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456B1 -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456B1
KR101720456B1 KR1020160009651A KR20160009651A KR101720456B1 KR 101720456 B1 KR101720456 B1 KR 101720456B1 KR 1020160009651 A KR1020160009651 A KR 1020160009651A KR 20160009651 A KR20160009651 A KR 20160009651A KR 101720456 B1 KR101720456 B1 KR 10172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p
groove
pipe
hollow pipe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경
Priority to KR102016000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0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0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 B60B33/000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mounting method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60B2200/22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60B2200/24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다리 하단 부품(3)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결합하는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가 개시되며, 이 연결장치는, 상기 다리용 상기 중공 파이프(2)의 하단에 삽입되고 아래를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홈(110)이 형성된 파이프 캡(100); 상기 파이프 캡(100)을 관통하는 수나사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200); 및 상기 수나사부(210)와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테이퍼 홈(110) 내에서 상하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테이퍼 바디(300)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캡(100)은 상기 테이퍼 홈(110)을 둘러싸는 측벽(112)에 복수개의 절개부(114)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200) 회전에 의해 상기 테이퍼 바디(300)가 하강하여 상기 테이퍼 홈(110)에 일정 깊이 이상 수용되면, 상기 파이프 캡(100)의 측벽(112)이 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 캡(100)이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고정된다.

Description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a connecting apparatus for lower end part of the leg}
본 발명은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의자, 책상 또는 침대 등의 가구 다리에 캐스터휠 또는 마감캡 등과 같은 하단 부품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자, 책상 또는 침대는 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구비하며, 다리의 하단에는 캐스터휠 또는 마감캡 등과 같은 하단 부품이 결합된다. 통상, 다리는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하단 부품은 자신의 일부가 상기 중공 파이프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종래에는 하단 부품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에 결합하기 위해, 하단 부품의 상부에 위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폭 또는 직경이 증가하는 경사진 삽입부를 미리 마련하고, 하단 부품을 타격해, 하단 부품의 삽입부를 중공 파이프에 억지로 끼워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하단 부품을 타격하여 다리용 중공 파이프에 억지로 끼워 결합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에 변형이 생기며, 이는 제품의 수평이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는 것을 초래한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4-0089934호(2004. 10. 22.)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타격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도 하단 부품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에 신뢰성 있게 결합하여, 기존 타격을 통한 억지 끼움 방식 이용시 제품의 수평이나 균형이 맞지 않거나 변형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다리 하단 부품(3)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결합하는 연결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다리용 상기 중공 파이프(2)의 하단에 삽입되고 아래를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홈(110)이 형성된 파이프 캡(100); 상기 파이프 캡(100)을 관통하는 수나사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200); 및 상기 수나사부(210)와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테이퍼 홈(110) 내에서 상하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테이퍼 바디(300)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캡(100)은 상기 테이퍼 홈(110)을 둘러싸는 측벽(112)에 복수개의 절개부(114)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200) 회전에 의해 상기 테이퍼 바디(300)가 하강하여 상기 테이퍼 홈(110)에 일정 깊이 이상 수용되면, 상기 파이프 캡(100)의 측벽(112)이 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 캡(100)이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테이퍼 홈(110)에 대한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직선 운동 가이드를 위해, 상기 테이퍼 홈(110)의 내부면과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외부면 사이에는 가이드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파이프 캡(100)은 측방향으로의 확장 변형시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와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력 돌기(120)를 상기 측벽(112)의 외부면에 구비한다.
