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389Y1 -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389Y1
KR200470389Y1 KR2020120000008U KR20120000008U KR200470389Y1 KR 200470389 Y1 KR200470389 Y1 KR 200470389Y1 KR 2020120000008 U KR2020120000008 U KR 2020120000008U KR 20120000008 U KR20120000008 U KR 20120000008U KR 200470389 Y1 KR200470389 Y1 KR 200470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adhesive tape
pieces
area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287U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2020120000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8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2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pretreated surface to be jo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제직(製織) 가공된 섬유 또는 실(絲)을 편직하여 만든 섬유를 연결 부착하여 완성하는 의류, 모자, 가방, 신발 등의 섬유 제품을 만들기 위해 특정한 모양으로 재단된 섬유 조각들을 지정된 위치에 서로 연결 부착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섬유 조각들이 서로 연결되는 특정한 부분에 해당 영역과 동일한 넓이로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과 접착성 물질이 양면에 도포된 접착테이프를 덧대어 만든 새로운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후 압력과 열을 가해서 섬유 조각들을 접착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섬유 조각들의 재단면이 접착 연결된 부분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각의 섬유 조각을 접은 후, 그 접은 부분을 맞대어 섬유 조각을 서로 연결하는 테두리 영역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연결 부착하려는 섬유 조각들의 테두리 영역의 안쪽과 바깥쪽에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 처리를 해서 표면에 섬유사(fabric yarn)가 돌출되게 만들고,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 처리된 폴리에스터 섬유를 열 접착 테이프 사이에 넣어 부착하여 합체시킨 새로운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준비하여 연결하는 섬유 조각에서 안으로 접은 테두리 영역의 바깥 면과 안쪽 면에 각각 연결 부착되는 영역과 동일한 넓이로 부착시키고,
안으로 접은 테두리 영역의 안쪽 면은 접은 방향으로 해당 섬유 조각에 접착 되도록 한다.
이 방법으로 각각의 섬유 조각을 연결하여 부착하면 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높은 견뢰도를 유지하는 섬유 제품을 만들 수 있다.
Figure R2020120000008
섬유접착테이프, 무봉제 의류, 접착식 의류, 견뢰도, 심실링, 무봉제 접착식 옷 만들기, 열접착테이프, 무봉제 원단 접착방법, 원단 접착 방법

Description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A method of using a new type of fabric adhesive tape which made of Polyester textile and adhesive tapes which melt with heated when make the fabric materials connected without sewing and knitting.}
본 발명은 열접착 테이프와 표면에 기모(브러싱:brushing)작업처리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합체한 형태를 갖는 섬유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섬유 조각들을 서로 연결 접착하여 섬유 완제품을 만들 때 해당 접착 부위의 견뢰도를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 높은 견뢰도를 유지하는 섬유 완제품을 만드는 방법으로써 봉제 기술력을 갖지 않은 사람이라도 손쉽게 섬유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과
열접착 테이프와 표면에 기모(브러싱:brushing)작업처리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합체한 형태를 갖는 섬유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완제품은 디자이너가 모양을 기획하고, 이에 필요한 원단과 부자재를 준비한 후에 원단을 일정한 틀(패턴:pattern)에 따라 재단하여 나뉜 섬유 조각들을 실을 사용하는 봉제 공정을 통해 이어 붙여서 제품의 모양을 갖추고, 여기에 단추, 지퍼 등의 부자재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봉제 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섬유 조각의 연결 이음새가 조밀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게 되는 기술력 차이가 존재하며, 데님 원단을 사용하는 의류를 비롯하여 패딩점퍼와 같이 원단 재질이나 디자인이 복잡한 제품일수록 봉제 기술자에게 지급하는 생산비용이 높아져서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 때 구입가격이 높아지는 현상도 존재한다.
또한, 재봉사를 사용하는 재봉 공정을 거쳐 만든 섬유 제품의 경우 제품이 부분적으로 헤지거나 특정 부분이 뜯어질 경우 스스로 수리할 수 있는 기술이 없다면 다른 사람에게 수선을 맡기거나 새로 사야하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트렌드가 바뀌고 유행이 빠르게 변하면서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 스타일도 시시각각 변하는데 반해서, 실을 사용하는 봉제 공정으로 생산된 섬유 제품은 소비자가 스스로 직접 수선해서 디자인을 본인의 마음에 들게 고치기가 힘들다는 단점도 있다.
