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234B1 -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234B1
KR101718234B1 KR1020150134395A KR20150134395A KR101718234B1 KR 101718234 B1 KR101718234 B1 KR 101718234B1 KR 1020150134395 A KR1020150134395 A KR 1020150134395A KR 20150134395 A KR20150134395 A KR 20150134395A KR 101718234 B1 KR101718234 B1 KR 101718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vibrator
connecting member
excit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성
이준경
노형민
김종현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04G21/063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 E04G21/068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acting upon the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진수단;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 및 상기 가진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되는 장착그립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진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acting concrete of steel reinforcement vibration typ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사용하여 각종 블록이나 성형물을 만드는 기술은 이미 오래 전부터 건축, 토목분야 등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성형물은 동일한 형상의 거푸집에 콘크리트 몰탈을 채운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이를 양생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 때, 거푸집에 채워진 콘크리트 몰탈 내에 기포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성형물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므로 콘크리트 몰탈 내에 잔류하는 기포를 외부로 방출시켜 제거하여야 양질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강도 보강을 위해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이 삽입되므로 삽입된 철근에 의해 콘크리트 몰탈이 간섭을 받지 않고 거푸집의 구석구석까지 잘 채워지도록 하여야 양질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거푸집에 채워진 콘크리트 몰탈에 진동을 가하여 흔들어 주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 거푸집에 채워진 콘크리트 몰탈에 진동을 가하게 되는 바이브레이터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바이브레이터(1)를 작업자가 거푸집(도시는 생략함)의 내부로 직접 밀어 넣으면서 콘크리트의 성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는 몸체가 분리되어 있으며 나사 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원통형캡(2) 및 원통형 몸체(3)와, 상기 원통형 몸체(3) 내부에 설치되는 샤프트(4)와, 상기 샤프트(4)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와, 상기 샤프트(4)의 외주연부에 설치되어 진동효과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는 진동자(6)와, 상기 샤프트(4)가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작용을 상승시키며 베어링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형성한 여러 개의 스냅 링(7)과, 나사 식으로 원통형 몸체(3)와 결합되어 있는 플랙시블 호스(8)와, 상기 플랙시블 호스(8)의 결합부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리데나(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1명의 작업자가 플랙시블 호스(8)의 끝단을 잡고 나머지 1명의 작업자는 원통형 몸체(3)에 근접한 플랙시블 호스를 잡은 상태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후 원통형 몸체(3)를 콘크리트 몰탈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바이브레이터(1)를 작동시키면 콘크리트 몰탈에 진동을 가하게 되므로 양질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바이브레이터의 경우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성형품의 품질에 차이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132557호는 위치가변수단에 의해 바이브레이터가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등록 특허 제1132557호에 기재된 콘크리트성형기용 진동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 등록 특허 제1132557호에 기재된 콘크리트성형기용 진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상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지지부(12)와,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1)의 진동이 프레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12)의 방진수단과, 상기 지지부(12)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1)가 장애물에 걸리면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바이브레이터 위치가변부재(16)와,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 연결된 바이브레이터(1)의 끝단에 고정되며 하향 경사진 기다란 타입으로 형성된 캡(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3은 종래 대한 민국 등록특허 제0778247호에 따른 사면 및 심층 작업이 가능한 광폭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1)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봉(24)이 결합된 플렉시블 케이블(21)의 단부에 연장관(22)이 삽탈되는 작업관(23)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연장관(22)은 그 작업관(23)으로부터 인출되어 길이 조절되게 구성하며, 상기 진동봉(24)의 단부에는 횡상의 자석부재(25)를 결합 형성함으로써, 상기 작업관(23)에 의해 원하는 위치 및 깊이로 진동봉(24)을 위치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단부의 자석부재(25)는 금속재로 된 거푸집의 표면을 따라 부착 상태로 이동 가능하므로 특히 경사면 형태의 구조물에 매우 적합하여, 콘크리트 타설부의 균일한 다짐은 물론 재료의 혼합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표면결함을 방지하여 매끄러운 고품질의 표면을 얻을 수 있게 한 사면 및 심층 작업이 가능한 광폭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1)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등록특허 제1230468호에 따른 이동식 바이브레이터와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도 4에 따른 시스템(100)은 상기 거푸집에 장착되며 거푸집으로 진동을 제공하는 바이브레이터와,상기 거푸집에 장착되며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 내로 초음파를 발진시키고 상기 초음파의 송, 수신 시간을 측정하여 초음파의 파속을 산출하는 초음파측정부 및 상기 초음파측정부로부터 산출된 파속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기설정된 표준 파속 데이터와 수집된 파속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값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의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100)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도 종래의 균일한 콘크리트 성형품을 제조하기에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은 공장에서 레미콘을 이용하여 현장으로 운반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기간 양생시켜 거푸집을 제거하여 완성구조물을 축조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과 더불어 콘크리트 표면의 미려함을 확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다짐을 필수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균일한 다짐, 재료분리방지, 표면 결함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는 진동봉, 플렉시블 케이블부, 동력공급부로 구성되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는 진동봉과 플렉시블 케이블부로 구성되어 있는 방식이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진동봉을 삽입하여 조정할 수 없으므로 다짐작업이 부실하고 삽입속도는 물론 그 삽입위치를 조정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특히 경사진 거푸집 표면은 바이브레이터가 수직 낙하하기 때문에 아래로 내려갈수록 거푸집 면과 더더욱 이격되어 경사진 거푸집면의 수포, 기포, 재료분리, 색상차 등의 표면 결함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부실 시공을 초래한다.
