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955B1 -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955B1
KR101718955B1 KR1020100085961A KR20100085961A KR101718955B1 KR 101718955 B1 KR101718955 B1 KR 101718955B1 KR 1020100085961 A KR1020100085961 A KR 1020100085961A KR 20100085961 A KR20100085961 A KR 20100085961A KR 101718955 B1 KR101718955 B1 KR 10171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copolymer
profile
acrylic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392A (ko
Inventor
오주엽
최장현
윤승희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9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8L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파일용 발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창호의 제조에 사용되는 새로운 프로파일 발포체, 프로파일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발포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와 아크릴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30-7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와 발포제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용 발포 수지 조성물은 발포되어 있어 단열성이 좋고, 내후성이 우수하면서도, 발포상태에서 복합 창호에 필요한 물성을 충족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EXPANDABLE RESIN COMPOSITION OF PROFI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로파일용 발포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후성이 우수한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발포 프로파일의 제조에 사용되는 새로운 프로파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내후성 발포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건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점차 건축물이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미관상의 이유와 채광 및 조망을 위해 외장재로 유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에는 환기를 위해 창호를 설치하게 되는데, 건축물에 설치되는 유리 외벽과 유리 외벽의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는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구성이다. 그러나 유리 외벽과 창호는 건축물의 냉난방 성능을 저해시키는 주요 구성품이기도 하다. 이는 유리벽과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판 및 유리벽과 창호의 주요 구성품이 대부분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되기 때문이다.
특히, 창호의 경우 환기를 위해 창틀로부터 창문이 개폐 되도록 구성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창문과 창틀의 접촉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열 손실이 더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창호는 통상 창호를 구성하는 창문과 창틀의 프레임의 재료에 따라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알루미늄 창호,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플라스틱 창호, 알루미늄과 이종 재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복합창호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알루미늄 창호는 프레임의 주요 재료인 알루미늄의 특성상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변형이 적고 강도가 강하면서도 알루미늄이 다른 금속에 비해 가벼움으로 고증건물에 사용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은 가공, 시공 및 제작이 용이하고 단가가 싸다는 장점 등이 있어 창호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의 특성상 열전도율이 높아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이로 인해 동절기에 창호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결로는 실내의 환경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 창호는 기밀성과 방음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플라스틱 창호는 창호의 프레임 재료로 합성수지가 사용되며 합성수지 중 폴리염화비닐(PVC:POLYVINYL CHLORIDE)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PVC 창호는 알루미늄 창호에 비해 단열성, 수밀성 및 개폐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단가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PVC 창호는 알루미늄 창호에 비해 구조강도가 약해 초고층용 건물에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고층건물이 아니더라도 대형 창호를 제작하는 데에도 무리가 있다. 또한, PVC는 연소 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인접한 물품으로 화염을 전파시키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화재를 확대시키는 것은 물론, 화재 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창문의 외측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단열 및 방음효과를 위해서 이종 재질을 부착한 복합 창호들이 개발되어 왔다.