가령, 실을 사용하여 봉제하여 만든 섬유 제품에서 실이 끊어지거나 헤져 닳게 될 경우엔 같은 실을 구하기도 어렵거니와 작은 부분을 수선하기 위해서 제품의 다른 부분까지 모두 바꿔 고쳐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는 점이다.
이 외에도, 관련 업계에 실을 사용하지 않는 무봉제 의류 제작 기술이 등장 하면서 섬유 조각을 서로 연결하고자 할 때 고체성 양면 본드에 섬유 조각을 대고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를 사용하며 봉제선이 생기지 않는 접착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소비자가 쉽게 구할 수 없는 울트라 소닉 웰딩 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포함하고, 섬유 조각을 고체성 양면 본드에 대고 특수 장비를 사용하려고 할 때 맞닿게 유지시키는 과정에서 기술적 숙련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열 가압에도 본드가 남을 경우에는 본드를 사라지게 하는 재작업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섬유 조각을 맞대는 방식으로 단순 접착을 하는 방법은 크기가 작은 가죽 제품을 만들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써 의류에 적용하기엔 인장강도와 견뢰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섬유 제품 종류가 극히 제한적이다.
비슷한 예로, 아웃도어 의류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웰딩(welding:용접) 방식은 부착하려는 섬유 조각 사이에 웰딩용 자재를 넣고 고온 고압을 가하여 부착하는 방식인데 이때 사용되는 아웃도어용 의류 원단과 웰딩 작업용 자재의 가격이 비싸고 게다가 웰딩 작업을 할 수 있는 기술자가 필요하다는 부분이 단점이다.
추가로, 텐트와 같은 등산장비의 경우를 예로 들자면, 텐트를 만들면서 섬유 조각을 서로 맞대어 봉제하면서 생긴 바늘구멍을 통해 바람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막고자 심실링(seam sealing) 테이프을 봉제선 위에 덧대어 다리미로 열을 가하여 부착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심실링 테이프가 떼어지고 접착력이 약한 부분이 노출되면서 지저분해지는 동시에 재수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위에서 언급한 심실링(Seam Sealing) 작업 또는 웰딩용 자재를 사용하는 부착 작업은 아웃도어 의류 원단에 한정되어 가능하며 일상생활에서 입는 생활 의류에는 가격적인 면이 비싸고, 소재 사용 면에서 원단의 특성의 차이가 커서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실을 사용하여 봉제하지 않고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만들 경우 가장 우려가 되었던 섬유 조각의 연결 부위의 견뢰도 유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섬유 조각의 특정한 영역을 지정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 부착할 때 해당 부위의 견뢰도를 높이기 위한 접착 방법과 이 과정에 사용되는 새로운 섬유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 조각을 연결할 때 실을 사용해서 완제품을 만드는 봉제 또는 편직 관련 기술이 없더라도, 섬유 종류에 관계없이 누구나 손쉽게 본인의 취향에 맞는 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하기 위함으로써,
서로 연결 부착되는 테두리 영역을 표시하고 해당 테두리 영역에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을 처리한 섬유 조각들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 섬유 조각들을 연결 접착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손쉽게 섬유 완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절별로, 유행별로 바뀌는 섬유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소비자 본인의 마음에 드는 디자인으로 특정한 섬유 조각을 교체하거나 변경하는 간단한 방법만으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으로 연결하는 섬유 조각들의 연결 부착되는 부분이 될 면적과 위치를 정하고, 해당 영역에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을 해서 섬유사(fabric yarn)를 돌출되게 만든 후 접어서 해당 섬유 조각의 테두리 영역으로 표시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정한 섬유 조각의 테두리 면적과 동일한 넓이로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의 양면에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처리를 해서 섬유사(fabric yarn)를 돌출되게 만든 후 양쪽 면에 열 접착 테이프를 부착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만드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만들어진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과 열 접착 테이프의 합체물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상기 1단계에서 만들어진 섬유 조각의 테두리 영역 바깥쪽에 부착하는 3단계;