또한, 진동봉에 진동이 집중하여 진동부 주위만 과진동되어 오히려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현상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325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8247호 일본 등록특허 제41816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3046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철근과 직접 접촉하여 타설철근망 전체를 가진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콘크리트 다짐이 가능하고, 가진수단과 연결된 다수의 가진연결부재의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철근망에 적용가능하며, 타설 철근망 전체를 가진시킴으로써 거푸집 면의 재료분리, 수포, 기포, 색상차 등의 표면 결함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에서 일정깊이까지 밀실도를 향상시키고 바이브레이터의 설치와 해체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다짐정도에 따라 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인력이 불필요하므로 인건비 절감과 콘크리트의 균질한 양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얻을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진수단;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 및 상기 가진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되는 장착그립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진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진연결부재는 복수로 구성되며, 복수의 상기 가진연결부재의 타측 끝단 각각에 상기 장착그립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상기 가진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진연결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진수단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되어 진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브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설 철근망은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인 다수의 주철근과, 다수의 주철근과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원형 띠 철근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그립부재는 상기 주철근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진수단과 바이브레이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가진수단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위치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진수단과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거푸집 내부 공간에 타설철근망을 조립하고, 상기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가진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된 장착그립부재를 상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가진수단을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진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진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가진수단의 하부면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되어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콘크리트 다짐장치; 및 다짐장치의 가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콘크리트에 인가되는 가진주파수, 진폭 및 진동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가진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이동수단과, 위치조절수단을 제어하여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장착그립부재가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바이브레이터의 위치가변수단과 위치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거푸집 내부 공간에 타설철근망을 조립하고, 상기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가진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된 장착그립부재를 상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가진수단을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진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다짐장치의 가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콘크리트에 인가되는 가진주파수, 진폭 및 진동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가진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이동수단과, 위치조절수단을 제어하여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장착그립부재가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바이브레이터의 위치가변수단과 위치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주철근과 직접 접촉하여 타설철근망 전체를 가진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콘크리트 다짐이 가능하고, 가진수단과 연결된 다수의 가진연결부재의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철근망에 적용가능하며, 타설 철근망 전체를 가진시킴으로써 거푸집 면의 재료분리, 수포, 기포, 색상차 등의 표면 결함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푸집에서 일정깊이까지 밀실도를 향상시키고 바이브레이터의 설치와 해체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다짐정도에 따라 위치를 제어할 수 있어 인력이 불필요하므로 인건비 절감과 콘크리트의 균질한 양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타설용 바이브레이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종래 등록 특허 제1132557호에 기재된 콘크리트성형기용 진동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대한 민국 등록특허 제0778247호에 따른 사면 및 심층 작업이 가능한 광폭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의 구성도
도 4는 대한 민국 등록특허 제1230468호에 따른 이동식 바이브레이터와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된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측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회전 이동되는 상태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평면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직 이동되는 상태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 다짐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 그리고,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다짐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가 구비된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는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는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진수단(130), 복수의 가진연결부재(140), 가진연결부재(140) 각각에 구비되는 장착그립부재(14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진수단(13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가진연결부재(140) 각각은 일측 끝단이 가진수단(130)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또한, 장착그립부재(142)는, 복수의 가진연결부재(140)의 타측 끝단 각각에 구비되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가진수단(13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가진연결부재(140)와 장착그립부재(142)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는 위치조절수단(14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수단(141)은 가진연결부재(140)와 가진수단(130) 사이 각각에 구비되어, 가진연결부재(14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즉, 위치조절수단(141)은 가진연결부재(1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착그립부재(142)가 타설철근망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는 가진수단(130)의 하부면에 바이브레이터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되어 진동되게 됨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타설 철근망은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인 다수의 주철근과, 다수의 주철근과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원형 띠 철근으로 구성되며, 장착그립부재(142)는 주철근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는, 가진수단(130)과 바이브레이터 사이에 위치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바이브레이터가 가진수단(130)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브레이터는 위치가변수단을 구비하여, 바이브레이터의 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는, 가진수단(130)과 