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858B1 - 액티브 후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티브 후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858B1
KR101717858B1 KR1020150143876A KR20150143876A KR101717858B1 KR 101717858 B1 KR101717858 B1 KR 101717858B1 KR 1020150143876 A KR1020150143876 A KR 1020150143876A KR 20150143876 A KR20150143876 A KR 20150143876A KR 101717858 B1 KR101717858 B1 KR 10171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ctive
frame
raised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열
철 허
신세길
Original Assignee
(주) 지.에이 테크
주식회사 금창
북경진금창기차과기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에이 테크, 주식회사 금창, 북경진금창기차과기유한공사 filed Critical (주) 지.에이 테크
Priority to KR1020150143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은 차체결합프레임의 측면 전단에 구비되며 평상시 액티브 링크에 구비된 액티브 가이드프레임의 전면과 빈틈없이 밀착되어 액티브 링크가 동작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티브 억제부와 액티브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부로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액츄에이터에서 튀어나온 가격봉에 의해 외력을 받아 회전력을 전달하며 오목한 면을 따라 가격봉을 유도하도록 하는 액티브 가이드 및 차체결합프레임의 측면 후단에 구비되며, 후드가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회전하는 견인프레임과 충돌해 회전을 멈추게 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티브 후드 시스템{Active hood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교통사고 발생 시 후드의 뒷부분을 들어올려 보행자의 두부 상해의 정도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에 의한 충격 발생 시 차량의 후드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후드를 후진시키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두부가 충돌 시 큰 부상을 발생시키는 요인인 후드의 후단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경우 차량의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안전벨트에 의해 신체가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에어백에 의해 충돌에 의한 충격을 억제할 수 있으며, 차량의 프레임이 운전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등 운전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반면에, 차량과의 충돌에 의하여 상해를 당할 위험이 높은 보행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거의 갖추어 지지 않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이와 같이 사고로 인하여 보행자가 큰 부상을 당할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고 발생 시 보행자가 엔진룸과 충돌할 때 받게 되는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흡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차량의 후드를 들어 올려 보행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은 후드의 후미만을 들어올리는 형태로 되어 있어, 후드의 후미가 상승하였을 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후드의 후미가 다시 하강하게 되어 충격 너지를 흡수하는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사고 시 보행자의 두부와 충돌하여 큰 부상을 발생시키는 후드의 후단부가 보행자의 두부에 충돌할 확률이 높은 장소에 그대로 위치하고 있어, 보행자의 상해치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지금은 사고 발생 시 보행자의 상해치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0549호(더블리벳 구조를 갖는 자동차 후드의 액티브 힌지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0578호(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후방 이동형 리프트 힌지 시스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고 발생 시 후드의 후단부를 들어올려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스토퍼를 이용하여 후드의 후단부가 상승된채로 고정되도록 하여 확보한 충격에너지 흡수공간을 충돌 시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평상시에는 후드의 개폐를 위한 동작만을 수행하는 링크가 사고 발생 시에는 후드의 후미가 상승함과 동시에 후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링크 관절을 구성하여 후드의 후단부에 보행자의 두부가 충돌하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은 차체결합프레임의 측면 전단에 구비되며 평상시 액티브 링크에 구비된 액티브 가이드프레임의 전면과 빈틈없이 밀착되어 액티브 링크가 동작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티브 억제부와 액티브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부로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액츄에이터에서 튀어나온 가격봉에 의해 외력을 전달 받아 회전력을 전달하며 오목한 면을 따라 가격봉을 유도하도록 하는 액티브 가이드 및 차체결합프레임의 측면 후단에 구비되며, 후드가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때 회전하는 견인프레임과 충돌해 회전을 멈추게 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은 견인프레임의 측면에 리벳팅 되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부가 일부 절개된 원이 함몰되는 형태의 파지부가 형성되며, 평상시 고정된 상태에서 사고 발생 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는 복귀방지스토퍼와 후드의 전단에 환봉을 절곡하여 형성하고, 하부의 일부 기울기가 상승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후드의 후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후드의 전단부가 살짝 상승하면, 경사부가 잠금장치를 따라 이동하여 후드 전단부를 살짝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후드고리 및 후드고리에 의해 후드의 전단이 상승하면, 개폐가이드프레임에 형성되고 복귀방지스토퍼와 접촉하여 상승된 후드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귀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후드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후드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채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차량의 후드가 크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드가 상승과 동시에 후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행자는 단단한 후드의 후단부에 충돌할 위험이 감소되고,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연질인 후드의 면에 충돌할 수 있게 되어, 보행자의 상해율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동작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을 경량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링크의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링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후드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은, 차량의 전면유리(2) 전단의 양측 하부에 대칭되는 형태로 차체결합프레임(110)이 설치된다.
상기 차체결합프레임(110)은 하부면이 차량에 결속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측면은 하부면의 한측에서 하부면의 길이보다 짧은형태로 절곡되어 앵글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재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체결합프레임(110)의 측면 전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액티브 억제부(111)가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측면의 후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액티브 스토퍼(112)가 구비된다.
