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33B1 -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33B1
KR101718833B1 KR1020150024508A KR20150024508A KR101718833B1 KR 101718833 B1 KR101718833 B1 KR 101718833B1 KR 1020150024508 A KR1020150024508 A KR 1020150024508A KR 20150024508 A KR20150024508 A KR 20150024508A KR 101718833 B1 KR101718833 B1 KR 10171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ensing
sensor
liquid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595A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5002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8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16Automatic devices for the distribution of liquid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인 수위 감지센서가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가축이 감지부에 부딧치더라도 감지부는 이에 저항하지 않고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충격으로 인한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구비되며 액상사료가 담겨지는 사료공급부를 가지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사료공급부에 담겨진 액상사료를 감지하여 상기 액상사료의 원료가 되는 사료와 식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 액상사료 급이기에 있어서,상기 수위감지센서는 돼지와의 충격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device of supply water and feed}
본 발명은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인 수위 감지센서가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가축이 감지부에 부딧치더라도 감지부는 이에 저항하지 않고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충격으로 인한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나 축사에서 키우는 돼지, 소, 염소, 양 등과 같은 가축(이하 '가축'이라 통칭함)에게 사료 및 식수를 공급하며 이 사료 및 식수의 급여방식에 따라서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습식방식 또는 사료와 물을 별도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건식방식 등이 있다.
상기 습식방식의 액상사료 급이기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2년 01월 05일자로 출원하여 2013년 07월 15일자로 공개된 공개번호 제 10-2013-0080531 호(명칭: 자동 습식자료 급여기의 감지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하부에 사료배출구를 가지는 호퍼와, 칸막이를 가지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호퍼의 내측 중심축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배출구를 통해 사료를 방출시키는 사료배출수단과, 상기 호퍼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전자밸브를 가지는 급수관체를 통해 상기 사료공급부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과, 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된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봉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감지봉의 하단에 노출되어 있는 감지센서가 상기 사료공급부에 투입된 채, 습식상태의 사료 잔량을 감지하되, 상기 감지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사료감지수단으로 감지하여 사료배출수단 및 급수수단에 의해 적정량의 사료 및 식수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사료감지수단에 사용되는 감지봉의 경우 딱딱한 스테인레스봉에 절연재를 피복한 것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는 가축(돼지)이 주둥이로 사정없이 밀거나 문지르는 과정에서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될 수 있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감지봉의 외측 역시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연 코팅을 하게 되지만, 이 절연 코팅층 역시 가축과 계속적으로 마찰하다보면 깨지거나 손상되는 등, 그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3-0080531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인 수위 감지센서가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가축이 감지부에 부딧치더라도 감지부는 이에 저항하지 않고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충격으로 인한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호퍼와, 상기 호퍼 하부에 구비되며 액상사료가 담겨지는 사료공급부를 가지는 사료받침대와, 상기 사료공급부에 담겨진 액상사료를 감지하여 상기 액상사료의 원료가 되는 사료와 식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 액상사료 급이기에 있어서,상기 수위감지센서는 돼지와의 충격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호퍼의 일측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선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의 끝단에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에 선단이 삽입되며 끝단은 상기 감지봉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류를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사료받침대의 사료공급부 바닥면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탄성감지대, 상기 탄성감지대의 외경을 포위하는 절연부재 및 상기 감지봉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을 가지되, 상기 공간의 직경을 상기 감지봉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감지봉의 끝단이 외부 충격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한하는 보호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호퍼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보호관, 상기 보호관에 선단이 결합되며 그 끝단은 하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의 끝단에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에 선단이 삽입되며 