실용신안공보 제97-3384호, 실용신안공보 제92-8906호, 실용신안공보 제20-0283678호, 실용신안공보 제20-0163582호, 특허공보 제10-0309793호 등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창호에 목재, 폐스틸렌폼 패널등을 접합시켜 복합창호를 개발하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목재 패널은 가공성이 나빠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한 습기발생으로 부패를 유발하거나 비틀림 변형이 발생되면서 창문을 여닫는 작동이 용이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창문과 창문사이에 비틀림 변형으로 인한 틈새가 발생하여 단열 및 방음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폐 스틸렌폼 패널은 작은 충격에도 훼손이 심하며, 긁힘 현상이 두드러질 뿐 아니라, 가연성이 높아 작은 불에도 화재 위험이 높고 패널과 알루미늄 접합시 필수적으로 접착제를 사용해야하는 단점과 이에 따른 밀착도의 차이로 인해 연결부위가 층이 지며, 각이 잘 맞지 않는다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 제510392호에서는 발포 PVC를 압출 성형하여 알루미늄 패널에 부착하는 방식이 복합패널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PVC발포 수지는 복합패널에 사용되더라도 화제시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고 최근에 문제가 되는 환경유해물질들, 예를 들어 다이옥신이 다량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 단열성이 좋고, 물리적 특성들이 우수하며, 창문에 결합된 상태에서 햇빛에 장시간 견딜 수 있는 내후성이 좋은 새로운 복합 창호에 대한 요구들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창호의 제조에 필요한 물리적 특성들을 충족하면서도 단열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새로운 복합 창호용 발포체 및 이를 제조할 수 있는 발포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성과 내후성이 우수하고 화재시 안전한 새로운 복합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성이 우수하여 종래의 PVC의 생산 설비에서 상업적 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복합패널용 발포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복합 창호용 발포체 프로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포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와 아크릴계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30-70 중량%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와 발포제 0.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와 비닐시안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방향족비닐단량체로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파라-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이들의 2가지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틀리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압출 발포시 균일한 압출성과 발포셀을 형성하면서도 PVC 압출기의 낮은 가공온도에서 압출될 수 있도록 중량평균분자량이 15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0만 정도가 좋으며, 발포 이형압출에 적합하도록 낮은 용융점도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Mw/Mn 값이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5.0 으로 분자량 분포가 넓어 저분자량 제품이 일정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와 비닐시안계의 조성비율이 각각 60-80 중량%와 20-4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닐시안계의 함량이 높아질 경우 중합체의 열안정성이 낮아지게 되며, 스티렌계의 함량이 높아질 경우 발포 과정에서 제품의 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유화 중합, 괴상 중합 또는 현탁 중합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화중합 또는 괴상 중합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에서 30-70 중량%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30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발포된 프로파일의 압출성이 저하되어 압출 도중 서징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굴곡 및 인장 강도가 저할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끼울 경우 온도에 따른 수축률이 커져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함량이 70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발포 후 충격 강도가 약해져 가공중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고무-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수지는 아크릴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햇빛에 노출되는 복합 창호에 사용되더라도 내후성에 좋아 변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햇빛 노출에 의한 발포체의 물리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중합체가 충분한 고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Tg가 -20 ℃ 이하를 가지며,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고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8개인 알킬아크릴레이트이며,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적으로 불포화기를 가지는 소량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고무일 수 있다. 이 경우 에틸렌적으로 불포화기를 가지는 소량의 단량체들은 아크릴계 고무 중량의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에틸렌적으로 불포화기를 가지는 소량의 단량체들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부타디엔-스티렌, 부타디엔-메타크릴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고무-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수지는 아크릴계 고무에 스티렌계 단량체와 비닐시안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수지이다. 상기 아크릴계고무-스티렌계 단량체-비닐시안계 단량체 공중합체 수지는 발포 후 충격 강도와 단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크릴계 고무의 함량이 3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고무-스티렌계단량체-비닐시안계단량체 공중합체는 유화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고무-스티렌계단량체-비닐시안계단량 공중합체는 먼저 아크릴계 단량체, 예를 들어 부틸아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고무 라텍스를 제조한 후에 스티렌 단량체와 아크릴로니트릴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고무-스티렌계 단량체-비닐시안계 단량체 공중합체는 프로파일용 수지에서 30-7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 수지 조성물은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와 아크릴계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발포제 0.