다수의 섬유 조각을 연결할 경우, 각각의 섬유 조각을 제1, 제2, 제3 등의 방식으로 이어서 연결 부착하는 순서를 지정하고, 특정한 섬유 조각의 테두리 영역 바깥쪽에 연결되는 다른 섬유 조각의 테두리 영역의 바깥쪽이 특정한 섬유 조각에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과 열 접착 테이프의 합체물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붙인 면과 서로 마주 닿도록 부착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에서 서로 연결 부착되는 섬유 조각 사이에 겹쳐서 추가로 연결하 는 섬유 조각이 있을 경우, 상기 1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테두리 영역을 접고 동일한 작업 처리를 하여 표시한 후에, 겹치고자 하는 두 섬유 조각 사이 테두리 영역에 위치시키되, 추가로 연결되는 섬유 조각들의 테두리 영역에도 상기 2단계에서 만든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과 열 접착 테이프의 합체물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5단계;
상기 4단계에서 추가 연결하는 섬유 조각이 없을 경우 상기 5단계를 생략하고, 상기 4단계에서 섬유 조각들이 부착된 테두리 영역을 임의의 한쪽 방향으로 접어서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 부착하려는 영역에 삽입하고자 하는 부속 자재가 있을 경우 필요한 공간을 지정해서 부착하려는 영역에서 여백으로 두고, 삽입하려는 부속 자재가 없는 경우에는 여백을 두지 않은 상태로, 섬유 조각의 테두리 영역을 임의의 방향으로 안으로 접어 해당 영역에 압력과 열을 가하여 접착시키는 6단계;
상기 각 단계에 의해 섬유 조각들을 연결할 때 본 발명의 검유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연결 접착시킴으로써 섬유 제품을 완성하는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섬유 조각의 특정한 영역을 지정해서 해당 영역을 연결 부착할 때, 섬유 조각들의 테두리 영역에 상기 2단계에서 만든 표면에 기모(브러싱:brushing)작업 처리된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과 열 접착 양면 테이프의 합체물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놓고 부착한 후, 섬유 조각에 열을 가하여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과 같이 표면에 기모(브러싱:brushing)작업 처리된 폴리에스터 섬유 와 열접착 테이프를 합체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섬유 조각들을 연결 부착한 후 가열, 가압해서 접착하는 방법에 따르면,
실을 사용하는 봉제 또는 편직 공정으로 연결하여 완성하는 섬유 제품을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연결 부착하여 만들 경우에 가장 우려가 되었던 섬유 조각 연결 부위의 견뢰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섬유 조각을 연결 부착하고 해당 영역을 가열 가압하여 접착할 경우, 섬유 접착테이프가 녹으면서 섬유 조각과 섬유 접착테이프에서 기모 작업 처리되어 돌출된 섬유사(fabric yarn)들이 서로 뒤섞이며 엉키게 되고, 엉킴 사이로 섬유 접착테이프가 녹아서 접착제 성분이 스며들어 굳으면서 접착력이 강화되는 까닭이다.
또한, 폴리에스터 섬유는 합성섬유로써 열에 강하며 구김이 잘 생기지 않고 신축성이 적어서 형태 유지가 잘 되고, 수분에 강하여 세탁 후에 건조가 잘 되고 장시간 사용해도 변색, 변질이 안 된다. 약품에도 강하며 섬유 해충에 피해가 없으며 표면이 산뜻한 감촉을 전달하는 특성으로 섬유 제품에 많이 쓰인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와 같은 폴리에스터 섬유로 만든 섬유 접착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재단된 섬유 종류에 관계없이 서로 연결 부착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섬유 조각을 연결할 때 실을 사용하는 봉제 또는 편직 등의 기술이 없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자유자재로 접착테이프를 사용해서 손쉽게 붙여가며 섬유 제품을 만들 수 있어서 자신만의 개성 넘치는 스타일의 디자인 형태도 만들 수 있다.