끝단은 상기 감지봉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류를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사료받침대의 사료공급부 바닥면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탄성감지대 및 상기 탄성감지대의 외경을 포위하는 절연부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전류가 도통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서 굽힘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선단은 컨트롤부에 연결되고 끝단은 상기 사료받침대의 사료공급부 바닥면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사료공급부에 담겨져 있는 액상사료를 감지하는 감지용와이어로프, 상기 감지용와이어로프의 외경을 포위하되, 상기 사료공급부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상기 감지용와이어로프의 끝단은 외부로 노출시키고 그 나머지의 상기 감지용와이어로프를 포위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 상기 절연부재로 포위된 상기 감지용와이어로프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감지용와이어로프를 보호하는 보호튜브, 상기 보호튜브의 선단을 상기 보호관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및 상기 보호튜브의 끝단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보호튜브와 상기 감지용와이어로프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캡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호퍼의 칸막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류가 도통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 감지봉, 상기 감지봉의 외경을 포위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 상기 감지봉의 끝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에 선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되고 그 끝단은 상기 감지봉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공급부에 근접되게 위치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감지용와이어로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감지센서는 호퍼의 칸막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류가 도통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 감지봉, 상기 감지봉의 외경을 포위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 상기 감지봉의 끝단에 유니버설 조인트로 연결되며 그 끝단은 상기 감지봉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공급부에 근접되게 위치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감지용와이어로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액상사료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인 수위 감지센서가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가축이 감지부에 부딧치더라도 감지부는 이에 저항하지 않고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충격으로 인한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센서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사료의 불필요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액상사료 급이기는 본 발명은 사료가 담기는 호퍼(10)와, 상기 호퍼 하부에 구비되는 사료받침대(16)와, 사료배출수단과, 급수수단과, 습식사료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 등을 구성된다.
상기 호퍼(10)는 원통형이고 콘부의 하단에 사료배출구(24)가 구비되며, 상기 사료배출구의 외측 둘레에 칸막이(26) 및 보호관(28)이 구비된다. 상기 칸막이(26)는 사료받침대의 상부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구성되고 사료받침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테에 안착하여 고정된다. 상기 보호관(28)은 사료배출구의 외측둘레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설치되며, 상단이 콘부에 결합하여 호퍼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고 외부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며, 외측면에 칸막이(26)가 결합된다.
상기 사료받침대(16)는 중앙에 상면이 평평한 사료받침부(18)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사료받침부(18)는 둘레의 하향경사면(19)이 사료공급부(17)로 이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사료배출구(14)와 보호관(28) 사이 공간에 사료찌꺼기나 이물질 등이 흡착하여 오염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해 하부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사료배출수단(20)은 스크류(24)를 가지는 중심축(22)과, 상기 중심축을 작동시키는 구동모터(21)와, 상기중심축 하단의 스크레이퍼(30)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22)은 호퍼 중앙에 상부지지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직립하고, 상단 및 하단의 연결부가 구동모터의 구동부 또는 보스의 축구멍에 스플라인방식으로 축결합된다. 상기 중심축은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부지지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7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급수수단(40)은 상기 호퍼의 일측에 급수관체(42)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체(4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전자밸브(45)에 상수도가 연결되어 식수가 제한적으로 공급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체(42)의 하단에 링행태로 분배관이 결합되고 상기 분배관에 결합되는 물공급관을 통해 사료공급부(17)로 식수를 공급하며, 상기 분배관은 보호관 및 칸막이 등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부 고정수단에 의해 보호관을 따라 상/하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물공급관 등이 가축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10)는 사료공급부(17)로 투입된 액상사료의 수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70)로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러(70)는 수위감지센서(110)의 출력 신호를 통해 사료 및 식수의 공급을 자동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액상사료가 감지되지 않으면 구동모터(21)에 의해 중심축(22)이 회전하면서 사료받침부(18)에 쌓여 있는 사료를 스크레이퍼(30)로 밀어내려 사료공급부(17)로 투입하여 보충시킨다. 