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769B1 -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 Google Patents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769B1
KR101721769B1 KR1020150121463A KR20150121463A KR101721769B1 KR 101721769 B1 KR101721769 B1 KR 101721769B1 KR 1020150121463 A KR1020150121463 A KR 1020150121463A KR 20150121463 A KR20150121463 A KR 20150121463A KR 101721769 B1 KR101721769 B1 KR 10172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lastic
core block
core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257A (ko
Inventor
최원옥
Original Assignee
최원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옥 filed Critical 최원옥
Priority to KR102015012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769B1/ko
Priority to PCT/KR2016/009175 priority patent/WO2017039199A1/ko
Publication of KR2017002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을 적층하여 건식으로 내진 성능을 가진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내부 및 측면으로 각각 중공부를 갖는 외장블럭과, 상기 외장블럭의 중공부측으로 코어블럭을 삽입하되, 상기 코어블럭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탄성구삽입홈측으로 탄성구를 삽입하여 코어블럭과 외장블럭간 탄성 접촉에 의해 내진성을 갖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 상기 코어블럭과 외장블럭으로 이루어지는 내진용 블럭의 조립 및 해제가능하도록 하는 탄성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를 이루고, 단부측은 내측방향으로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를 등간격 절개하는 테이퍼절개홈이 복수 형성되어 탄성편을 갖도록 하는 탄성구와; 상기 탄성구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측은 상기 탄성편 내부로 인입되어지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 상방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되, 상기 인입부의 외주면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탈착구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제공하여,
코어블럭과 외장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장블럭 내부에 코어블럭이 삽입 결합 되어지되 코어블럭 외측으로 탄성구가 삽입되어 외장블럭과의 탄성 접촉에 의해 내진성을 갖도록 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을 이용하여 벽체 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잘못 시공되어 외장블럭과 코어블럭을 분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비교적 쉽고 용이하게 외장블럭으로부터 코어블럭을 분리할 수 있어, 작업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완성된 벽체의 분리시, 탄성구와 코어블럭 및 외장블럭의 손상없이 해체,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타 시공에서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상이나 훼손 없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설치된 후 분리되어 재사용되더라도 내진성 등 제품의 신뢰성을 그대로 확보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 제품 신뢰성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Seismic prefabricated blocks elastic body the segregated unit}
본 발명은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 사용되는 탄성구 유닛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시공에 있어서 기성 제작된 벽체를 이루는 조립식 블럭 특히 내진용 조립식 블럭의 조립시, 잘못 조립되거나 또는 조립 설치 이후 철거 작업을 수행하여 재조립하게 되는 경우 등, 조립식 블럭과 조립식 블럭간 설치시 내진을 위해 블럭에 형성되는 삽입공으로 삽입처리되는 탄성구를 용이하게 빼내어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시 벽체 시공은 중요한 시공과정 중의 하나이며, 특히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시 건축물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내진 설계에 따른 건축물의 벽체 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에서, 기존의 벽체는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 하거나 블럭 또는 벽돌을 이용하여 몰탈 처리하여 시공하는 습식공법에 의한 벽체 시공 방법이 주류를 이루며 시공되고 있다.