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최종 제품인 복합 창호의 단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체의 함량이 많을 경우 단열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압출기 내부에서 변화가 커져서 상업적인 압출 발포를 하기가 어렵고, 압출 발포를 하더라도 인장강도가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는 비중이 0.5 g/cc에서 1.0g/cc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체의 비중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압출 발포에 의해 제품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강도가 저하되어 발포체 홈이나 돌기를 금속 프로파일의 홈이나 돌기에 끼움 형태로 결합할 경우 파손이 일어날 가능성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프로파일 압출가공온도가 160℃에서 250℃의 범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발포제는 아조계 발포체나 설포닐계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조계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는 압출 가공 중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1.0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라트리톨 디포스레이트이며, 송원 산업의 Songnox 6260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압출 가공된 프로파일로 제조된 창틀이 사용 중 자외선에 의해서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1.0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플라스틱의 변색 방지에 사용되는 통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바스페셜 주식회사 TINUVIN-P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비닐시안계 공중합체, 아크릴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 공중합체,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믹서를 이용해서 조성물과 혼합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형태의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포제를 섞지 않는다. 이때 발포제를 섞은 후 압출을 하게 되면 펠렛 압출 단계에서 발포가 미리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수지 펠렛을 믹서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제와 블렌딩한다. 이때 사용되는 믹서는 헨셀 믹서 및 텀블러 믹서 등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복합 창호용 프로파일이 아크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사용 또는 설치 중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에서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25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발포체의 강도가 약해져 파손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저온 충격에 충분한 내성을 가지도록 Tg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포체는 단열성을 높여 창호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0.2 W/mK이하 바람직하게는 0.1-0.2 W/mK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금속 창호와 결합되어 복합창호용 발포 프로파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 발포체는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와 아크릴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30-7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를 압출 발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발포 프로파일을 충격 또는 인장 강도와 단열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도록 발포 후 수지의 비중과 발포 전 수지의 비중의 비는 0.50-0.99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복합창호가 금속 프로파일과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와 아크릴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30-7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를 압출 발포한 발포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와 아크릴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30-7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를 발포제 0.1-5 중량부와 혼합하여 압출발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용 프로파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장시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변색이나 품질저하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열성이 우수한 새로운 발포 프로파일이 제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프로파일은 금속 프로파일과 결합하여 단열성과 기밀성이 좋은 새로운 복합 창호를 제공하게 된다.
압출조건
하기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들은 창틀 제조 기계를 통하여 창틀로 제조되었다. 창틀 제조 기계로 이형 압출기인 트윈스크루 95 mm (제작회사 삼부기계공업)를 이용하였으며 하기의 압출조건에 따라 제조되었다. 제조된 모델은 P샤시 BF-115이다.
다이온도 실린더3온도 실린더2온도 실린더1온도 회전수
(rpm)
인취속도
(m/min)
냉각수온도 부하
210 160 180 210 10 1.8 20 50
실시예 1-3
3원 공중합체(ASA)는 유화중합법을 통하여 우선 고무질 중합체인 부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통상적인 촉매, 유화제, 가교제 등을 사용하여 승온 후 교반하여 중합체를 제조한 후 이 고무질 중합체 50중량부, 촉매 등을 첨가하여 승온 및 교반하면서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15 중량부와 스티렌 단량체 35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제 용액과 연속첨가하여 투입하고 고온에서 숙성하여 미반응 잔류 단량체를 제거한후 전해질인 황산마그네슘을 투입하여 응집하여 수세공정을 걸치고 건조시켜 3원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SAN 공중합체수지는 일반적인 유화중합방법을 이용하여 개시제, 유화제, 물, 단량체를 첨가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6만이 되도록 제조하였으며, Mn/Mw는 3.0이며, SM/AN의 비는 70/30 이다.
3원 공중합체 35 중량%, SAN(16만) 65 중량%의 조성비로 하고 산화방지제(송원산업 6260) 0.3 중량부, 자외선흡수제(시바스페셜 주식회사 TINUVIN-P) 0.3 중량부를 추가하여 균일한 배합을 위하여 헨셀믹서를 이용하여 5분간 고속교반 후 합성수지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에 발포제를 하기 표 1과 같이 믹서에 투입하여 헨셀믹서를 이용하여 5분간 고속교반후 발포제가 블랜딩된 수지를 제조한 후 PVC 압출기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발포제를 5-페닐테트라졸 6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 3원공중합체 ASA와 SAN 공중합체수지의 조성비를 각각 20중량%와 80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 3원공중합체 ASA와 SAN 공중합체수지의 조성비를 각각 80중량%와 20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 발포제를 넣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 발포제를 10 중량부 넣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하였다.
시험방법
(1) 열전도도 시험
발포 수지의 열전도도 측정을 위해 열전도도 시험기 HC-074(제조사 : 일본 EKO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충격강도
샤르피충격강도시험으로 KS M3056법에 준하여 5호 시험편(A형 노치)으로 온도 23℃ ± 2에서 표준시험실시하였고 -10℃ ± 2에서 저온시험을 실시하였다. 단위는 kJ/㎡이다.