게다가 계절별로, 유행별로 바뀌는 섬유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본인의 마음에 드는 특정한 섬유 조각으로 수시로 교체하거나 변경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 도면들은 본 발명으로 새로운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섬유 조각들을 서로 부착할 때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과정을 나타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현재 대부분의 섬유 제품에서 나타나는 예로써,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실을 사용하여 봉제 또는 편직을 할 경우 제품에 나타나는 봉제선을 점선으로 표시한 것이다. 옷이나 모자, 핸드백, 가방 등 모든 섬유제품에서 실을 사용해서 봉제할 경우에 나타나는 모습으로 원단과 부자재 재단면과 봉제선들이 모두 표시가 된다.
이 때문에, 제품에는 크고 작은 바늘구멍이 생기게 되고, 등산의류와 같은 스포츠 제품에 있어서 바람을 막고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 작업의 원인이 된다.
또한, 봉제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전체적인 제품의 형태가 봉제선에 따라 변형되기도 하며, 시작하는 실과 끝나는 실의 위치가 제품 디자인에 영향을 주어 불량 제품이 생기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게다가 소비자가 섬유 제품을 사용할 경우, 특정 부위에 실이 풀리게 되면 수선을 해야 하는데 기술이 없고 수선 기계가 없는 경우엔 기술자에게 수선을 부탁하며 추가 비용이 들어가는 원인도 된다.
또한, 섬유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기업에서는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같은 디자인 형태의 제품을 많은 양으로 만들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소비자들은 자신의 선택이 아니라 타의에 디자인에 의한 섬유 제품 소비를 선택할 수밖에 없게 되고, 개성을 살리는 본인만의 소비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으로 만들어진 섬유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섬유 조각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만들 경우, 우선 가장 먼저 도면 2와 같이 섬유 제품에서 봉제선과 실이 사라지고, 제품은 전체적으로 단순하면서도 깔끔한 디자인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제품의 특정 부분이 닳아 헤지거나 오염될 경우에도 간단하게 해당 섬유 조각만 떼어내고 똑같은 형태의 섬유 조각을 새롭게 부착할 수 있어서 봉제기술이 없는 누구라도 수선 가능하다.
가령, 계절이 바뀔 경우, 짧은 소매를 떼어내고 긴 소매를 붙일 수 있으며, 처음 샀을 때와 다르게 다양한 색감의 섬유 조각을 언제든 바꿔 부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하는 섬유 조각 사이에 본 발명으로 만들어진 섬유 접착테이프를 놓고 가정용 다리미로 가열해주면 본 발명의 섬유 접착테이프는 높은 열에서 녹으며 접착제 성분을 사용해서 두 원단 섬유 조각을 하나로 접착하는데,
이때 연결하는 섬유 조각의 테두리 영역에 돌출된 섬유사(fabric yarn)와 본 발명의 섬유 접착테이프의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에서 돌출된 섬유사(fabric yarn)가 서로 엉킴 효과를 만들어주면서 밀착도가 높아지고 엉킴 구조 사이로 접착제 성분이 스며들어 더욱 공고하게 견뢰도가 상승된다.
가령, 본 발명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 위해 임의의 섬유 조각 연결 부분을 표시하면 도면 3과 같은데, 도면 3은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원단을 옷의 본(패턴:pattern)에 따라 잘라낸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고자 할 때, 섬유 조각 a1과 a2에서 테두리 영역의 면적과 위치를 정해서 해당 부분을 접고, 그 위에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을 해서 섬유사(fabric yarn)을 만든다.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이란 가정에서 쉽게 구하는 사포 또는 끝이 뾰족한 송곳 등으로 해당 섬유 조각의 테두리 영역을 긁어주는 것처럼 처리하는 것을 말하며, 끝이 뾰족한 철사들로 만들어진 표면을 갖는 브러시(둥근 빗)를 사용하여 원하는 섬유의 면에 대고 마찰시키는 방법도 있는데, 표면 섬유사(fabric yarn)가 돌출되게 되는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 처리된 영역은 도면 4에서 B의 영역에 해당된다.
기모 작업처리를 하면 해당 섬유의 면에는 도면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섬유사가 돌출되고, 예를 들어 a1이나 a2와 같은 섬유의 일정 영역에 기모 작업처리를 해서 해당 영역을 접으면 도면 6과 같이 나타난다.