상기의 습식공법에 의한 시공 방법은 현장에서의 자재 낭비가 심하여 공비의 증가로 인한 코스트 증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고,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양생 시간이 요구되어 공기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 들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시공 신뢰도 및 완성도에서의 차이가 심하여 시공 품질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거나 또는 몰탈 등의 양생 과정을 거쳐 얻게 되는 건축물의 벽체는 유연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강한 충격을 견디는 내충격성이 약하고, 횡압력에도 취약하여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특히 내진 설계를 요구하는 근래의 설계, 시공에 적합한 내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내진성을 갖도록 하는 벽체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가 공연하게 실시되고, 공지되어 있는바 예컨데 기성품으로 규격화하여 제작되는 블럭을 이용하여 건식 시공에 의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 및 시공 정확성 및 신뢰성에 대한 차이가 발생 되지 않고,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시공중인 어느 건축물에나 그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안전한 내진용 조립식 블럭을 이용하여 시공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데 본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65486 호인 '내진용 조립식 외장 블럭유닛 생산방법'에 의해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한 블럭에 대한 생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65487 호인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닛'의 개시에 의해 기성 제작된 부재를 건식으로 시공하여 벽체 시공에 있어서 공기가 줄어들도록 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닛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본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에 의해,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을 제안하여, 블럭유닛 구조의 내부에 횡압력 등의 충격에 대응되도록 하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내진 성능이 우수한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 제 10-1365485 호에 의해 권리범위로 특정되고 있는 내용을 인용하면, "블럭을 적층하여 건식으로 내진성능을 가진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럭중공부 및 반중공부가 다수개 형성된 다수개의 외장블럭,
상기 블럭중공부 및 반중공부에 삽입되는 코어블럭 및,
상기 코어블럭의 외면에 설치되는 탄성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외장블럭은 수평 및 수직으로 쌓여 막힌줄눈으로 여러층이 적층되고, 상기 외장블럭의 반중공부는 수평으로 인접하는 외장블럭의 반중공부와 결합하여 블럭중공부와 같은 형상 및 크기의 결합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코어블럭은 수직으로 관통되어 연결된 블럭중공부와 결합중공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구가 블럭중공부와 결합중공부의 내벽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므로 완성된 벽체에 작용하는 횡압력에 대응하는 내진성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유닛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특허공보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특허의 경우, 해당 블럭을 설치 시공하게 되면 코어블럭이 외장블럭의 블럭중공부 또는 반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코어블럭의 네귀와 상기 블럭중공부 또는 반중공부의 네귀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구삽입홈측으로 탄성구를 삽입하여 내진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구의 경우, 내부로 압축력이 작용하여 외부로 팽창하려는 탄성력이 내재된 압축탄성구를 채택하여 실시하게 되는데, 상기한 선행 특허의 경우에 외장블럭의 설치 시공이 잘못 되거나 또는 이미 설치된 외장블럭을 해체하여야 하는 상황에 대하여 대처 불가능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상기 선행 특허는 코어블럭의 네 귀에 형성된 탄성구삽입홈과, 이와 대응되는 불록중공부 또는 반중공부의 귀 사이의 공간에 의해 탄성구삽입홈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구삽입홈측으로 일측의 절개에 의해 탄성력을 갖게 되는 탄성구를 강제 삽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강제 삽입된 탄성구를 다시 빼내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가능에 가깝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구삽입홈에 강제로 끼워진 탄성구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코어블럭과 외장블럭간의 내충격성을 확보하여 내진 가능할 수 있게 되지만, 설치하는 과정에서 해당 블럭들의 설치가 잘못되엇을 때 이를 해체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구를 탄성구삽입홈에서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강제로 빼내는 과정에서 코어블럭 또는 외장블럭을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65486 호 (2014. 02. 21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65487 호 (2014. 02. 14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 (2014. 02. 