) 고정시켜 장치하고, 이 앞쪽마찰판(28)과 대향되는 위치에 뒤쪽마찰판(29)을 장치하되 이 뒤쪽마찰판(29)은 마찰판 스프링지지대(31)에 의해 지지되는 마찰판 스프링(30)에 의해 앞쪽마찰판(28)과 압착되어 붙어 있게 하여, 앞쪽마찰판(28)파 마찰판축(26)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도록 장치 하고, 뒤쪽마찰판(29)의 측면에는 마찰판레버(lever)(34)를 고정시켜 장치한 후 이 마칠판레버(34)에 서포트(support)(좌)(36)와 서포트(support)(우)(35)에 의해 고정된 중심축(38)에 회전기능이 있는 힌지(hinge)로 연결된 중간레버(lever)(37)의 일측을 회전이 가능한 힌지(hinge)로 연결하고, 이 중간레버(37)의 또 다른 일측은 중심축(38)에 장치한 페달(pedal)(40)의 아래쪽에 고정하여 장치된 페달 레버(pedal lever)의 일측과 힌지로 연결하여 장치하므로써, 페달(40)의 위쪽을 발로 밟으면 페달(40)의 아래쪽이 당겨져 중간레버(37)가 힌지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작용에 의해 마찰판레버(34)와 함께 뒤쪽마찰판(29)이 뒤로 밀리게 되어 앞쪽마찰판(28)과의 압착이 풀리게되어 마찰판축(26)은 버켓(25)의 하중으로 인해 회전하고 이때 마찰판축(26)에 감겨있던 케이블(5)이 풀리면서 버켓(25)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도록 장치하고, 버켓(25)의 하부에는 쿠션스프링조합(32)을 부착하여 놓으므로써 버켓(25)이 내려가 지면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된,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로써,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벽(2)에 설치된 버켓(25)에 올라탄 후 모터구동방향 변환스위치가 내장된 작동/멈춤 스위치(8)를 작동시키면 나사봉(20)의 회전에 의해 너트붙임 브라켓(19)은 나사봉(20)의 나사를 따라 이동하게되어 너트붙임 레버(18)의 위치변화로 버켓(25)은 발코니벽(2)으로부터 발코니 사이거리(ℓ2)가 멀리 떨어지게 되고, 발로 페달(40)을 밟으면 마찰판축(26)의 회전으로 케이블(5)이 풀리게 되어 버켓(25)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땅에 닿을 때는 쿠션스프링(32)에 의해 충격 없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 창문에 어렵게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아래충의 연기가 발코니 창을 타고 올라와도 발코니와 버켓(25)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질식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스스로 탈출 가능하도록 한다.
고층의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피할 곳이 없어 창문으로 내려 뛰다 사고를 당하는 문제와 높은 층의 경우 창문에 매달려 대피하다 떨어져 사고를 당하는 문제 그리고 아래층에서 연기가 발코니 벽을 타고 올라올 경우 발코니 창에 매달려 대피하다 연기에 질식되어 사고를 당하는 문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용시키므로써,
공동주택의 화재시 발코니 창문에 어렵게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됨과 동시에 아래층의 연기가 발코니 창을 타고 올라와도 발코니와 버켓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질식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스스로 탈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1)

  1.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에 있어서,
    공동주택의 발코니(balcony)벽(2)과 발코니난간(1)에 일측 끝단이 힌지(hinge)로 연결된 본체(21)의 상부에 나사봉(20)을 장치하되 그 일측 끝단에 축큰기어(15), 축작은기어(14), 축(13), 큰기어(12), 모터축 작은기어(11) 및 모터(motor)축(10)이 내장된 감속기(9)를 연결시켜 장치하고, 회전모터(motor)(7)는 밧데리(battery)(6)와 전기배선으로 연결하고, 본체(21)의 또 다른 끝단에 케이블(cable)걸이(4)와 케이블(cable)(5)을 연결하고 이 케이블(5)은 버켓(bucket)(25) 내부에 장치된 마찰판축(26)에 감겨있게 하고, 마찰판축 지지대(27)에 의해 지지되는 마찰판축(26)의 일측에 앞쪽마찰판(28)이 고정되게 장치하고, 그 대항된 측에 뒤쪽마찰판(29)과 마찰판 스프링(30)이 마찰판 스프링지지대(31)에 지지되어 있고, 앞쪽마찰판(28)의 측면에 고정시켜 장치된 마찰판 레버(lever)(34)는 중심축(38)에 회전식 힌지(hinge)로 조립된 중간레버(37)와 페달레버(pedal lever)(39)를 통해 중심축(38)에 지지되는 페달(pedal)(40) 아래쪽과 연결되어있고, 버켓(25)의 하부에는 쿠션스프링조합(32)이 부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KR1020050015691A 2005-02-25 2005-02-25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KR10060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691A KR100607825B1 (ko) 2005-02-25 2005-02-25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691A KR100607825B1 (ko) 2005-02-25 2005-02-25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825B1 true KR100607825B1 (ko) 2006-08-02

Family

ID=3718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691A KR100607825B1 (ko) 2005-02-25 2005-02-25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8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109A (ko) * 2015-05-29 2015-06-17 윤태병 대피 안전구
KR20160004046U (ko) 2015-05-14 2016-11-24 김용출 긴급 생명 구조대
KR20180119224A (ko) * 2017-04-25 2018-1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자동 완강기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완강기 지지대 자동 설치 방법
KR102109587B1 (ko) * 2019-01-28 2020-05-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피난 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46U (ko) 2015-05-14 2016-11-24 김용출 긴급 생명 구조대
KR20150067109A (ko) * 2015-05-29 2015-06-17 윤태병 대피 안전구
KR101722502B1 (ko) 2015-05-29 2017-04-0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대피 안전구
KR20180119224A (ko) * 2017-04-25 2018-1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자동 완강기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완강기 지지대 자동 설치 방법
KR101958187B1 (ko) * 2017-04-25 2019-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자동 완강기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완강기 지지대 자동 설치 방법
KR102109587B1 (ko) * 2019-01-28 2020-05-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식 피난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607825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탈출장치
CN203710561U (zh) 家用火灾逃生舱
CN106044460B (zh) 楼道电梯
CN102943609A (zh) 高楼自救逃生窗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CN101884826B (zh) 高层室外悬挂式应急防火逃生舱
CN103754731B (zh) 一种家用无轨电梯
KR100965536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CN107500174B (zh) 平步上楼气动电梯
KR102253040B1 (ko) 안전 대피 사다리 장치
CN205932816U (zh) 楼道电梯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JP2007536185A (ja) フロア間で動かなくなったエレベータを昇降させるための非常装置
CN201189359Y (zh) 楼房火灾安全通道
KR100607826B1 (ko) 공동주택의 위급시 수동식 탈출장치
CN209237198U (zh) 可折叠高楼火灾逃生装置
KR101034714B1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0607827B1 (ko) 공동주택의 위급시 자동식 탈출장치
JPH11322284A (ja) 家庭用昇降設備
CN201807097U (zh) 高层室外悬挂式应急防火逃生舱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20070087319A (ko) 비상 승강장치
CN103270230B (zh) 竖向楼梯
KR101793211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