이때, 기모 작업 처리한 부분에 고무밴드나 실, 끈 등을 넣고자 할 경우엔 필요한 공간을 지정해서 기모 작업을 하지 않는데, 도면 7로 표시할 수 있다.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 이후, 섬유 조각의 서로 연결할 부분을 정해서 본 발명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게 되는데, 도면 4의 B 영역은 a1의 접은 부분과 a2의 접은 부분으로 서로 맞닿아 연결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은 실을 사용하는 봉제에 비교하자면 원단과 원단을 연결하기 위해 봉제할 위치를 지정하는 '시접' 영역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하는 섬유 조각들마다 섬유 접착테이프를 넣어 부착하는 면적과 위치를 미리 표시해두기 때문에 봉제 기술이 없는 누구나 손쉽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
본 발명의 섬유 접착테이프(C)를 사용하는 방법은 도면 4에서 a1과 a2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테두리 영역을 접은 후, 그 사이에 섬유 접착테이프(C)를 넣는 위치를 표시한 평면도로 나타낼 수 있는데 도면 8에 해당한다. 열을 가하면 녹으면서 접착성을 띄는 접착테이프(C)를 서로 연결하려는 섬유 조각 사이에 넣는 과정이다.
본 발명으로 만드는 섬유 접착테이프(C)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것은 도면 9인데, c1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나타내며, c2는 열접착 양면테이프를 나타낸다.
단, 표면에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으로 섬유사(fabric yarn)를 돌출시킨 폴리에스터 섬유(c1)를 세부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면 도면 10과 같은데, 폴리에스터 섬유(c1)의 양쪽 면에 열접착 양면테이프(c2)를 부착해서 새롭게 만들어진 섬유 접착테이프(C)는 도면 11과 같은 모습으로 된다.
이 단계에서 a1과 a2의 테두리 영역과 접착테이프(C)의 면적이 같은 이유는 a1과 a2의 절단면에서 섬유 조각의 올 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섬유 접착테이프(C)는 가열 되면서 접착성분이 녹게 되는데 이때 a1과 a2의 섬유 조각과 폴리에스터 섬유(c1)에 있는 섬유사(fabric yarn)의 엉킴 구조 사이로 접착성분이 스며들어가서 굳으면서 접착력을 높여준다.
도면 8에서 a1과 a2를 접고 접착테이프(C)를 두 개의 테두리 영역(B) 사이에 넣어 다리미로 압력과 열을 가해 접착한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 도면 12이다.
a1과 a2의 테두리 영역(B) 사이에 접착테이프(C)가 맞물려 접착된 상태를 세부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면 도면 13과 같은데, 섬유 조각의 테두리영역의 면적이 섬유 접착테이프의 면적과 동일하며, 해당 영역을 가열 가압할 경우 섬유 조각과 섬유 접착테이프에서 기모 작업 처리되어 돌출된 섬유사(fabric yarn)들이 서로 엉키게 되고, 엉킴 사이로 섬유 접착테이프가 녹아서 접착제 성분이 스며들어 굳으면서 접착력이 강화된다.
도면 12에 a1과 a2의 테두리(B)영역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후에 테두리(B)영역을 a1 영역이나 a2 영역으로 임의의 방향을 정해서 접어서 추가 부착시키는데, 도면 14는 임의의 방향을 a1으로 정했을 때 a1의 남은 테두리(B) 영역에 접착테이프를 추가 부착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때, a1의 남은 테두리 영역(B) 역시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으로 섬유사(fabric yarn)을 돌출해둔 상태로써 도면 15에서 표시한 것과 같으며, 만약 테두리(B)영역과 a1 영역이 부착되는 사이에 끈이나 고무밴드 등의 부속 자재가 추가될 경우엔 필요한 만큼 해당 공간을 지정하고 부착시키는데, 이를 도면으로 표시하면 도면 16과 같다.
