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725B1 -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725B1
KR101717725B1 KR1020150039147A KR20150039147A KR101717725B1 KR 101717725 B1 KR101717725 B1 KR 101717725B1 KR 1020150039147 A KR1020150039147 A KR 1020150039147A KR 20150039147 A KR20150039147 A KR 20150039147A KR 101717725 B1 KR101717725 B1 KR 10171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envelope
cover
adhesiv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3478A (ko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김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봉 filed Critical 김재봉
Priority to KR102015003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7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2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끈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심재와, 심재의 외부에 구성되고, 심재와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외피접착면과, 외피의 양 측 단부의 상면에 형성된 접힘선과, 심재와 접착 될 때 외피와 외피 사이가 봉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봉합부와, 측면부에 구성되어 심재와 밀착하도록 구성된 외피측면으로 구성된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복합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Robust multi-purpose complex lac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팔찌, 목걸이, 가방끈, 신발끈, 리본, 벨트, 샌들밴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인장강도, 탄성을 가지며, 피부친화성이 뛰어난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 목걸이, 가방끈, 신발끈, 리본, 벨트, 샌들밴드에 사용되는 끈은 그 자체로서 다양한 용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두 가닥 이상의 끈을 서로 꼬아서 또 다른 형태와 모양을 갖는 다양한 조끈으로 만들거나, 끈을 다른 선상 소재와 다양한 형태로 엮어서 밴드의 형태를 만들거나, 또는 이들을 직포 형태로 짜서 천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저렴한 값으로 가죽끈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복합끈이 개발되어 일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폭이 좁은 합성수지 시트로 높은 인장강도(신축성이 매우 적음)의 인조소재 심재를 피복한 구조로 되어 있고, 형태안정성과 색상 등의 미감이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가죽끈과 같은 질감(적당한 부피감과 쿠션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이와 같은 복합끈을 사용하여 제조된 물품은 경직하여 인체의 피부에 대한 접촉성 및 피부친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5696호에는 '합성피혁 복합끈'에 관한 특허를 등록한 바가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 낮은 신장도와 높은 강인성을 가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형 단면의 선상(線狀) 심재(心材), 및 (b) 상기 심재를 감쌀 수 있는 긴 스트립(strip) 형상을 가진 두 개의 합성피혁 피재(被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피재들은 각각 그것의 양측 단부를 안쪽으로 접어 부착하고 그러한 피재들 사이에 상기 심재를 위치시킨 후 상호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합성피혁 복합끈에 관한 특허가 개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천연가죽 등 가요성이 떨어지는 합성피혁의 경우, 피재의 양측 단부가 원활하게 접히지 않고, 구두끈에 사용될 경우 잦은 이동에 따라 마찰이 계속되면, 끈의 외피가 헐거워지거나, 벗겨져 손상이 가속되고, 결합단면 사이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질이 끼어 외관상 혐오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특허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5696호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팔찌, 목걸이, 가방끈, 신발끈, 리본, 벨트, 샌들밴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인장강도, 탄성을 가지며, 피부친화성이 뛰어난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간소화함에 따라 가격절감이 가능하고 제조시간 또한 최소화하는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면사,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섬유사, 고무재질, 폴리우레탄재질,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천연가죽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여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도록 꼬아서 구성되며, 복합끈을 지지하는 심재 및 상기 심재를 감싸며 접착되며, 합성피혁, 인조가죽, 천연가죽, 폴리우레탄, 고무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외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피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외피접착면; 상기 외피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접힘선; 상기 외피의 양단에 형성되며, 접힘선을 기준으로 외피를 접으면 서로 맞닿아 상기 외피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외피측면; 상기 외피측면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외피를 심재에 감쌀 경우 상기 심재와 마주보는 상기 외피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며, 외피를 심재에 접착하는 상부봉합부 및 상기 외피측면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외피를 심재에 감쌀 경우 서로 맞닿는 상기 외피의 양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며, 열을 가해 압착시 외피의 양단을 접착시켜 봉합하는 측부봉합부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한편, 다용도 복합끈 제조방법은 외피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를 접으면서 외피의 내면에 형성된 외피접착면과 접착하여 외피의 양단에 형성된 외피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 접힘단계;
상기 외피측면의 상부에 심재를 위치시킨 후, 상기 심재와 마주보는 외피의 외면에 형성된 상부봉합부를 이용하여 심재를 감싸면서 상기 외피를 접착하는 접착단계; 및
상기 심재를 감싸며 외피를 접착시 서로 맞닿는 상기 외피의 양단을 측부봉합부로 접착하고,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봉합처리하는 마감단계;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팔찌, 목걸이, 가방끈, 신발끈, 리본, 벨트, 샌들밴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인장강도, 탄성을 가지며, 피부친화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시간이 최소화 됨에 따라 가격절감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또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또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복합끈(100)은 복합끈(100)을 지지하는 심재(110)와 심재(110)의 외부에 구성되고 내구력 강화 및 인장강도를 보존하기 위해 구성된 외피(130)로 이루어져 있다.
