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298B1 - 이송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이송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298B1
KR101721298B1 KR1020140174935A KR20140174935A KR101721298B1 KR 101721298 B1 KR101721298 B1 KR 101721298B1 KR 1020140174935 A KR1020140174935 A KR 1020140174935A KR 20140174935 A KR20140174935 A KR 20140174935A KR 101721298 B1 KR101721298 B1 KR 101721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allet
protrusion
block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226A (ko
Inventor
노홍일
Original Assignee
노홍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일 filed Critical 노홍일
Priority to KR102014017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2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등의 물품을 안착하여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 라인에서 사용되는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용 팔레트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 돌출부와 홈이 형성된 돌출블록을 형성하여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이송용 팔레트로써, 이송용 팔레트의 외형은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이송용 팔레트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 돌출부와 홈이 형성된 돌출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블록에 의해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격을 흡수하며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충격방지블록과 돌출블록을 일체형으로 만들어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송용 팔레트{transferring pallet}
본 발명은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등의 물품을 안착하여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 라인에서 사용되는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용 팔레트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 돌출부와 홈이 형성된 돌출블록을 형성하여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송용 팔레트이다.
일반적으로 이송용 팔레트는 컨베이어 보드(conver board) 또는 줄여서 보드(board)라고도 하며, 컨베이어를 따라 흘러가면서 그 위에 제품이 놓이게 되고 이러한 제품의 조립이나 검사가 컨베이어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각 단계별 라인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조립이나 검사 작업은 연속적인 작업을 위해 이송용 팔레트 위에 반제품을 안착시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키는데 통상적인 이송용 팔레트는 판 형태의 베이스판에 다수의 지지블록을 고정 결합하여 상기 지지블록에 제품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이송용 팔레트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격을 흡수하고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보드의 모서리에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한 충격방지블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충격방지블록은 충격의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소음이 심하고 이송용 팔레트에 안착되어 있는 (반)제품까지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그 위치가 틀어지거나 심할 경우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0136477호에 개시된 팔레트의 충격 및 반동력 흡수장치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8854호에 공개된 텔레비젼 세트 이송용 파레트의 충격 방지장치가 있다.
먼저, 상기 등록실용신안에는 롤러 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팔레트의 충격 및 반동력의 자석식 흡수 장치에 있어서; 부품 또는 작업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롤러 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팔레트의 양 진행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용의 쿠션 바; 상기 쿠션 바를 고정하는 스톱핀, 팔레트에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쿠션 바의 안쪽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용 고무; 상기 쿠션 바 내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자력에 의해 팔레트의 역이동을 막아주는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의 충격 및 반동력 흡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이러한 장치의 경우 팔레트와 스토퍼의 충격에 따른 반발력으로 팔레트가 진행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하더라도 오히려 자석에 의해 스토퍼와 팔레트가 가까워지면 이동속도가 향상되어 충격력이 상승하고 이로써 팔레트에 가해지는 충격이 클 수밖에 없어 소음발생이 많아지고 이러한 충격이 팔레트에 안착된 제품에 그대로 가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는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파레트의 상측으로 텔레비젼 세트가 위치되어 조립공정으로 이송토록 설치되는 텔레비젼 세트 이송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젼 세트가 안치되는 파레트의 양측으로 댐퍼 삽입홈이 요설되고, 상기 댐퍼삽입홈 내부에는 스프링을 개재하여 단턱이 형성되는 댐퍼가 탄설토록 되며, 상기 댐퍼의 일단부는 파레트의 양측단부에 일정거리 돌출되어, 파레트 사이에 완층구간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세트 이송용 파레트의 충격 방지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파레트 내부에 댐퍼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댐퍼삽입홈에 스프링, 댐퍼 및 댐퍼커버를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이로써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댐퍼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파레트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므로 이는 곳 파레트의 무게가 무거워짐을 의미하며 이로써 파레트의 이송에 필요한 동력소모가 많아지는 불합리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용 팔레트의 외형은 그대로 이용하되 상기 이송용 팔레트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 돌출부와 홈이 형성된 돌출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블록에 의해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격을 흡수하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송용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충격방지블록과 돌출블록을 일체형으로 만들어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송용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라인에서 물품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이송용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팔레트는 컨베이어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충격방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는 돌출블록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블록에는 이송용 팔레트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가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돌출부의 형상변화에 대응하며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돌출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돌출부와 홈의 형상이 동시에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며, 이후 충격이 제거된 이후에는 돌출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와 홈은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송용 팔레트는 이송용 팔레트의 외형은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이송용 팔레트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 돌출부와 홈이 형성된 돌출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블록에 의해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격을 흡수하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충격방지블록과 돌출블록을 일체형으로 만들어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