또한, 차체결합프레임(110)의 측면에는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이 리벳팅되어 있어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이 리벳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의 전면이 액티브 억제부(111)와 빈틈없이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부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는 액티브 가이드(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의 후단에는 견인프레임(130)이 상기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과 일부 겹쳐진 형태로 차체결합프레임(110)의 측면에 리벳팅 된다.
상기와 같이 겹쳐져 있는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과 견인프레임(130)에는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이 상부에서 가해진 외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돌기(122)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견인프레임(130)의 측면에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복귀방지스토퍼(131)가 리벳팅 되어 있는데, 상기 복귀방지스토퍼(131)는 평상시 차체결합프레임(110) 측면에 결합된 고정핀(113)을 파지하여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부가 일부 절개된 원이 함몰되는 형태를 갖는 파지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과 견인프레임(130)은 결합프레임(140)과 연결되어 액티브 링크(100)를 구성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티브 링크(100)는 충격 발생 시 액티브 링크(100) 하부에 구비된 액츄에이터(301)에서 튀어나온 가격봉(302)에 의해 외력을 받아 후드(1)를 상승 및 후진을 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한편, 후드(1)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후드 결합프레임(230)의 후단에는 돌출되는 형태로 각도제한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후드 결합프레임(230)은 후단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하강방지돌기(221)가 형성된 개폐가이드프레임(220)을 리벳팅하고, 그 측면에 고정프레임(210)을 리벳팅하여 개폐링크(200)를 구성하는데, 상기 개폐링크(200)는 액티브 링크(100)에 구비된 결합프레임(140)과 함께 리벳팅되어 평상시 후드(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링크(200)와 결합된 후드(1)의 전단에는 환봉을 절곡하여 형성한 후드고리(300)를 설치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고리(300)의 하부는 일부의 기울기가 상승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드(1)의 후단부가 후진하는 경우 전단부를 살짝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티브 후드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후드 시스템을 평상시 후드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 후드고리(300)에 결합된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후드(1)의 전단부를 들어올린다.
그러면, 후드(1)의 후단부에 결합된 후드 결합프레임(230)이 후드(1)를 따라 회전하며 상승하게 되고, 상기 후드 결합프레임(230)의 후단에 리벳팅된 개폐가이드프레임(220)은 결합프레임(140)에 연결된 리벳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승하게 된다.
이때, 후드(1)가 충분히 개방된 경우 개폐가이드프레임(220) 전단에 구비된 고정프레임(210)에 의해 후드 결합프레임(230)에 구비된 각도제한부(231)가 부딪히게 되어 더이상 열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후드 시스템이 충격 발생에 의하여 동작하는 경우, 충격감지 센서에 의해 신호를 전달받은 액츄에이터(301) 내부의 화약이 폭발하여 그 힘으로 가격봉(302)을 상승시킨다.
상기 가격봉(302)이 상승하여 액티 브가이드(121)을 쳐올리게 되면, 상기 액티브 가이드(121)를 통해 전달되는 강한 회전력이 액티브 억제부(111)를 외측으로 밀려나가도록 변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형된 액티브 억제부(111)는 액티브 가이드(121)를 더이상 고정시킬 수 없게 되므로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은 회전하게 되는데, 액티브 가이드(121)에 형성된 오목한 면이 상승하는 가격봉(302)을 유도하여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이 올바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과 연결된 결합프레임(140)에 의해 견인프레임(130)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상기 회전력에 의해 복귀방지스토퍼(131)에 형성된 파지부(132)가 고정핀(113)에서 분리되며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고, 견인프레임(130)은 회전을 진행하다가 후드(1)가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액티브 스토퍼(112)에 충돌하며 정지하게 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후드(1)의 후미는 개폐링크(200)에 결합된 상태로 액티브 링크(100)의 동작에 의해 상승과 동시에 후진을 하게 되는데, 이때, 후드(1)의 전단부는 살짝 상승과 후진을 하게 되므로, 후드고리(300)의 경사부(300')가 잠금장치를 따라 상승하고 후진하여 후드(1)의 선단부를 살짝 들어올려지고 후진하게 된다.