심재(110)는 일체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소정의 탄성력, 인장강도 및 강인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감을 충족시켜주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심재(110)는 그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피(130)와 형상을 같거나 다르게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외부에는 나선형으로 돌기가 형성되거나 또는 심재(110)를 다각적으로 꼬아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심재(110)는 외피(130)와 밀착되어 배치됨에 따라 복합끈(110)의 소정의 탄성력, 인장강도 및 강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고, 그 재질로는 면사,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섬유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 폴리우레탄(P.U)재질 또는 섬유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천연가죽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재(110)의 외면과 접착되는 외피(1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심재(110)와 더불어 소정의 탄성력, 인장강도 및 강인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심재(110)가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외피(130)는 합성피혁, 인조가죽, 천연가죽, 폴리우레탄(P.U)재질, 고무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높은 인장강도, 탄성 및 피부친화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외피(130)는 심재(110)와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도면상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외피접착면(132)과,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접힘선(134)과, 양단에 형성되며,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외피(130)의 내측 방향으로 접을 경우 서로 마주보는 외피측면(138)과, 외피(130)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상부봉합부(136a) 및 외피(130)를 심재(110)에 감쌀 경우 서로 맞닿는 외피(130)의 양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측부봉합부(136b)를 포함한다.
외피접착면(132)은 외피(130)의 상면에 천연접착제 및 합성접착제를 도포하여 심재(110)와 접착이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천연접착제는 라텍스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알카리 용액을 혼합하여 부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합성접착제는 목재, 피혁, 종이 및 직물 등의 접착에, 아교, 제인, 혈분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어 사용한다.
외피(130)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접힘선(134)은 외피(130)가 일정부분 상방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접힌 부분이 외피접착면(132)와 밀착됨으로써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외피(130)전체 폭의 1/10 내지 1/5을 유지하여 구성된다.
외피(130)를 봉합하기 위한 상부봉합부(136a)는 접힘선(134)를 기준으로 외피(130)를 접을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외면에 형성된다.
또한, 측부봉합부(136b)는 외피(130)를 심재(110)에 감쌀 경우 서로 맞닿는 외피(130)의 양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즉 상부봉합부(136a)는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외피(130)를 접을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외면에 심재(110)와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봉합부(136a)를 통해 외피(130)를 심재(110)에 감쌀 경우 심재(110)와 외피(130)가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측부봉합부(136b)는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외피(130)를 접을 경우 서로 맞닿는 외피(130)의 양단에 접착제로 도포함으로써 마감 처리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부봉합부(136b)는 외피(130)의 양단이 접착시 열을 가해 압착시켜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외피(130)와 심재(110) 사이 간의 접착된 부분이 분리되지 않는 기능을 수행한다.
외피(130)의 측면부에 구성된 외피측면(138)은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외피(130)가 외피접착면(132)의 방향으로 접힌 경우 심재(110)와 밀착되는 면이며, 심재(110)와 밀착될 때 미세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외피측면(138)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선택되어 구성된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용도 복합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외피접착면(132)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외피측면(138)이 서로 맞닿도록 접음으로써, 외피(130)가 이중으로 구성된다.
이중으로 구성된 외피(130)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상부봉합부(136a)를 통해 심재(110)와 접착되고, 상기 심재(110)를 감싸면 서로 맞닿는 양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측부봉합부(136b)를 통해 봉합처리된다.
이때 측부봉합부(136b)는 열을 가해 압착함으로써, 견고한 봉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측부봉합부(136b) 사이에 소정의 틈이 없도록 구성되어 심재(110)와 접착이 이루어질 때 탄성력 및 높은 인장강도가 보존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심재(110)와, 외피(130)를 포함하는 다용도 복합끈을 이용한 제작방법은 외피(130)를 접힘선(134) 기준으로 외피(130)를 접으면서 도면상 외피(130)의 상면에 형성된 외피접착면(132)과 접착하여 외피(130)의 양단에 형성된 외피측면(138)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 접힘단계(S110), 외피(130)가 심재(110)를 감싸 접착하는 접착단계(S130), 상부봉합부(136a)와 측부봉합부(136b)를 이용하여 봉합처리 하는 마감단계(S150)를 포함한다.
접힘단계(S110)는 외피(130)의 상면에 형성된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외피(130)를 접을 때 외피접착면(132)과 접착하여 외피(130)의 양단에 형성된 외피측면(138)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 단계이다.
접착단계(S130)는 외피(130)로 심재(110)의 외부를 감싸는 단계로서, 서로 맞닿아 있는 외피측면(138)의 도면상 상부에 심재(110)를 위치시킨 후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부봉합부(136a)를 이용하여 심재(110)를 감싸면서 심재(110)와 외피(130)를 접착토록 하게 된다.