일 실시에예 따라, 상기 파이프 캡(100)은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의 하단면이 안착되도록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시트부(130)를 하부에 구비하며, 상기 볼트(200)는 상기 수나사부(210)와 연결된 채 상기 파이프 캡(100)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 조작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200)는 상기 수나사부(210)와 동일한 축선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 조작부(220)의 중앙에서 아래로 길게 연장된 채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회전 샤프트(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230)의 하단에는 상기 볼트(200)가 프레임(32)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232)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조작부(220)와 상기 프레임(32) 사이에는 볼 베어링(400)이 개재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전 조작부(220)는 수나사부(210)와 일체인 헤드부분(222)과 상기 헤드부분(222)의 외부면에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된 회전 디스크부(2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도 하단 부품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에 신뢰성 있게 결합하여, 기존 타격을 통한 억지 끼움 방식 이용시 제품의 수평이나 균형이 맞지 않거나 변형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를 이용해 다리용 중공 파이프에 하단 부품을 연결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하단 부품 연결장치에 의해 다리용 중공 파이프와 다리 하단 부품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에 의해 다리용 중공 파이프와 다리 하단 부품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테이퍼 바디가 하강하여 파이프 캡의 테이퍼 홈에 끼워지면서 파이프 캡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공된다. 따라서 도면들 및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리용 중공 파이프(2)와,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결합되는 다리 하단 부품(3)과,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신뢰성 있게 결합하기 위한 연결장치(1)를 볼 수 있다.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는, 의자, 침대, 책상 등과 같은 가구의 다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형 단면의 중공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중공 파이프(2)는 다각형, 타원형 또는 기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공을 포함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은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캐스터 휠이지만, 다리용 중공 파이프(2) 하단을 막는 캡 등 다른 구조물일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은 바퀴(31)와, 상기 바퀴(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에 레버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바퀴(31)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부(3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결장치(1)는 상기 중공 파이프(2)의 하단에 삽입되고 아래를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홈(110)이 형성된 파이프 캡(100)과, 상기 파이프 캡(100)을 관통하는 수나사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200)와, 상기 볼트(200)의 수나사부(210)와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 캡(100)의 테이퍼 홈(110) 내에서 상하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테이퍼 바디(30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 바디(300)는 아래를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 캡(100)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테이퍼 홈(110)을 둘러싸는 측벽(112)에 복수개의 절개부(114)를 구비하며, 이 복수개의 절개부(114)에 의해, 외력이 가해질 때 쉽게 측방향으로 확장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이퍼 바디(300)는, 상기 볼트(200)의 수나사부(210)와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암나사부(310)를 일체로 구비하므로, 상기 볼트(200)가 회전되면 상기 파이프 캡(10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하강에 의해 상기 파이프 캡(100)의 테이퍼 홈(110)에 대한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수용 깊이가 증가된다. 상기 수용 깊이가 일정 깊이 이상일 때 상기 테이퍼 바디(300)에 의해 상기 파이프 캡(100)의 측벽(112)이 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외측으로 확장 변형된다. 이 확장 변형은 전술한 복수개의 절개부(114)에 의해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캡(100)의 테이퍼 홈(110)에 대한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직선 운동 가이드를 위해, 상기 테이퍼 홈(110)의 내부면에는 상하로 길게 가이드 돌기(115)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320)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테이퍼 홈(110)의 내부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외측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은 상기 파이프 캡(100)에 대한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상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의 역할을 한다.
상기 테이퍼 바디(300)는 상기 볼트(200)의 수나사부(210)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상기 수나사부(300)와 나사 연결되는 암나사부(310)를 중앙에 관통 형태로 구비한다. 상기 테이퍼 바디(3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부(310)만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캡(100)은 상기 테이퍼 바디(300)의 일정 깊이 이상의 하강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의 내부면에 꼭 끼어 고정된다.
상기 파이프 캡(100)이 확장되기 전에는 상기 파이프 캡(100)과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의 내부면 사이에는 충분한 갭이 존재하므로,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대한 상기 파이프 캡(100)의 삽입이 원활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캡(100)은 자신의 확장 변형시 더 강한 마찰력으로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면에 마찰력 돌기(120)들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다리용 중공 파이프(2)의 내부면은 거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복수개의 마찰력 돌기(120)가 상기 거친면에 밀착됨으로써, 파이프 캡(100)과 다리용 중공 파이프(2) 사이의 마찰 고정력은 더욱 증가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캡(100)은 다리용 중공 파이프(2)의 하단면이 안착되도록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시트부(130)를 하부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트(200)는 전술한 수나사부(210)와 일체로 형성된 채 상기 파이프 캡(100)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 조작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조작부(220)는 예컨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 헤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200)는 상기 수나사부(210)와 동일한 축선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 조작부(220) 중앙에서 아래로 길게 연장된 채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회전 샤프트(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 샤프트(230)의 하단에는 상기 볼트(200)가 프레임(32)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232)가 대략 리벳 머리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1)는 볼트(200)가 원활하게 그리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흔들림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조작부(220)와 상기 프레임(32) 사이에 개개된 볼 베어링(40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2),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 조작부(220)에는 환형의 볼 베어링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 베어링 설치홈에 상기 볼 베어링(400)이 끼워져 유지된다.