본 발명은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등의 물품을 안착하여 이송하기 위해 컨베이어 라인에서 사용되는 이송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용 팔레트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 돌출부와 홈이 형성된 돌출블록을 형성하여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이송용 팔레트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라인에서 물품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이송용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팔레트는 컨베이어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충격방지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는 돌출블록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블록에는 이송용 팔레트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가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돌출부의 형상변화에 대응하며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돌출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돌출부와 홈의 형상이 동시에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며, 이후 충격이 제거된 이후에는 돌출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와 홈은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충격방지블록과 돌출블록은 일체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으로 2~30mm 정도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홈은 돌출부가 충격에 의해 그 형상이 변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는 구성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외형을 따라 형성되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홈에는 돌출블록의 재질과는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가 채워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 확대도로써, 본 발명은 컨베이어 라인(10)에서 물품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이송용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팔레트는 컨베이어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충격방지블록(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격방지블록(5)의 일측에는 돌출블록(6)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블록(6)에는 이송용 팔레트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가 돌출된 돌출부(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의 내부에는 돌출부(7)의 형상변화에 대응하며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홈(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7)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돌출부(7)에 충격이 가해지면 돌출부(7)와 홈(8)의 형상이 동시에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며, 이후 충격이 제거된 이후에는 돌출부(7) 자체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7)와 홈(8)은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베이스판(1)은 컨베이어에 접촉되어 이송되는데, 컨베이어 벨트나 롤러에 의해 접촉되어 이송되며, 금속이나 목재 등으로 심재를 만들고, 심재의 외부에 우레탄 등을 코팅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의 상부에는 베이스판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그 형상을 유지해주기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한 파일(2)이 결합되고, 상기 파일(2)의 일측에는 안착될 제품의 형상에 맞도록 합성수지블록(3)이 다수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판(1)의 모서리에는 충격방지블록(5)이 결합되는데, 상기 충격방지블록(5)은 특별히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소음을 줄이기 위해 통상 합성수지를 이용해 만들어진다.
상기 충격방지블록(5)의 일측에는 돌출블록(6)이 결합되는데, 상기 돌출블록(6)은 충격방지블록(5)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일측에는 이송용 팔레트의 이송방향(도 1의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부(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의 안쪽 즉, 이송용 팔레트의 중심쪽으로는 홈(8)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돌출부(7)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으로 2~30mm 정도가 돌출되어 있는데, 돌출부(7)가 2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팔레트에 충격이 그대로 가해질 수 있고, 돌출부(7)가 30mm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돌출부(7)의 강도가 떨어짐과 동시에 돌출부(7)가 팔레트끼리의 충돌에 의해 옆으로 휘어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홈(8)은 돌출부(7)가 충격에 의해 그 형상이 변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는 구성으로, 홈(8)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는데, 가능한 돌출부(7)가 형성된 외형을 따라 형성되어야만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홈(8)은 돌출부(7)에 가해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으며 이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돌출부(7)와 홈(8)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두께가 유지되어야 한다.
결국, 홈(8)은 돌출부(7)에 가해진 충격으로 그 형상이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도 1과 2에 도시된 홈(8)은 원의 형상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돌출부(7)의 정면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돌출부(7)와 홈(8)이 모두 타원형으로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이후 원의 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분 확대도로써, 상기 충격방지블록(5)과 돌출블록(6)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충격방지블록(5)의 일측에 별도의 돌출블록(6)을 결합하는 형상이었으나, 제2실시예의 경우 충격방지블록(5)과 돌출블록(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일부분 확대도로써, 충격방지블록(5)과 돌출블록(6)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충격방지블록(5)의 양단에 돌출부(7)와 홈(8)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즉, 제3실시예의 경우 제2실시예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고 가면서, 이송용 팔레트의 측면에서 가해질 수 있는 충격 역시 흡수할 수 있는데, 이송용 팔레트가 이송중 앞에 정지하고 있는 이송용 팔레트와 부딪치게 되면 이송용 팔레트의 진행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며 경우에 따라 이송용 팔레트의 폭 방향으로도 충격이 가해져 이송용 팔레트가 컨베이어 라인(10)의 측면에 형성된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부딪힐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의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성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일부분 확대도로써, 충격방지블록(5)과 돌출블록(6)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와 홈(8)은 모서리의 형상대로 형성한 것이다.