2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진용 조립식 블럭을 구성하는 코어블럭 및 외장블럭의 조립 과정에서 잘못 조립되는 경우, 외장블럭으로부터 코어블럭을 빼내거나 또는 기 조립되어 있는 조립식 블럭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 외장블럭과 코어블럭간을 긴밀하게 접촉하여 내진성을 갖도록 하는 탄성구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여, 조립식 블럭의 분리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조립식 블럭의 해체 과정에서 외장블럭과 코어블럭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럭을 적층하여 건식으로 내진 성능을 가진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내부 및 측면으로 각각 중공부를 갖는 외장블럭(20)과, 상기 외장블럭(20)의 중공부측으로 코어블럭(10)을 삽입하되, 상기 코어블럭(1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탄성구삽입홀(11)측으로 탄성구(100)를 삽입하여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간 탄성 접촉에 의해 내진성을 갖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 상기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으로 이루어지는 내진용 블럭의 조립 및 해제가능하도록 하는 탄성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110)를 이루고, 단부측은 내측방향으로 테이퍼면(121)을 형성하는 테이퍼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120)를 등간격 절개하는 테이퍼절개홈(131)이 복수 형성되어 탄성편(130)을 갖도록 하고; 상기 탄성구(130)의 내부로 인입되어지는 인입부(210)와, 상기 인입부(210) 상방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220)를 형성하되, 상기 인입부 (210)의 외주면으로 요철(凹凸)홈(211)을 형성하는 탈착구(200)로 이루어지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어블럭과 외장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장블럭 내부에 코어블럭이 삽입 결합 되어지되 코어블럭 외측으로 탄성구가 삽입되어 외장블럭과의 탄성 접촉에 의해 내진성을 갖도록 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을 이용하여 벽체 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잘못 시공되어 외장블럭과 코어블럭을 분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비교적 쉽고 용이하게 외장블럭으로부터 코어블럭을 분리할 수 있어, 작업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된 벽체의 분리시, 탄성구와 코어블럭 및 외장블럭의 손상없이 해체,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타 시공에서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상이나 훼손 없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설치된 후 분리되어 재사용되더라도 내진성 등 제품의 신뢰성을 그대로 확보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 제품 신뢰성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탄성구에서 테이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유닛을 이루는 구성 중 탈착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진용 외장블럭에 코어블럭이 삽입되고, 상기 코어블럭의 탄성구 삽입홀에 탄성구가 끼워지기위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도면
도 5는 도 4에 의한 상태에서 코어블럭이 외장블럭에 끼워진 후 코어블럭의 탄성구 삽입홀에 탄성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평면도
도 6은 외장블럭에 끼워진 코어블럭 및, 상기 코어블럭이 외장블럭의 블럭중공부와 결합중공부에 끼워지며 내진성을 갖도록 코어블럭의 탄성구 삽입홀에 삽입된 탄성구를 탈착구를 이용하여 탈거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탈착구를 이용하여 상기 탈착구의 인입부를 탄성구 내부로 삽입한 후 탄성구의 탄성편이 인입부의 요철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의해 탄성구의 탄성편이 인입부의 요철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구의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코어블럭으로부터 탄성구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으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인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탄성구를 변형한 발명으로, 상기 특허에서 재활 불가능한 탄성구를 변형하여 탄성구는 물론이거니와 외장블럭 및 코어블럭의 재사용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탄성구(100)와 상기 탄성구(100)를 코어블럭 및 외장블럭으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하는 탈착구(200)을 하나의 유닛으로 하는 발명군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탄성구(100)가 사용되는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의 구성은 전술한 본원인의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게 된다.
예컨데 내부에는 다수개의 블럭중공부(21)를 이루고 측단부에는 반중공부(22)가 각각 형성되는 외장블럭(20)과, 상기 외장블럭(20)과 외장블럭(20)의 측면간 접하며 배열, 시공되어질 때 상기 블럭중공부(21) 및 측단부의 반중공부(22)들이 접하며 형성되는 결합중공부(22')에 탄성구(100)를 삽입하여 완성된 벽체에 작용하는 횡압력에 대응되는 내진성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구(100)는 도 1 내지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탄성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110)를 이루고, 단부측은 내측방향으로 테이퍼면(121)을 형성하는 테이퍼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120)를 등간격 절개하는 테이퍼절개홈(131)이 복수 형성되어 탄성편(130)을 갖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탄성구(100)의 몸체(101) 외경을 D라 하고, 테이퍼부(120)의 외경을 d라 하였을 때, 몸체(101)의 외경 D 는 테이퍼부(120)의 외경 d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D > 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탄성구(100)는 외장블럭(20)의 블럭중공부(21)와 반중공부(22)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중공부(22')에 각각 삽입되는 코어블럭(10)의 외측면으로 끼워지며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간의 탄성적 접촉을 유도하여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 상기 코어블럭(10)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각 형상을 이루며 코어블럭(10)의 네귀 모퉁이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원호 형태를 갖는 탄성구삽입홀(11)을 형성한다.