또한, 테두리(B)영역을 a2 방향으로 정해서 접어서 부착할 경우를 예로 들면 도면 17과 같으며, 마찬가지로 부착면 사이에 부속 자재가 추가될 경우 필요한 만큼 빈 공간을 지정하고 부착하게 되고, 이를 도면으로 나타내면 도면 18과 같다.
도면 14에서 a1의 테두리(B) 영역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후, a1의 테두리(B) 영역이 섬유 조각 a1에 부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 도면 19이다.
a1과 a2가 연결 부착되는 테두리(B) 영역에서 섬유 조각들과 섬유 접착테이프(C)가 겹치는 순서를 설명하자면, 가장 아래에 a1이 있고, 그 위에 접착테이프(C), 그 위에 접힌 a1 테두리(B)영역이 다시 오게 되며, 그 위에 접착테이프(C)가 놓이고, 그 위에 a2의 테두리(B) 영역이 놓인다.
이 형태를 나타낸 도면 19에서 D로 표시한 동그라미 영역을 세부적으로 표시한 평면도가 도면 20이다. a1의 테두리(B) 영역에 접착테이프(C)를 놓고 접은 후, 그 위에 다시 접착테이프를 넣어 a2와 부착하여 연결된 모습이다.
단, 이 과정에서 a1을 접은 테두리(B)영역 사이에 부속 자재(M)을 추가할 경우엔 부착하는 섬유 접착테이프(C)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를 도면으로 나타내면 도면 21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섬유 조각을 부착하게 되면, 연결 부분의 안쪽으로 테두리 접착 부분이 놓여서 제품의 겉면에선 a1과 a2가 맞닿은 상태로만 보이며, 테두리 영역이 바깥쪽으로 들뜨며 간격이 벌어지지 않는다. 또한, 부착된 테두리 영역 안쪽에 겹쳐진 B 영역은 a1이나 a2에 말끔하게 부착되어 의류일 경우 착용했 을 때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원단 섬유 조각이 피부에 닿아 생길 수 있는 거부감 또한 거의 없다.
더불어, 연결한 섬유 조각의 견뢰도를 고려할 때 도면 20에서 설명하자면, a1의 테두리 영역처럼 이중 접힘 구조의 영향을 먼저 받고, a1 섬유 조각과 테두리(B) 영역 사이에 접착테이프(C)에서 폴리에스터 섬유의 특성과 접착테이프의 접착제 성분, 그리고 섬유사의 엉킴 상태를 이용하는 3중 접착 구조로 만들어지는 견뢰도가 합쳐지게 되어 실을 사용하여 봉제하는 경우보다도 높은 견뢰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a2와 연결되는 a1의 테두리 영역의 사이에 놓인 접착테이프 역시 가해진 열로 인해 접착성을 강하게 만들면서 a1과 a2를 하나의 섬유 조직처럼 이어주는 효과가 있다. 물론, 도면 2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도면 20에 표시된 a1과 a2의 위치 역시 서로 바뀔 수 있는데, 도면 14에서 설명하는 테두리(B)영역이 a1 또는 a2 어느 쪽으로도 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a1과 a2처럼 두 개의 섬유 조직을 붙이는 작업뿐만 아니라 a1과 a2 사이에 여러 섬유 조각을 추가로 부착하여 연결할 수도 있는데, 이를 설명하는 도면 23은 섬유 조각이 추가 될 경우 a1과 a2 사이에 넣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a1과 a2 사이에 a3, a4 등과 같이 추가 섬유 조각이 놓일 수 있으며, 각각의 섬유 조각 사이에는 접착테이프(C)가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에 앞서,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실을 사용하여 봉제를 할 경우 제품에 표시되는 재단된 섬유 조각의 부착면들은 실선으로, 봉제선들은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 2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써 섬유 조각을 접착테이프로 연결하면 실을 사용하는 봉제에서 생기는 봉제선이 사라진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3은 도면 1과 도면 2에서 예로 든 본 발명의 완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임의의 섬유 제품을 예로 든 것으로, 원단을 옷 본(패턴:pattern)에 따라 잘라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4는 도면 3에서 원으로 표시한 A 영역을 특정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섬유 조각 a1과 a2에서 테두리 영역을 접어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영역을 B로 표시했다.