한편, 개폐가이드프레임(220)에 형성된 하강방지돌기(221)의 하부로 스프링(131')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던 복귀방지스토퍼(131)가 하강방지돌기(221)에 위치하여 하강방지돌기(221)를 받쳐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귀방지스토퍼(131)가 하강방지돌기(221)가 접촉하여 받쳐주게 되면, 상승된 후드(1)가 보행자와 충돌한 경우에도 그 하중에 의해서 후드(1)가 하강하여 충격에너지 흡수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고 발생 시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의해 후드(1)가 상승하며 후진하게 되면, 단단하게 형성된 후드(1)의 후단부가 전면유리(2)의 상부로 위치하게 되어, 보행자의 두부가 상대적으로 연질인 후드(1)의 면에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상해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후드 2 : 전면유리
100 : 액티브 링크 110 : 차체결합프레임
111 : 액티브 억제부 112 : 액티브 스토퍼
113 : 고정핀 120 : 액티브 가이드프레임
121 : 액티브 가이드 122 : 고정돌기
130 : 견인프레임 131 : 복귀방지스토퍼
132 : 파지부 140 : 결합프레임
200 : 개폐링크 210 : 고정프레임
220 : 개폐가이드프레임 221 : 하강방지돌기
230 : 후드 결합프레임 231 : 각도제한부
300 : 후드고리 301 : 액츄에이터
302 : 가격봉

Claims (2)

  1.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부로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액츄에이터(301)에서 튀어나온 가격봉(302)에 의해 외력을 받아 회전력을 전달하며 오목한 면을 따라 가격봉을 유도하도록 하는 액티브 가이드(121) 및 차체결합프레임(110)의 측면 후단에 구비되며, 후드(1)가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회전하는 견인프레임(130)과 충돌하여 회전을 멈추게 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스토퍼(112)와,
    견인프레임(130)의 측면에 리벳팅 되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부가 일부 절개된 원이 함몰되는 형태의 파지부(132)가 형성되며, 평상시 고정된 상태로 있다가 사고 발생 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는 복귀방지스토퍼(131)를 포함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에 있어서,
    후드(1)가 상승하면, 개폐가이드프레임(220)에 형성된 복귀걸림돌기(221)가 복귀방지스토퍼(131)와 접촉하여 상승된 후드(1)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차체결합프레임(110)의 측면 전단에 구비되며 평상시 액티브 링크(100)에 구비된 액티브 가이드프레임(120)의 전면과 빈틈없이 밀착되어 액티브 링크(100)가 동작하는 것을 억제하는 액티브 억제부(111)와,
    후드(1)의 전단에 환봉을 절곡되어 하부의 일부 기울기가 상승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여 후드(1)의 후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후드(1)의 전단부가 상승하게 되면, 경사부(300')가 잠금장치를 따라 이동하여 후드 전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후드고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후드 시스템.
  2. 삭제
KR1020150143876A 2015-10-15 2015-10-15 액티브 후드 시스템 KR10171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876A KR101717858B1 (ko) 2015-10-15 2015-10-15 액티브 후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876A KR101717858B1 (ko) 2015-10-15 2015-10-15 액티브 후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858B1 true KR101717858B1 (ko) 2017-03-20

Family

ID=5850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876A KR101717858B1 (ko) 2015-10-15 2015-10-15 액티브 후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018B1 (ko) 2016-11-02 2018-03-22 주식회사 금창 자동차용 후드의 액티브 힌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128A (ja) * 2000-07-25 2002-02-0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ード装置
KR20050113961A (ko) * 2004-05-31 2005-1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힌지의 결합구조물
JP2013023148A (ja) * 2011-07-25 2013-02-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1510011B1 (ko) * 2013-12-1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후드 힌지장치
KR101520578B1 (ko) 2014-03-13 2015-05-14 주식회사 금창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후방 이동형 리프트 힌지 시스템
KR101520549B1 (ko) 2013-11-25 2015-05-14 주식회사 금창 더블리벳 구조를 갖는 자동차 후드의 액티브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128A (ja) * 2000-07-25 2002-02-0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ード装置
KR20050113961A (ko) * 2004-05-31 2005-12-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힌지의 결합구조물
JP2013023148A (ja) * 2011-07-25 2013-02-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ポップアップフード装置
KR101520549B1 (ko) 2013-11-25 2015-05-14 주식회사 금창 더블리벳 구조를 갖는 자동차 후드의 액티브 힌지장치
KR101510011B1 (ko) * 2013-12-1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후드 힌지장치
KR101520578B1 (ko) 2014-03-13 2015-05-14 주식회사 금창 자동차의 액티브 후드 후방 이동형 리프트 힌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018B1 (ko) 2016-11-02 2018-03-22 주식회사 금창 자동차용 후드의 액티브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236B1 (ko) 차량용 액티브 후드장치
JP6526548B2 (ja) 自動車用パッシブフードヒンジ装置
US7506716B1 (en) Pedestrian protection automotive hood hinge assembly
KR101637747B1 (ko)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US6802556B2 (en) Pedestrian safety device
US7575273B2 (en) Bonnet bumpstop for a vehicle
US7845691B2 (en) Collision safety system for use with a motor vehicle
US20050279550A1 (en) Hinge arrangement
US7207406B1 (en) Front hood assembly
US20130300134A1 (en) Deployable hood latch for pedestrian head protection
CN107916855B (zh) 可保护行人的主动式机罩铰链
JP2003040143A (ja) 自動車のボンネット用ヒンジ
WO2004074051A1 (en) A safety arranement
KR101717858B1 (ko) 액티브 후드 시스템
KR101592792B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장치
US20200231113A1 (en) Locking device for a movable part of a vehicle
KR101300611B1 (ko) 갈라진 도로 또는 터널입구의 차량 충돌 회피 구조
EP2108549A1 (en) Hinge for automobile hoods
KR102371595B1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EP2301814A1 (en)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CN113494219B (zh) 发动机罩铰链组件和车辆
CN210049737U (zh) 主动式发动机罩铰链机构、铰链系统以及车辆
KR20240028156A (ko) 액티브 후드 힌지 장치
KR101189565B1 (ko) 엔진후드 래치의 세이프티 후크 레버
KR101241010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