이동수단(120) 사이에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이 연결부재(110)가 구비되며, 이동수단(120)의 구동에 의해, 가진수단(130)과 연결부재(110)를 높이 방향, 평면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를 구비하여, 시스템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콘크리트 다짐장치(100)의 구성을 전부 그대로 포함하며, 제어부(200)는 다짐장치(100)의 가진수단(130)을 제어하여, 콘크리트에 인가되는 가진주파수, 진폭 및 진동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200)는, 이동수단(120)을 제어하여, 가진수단(13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이동수단(120)과, 위치조절수단(141)을 제어하여 가진연결부재(140)와 장착그립부재(142)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가진연결부재(140)와 장착그립부재(142)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장착그립부재(142)가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앞서 언급한, 바이브레이터의 위치가변수단과 위치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다짐방법은 앞서 언급한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 시스템을 이용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회전 이동되는 상태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직 이동되는 상태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100)가 장착된 타설 철근망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은, 먼저, 거푸집 내부 공간에 타설철근망을 조립하고,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수단(120)을 구동하여 가진수단(130)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수단(120)과 위치조절수단(141)에 의해, 일측 끝단이 가진수단(130)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14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된 장착그립부재(142)가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한다.
장착그립부재(142)가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되게 되면, 가진수단(130)을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진수단(13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가진연결부재(140)와 장착그립부재(142)를 통해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진시키는 단계에서, 가진수단(130)의 하부면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되어 진동되도록 하여, 바이브레이터와 가진수단(130)에 의해 동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 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이동수단(120)을 제어하여, 가진수단(130)의 위치를 조절하며, 이동수단(120)과, 위치조절수단(141)을 제어하여 가진연결부재(140)와 장착그립부재(142)의 위치를 조절하여, 장착그립부재(142)가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20)을 제어하여 가진수단(130)을 타설철근망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이동시키고, 위치조절수단(141)을 제어하여 장착그립부재(142)를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시키면서 다양한 위치에서 타설 철근망을 가진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20)을 제어하여 가진수단(13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위치조절수단(141)을 제어하여 장착그립부재(142)를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시키면서 다양한 위치에서 타설 철근망을 가진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바이브레이터의 위치가변수단과 위치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된 바이브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바이브레이터
2:원통형캡
3:원통형 몸체
4:샤프트
5:구동부
6:진동자
7:스냅 링
8:플랙시블 호스
11:프레임
12:지지부
13:캡
16:위치가변부재
21:플렉시블 케이블
22:연장관
23:작업관
24:진동봉
25:자석부재
30:거푸집
40:타설용 철근망
41:주철근
42:띠철근
100: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110:연결부재
120:이동수단
130:가진수단
140:가진연결부재
141:위치조절수단
142:장착그립부재
200:제어부

Claims (16)

  1.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진수단;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
    상기 가진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되는 장착그립부재;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상기 가진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진연결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
    상기 가진수단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되어 진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브레이터;
    상기 가진수단과 상기 바이브레이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가진수단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위치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진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고,
    상기 가진연결부재는 복수로 구성되며, 복수의 상기 가진연결부재의 타측 끝단 각각에 상기 장착그립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타설 철근망은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인 다수의 주철근과, 다수의 주철근과 연결되어지는 다수의 원형 띠 철근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그립부재는 상기 주철근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진수단과 상기 연결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9. 제 1항에 따른 콘크리트 다짐장치를 이용하여,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거푸집 내부 공간에 타설철근망을 조립하고, 상기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가진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된 장착그립부재를 상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가진수단을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진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진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가진수단의 하부면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되어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
  10. 삭제
  11.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제 8항에 따른 콘크리트 다짐장치; 및
    상기 다짐장치의 가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콘크리트에 인가되는 가진주파수, 진폭 및 진동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가진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이동수단과, 위치조절수단을 제어하여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장착그립부재가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바이브레이터의 위치가변수단과 위치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
  14. 제11항에 따른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을 이용하여, 내측에 타설 철근망이 설치된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다짐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거푸집 내부 공간에 타설철근망을 조립하고, 상기 거푸집 내로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부 측에 가진수단을 위치시키는 단계;
    일측 끝단이 상기 가진수단 일측과 연결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진연결부재의 타측 끝단에 구비된 장착그립부재를 상기 타설 철근망의 일측과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가진수단을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진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를 통해 상기 타설철근망으로 전달되어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가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다짐장치의 가진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콘크리트에 인가되는 가진주파수, 진폭 및 진동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가진수단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이동수단과, 위치조절수단을 제어하여 가진연결부재와 장착그립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장착그립부재가 타설 철근망 일측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바이브레이터의 위치가변수단과 위치이동수단을 제어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침지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방법.