앞에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2)은 일정 깊이의 나사홈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32a)와, 상기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높이 조절 나사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 나사부(32b)는 상단 헤드부의 중앙에 상기 볼트(200)의 회전 샤프트(23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홈이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테이퍼 바디(300)가 하강하여 파이프 캡(100)의 테이퍼 홈(110)에 끼워지면서 파이프 캡(100)을 측방향으로 확장 변형시키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를 보면, 테이퍼 바디(300)가 파이프 캡(100)의 테이퍼 홈(110) 내에 완전히 삽입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며, 이 상태에서는, 파이프 캡(100)에 형성된 절개부(114)의 상부 폭(b1)과 하부 폭(b2)을 포함하는 전체 폭이 일정하며, 이 때에는, 상기 파이프 캡(100)이 측방향으로 확장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200; 도 1 내지 도 5 참조)의 회전 및 가이드 돌기(115)와 가이드 홈(320)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테이퍼 바디(300)가 직선 하강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바디(300)가 파이프 캡(100) 내에 일정 깊이 이상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파이프 캡(100)의 하부 폭(b1)보다 상부 폭(b2)이 커지도록 절개부(114)가 확장되며, 그와 동시에, 파이프 캡(100) 또한 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된다. 이와 같은, 확장 변형에 의해, 파이프 캡(100)은 다리용 중공 파이프(2; 도 1 내지 도 5 참조)의 내부면에 단단히 맞물려 고정되며, 이에 의해, 하단 부품(3; 도 1 내지 도 5 참조)이 다리용 중공 파이프(2; 도 1 내지 도 5 참조)의 내부면에 신뢰성 있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 부품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단 부품 연결장치에 있어서도, 볼트(200)는 수나사부(210)와 연결된 채 상기 파이프 캡(100)의 바닥 아래에 위치한 회전 조작부(220)를 포함한다. 다만, 앞선 실시예의 회전 조작부가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돌릴 수 있는 육각 헤드만으로 이루어졌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회전 조작부(220)는 수나사부(210)와 일체인 헤드부분(예컨대, 육각 헤드; 222)과 그 헤드부분(222)의 외부면에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된 회전 디스크부(224)를 포함한다. 회전 조작부(220)로는 회전 디스크부(224) 대신에 나비 볼트 구조의 헤드부분을 채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여러 실시예들을 예시적으로 보인 평면도들로서, 도 8의 (a)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형 중공 파이프에 대응되는 연결장치를 도시하며, 이 연결장치는 원형 파이프 캡(100) 및 원형 테이퍼 바디(300)를 포함하며, 원형 테이퍼 캡(100)과 원형 테이퍼 바디(300) 사이에는 가이드 돌기(115)와 가이드 홈(320)를 포함하는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다. 도 8의 (b)는 사각형 중공 파이프에 대응되는 연결장치를 도시하며, 이 연결장치는 사각형 파이프 캡(100) 및 사각형 테이퍼 바디(300)를 포함한다. 사각형 테이퍼 바디(300)가 사각형 파이프 캡(100)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 되므로, 앞선 예의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원형 중공 파이프에 대응되는 연결장치도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장치는 타원형 파이프 캡 및 타원형 테이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타원형 테이퍼 바디가 타원형 파이프 캡 내에서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되므로, 앞선 예의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이 생략될 수 있다.
