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478B1 -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 Google Patents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1478B1 KR101721478B1 KR1020150166943A KR20150166943A KR101721478B1 KR 101721478 B1 KR101721478 B1 KR 101721478B1 KR 1020150166943 A KR1020150166943 A KR 1020150166943A KR 20150166943 A KR20150166943 A KR 20150166943A KR 101721478 B1 KR101721478 B1 KR 101721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ceps
- pouch
- bag
- teeth
- extract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0 CC1C*(C)=CC1 Chemical compound CC1C*(C)=CC1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치한 치아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주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자루부와,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치된 치아가 인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와, 자루부의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포셉의 집게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에서 자루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Forcep)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셉을 이용하여 치아를 발치한 후 치아가 구강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치용 포셉(Forcep)은 치아 발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포셉의 집게발 양 끝단에 힘이 집중되고, 발치 대상 치아와 집게발의 접촉면과의 장악점이 최소한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치아를 발치할 때 포셉의 양 끝단에 힘을 집중시킴으로써 발치를 용이하게 하지만, 치아에 닿는 포셉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발치된 치아를 구강 밖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치아가 구강 내부로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467378호는 치아 발치기에 관한 것으로 발치하고자 하는 치아를 고정함은 물론 회동되면서 상기의 치아를 발치하도록 상부클램프가 구비된 상부레버와, 상기 상부레버와 대응되게 위치 및 상기 상부레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클램프와 대응되는 하부클램프가 구비된 하부레버로 이루어진 클램프레버부, 상기 클램프레버부의 하부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되는 클램프레버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발치하고자하는 치아의 양측에 위치하는 인접 치아의 상면에 안착되는 서포터가 구비된 지지레버부로 구성되되, 상기의 클램프레버부의 상부레버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는 상부손잡이와, 상기 상부레버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발치하고자 하는 치아의 외면에 접촉되어 고정하도록 내측방향으로 굴곡되는 형태의 상부클램프와, 상기 상부손잡이의 단부 측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의 클램프레버부의 하부레버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는 하부손잡이와, 상기 하부레버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클램프와 대응되는 측에서 발치하고자 하는 치아의 외면에 접촉되어 고정하도록 내측방향으로 굴곡된 형태의 하부클램프와, 상기 하부손잡이의 단부 측 상부에 형성되어 하부레버의 회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와, 상기 하부가이드의 측방인 하부손잡이의 단부 측에 형성되어 상부가이드가 삽탈되면서 상부가이드의 회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발치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치아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지만 발치하는 치아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발치기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탄성체로 인해 발치된 치아가 클램프에서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치한 치아가 구강 내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포셉과 결합되어 치아를 별도로 수거할 수 있는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거된 치아가 파우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우치가 포셉의 크기 또는 종류에 상관없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는 발치한 치아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주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자루부와,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치된 치아가 인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와, 자루부의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포셉의 집게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에서 자루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는 자루부의 돌출된 부위 끝단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자루부의 하부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덮개부는 자루부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포셉의 집게발을 덮개부와 자루부 사이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에 의하면 발치한 치아가 구강 내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포셉과 결합되어 치아를 별도로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에 의하면 수거된 치아가 파우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에 의하면 파우치가 포셉의 크기 또는 종류에 상관없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가 포셉과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내부의 돌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4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내부의 트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5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슬립방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내부의 돌기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4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내부의 트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제5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슬립방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Forcep)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셉을 이용하여 치아를 발치한 후 치아가 구강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가 포셉과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는 발치한 치아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주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자루부(130)와, 자루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치된 치아가 인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110)와, 자루부(130)의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포셉(10)의 집게발(11)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개구부(110)에서 자루부(130)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1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우치(100)의 자루부(130)는 하부가 반구형으로 되어있고 상부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자루부(13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개구되어 발치된 치아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자루부(130)의 상부 원통형 끝단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포셉(10)의 집게발(11) 각각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돌출된 상부면에는 개구부(110)에서 자루부(130)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120)이 형성된다.