상기 코어블럭(10)이 외장블럭(20)의 블럭중공부(21)와 결합중공부(22')에 끼워진 상태에서 내진성 확보를 위해 탄성구(100)를 상기 탄성구삽입홀(11)을 통하여 강제 삽입하게 되면, 코어블럭(10)의 외면과 외장블럭(20)의 내면은 상기 탄성구(100)의 외면에 의해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은 직접적 접촉은 회피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구(100)의 탄성력에 의해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구(100) 내부에는 중공 상태를 유지하며 탄성적 충격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구(100)는 진공력을 발휘 할 수 있어, 내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구(100)를 압축탄성구와 상기 압축탄성구 내부로 인입되는 인장탄성구로 구분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나(본원인의 특허등록 제 10-1365485 호), 본 발명에서는 이를 채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한 탄성구(100)가 코어블럭(10)의 탄성구삽입홀(11)로 강제 압입되며 끼워진 상태에서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이미 설치 시공된 벽체를 이루는 외장블럭(20)를 해제하고 타 설치 영역으로 설치되어야 할 필요가 발생 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외장블럭(20) 및 그 내부에 끼워져 설치된 코어블럭(10)을 해체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외장블럭(20) 및 코어블럭(10)간을 긴밀하게 탄성 접촉하고 있는 탄성구(100)를 상기 코어블럭(10)의 탄성구삽입홀(11)에서 빼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을 이루는, 탈착구(200)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탈착구(200)는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탈착구(200)는, 상기 탄성구(10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측은 상기 탄성편(130) 내부로 인입되어지는 인입부(210)와, 상기 인입부(210) 상방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220)를 형성하되, 상기 인입부(210)의 외주면으로 요철(凹凸)홈(211)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인입부(210)는 장방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입부(210)는 단폭(212)과 장폭(213)으로 이루어지며 평단면상 일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탈착구(200)를 이용하여 코어블럭(10)의 탄성구삽입홀(11)에서 빼낼 수 있게 되는데, 그 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해체 하고자 하는 코어블럭(10)의 탄성구삽입홀(11)에 끼워져 있는 탄성구(100)의 내부측으로 탈착구(200)의 손잡이부(220)를 잡은 상태에서 인입부(210)를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인입부(210)에서 장폭(213)의 길이는 탄성구(100)의 몸체(101) 외경(D)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입부(210)가 탄성구(100)측으로 인입되어질 때에는, 상기 장폭(213)을 탄성구(100)의 절개부(110)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장폭(213)이 절개부(11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인입되어진다.
이와 같이 인입부(210)를 탄성구(100)측으로 인입 시키며 탄성구(100)의 테이퍼부(120) 단부를 벗어나는 순간까지 인입시키게 되면, 인입부(210)의 단부는 탄성구(100)의 절개부(110)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회동 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손잡이부(2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인입부(210)의 단부측은 테이퍼부(120) 단부측을 벗어난 상태에 있게 되므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데 회전시 인입부(210)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凹凸)홈(211) 부분으로 테이퍼부(120)의 단부측이 끼워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 이르게 되면, 탈착구(200)의 인입부(210) 단부측에 탄성구(100)의 테이퍼부(120) 단부측이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탈착구(200)의 손잡이부(220)를 잡아 당겨 탄성구(100)를 코어블럭(10)의 탄성구 삽입홀(11)로부터 용이하게 탈거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코어블럭(10)으로부터 탄성구(100)를 빼내게 되면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간은 그 내면간 긴밀한 접촉이 없는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외장블럭(20)으로부터 코어블럭(10)을 빼낼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작업에 의해 외장블럭(20)들의 전체 분리가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하면서도, 기존에서와 같은 문제점인 탄성구(100)의 파손, 손상등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아울러 코어블럭(10) 및 외장블럭(20)의 파손 및 손상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내진용 블럭들의 조립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고, 이어서 이러한 코어블럭(10) 및 외장블럭(20)과 탄성구(100)를 재활용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구(100), 코어블럭(10), 외장블럭(20) 들을 다시 재활용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부속품들의 손상, 파손 부위가 전혀 없게 되므로 내진용 블럭이 요구하는 내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재활용 되는 내진용 블럭의 제품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탄성구의 제품 신뢰도 또한 유지할 수 있어, 전체적인 내진용 조립식 블럭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코어블럭 11; 탄성구 삽입홀
20; 외장블럭 21; 블럭중공부
22; 반중공부 22'; 결합중공부
100; 탄성구 101; 몸체
110; 절개부 120; 테이퍼부
121; 테이퍼면 130; 탄성편
131; 테이퍼절개홈
D; 몸체의 외경 d; 테이퍼부의 외경
200; 탈착구 210; 인입부
211; 요철홈 212; 단폭
213; 장폭 220; 손잡이부