1..........................................연결장치
2..........................................다리용 중공 파이프
3..........................................하단 부품
100........................................파이프 캡
200........................................볼트
300........................................테이퍼 바디

Claims (5)

  1. 다리 하단 부품(3)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결합하는 연결장치로서,
    상기 다리용 상기 중공 파이프(2)의 하단에 삽입되고, 원형의 상단 개방부로부터 아래를 향해 좁아지는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이 형성된 파이프 캡(100);
    상기 파이프 캡(100)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나사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200); 및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수나사부(210)와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의 내부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115); 및
    상기 가이드 돌기(11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의 외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캡(100)은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을 둘러싸는 측벽(112)에 4개의 절개부(114)를 90도 간격으로 구비하며,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의 하단 일부가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200)가 회전하여,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를 하강시키고,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가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에 수용되는 깊이가 일정 깊이 이상 수용되면, 상기 파이프 캡(100)의 측벽(112)이 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 캡(100)이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2. 다리 하단 부품(3)을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결합하는 연결장치로서,
    상기 다리용 상기 중공 파이프(2)의 하단에 삽입되고, 원형의 상단 개방부로부터 아래를 향해 좁아지는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이 형성된 파이프 캡(100);
    상기 파이프 캡(100)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나사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200); 및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수나사부(210)와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의 내부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의 외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캡(100)은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을 둘러싸는 측벽(112)에 4개의 절개부(114)를 90도 간격으로 구비하며,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의 하단 일부가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200)가 회전하여, 상기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를 하강시키고,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바디(300)가 상기 절두 원추형 테이퍼 홈(110)에 수용되는 깊이가 일정 깊이 이상 수용되면, 상기 파이프 캡(100)의 측벽(112)이 측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상기 파이프 캡(100)이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캡(100)은 측방향으로의 확장 변형시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와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력 돌기(120)를 상기 측벽(112)의 외부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캡(100)은 상기 다리용 중공 파이프(2)의 하단면이 안착되도록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환형 시트부(130)를 하부에 구비하며, 상기 볼트(200)는 상기 수나사부(210)와 연결된 채 상기 파이프 캡(100)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 조작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200)는 상기 수나사부(210)와 동일한 축선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 조작부(220)의 중앙에서 아래로 길게 연장된 채 상기 다리 하단 부품(3)의 프레임(3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회전 샤프트(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샤프트(230)의 하단에는 상기 볼트(200)가 프레임(32)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232)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조작부(220)와 상기 프레임(32) 사이에는 볼 베어링(400)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작부(220)는 수나사부(210)와 일체인 헤드부분(222)과 상기 헤드부분(222)의 외부면에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된 회전 디스크부(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KR1020160009651A 2016-01-26 2016-01-26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KR10172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51A KR101720456B1 (ko) 2016-01-26 2016-01-26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51A KR101720456B1 (ko) 2016-01-26 2016-01-26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456B1 true KR101720456B1 (ko) 2017-04-11

Family

ID=5858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651A KR101720456B1 (ko) 2016-01-26 2016-01-26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00B1 (ko) * 2022-06-15 2022-11-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확장슬라이더를 이용한 가구용 다리관체와 하단지지체의 상호 체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309A (ja) * 1996-02-26 1997-09-02 Takeshiyou Plus:Kk キャスタ
JP2001130206A (ja) * 1999-11-09 2001-05-15 Okamura Corp 家具等におけるキャスター取付構造
JP2001340152A (ja) * 2000-05-30 2001-12-11 Okamura Corp 脚端具取付構造
KR20040089934A (ko) 2003-04-15 2004-10-22 이덕우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6309A (ja) * 1996-02-26 1997-09-02 Takeshiyou Plus:Kk キャスタ
JP2001130206A (ja) * 1999-11-09 2001-05-15 Okamura Corp 家具等におけるキャスター取付構造
JP2001340152A (ja) * 2000-05-30 2001-12-11 Okamura Corp 脚端具取付構造
KR20040089934A (ko) 2003-04-15 2004-10-22 이덕우 가구의 높낮이 및 수평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000B1 (ko) * 2022-06-15 2022-11-2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확장슬라이더를 이용한 가구용 다리관체와 하단지지체의 상호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9836B2 (ja) ナット又は機能部品を備えたケーブル取付器及びナット
KR200446941Y1 (ko)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KR101720456B1 (ko) 다리 하단 부품의 연결장치
EP2735680A2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door hinge assembly
JP6329772B2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JP3161736U (ja) 展示装置
JP3161736U7 (ko)
KR101866530B1 (ko) 가구용 받침다리
US6629683B2 (en) Draining-preventing device of pneumatic-and-electromotive driving valve
KR102049451B1 (ko)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장치
KR102156423B1 (ko) 파이프 홈 성형장치
KR101818545B1 (ko) 내진구조를 갖는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1932019B1 (ko)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JP2022515316A (ja) 電子膨張弁
WO2015030254A1 (ja) フロア用支持脚及びその設定方法
KR20190079572A (ko) 기둥 결합 구조
US2523513A (en) Fastening means for telescoping tubular members
KR102094177B1 (ko) 싱크대 받침다리
KR20100030854A (ko)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JP3227111U (ja) カーテン用のパンチフリー取付組立品及びカーテン
KR101132206B1 (ko) 레일용 슬라이드 장치
KR101599413B1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101791001B1 (ko) 싱크대 다리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20160002742U (ko) 셋트 앙카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