(3) 내후성시험
장기내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촉진 시험기 Q-UV(제조사 ; 미국 Q-PANEL)를 이용하여 200시간(1싸이클 시험조건 8시간동안 60℃ UV(A 타입 310nm) 0.74W/㎡(광량세기) 조사 + 3분간 수분분무 + 3시간 57분동안 45 ℃ 응축) 동안 시험 후 색차 변화를 측정하였다.
[표 2]
Figure 112010057125263-pat00001

Claims (10)

  1.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와 아크릴계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와 발포제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20만이며,
    Mw/Mn은 2.5~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합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적으로 불포화기를 가지는 소량의 단량체가 공중합된 고무이며, 여기서 에틸렌적으로 불포화기를 가지는 소량의 단량체들은 아크릴계 고무 중량의 15 중량% 이하인 창호용 합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와 아크릴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30-70 중량%로 이루어진 창호용 합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계 발포체 또는 설포닐계 발포체인 창호용 합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용 합성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창호용 합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인 창호용 합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아크릴계 고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복합 프로파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10~20 중량%의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로파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프로파일은 스티렌계-비닐시안계 공중합체 30-70 중량%와 아크릴고무-비닐시안계-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30-7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를 압출 발포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로파일.
KR1020100085961A 2010-09-02 2010-09-02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71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61A KR101718955B1 (ko) 2010-09-02 2010-09-02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61A KR101718955B1 (ko) 2010-09-02 2010-09-02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392A KR20120022392A (ko) 2012-03-12
KR101718955B1 true KR101718955B1 (ko) 2017-03-23

Family

ID=4613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961A KR101718955B1 (ko) 2010-09-02 2010-09-02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18B1 (ko) * 2021-09-03 2022-07-15 배준성 건축물의 소음 차단 방지 구조 및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635A (ja) 2003-04-23 2004-11-18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7126532A (ja) 2005-11-02 2007-05-24 Umg Abs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178B1 (ko) * 2002-10-05 2005-12-28 이필하 저발포성 건축내장재 압출성형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저발포성 건축내장재
KR100823497B1 (ko) * 2006-03-20 2008-04-21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635A (ja) 2003-04-23 2004-11-18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2007126532A (ja) 2005-11-02 2007-05-24 Umg Abs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392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495B1 (ko) 내후성이 개선된 중합체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67492B1 (ko) Pvc공압출용 asa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압출시트 및 건축용 외장재
CN103012986B (zh) 一种聚氯乙烯复合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613863B (zh) 一种可回收反射隔热阻燃高分子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US20090258208A1 (en) Compositions And Composite Articles Suitable For High Heat Applications
KR100828723B1 (ko) 기계적 물성, 내후성 및 저발연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수지 물품
CN109535309B (zh) 发泡调节剂及制备方法、聚氯乙烯复合料、聚氯乙烯发泡材料及其应用
KR101718955B1 (ko) 프로파일용 발포수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0823497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9518B1 (ko) 다기능성을 갖는 열가소성 창호 패널 조성물
CN101605850B (zh) 低表面光泽度的苯乙烯树脂组合物及用其制备的低表面光泽度的板材和复合制品
KR100969519B1 (ko) 다기능성을 갖는 열가소성 창호 패널의 제조 방법
KR10057043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111733B (zh) 一种增强尼龙复合材料的建筑门窗用隔热条
US5712319A (en) Resin composition for low expansion moldings
KR100590821B1 (ko) 환경 친화형 창호재용 스티렌계 합성수지 조성물
CN106243538A (zh) 一种改性聚苯乙烯泡沫塑料板的制备方法
KR100936677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3403B1 (ko) 착색성이 우수한 nbr 고무발포 단열재
CN105924925A (zh) 一种新型阻燃门窗型材及其制备方法
KR20140046760A (ko)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한 알킬아크릴레이트-비닐방향족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00143917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0570429B1 (ko) 방염성 폴리염화비닐 조성물
KR102206069B1 (ko) 금속 질감이 부여된 창호용 합성수지 프로파일
KR101743794B1 (ko) 금속 파이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