Claims (3)

  1. 블럭을 적층하여 건식으로 내진 성능을 가진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내부 및 측면으로 각각 중공부를 갖는 외장블럭(20)과, 상기 외장블럭(20)의 중공부측으로 코어블럭(10)을 삽입하되, 상기 코어블럭(1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탄성구삽입홀(11)측으로 탄성구(100)를 삽입하여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간 탄성 접촉에 의해 내진성을 갖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 상기 코어블럭(10)과 외장블럭(20)으로 이루어지는 내진용 블럭의 조립 및 해제가능하도록 하는 탄성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110)를 이루고, 단부측은 내측방향으로 테이퍼면(121)을 형성하는 테이퍼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120)를 등간격 절개하는 테이퍼절개홈(131)이 복수 형성되어 탄성편(130)을 갖도록 하고; 상기 탄성구(100)의 내부로 인입되어지는 인입부(210)와, 상기 인입부(210) 상방으로 이어지는 손잡이부(220)를 형성하되, 상기 인입부 (210)의 외주면으로 요철(凹凸)홈(211)을 형성하는 탈착구(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210)는 단폭(212)과 장폭(213)으로 이루어지며 평단면상 일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210)의 장폭(213) 길이는 탄성구(100)의 몸체(101) 외경(D)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KR1020150121463A 2015-08-28 2015-08-28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KR101721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463A KR101721769B1 (ko) 2015-08-28 2015-08-28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PCT/KR2016/009175 WO2017039199A1 (ko) 2015-08-28 2016-08-19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463A KR101721769B1 (ko) 2015-08-28 2015-08-28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57A KR20170025257A (ko) 2017-03-08
KR101721769B1 true KR101721769B1 (ko) 2017-04-10

Family

ID=5818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463A KR101721769B1 (ko) 2015-08-28 2015-08-28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1769B1 (ko)
WO (1) WO20170391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13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8890C1 (ru) * 2017-09-14 2018-10-04 Нара Энд Тек Ко., Лтд. Сейсмостойкий блок сейсмоизолирующего типа и сейсмостойкая структура,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KR102342256B1 (ko) * 2019-08-08 2021-12-22 이승구 석재블럭의 상호 조립을 위한 결합유닛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277A (ja) * 1994-04-08 1995-10-24 Koki Tokumoto ブロック連結装置
JP2000034772A (ja) * 1998-07-16 2000-02-02 Yamax Corp 取付物の固定方法および固定装置
KR20040042975A (ko) * 2002-11-14 2004-05-22 이 창 훈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KR101316018B1 (ko) * 2006-10-23 2013-10-10 임정순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연결시스템
KR101365487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KR101354071B1 (ko) * 2011-11-29 2014-01-23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명통 매립을 이용한 지진파 방진벽
KR101365486B1 (ko) 2011-11-29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외장 블록유닛 생산방법
KR101365485B1 (ko) * 2012-04-24 2014-02-21 최원옥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13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KR102649999B1 (ko) * 2021-01-20 2024-03-25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57A (ko) 2017-03-08
WO2017039199A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769B1 (ko) 내진용 조립식 블럭에서의 탄성구 분리 유닛
KR101365485B1 (ko)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US10267051B2 (en) Formwork tube
JP5493848B2 (ja) 鋼製型枠をなす側板端部同士の接合構造
US20190100909A1 (en) Protective structure for board partitions
US20090007753A1 (en) Practice mute for string instruments
KR102062843B1 (ko) 폼타이에 결합되는 거푸집 고정구
KR102365384B1 (ko) 낚시보트 고정용 폴대 연결구 조립체
KR100906699B1 (ko) 다기능 연결구
CN209443796U (zh) 定位隔离装置及振捣器
CN210949468U (zh) 一种螺栓头部及具有其的沉头螺栓以及拆装工具
KR102342256B1 (ko) 석재블럭의 상호 조립을 위한 결합유닛
KR101394454B1 (ko) 중공슬래브의 원터치식 분리형 부력방지장치
TWM608450U (zh) 可拆式模具
JP5085919B2 (ja) 多重積層物の転倒防止装置
KR20110001734U (ko) 앵커볼트
KR20190001885U (ko) 창의력 개발용 조립식 완구 세트 분리 결합도구
JP2009270411A (ja) 墓石などの石材連結金具
KR102649999B1 (ko)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KR20220111113A (ko) 건축물 외벽 내진블럭
CN210606593U (zh) 便于更换的钢琴琴槌
KR102370073B1 (ko) 결합과 탈거가 간편한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JP2014227764A (ja) 間仕切装置
JP6970951B1 (ja) アンカーボルト
CN216130384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装配式建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