마감단계(S150)는 심재(110)를 감싼 외피(130)의 서로 맞닿는 양단에 형성된 측부봉합부(136b)를 이용하여 외피(130)를 봉합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측부봉합부(136b)는 롤러와 같은 기계로 열을 가해 압착이 되어 외피(130)의 양단을 봉합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복합끈 110 : 심재
130 : 외피 132 : 외피접착면
134 : 접힘선 136 : 봉합부
136a : 상부봉합부 136b : 측부봉합부
138 : 외피측면

Claims (5)

  1. 면사,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섬유사, 고무재질, 폴리우레탄재질,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천연가죽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여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도록 꼬아서 구성되며, 복합끈을 지지하는 심재(110); 및
    상기 심재(110)를 감싸며 접착되며, 합성피혁, 인조가죽, 천연가죽, 폴리우레탄, 고무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외피(130);
    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130)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된 외피접착면(132);
    상기 외피(13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접힘선(134);
    상기 외피(130)의 양단에 형성되며,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외피(130)를 접으면 서로 맞닿아 상기 외피(130)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외피측면(138);
    상기 외피측면(138)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외피(130)를 심재(110)에 감쌀 경우 상기 심재(110)와 마주보는 상기 외피(130)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며, 외피(130)를 심재(110)에 접착하는 상부봉합부(136a); 및
    상기 외피측면(138)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외피(130)를 심재(110)에 감쌀 경우 서로 맞닿는 상기 외피(130)의 양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며, 열을 가해 압착시 외피(130)의 양단을 접착시켜 봉합하는 측부봉합부(136b);
    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복합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기재된 외피(130)의 내면 양측에 형성된 접힘선(134)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130)를 접으면서 외피(130)의 내면에 형성된 외피접착면(132)과 접착하여 외피(130)의 양단에 형성된 외피측면(138)이 서로 맞닿도록 하는 접힘단계(S110);
    상기 외피측면(138)의 상부에 심재(1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심재(110)와 마주보는 외피(130)의 외면에 형성된 상부봉합부(136a)를 이용하여 심재(110)를 감싸면서 상기 외피(130)를 접착하는 접착단계(S130); 및
    상기 심재(110)를 감싸며 외피(130)를 접착시 서로 맞닿도록 상기 외피(130)의 양단에 형성된 측부봉합부(136b)를 접착하고,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봉합처리하는 마감단계(S150);
    를 포함하는 다용도 복합끈 제조방법.
KR1020150039147A 2015-03-20 2015-03-20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KR10171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47A KR101717725B1 (ko) 2015-03-20 2015-03-20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47A KR101717725B1 (ko) 2015-03-20 2015-03-20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78A KR20160113478A (ko) 2016-09-29
KR101717725B1 true KR101717725B1 (ko) 2017-03-28

Family

ID=5707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47A KR101717725B1 (ko) 2015-03-20 2015-03-20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193B1 (ko) 2022-04-07 2022-07-01 롱빈 카오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04Y1 (ko) * 2003-06-02 2003-09-06 이진 다용도 합성피혁 복합끈
KR200326611Y1 (ko) * 2003-06-12 2003-09-17 이철정 치수안정성과 질감이 우수한 합성피혁 복합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8050U (ko) * 1976-10-15 1978-05-18
JPS53113740U (ko) * 1977-02-16 1978-09-09
KR200395696Y1 (ko) 2005-06-14 2005-09-15 이철정 합성피혁 복합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604Y1 (ko) * 2003-06-02 2003-09-06 이진 다용도 합성피혁 복합끈
KR200326611Y1 (ko) * 2003-06-12 2003-09-17 이철정 치수안정성과 질감이 우수한 합성피혁 복합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478A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1630A1 (en) Hair band
EP3089612A1 (en) Modifiable band jewelry
KR101717725B1 (ko)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CN105661719A (zh) 一种采用弹力布反袋包边的背扣及其生产方法
TW201509333A (zh) 拉鏈之加強帶
KR101489919B1 (ko)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CN206548046U (zh) 一种防止儿童打开的拉链袋
KR200470389Y1 (ko)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CN102342622B (zh) 防水鞋和其所采用的防水内衬
CN107467756A (zh) 腰带及其制造方法、以及包括腰带的裤装
US20050023184A1 (en) Receptacle including a fiber cover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e
KR200358515Y1 (ko) 장식용 끈
CN207978975U (zh) 袜子
KR200325604Y1 (ko) 다용도 합성피혁 복합끈
KR200395696Y1 (ko) 합성피혁 복합끈
CN206308528U (zh) 耐拉伸和撕裂复合面料
JP3006653U (ja) 草履鼻緒
EP3666104A1 (en) Sock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50780A (en) Elastic band or strap
CN219905317U (zh) 一种防吸水无菌无纺布套
KR20120062182A (ko) 의복용 벨트
CN215959120U (zh) 一种扪制家具
CN218737278U (zh) 一种防护型袜子
KR101524613B1 (ko) 리본 장식을 갖는 헤어핀의 제조방법
KR200230113Y1 (ko) 복합소재형 머리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