이와 함께 상기 급수수단(40)은 전자밸브(45)를 개방하여 식수를 투입하여 사료가 가축이 섭취하기 적합한 습식상태인 액상사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위감지센서가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가축이 수위감지센서에 부딧치더라도 수위감지센서는 쉽게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충격으로 인한 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바, 하기에서는 위 수위감지센서의 구조에 대하여 5가지의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110)는 호퍼(10)의 일측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12), 상기 브라켓(112)에 선단(114a)이 결합되고 끝단(114b)은 자유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112)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조립되는 감지봉(114), 상기 감지봉(114)의 끝단(114b)에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116), 상기 체결홈(116)에 선단이 삽입되며 끝단은 상기 감지봉(114)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류를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탄성감지대(120) 및 상기 감지봉(114)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126)을 가지되, 상기 공간(126)의 직경을 상기 감지봉(114)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감지봉(120)의 끝단이 외부 충격으로 흔들릴 때, 너무 많이 흔들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보호링(12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지봉(114)의 외경은 절연부재(115)로 피복 처리하여 외부 금속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전류가 도통되어 기기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수위감지센서(110)의 탄성감지대(120)는 사료받침대(16)의 사료공급부(17) 바닥면에서 대략 50~100mm정도 이격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료공급부(17)에 액상사료가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액상사료를 가축이 모두 섭취하여 사료공급부(17)가 비어있게 되면 상기 탄성감지대(120)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70)로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21) 및 전자밸브(45)를 동작시켜 액상사료의 원료가 되는 사료와 식수를 사료공급부(17)로 동시 투입하여 액상사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감지대(120)가 조립되는 감지봉(114)은 선단(114a)은 호퍼(10)의 브라켓(112)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감지대(120)가 조립된 자유단인 감지봉(114)의 끝단(114b)은 돼지들이 액상사료를 섭취하거나 혹은 탄성감지대 밑에 위치하는 액상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부딧칠 때, 이때의 충격에 저항하지 않고 고정단인 감지봉(114)의 선단(114a)을 기점으로 해서 흔들리며 유동하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도함으로서 감지봉(114)이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봉(114)은 보호링(124)의 공간(126)이 가지는 직경 내에서만 흔들리게 됨으로서 감지봉(114)의 지나친 흔들림을 제한하여 감지봉(114)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감지대(120) 역시 자체적인 탄성력을 통해 가축이 액상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주둥이로 밀쳐내더라도 이에 저항하지 않고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감지대(120)의 외경에는 절연부재(122)가 포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절연부재(122)는 전술한 감지봉의 외경에 끼워지는 절연튜브와 동일한 기능, 즉, 도전체인 탄성감지대(120)가 사료받침대의 사료공급부(17)와 사료받침부(18)를 연결하는 하향경사면(19)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류가 통전되어 기기의 오동작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210)는 호퍼(10)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보호관(28), 상기 보호관(28)에 선단(212a)이 결합되며 그 끝단(212b)은 하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자유단을 이루는 감지봉(212), 상기 감지봉(212)의 끝단에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216), 상기 체결홈(216)에 선단이 삽입되며 끝단은 상기 감지봉(212) 아래로 노출되며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류를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탄성감지대(220) 및 상기 탄성감지대(220)의 외경을 포위하는 절연부재(2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지봉(212)의 외경은 절연부재(222)로 피복 처리하여 외부 금속체와의 전류가 통전되어 기기의 오동작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한 수위감지센서(210)의 탄성감지대(220)는 사료받침대(16)의 사료공급부(17) 바닥면에서 대략 50~100mm정도 이격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사료공급부(17)에 액상사료가 채워져 있을 경우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액상사료를 가축이 모두 섭취하여 사료공급부(17)가 비어있게 되면 상기 탄성감지대(220)는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70)로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21) 및 전자밸브(45)를 동작시켜 액상사료의 원료가 되는 사료와 식수를 사료공급부(17)로 동시 투입하여 액상사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감지대(220)는 자체적인 탄성력을 통해 가축이 액상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주둥이로 밀쳐내더라도 이에 저항하지 않고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감지대(220)의 외경을 절연부재(222)로 포위함으로서 탄성감지대(220)가 가축과의 충돌로 휘어져 금속성인 사료받침대(16)의 하향경사면(19)에 부딧치더라도 상기 절연부재(222)가 탄성감지대(220)로 전류가 도통되는 것을 차단하여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시키게 된다.