KR1020150134395A 2015-09-23 2015-09-23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KR101718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95A KR101718234B1 (ko) 2015-09-23 2015-09-23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95A KR101718234B1 (ko) 2015-09-23 2015-09-23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234B1 true KR101718234B1 (ko) 2017-03-21

Family

ID=5850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395A KR101718234B1 (ko) 2015-09-23 2015-09-23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786B1 (ko) 2020-08-07 2021-02-10 주식회사 동아지질 지중 구조체용 콘크리트 다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357A (ja) * 1993-12-22 1995-07-18 Hokkaido Kaihatsukiyoku Kensetsu Kikai Kousakushiyochiyou コンクリート締固め装置
KR100778247B1 (ko) 2006-11-30 2007-11-22 김동항 사면 및 심층 작업이 가능한 광폭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JP4181617B1 (ja) 2007-11-29 2008-11-19 大成建設株式会社 振動締固め装置およ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KR101132557B1 (ko) 2009-06-22 2012-04-02 박정혜 깊이가 깊은 콘크리트성형기용 진동장치
KR20120134831A (ko) * 2011-06-03 2012-12-12 주식회사 삼표 이동식 바이브레이터와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357A (ja) * 1993-12-22 1995-07-18 Hokkaido Kaihatsukiyoku Kensetsu Kikai Kousakushiyochiyou コンクリート締固め装置
KR100778247B1 (ko) 2006-11-30 2007-11-22 김동항 사면 및 심층 작업이 가능한 광폭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JP4181617B1 (ja) 2007-11-29 2008-11-19 大成建設株式会社 振動締固め装置およ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JP2009133081A (ja) * 2007-11-29 2009-06-18 Taisei Corp 振動締固め装置およ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KR101132557B1 (ko) 2009-06-22 2012-04-02 박정혜 깊이가 깊은 콘크리트성형기용 진동장치
KR20120134831A (ko) * 2011-06-03 2012-12-12 주식회사 삼표 이동식 바이브레이터와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0468B1 (ko) 2011-06-03 2013-02-07 주식회사 삼표 이동식 바이브레이터와 초음파를 이용한 콘크리트 다짐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786B1 (ko) 2020-08-07 2021-02-10 주식회사 동아지질 지중 구조체용 콘크리트 다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725B1 (ko) 위치 이동이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용 바이브레이터 장치를 이용한 타설 시스템, 타설방법, 및 그 타설방법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
CN203007952U (zh) 一种用于超深大直径灌注桩的砼振捣设备
KR20190042193A (ko) 피씨 더블월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0230394A (zh) 构造柱的施工方法
JPH09242067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CN105128131A (zh) 用聚苯乙烯泡沫芯模制作预应力空心板梁的方法
KR101718234B1 (ko) 콘크리트 타설 철근망 가진식 콘크리트 다짐장치, 다짐시스템 및 다짐방법
CN207327246U (zh) 一种预制梁成型模具
CN207619807U (zh) 现浇混凝土空心板梁及其芯模支护结构
JP2006328666A (ja) 杭と柱の一体化施工方法
CN110130271B (zh) 一种侧壁混凝土单面模板加固的施工方法
JP2809007B2 (ja) コンクリート締固め装置
JP2000144737A (ja) 水中投入材の締固め装置
JP2004124641A (ja) トンネル坑門用外型枠とこれを用いたトンネル坑門の施工方法
SE8900855D0 (sv)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illverkning av vibrerade betongelement
KR102214786B1 (ko) 지중 구조체용 콘크리트 다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의 시공방법
EP3964673B1 (en) Vibrator beam, vibrator frame and method for compacting concrete
JPH09203208A (ja) コンクリート打込み・締固め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打込み・締固め方法
KR102363158B1 (ko) 수중 콘크리트구조물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81405A (ko) 터널 천정부 라이닝 콘크리트의 진동다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용 거푸집 장치
RU2252138C1 (ru) Виброимпуль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монолит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з жестких 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JPH04357274A (ja) コンクリートの締固め方法
KR100284823B1 (ko) 콘크리트타설 마감장치
CN216422921U (zh) 一种预制混凝土管道的浇筑装置
CN211256860U (zh) 现浇护岸板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