도면 5는 섬유 조각을 연결하는 테두리 영역을 정하고 표면에 기모 작업 처리를 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섬유조각(fabric material)에서 섬유사(fabric yarn)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 6은 섬유 조각의 연결할 부분을 기모 작업처리 하고, 해당 영역을 접어서 테두리(B) 영역으로 지정한 상태를 나타냈다.
도면 7은 테두리 영역과 섬유조각을 부착시킬 때 그 사이에 부속 자재가 추가될 경우 필요한 공간을 두어 접착하지 않는 영역을 두는 구조를 나타냈다.
도면 8은 도면 4에서 a1과 a2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할 테두리 영역을 접은 후, 그 사이에 섬유 접착테이프(C)를 넣는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의 섬유 접착테이프의 구조도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기모 작업 처리한 폴리에스터 섬유(c1)의 양쪽 면에 열접착 테이프(c2)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10은 본 발명의 섬유 접착테이프(C) 구조에서 폴리에스터 섬유(c1)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양쪽 면에 기모 작업 처리로 인한 섬유사(fabric yarn)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냈다.
도면 11은 본 발명의 섬유 접착테이프(C)를 나타낸 것으로, 양쪽 면에 기모 작업 처리로 인한 섬유사(fabric yarn)가 돌출된 폴리에스터 섬유(c1)의 양쪽 면에 열접착 테이프(c2)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냈다.
도면 12는 도면 8에서 a1과 a2를 접은 후 접착테이프를 테두리 영역(B)에 넣어 다리미로 압력과 열을 가해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면 13은 테두리(B)영역과 섬유 접착테이프(C)가 접착되는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면 14는 도면 12에서 a1과 a2 테두리(B) 바깥영역 사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후, 테두리(B) 안쪽 영역을 a1 영역으로 밀착시켜서 부착하기 위해 a1 방향의 테두리(B) 영역에 접착테이프를 추가 부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15는 도면 12에서 a1과 a2 테두리(B) 바깥영역 사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후, 테두리(B) 안쪽 영역을 a1 영역으로 밀착시켜서 부착하기 위해 a1 방향의 테두리(B) 영역에 접착테이프를 추가 부착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써, 테두리(B) 안쪽 영역과 부착되는 a1 영역에도 기모 작업 처리되어 섬유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냈다.
도면 16은 도면 15에서 a1과 테두리(B) 안쪽 영역 사이에 부속 자재가 삽입될 경우 부착하기 전에 필요한 공간을 만들어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17은 도면 12에서 a1과 a2 테두리(B) 바깥영역 사이에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후, 테두리(B) 안쪽 영역을 a2 영역으로 밀착시켜서 부착하기 위해 a2 방향의 테두리(B) 영역에 접착테이프를 추가 부착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써, 테두리(B) 안쪽 영역과 부착되는 a2 영역에도 기모 작업 처리되어 섬유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냈다.
도면 18은 도면 17에서 a2과 테두리(B) 안쪽 영역 사이에 부속 자재가 삽입될 경우 부착하기 전에 필요한 공간을 만들어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19는 도면 14에서 테두리(B) 안쪽 영역을 a1에 부착하면서 a1과 a2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20은 도면 19에서 D로 표시한 동그라미 영역으로 표시한 곳을 세부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a1의 테두리(B) 안쪽 영역에 접착테이프(C)를 놓고 접은 후, 그 위에 다시 접착테이프를 넣어 a2와 부착하여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 21은 a1과 a1의 테두리(B) 안쪽영역 사이에 부속 자재(M)가 추가될 경우, 섬유 접착테이프(C)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써, 부속 자재(M)에 필요한 공간이 비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 22는 도면 20에서 a1과 a2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을 나타낸 평면도로써, 도면 14에서 테두리(B)영역이 a1 또는 a2 어느 쪽으로도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23은 도면 22에서 섬유 조각이 추가 될 경우 a1과 a2 사이에 넣는 방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a1과 a2 사이에 a3, a4, a5 등과 같이 추가 섬유 조각이 놓일 수 있으며, 각각의 섬유 조각 사이에는 접착테이프(C)가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표면에 기모(브러싱:brushing) 작업처리를 통해 돌출 생성되는 섬유사(fabric yarn)를 양면에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 조각의 양쪽 면에 열접착테이프를 부착한 합체물 형태로 가열 가압하여 사용하는 섬유 접착테이프