{실시 예 3}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310)는 전류가 도통될 수 있는 금속재질에 절연부재를 코팅한 것으로서 굽힘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선단은 컨트롤부(70)에 연결되고 끝단(312a)은 호퍼(10) 및 상기 호퍼(10)의 외면에 끼워져 있는 보호관(28)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사료받침대(16)의 사료공급부(17) 바닥면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상기 사료공급부(17)에 담겨져 있는 액상사료를 감지하는 감지용탄성체(312), 상기 감지용탄성체(312)의 외경을 포위하되, 상기 사료공급부(17)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상기 감지용탄성체(312)의 끝단(312a)은 노출시키고 그 나머지의 상기 감지용탄성체(12)를 포위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314), 상기 절연부재(314)로 포위된 상기 감지용탄성체(312)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감지용탄성체(312)를 보호하는 보호튜브(316) 및 상기 보호튜브(316)의 선단을 상기 보호관(28)에 고정시키는 브라켓(320) 및 상기 보호튜브(316)의 끝단 내부에 끼워지며 상기 보호튜브(316)와 상기 감지용탄성체(312)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캡(31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수위감지센서(310)는 돼지들이 액상사료를 섭취하거나 혹은 감지용탄성체(312)의 끝단(312a) 아래에 있는 액상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가축의 주둥이가 감지용 탄성체(312)의 끝단(312a)에 부딧치더라도 상기 감지용탄성체(312)는 이에 저항하지 않고 자체 가요성을 통해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게됨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한 센서의 부러짐이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감지용탄성체(312)로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금속성의 와이어로프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실시 예 4}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410)는 호퍼(10)의 칸막이(26)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류가 도통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 감지봉(412), 상기 감지봉(412)의 외경을 포위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414), 상기 감지봉(412)의 끝단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416)에 선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422)로 고정되고 그 끝단은 상기 감지봉(412) 아래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공급부(17) 바닥면에 근접되게 위치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류를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감지용탄성체(4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수위감지센서(410)는 돼지들이 액상사료를 섭취하거나 혹은 감지용탄성체(420)의 아래에 있는 액상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가축의 주둥이가 감지용탄성체(420)에 부딧치더라도 상기 감지용탄성체(420)는 이에 저항하지 않고 자체 가요성을 통해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도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한 센서의 부러짐이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감지용탄성체(420)로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금속성의 와이어로프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실시 예 5}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510)는 전술한 제 5실시 예와 같이 호퍼(10)의 칸막이(26)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류가 도통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 감지봉(512), 상기 감지봉(512)의 외경을 포위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514), 상기 감지봉(512)의 끝단에 조립된 상태에서 그 선단은 상기 감지봉(512) 아래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공급부(17)에 근접되게 위치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휨이 자유롭도록 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류를 도통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 감지용탄성체(520)로 구성하되, 상기 감지용탄성체(520)와 상기 감지봉(512)을 서로 유니버셜조인트(522)로 연결 구성하여, 상기 감지용와이어로프(520)에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감지용탄성체(520)는 자체 가요성으로 휘어지는것은 물론 상기 유니버셜조인트(522)가 가지는 자유회전 구조를 통해 감지용탄성체(520)는 전, 후, 좌, 우, 상, 하 어느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한 구성의 수위감지센서(520)는 돼지들이 액상사료를 섭취하거나 혹은 감지용탄성체(520)의 아래에 있는 액상사료를 섭취하기 위해 가축의 주둥이가 감지용탄성체(520)에 부딧치더라도 상기 감지용탄성체(520)는 이에 저항하지 않고 자체 가요성을 통해 휘어짐은 물론 유니버셜조인트(522)를 통해 전, 후, 좌, 우, 상, 하 어느 방향으로든 충격의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지며 충격을 흡수하도록 유도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한 센서의 부러짐이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감지용탄성체(520)로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금속성의 와이어로프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10: 호퍼 16: 사료받침대