즉, 도 8을 기준으로 이송용 팔레트의 모서리 형상은 "ㄴ"자 형이므로 충격방지블록(5)과 돌출블록(6)은 모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7)와 홈(8) 역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돌출블록(6)은 충격방지블록(5)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을 포함한 합성수지로 만들 수 있으며, 우레탄 이외의 다양한 합성수지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돌출블록(6)은 충격에 대한 흡수성이 뛰어나고, 소음이 적어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상기 홈(8)에는 돌출블록(6)의 재질과는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11)를 채워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돌출블록(6)의 탄성계수(k)보다 홈에 채워지는 합성수지의 탄성계수(k)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블록(6)에 형성된 돌출부(7)가 힘을 받아 그 형상이 변하면서 홈(8)에 채워져 있는 합성수지가 쉽게 압축되어야만 충격의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이며, 홈(8)에 채워져 있는 합성수지가 쉽게 압축되지 않으면 충격이 흡수되지 않고 이송용 팔레트로 직접 전달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7)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장착부위 외에도 작업상황에 따라 이송용 팔레트의 모서리 모든 부위에 장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미설명부호는 손잡이(4)와 볼트홀(9)로써, 손잡이(4)는 이송용 팔레트의 운반을 위한 구성이며, 볼트홀(9)은 충격방지블록(5) 및 돌출블록(6)을 베이스판(1)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결합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충격방지블록(5)과 돌출블록(6)의 측면이나 상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에 볼트홀(9)을 형성할 경우에는 파일(2)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이송용 팔레트는 이송용 팔레트의 외형은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이송용 팔레트에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충격방지블록의 일측에 돌출부와 홈이 형성된 돌출블록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블록에 의해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격을 흡수하며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충격방지블록과 돌출블록을 일체형으로 만들어 제작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베이스판 2. 파일
3. 합성수지블록 4. 손잡이
5. 충격방지블록 6. 돌출블록
7. 돌출부 8. 홈
9. 볼트홀 10. 컨베이어 라인
11. 합성수지

Claims (5)

  1. 컨베이어 라인(10)에서 물품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이송용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팔레트는 컨베이어에 접촉되어 이송되는 베이스판(1)과, 상기 베이스판(1)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충격방지블록(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격방지블록(5)의 일측에는 돌출블록(6)이 형성되되,
    상기 돌출블록(6)에는 이송용 팔레트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길이가 돌출된 돌출부(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의 내부에는 돌출부(7)의 형상변화에 대응하며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홈(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7)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돌출부(7)에 충격이 가해지면 돌출부(7)와 홈(8)의 형상이 동시에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며, 이후 충격이 제거된 이후에는 돌출부(7) 자체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7)와 홈(8)은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며,
    상기 홈(8)은 돌출부(7)가 충격에 의해 그 형상이 변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는 구성으로, 돌출부(7)가 형성된 외형을 따라 형성되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홈(8)은 원의 형상으로써 돌출부(7)의 정면으로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돌출부(7)와 홈(8)이 모두 타원형으로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이후 원의 형상으로 돌아오게 되며,
    상기 돌출부(7)는 이송용 팔레트끼리의 충돌시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분으로 2~30mm 정도가 돌출되어 있되,
    상기 돌출부(7)가 2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팔레트에 충격이 그대로 가해질 수 있고, 돌출부(7)가 30mm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돌출부(7)의 강도가 떨어짐과 동시에 돌출부(7)가 팔레트끼리의 충돌에 의해 옆으로 휘어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이송용 팔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8)에는 돌출블록(6)의 재질과는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가 채워져 있는 것이 특징인 이송용 팔레트.
KR1020140174935A 2014-12-08 2014-12-08 이송용 팔레트 KR101721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35A KR101721298B1 (ko) 2014-12-08 2014-12-08 이송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35A KR101721298B1 (ko) 2014-12-08 2014-12-08 이송용 팔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26A KR20160069226A (ko) 2016-06-16
KR101721298B1 true KR101721298B1 (ko) 2017-03-30

Family

ID=5635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35A KR101721298B1 (ko) 2014-12-08 2014-12-08 이송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97B1 (ko) * 2018-11-13 2020-06-26 노홍일 접지구조가 형성된 이송용 팔레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328A (ja) * 2007-12-19 2009-07-09 Ricoh Co Ltd 商品運搬用パレット、梱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427A (ja) * 1991-10-01 1993-04-20 Nec Niigata Ltd ラインパレツトの製品位置決め構造
KR20100006348U (ko) * 2010-06-03 2010-06-23 김길동 우레탄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운반용 파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328A (ja) * 2007-12-19 2009-07-09 Ricoh Co Ltd 商品運搬用パレット、梱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26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757B1 (en) Shielded pallet
CN205771443U (zh) 金属板送料机
KR101721298B1 (ko) 이송용 팔레트
KR100994884B1 (ko) 코일 강판 충격 흡수 패드 및 이를 포함한 코일 강판 적재장치
CN106080687A (zh) 一种具有二次减震机构的物料运输用平台推车
KR20130118411A (ko) 운반 장치
CN103318111B (zh) 一种汽车保险杠缓冲器
US8967647B1 (en) Suspension system for child stroller
KR100835320B1 (ko) 카세트 케이스 곤포용 완충체
CN210556307U (zh) 一种具有减震结构的瓦楞纸箱
KR100241121B1 (ko) 리테이너도그가 부착된 푸셔도그를 가지는 푸셔 콘베이어
JP2002002809A (ja) 輸送用梱包材
KR200486070Y1 (ko) 지게차용 포크 글러브
CN212909613U (zh) 一种防摔手机
KR200480567Y1 (ko) 운반차용 안전가드의 원터치 체결부
JP2724118B2 (ja) 荷物載置台の脚体
KR20100006348U (ko) 우레탄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운반용 파레트
JP4850875B2 (ja) パレット
JPH04501788A (ja) ソレノイドの衝撃吸収緩衝構造とその制御方法
KR101140172B1 (ko) 차량의 임팩트패드용 발포 금형구조
CN211919562U (zh) 一种环保牢固的纸护角
CN104843422A (zh) 传送板
CN219263087U (zh) 一种电梯运送承载轿厢减震垫
KR20100007356U (ko) 카트의 모서리 보호부재
CN214241798U (zh) 一种具有减震作用的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