관통구멍(120)은 치아의 종류에 맞춰 사용되는 포셉(10)의 집게발(11)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포셉(10)의 집게발(11)은 자루부(130)에서 개구부(110) 방향을 향해 관통구멍(120)을 관통한 후 집게발(11)이 관통구멍(120)으로부터 돌출되어 발치할 치아를 장악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파우치(100)의 자루부(130)는 치과 발치용 포셉(10)의 크기와 용도를 감안하여 개구부(110)에서 자루부(130)의 하단까지의 크기가 약 10mm~40mm가 되도록 하여 치아의 크기에 대응되는 파우치(100)를 사용하도록 형성하고, 관통구멍(120)의 크기는 직경 0.1mm~3mm로 치과용 포셉(10)의 집게발(11)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며, 자루부(130)의 상부에 돌출된 부위의 두께는 포셉(10) 집게발(11)의 양 끝단의 2mm~4mm 정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루부(130)의 재질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면,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로 형성시켜 포셉(10)의 집게발(11)이 관통구멍(120)을 관통한 후 집게발(11)이 벌어지거나 좁아질 때 자루부(130)의 외형이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는 자루부(130)의 돌출된 부위 끝단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자루부(130)의 하부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덮개부(140)를 더 포함하며, 덮개부(140)는 자루부(130)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을 덮개부(140)와 자루부(130) 사이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부(140)는 관통구멍(120)이 형성된 자루부(130)의 돌출된 부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자루부(130)와 덮개부(140)를 연결하는 단면이 C자 형상이 되도록 하며, 관통구멍(120)을 관통하여 결합한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에 밀착하여 파우치(100)가 도 1의 포셉(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덮개부(140)는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이 관통구멍(12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자루부(130)에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격되는 거리는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의 두께보다 적도록 형성시켜 집게발(11)이 자루부(130)와 덮개부(140) 사이에 밀착되어 가압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덮개부(140)의 길이는 5mm~35mm가 되도록 하여 도 1의 포셉(10)의 크기에 따라 덮개부(140)가 밀착되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하고, 재질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라텍스, 면,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로 형성시켜 포셉의 집게발이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형상이 변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또한 도 1의 포셉(10)으로 발치한 치아를 자루부(130)에 수거하면, 발치한 치아가 들어있는 파우치(100)를 도 1의 포셉(10)으로부터 탈착하기 위하여 파우치(100)의 덮개부(140)를 바깥 방향으로 뒤집어서 파우치(100)로부터 도 1의 포셉(1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을 관통구멍(120)으로부터 뒤로 빼도록 하여 파우치(1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관통구멍(120)은 동일한 지름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 각각을 서로 마주보는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되되 크기에 따라 삽입할 수 있도록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과용 포셉의 경우 치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집게발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포셉에 맞춰 파우치(100)의 관통구멍(120) 지름도 포셉의 집게발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관통구멍(120)은 동일한 지름을 한 쌍으로 하여 자루부(1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시켜 다양한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이 각각 관통구멍(120)에 삽입되며, 서로 다른 지름의 관통구멍(120)이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 크기에 상관없이 파우치(1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내부의 돌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는 관통구멍(120) 하부에 형성된 자루부(130)의 외면과 덮개부(140)의 내면에는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과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돌기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기부(150)는 관통구멍(120)의 하부에 있는 자루부(130)의 외면과 덮개부(140)의 내면에 반구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이 관통구멍(120)을 관통한 후 돌기로 인해 밀착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다.
이때 돌기부(150)는 자루부(130)와 덮개부(140) 사이의 간격이 좁히게 되므로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이 관통구멍을 관통하면 자루부(130)와 덮개부(140)가 집게발(11)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가압하게 된다.
또한 돌출되는 돌기부(150) 대신 자루부(130)와 덮개부(140)에 다수의 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시켜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이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 미끄럼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4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내부의 트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의 자루부(130)의 내부에는 하측으로 파여진 나팔 모양의 깔때기가 형성되어 있는 트랩부(160)를 더 포함하며, 트랩부(160)는 수거된 치아를 자루부(130) 하측으로 보내고 치아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랩부(160)는 도 1의 포셉(10)을 통해 복수개의 치아를 발치할 때 이미 발치되어 파우치(100)의 자루부(130)에 수용된 치아가 다음 치아를 발치할 때 구강내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자루부(130) 내부에 형성된다.
트랩부(160)는 자루부(130)의 하측면을 향해 경사가 형성된 나팔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중심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도 1의 포셉(10)을 통해 발치된 치아가 자루부(130) 내부로 인입하게 된다.