17: 사료공급부 21: 구동모터
26: 칸막이 28: 보호관
45: 전자밸브 110, 210, 310, 410, 510: 수위감지센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사료가 담기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 하부에 구비되며 액상사료가 담겨지는 사료공급부(17)를 가지는 사료받침대(16)와, 상기 사료공급부(17)에 담겨진 액상사료를 감지하여 상기 액상사료의 원료가 되는 사료와 식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510)를 포함하여 구성한 액상사료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센서(510)는;
    상기 호퍼(10)에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26)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며 전류가 도통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성형된 감지봉(512);
    상기 감지봉(512)의 외경을 포위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514) 및 ;
    상기 감지봉(512)의 끝단에 유니버설 조인트(522)로 전, 후, 좌, 우,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끝단은 상기 감지봉(512)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사료공급부(17)에 근접되게 위치하는 감지용 탄성체(520)로 구성하여;
    돼지와의 충격에 따라 수위감지센서(510)가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감지용 탄성체(520)는 자체 가요성을 가지도록 외부 충격에 따른 휨이 자유롭도록 금속성의 와이어로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KR1020150024508A 2015-02-17 2015-02-17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KR101718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508A KR101718833B1 (ko) 2015-02-17 2015-02-17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508A KR101718833B1 (ko) 2015-02-17 2015-02-17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95A KR20160101595A (ko) 2016-08-25
KR101718833B1 true KR101718833B1 (ko) 2017-03-22

Family

ID=5688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508A KR101718833B1 (ko) 2015-02-17 2015-02-17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121B1 (ko) 2017-03-15 2019-02-27 주식회사 연합축산 사료 허실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급이기
KR102012081B1 (ko) * 2017-08-26 2019-08-19 이준석 액상 사료 급여기
CN107439403A (zh) * 2017-09-01 2017-12-08 温岭市泽国绿丰生猪养殖场 新型液态饲喂器
WO2020230947A1 (ko) * 2019-05-15 2020-11-19 김기주 양돈용 급이기의 액상사료 공급방법
CN112335565A (zh) * 2020-10-19 2021-02-09 江苏荷美智能农牧设备有限公司 饮水采食用进料桶、饮水采食一体装置及进料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655U (ko) * 1995-12-26 1997-07-31 냉장고의 물받이 장치
KR101338672B1 (ko) 2012-01-05 2013-12-09 이창현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595A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833B1 (ko) 액상사료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KR101344971B1 (ko) 습식 자동사료급여기
KR101338672B1 (ko) 자동 습식사료 급여기의 감지장치
US8893654B2 (en) Rotary feed dispensing apparatus
KR100913645B1 (ko)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KR20150062306A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KR20160113274A (ko) 워터 서버 유닛
US8151731B2 (en) Feeder
KR101845165B1 (ko) 가축용 급이기의 수위 감지센서
KR20130112489A (ko)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CA2669803A1 (en) Fish feeder
KR102012081B1 (ko) 액상 사료 급여기
US11553690B2 (en) Drop tube and a rotary parlour feeding provided with such a drop tube
KR101794671B1 (ko) 급이기의 인근에 구비되는 먹이활동 장애방지장치
KR20170062000A (ko) 사료 급이기의 정전용량 수위 감지센서
KR101573265B1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KR101979227B1 (ko) 양돈용 사료공급기
KR200316988Y1 (ko) 양돈용 사료 공급기
KR102131547B1 (ko) 습식 급이기의 사료 허실 방지장치
KR101923121B1 (ko) 사료 허실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급이기
KR102167369B1 (ko) 가축용 자동 급이기
KR102047626B1 (ko) 액상사료 공급방법
US20150334989A1 (en) Automatic Game Feeder Agitator
US7096822B2 (en) Animal feeding apparatus
KR101718825B1 (ko) 습식 급이기용 급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