KR2020120000008U 2012-01-02 2012-01-02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KR200470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08U KR200470389Y1 (ko) 2012-01-02 2012-01-02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008U KR200470389Y1 (ko) 2012-01-02 2012-01-02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87U KR20130004287U (ko) 2013-07-10
KR200470389Y1 true KR200470389Y1 (ko) 2013-12-11

Family

ID=5075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008U KR200470389Y1 (ko) 2012-01-02 2012-01-02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927B1 (ko) * 2016-11-08 2017-12-20 주식회사 실론 초경량 심리스용 고탄성 핫멜트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제조 방법
KR20190030581A (ko) 2017-09-14 2019-03-22 신동진 섬유조각을 부착 연결한 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737B1 (ko) * 2015-04-08 2017-01-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복합소재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701Y1 (ko) * 1985-11-15 1988-05-06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훅 고리 파스너용 경편성 지지 테이프
JPH0390103U (ko) * 1989-12-27 1991-09-13
JP2693156B2 (ja) * 1986-08-29 1997-12-2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ユフアクチユアリング カンパニ− 接着用及び固定用熱可塑性樹脂層を具備したループファスナー部
KR20040040403A (ko) * 2001-10-18 2004-05-12 광동 에스쿠엘 텍스타일즈 컴퍼니 링클프리 의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701Y1 (ko) * 1985-11-15 1988-05-06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훅 고리 파스너용 경편성 지지 테이프
JP2693156B2 (ja) * 1986-08-29 1997-12-2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ユフアクチユアリング カンパニ− 接着用及び固定用熱可塑性樹脂層を具備したループファスナー部
JPH0390103U (ko) * 1989-12-27 1991-09-13
KR20040040403A (ko) * 2001-10-18 2004-05-12 광동 에스쿠엘 텍스타일즈 컴퍼니 링클프리 의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927B1 (ko) * 2016-11-08 2017-12-20 주식회사 실론 초경량 심리스용 고탄성 핫멜트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제조 방법
KR20190030581A (ko) 2017-09-14 2019-03-22 신동진 섬유조각을 부착 연결한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87U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0725B2 (ja) 防水性を有す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CA2618299C (en) Embroidered emblem for securing to a first fabric
US7364783B2 (en) Composite article joined with an adhesive
JPH10280217A (ja) 滑らかなシームを有する衣類及びその形成方法
KR200470389Y1 (ko) 섬유 조각들을 부착 연결하여 섬유 제품을 만들 때,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 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견뢰도를 높이는 접착 방법 및 열 접착 테이프와 폴리에스터 섬유가 합체된 형태의 섬유접착 테이프
JPH10280215A (ja) 滑らかなポケットシームを有する衣類及びその形成方法
CN103829433B (zh) 成衣及其成衣制作方法
US10870255B2 (en) Emblem adhesive removal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s
US7169249B1 (en) Method of joining textile elements
CN108778016A (zh) 松紧牛仔布和其他织物产品上的接缝密封部及其形成方法
JP4537947B2 (ja) 布地の縫製方法
KR200479123Y1 (ko)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US20120027988A1 (en) Printed emblem for securing to a first fabric
JP2020522605A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衣類製造におけるその適用
WO2007122661A1 (en) A method for joining two or more pieces of fabric and related items
KR100351512B1 (ko) 내피원단이 접합된 주름의류 및 원단의 제조방법
TWM576595U (zh) Flat weave heat bonding structure
JP6341774B2 (ja) 衣服ダメージ加工用シート、ダメージ加工衣服の製造方法、及びダメージ加工衣服
JP3845793B2 (ja) 布帛よりの表面熱成形部付布製品形成方法
KR101896071B1 (ko)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
TW201928141A (zh) 防水縫迹構造
JP3214675U (ja) 浴衣
CN2327710Y (zh) 热合织带
KR20180059409A (ko)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
KR20190030581A (ko) 섬유조각을 부착 연결한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