트랩부(160)를 통해 자루부(130)에 인입된 치아는 파우치(100)가 뒤집어지더라도 치아가 트랩부(160)에 걸려 구강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어 복수개의 치아도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트랩부(160)의 재질 또한 자루부(130)와 동일하게 형성시켜 탄력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져야하며, 트랩부(16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은 플라스틱 또는 수지를 이용하여 자루부(130)의 하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시켜 파우치(100)가 뒤집어졌을 때 돌출된 부위로 인해 치아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제5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를 절단하여 슬립방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따른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는 관통구멍(120) 내부에 결합되어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이 삽입되면 관통구멍(12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집게발(11)을 감싸도록 형성된 슬립방지부(170)를 더 포함하며, 슬립방지부(170)는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을 감싸 치아를 발치한 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립방지부(170)는 관통구멍(120) 내부에 얇은 튜브가 접혀져 있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의 끝단과 밀착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밀폐되어 있고 타측은 관통구멍(120)의 원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이 관통구멍(1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때 집게발(11)의 외면을 튜브로 된 슬립방지부(170)가 감싸면서 함께 돌출되게 되어 치아를 발치할 때 잇몸 또는 정상적인 치아와 부딪히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켜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립방지부(170)의 재질을 라텍스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시키는 경우 치아발치 후 치아가 도 1의 포셉(10)의 끝단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탄성력을 통해 도 1의 포셉(10)의 집게발(11)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도 1의 포셉(10)으로부터 파우치(100)가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에 의하면 발치한 치아가 구강 내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포셉과 결합되어 치아를 별도로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수거된 치아가 파우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파우치가 포셉의 크기 또는 종류에 상관없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포셉 11 : 집게발
100 : 파우치 110 : 개구부
120 : 관통구멍 130 : 자루부
140 : 덮개부 150 : 돌기부
160 : 트랩부 170 : 슬립방지부
100 : 파우치 110 : 개구부
120 : 관통구멍 130 : 자루부
140 : 덮개부 150 : 돌기부
160 : 트랩부 170 : 슬립방지부
Claims (2)
- 발치한 치아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주면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발치된 치아가 인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자루부의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어 포셉의 집게발 각각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서 자루부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의 돌출된 부위 끝단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의 하부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자루부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포셉의 집게발을 상기 덮개부와 상기 자루부 사이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6943A KR101721478B1 (ko) | 2015-11-27 | 2015-11-27 |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6943A KR101721478B1 (ko) | 2015-11-27 | 2015-11-27 |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1478B1 true KR101721478B1 (ko) | 2017-03-30 |
Family
ID=5850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6943A KR101721478B1 (ko) | 2015-11-27 | 2015-11-27 |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147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1721A (en) * | 1992-04-14 | 1995-06-06 | Fyffe; David | Dental forceps |
KR20120100263A (ko) * | 2011-03-03 | 2012-09-1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임플란트 시술용 본 포셉 |
CN103845125A (zh) * | 2012-11-30 | 2014-06-11 | 倪立俊 | 一种改进的新型拔牙钳 |
KR101467378B1 (ko) | 2013-02-15 | 2014-12-03 | 심우현 | 치아 발치기 |
-
2015
- 2015-11-27 KR KR1020150166943A patent/KR1017214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1721A (en) * | 1992-04-14 | 1995-06-06 | Fyffe; David | Dental forceps |
KR20120100263A (ko) * | 2011-03-03 | 2012-09-1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임플란트 시술용 본 포셉 |
CN103845125A (zh) * | 2012-11-30 | 2014-06-11 | 倪立俊 | 一种改进的新型拔牙钳 |
KR101467378B1 (ko) | 2013-02-15 | 2014-12-03 | 심우현 | 치아 발치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243059A1 (en) | Hybrid dental device | |
US11013633B2 (en) | Menstrual cup and extractor system | |
WO2019093240A1 (ja) | 内視鏡のフードの取り外し治具、及びフードとフードの取り外し治具のセット | |
KR101721478B1 (ko) | 발치한 치아 수거를 위한 포셉 파우치 | |
JP4383473B2 (ja) | 内視鏡用栓体 | |
WO2016054501A1 (en) | Sharps blade applicator and storage device | |
KR20160053701A (ko) | 치과 인상용 트레이 | |
US9101435B2 (en) | Packaging device for a dental implant | |
WO2013025983A1 (en) | Grommet device with pull-tab and associated methods thereof | |
JP2011177397A (ja) | 歯ブラシ | |
EP1114603A2 (en) | Improvements in and/or relating to glove removal and/or glove retention | |
CN210170198U (zh) | 根管锉夹持器 | |
KR20160004128A (ko) | 치과 인상용 트레이 | |
JP2832797B2 (ja) | 針キャップグリッパー | |
KR20100031809A (ko) | 임산부 또는 수유부용 함몰 유두 교정구 | |
US20080066246A1 (en) | Cleaning tool for a hearing device | |
JP5187628B2 (ja) | 片手持ち搾乳器 | |
KR100830922B1 (ko) | 치과용 의료기구의 감염방지구 | |
KR20100052442A (ko) | 귀이개 | |
KR200482096Y1 (ko) | 소독비닐 커버기구 | |
JP2008043503A (ja) | 取り外し器具 | |
JP3179144U (ja) | グラブ用手入れ用具 | |
CN209827073U (zh) | 口腔器械分离取出装置及口腔器械组件 | |
CA1166463A (en) | Crown cap removing and retaining implement | |
WO2017096581A1 (zh) | 一种玉米固定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