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193B1 -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193B1
KR102416193B1 KR1020220043187A KR20220043187A KR102416193B1 KR 102416193 B1 KR102416193 B1 KR 102416193B1 KR 1020220043187 A KR1020220043187 A KR 1020220043187A KR 20220043187 A KR20220043187 A KR 20220043187A KR 102416193 B1 KR102416193 B1 KR 10241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vering material
manufacturing
bag hand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빈 카오
Original Assignee
롱빈 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롱빈 카오 filed Critical 롱빈 카오
Priority to KR102022004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04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folding, winding, bend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4Reforming or reshaping the joint, e.g. folding 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방 손잡이를 구성하는 심재의 외면에 반자동으로 피복재를 감싸서 고정할 목적으로, 상면에 피복재(12)가 안착되는 베이스 몰드(100); 상기 베이스 몰드(100)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 가이드 홀(310)이 형성된 가이드 몰드(300); 상기 베이스 몰드(100) 상에서 상하 이동 및 상기 가이드 홀(310)을 관통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강시 피복재(12) 상에 위치한 심재(11)를 가압하는 제1가압 몰드(400); 상기 베이스 몰드(100)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각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가 이루는 내형은 상기 피복재(12)의 외형과 동일하고, 각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시 상기 내형이 축소됨으로써 상기 피복재(12)를 심재(11) 위로 접을 수 있게 마련된 슬라이드 몰드(200); 를 포함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MOLD FOR MANUFACTURE OF HANDLES FOR BAGS}
본 발명은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방 손잡이를 구성하는 심재 및 피복재를 반자동으로 부착하기 위한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이나 핸드백에 사용되는 손잡이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6-0113478호(특허문헌 1)에서는 팔찌, 목걸이, 가방끈, 신발끈, 리본, 벨트, 샌들밴드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복합끈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다용도 복합끈은 심재와, 심재의 외부에 구성되고 심재와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외피접착면과, 외피의 양측 단부의 상면에 형성된 접힘선과, 심재와 접착 될 때 외피와 외피 사이가 봉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봉합부와, 측면부에 구성되어 심재와 밀착하도록 구성된 외피측면으로 구성된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7335호(특허문헌 2)에서는 가방 등 잡화류의 손잡이 또는 목걸이, 팔찌 등 장신구류, 의류 등에 사용되는 기능성 끈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끈은 초극세사, 천연가죽, 인조가죽 등을 재질로 하는 외피(Skin)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 합성수지 또는 철사 등 연질의 금속을 재질로 하는 심부(Core)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를 상기 심부에 열에 의해 압착하거나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 고정하여 제조된다.
특허문헌 1 및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심재와 피복재(외피)로 이루어진 끈은 가방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는데, 종래 이러한 구조의 가방 손잡이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여 제조되었다.
즉,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심재(11)와 피복재(12)로 이루어진 가방 손잡이를 제조하는 방식은, 피복재(12)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접착제가 도포된 피복재(12)의 내면에 심재(11)를 올려놓은 후 피복재(12)의 가장자리를 심재(11) 위로 접어서 부착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공정을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달라져서 품질의 균일성을 이룰 수 없을 뿐 아니라, 불량율이 높으며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심재(11)의 외면에 피복재(12)를 감싸서 고정할 때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 불량제품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조시간 단축으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제조 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현재까지 그러한 기술은 찾아볼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6-0113478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733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누구나 손쉽게 가방 손잡이를 제조할 수 있으면서 불량제품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조시간 단축으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금형을 통해서 심재의 외면에 피복재를 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재의 외면에 피복재를 감싸서 고정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으로서, 상면에 상기 피복재가 안착되는 제1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단의 내부에 상기 심재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홈이 패인 제2안착단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베이스 몰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심재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몰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상하 이동 및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강시 상기 제1안착단의 피복재 상에 위치한 심재를 가압하는 제1가압 블록을 포함하는 제1가압 몰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각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가 이루는 내형은 상기 피복재의 외형과 동일하고, 각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시 상기 내형이 축소됨으로써 각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된 날개부가 상기 피복재를 심재 위로 접을 수 있게 마련된 슬라이드 몰드;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손잡이 제조형 금형은, 트레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강시 상기 심재 위로 접힌 상기 피복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제2가압 몰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방 손잡이 제조를 위한 상기 각 몰드의 세부 구조는 후술하여 설명에서 더 구체화될 것이다.
본 발명의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에 따르면 금형 전체를 일반적인 프레스 장치에 장착하여 프레스 장치를 반자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심재의 외면에 피복재를 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가방 손잡이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량제품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제조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가방 손잡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가방 손잡이의 사시도 및 그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하위 몰드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상위 몰드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슬라이드 몰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제2가압 몰드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을 이용하여 가방 손잡이를 제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금형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방 손잡이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이 요지이고, 이러한 금형을 장착하는 프레스 장치 또는 기계 장치(이하, 프레스 장치라 함)는 발명의 요부가 아니므로 그의 작동 관계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하위 몰드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상위 몰드부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슬라이드 몰드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중 제2가압 몰드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은, 심재(11)의 외면에 피복재(12)를 감싸서 고정되는 가방 손잡이(10)(도 1 참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크게 프레스 장치(미도시)의 하부에 설치하는 베이스 몰드(100) 및 슬라이드 몰드(200)와, 프레스 장치(미도시)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몰드(300) 및 제1가압 몰드(400)를 포함하고, 또한 제2가압 몰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몰드(100)는 피혁재(12) 및 심재(11)를 안착시키는 요소로서, 대략 6면체 형태의 베이스 블록(110)을 포함하고, 베이스 블록(110)의 상면에는 피복재(12)가 안착되는 제1안착단(111)이 형성되며, 제1안착단(111)의 내부에는 심재(11)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홈이 패인 제2안착단(112)이 형성된다.
이때 제1안착단(111) 및/또는 제2안착단(112)에는 수직으로 천공된 기공(113)이 형성될 수 있고, 기공(113)은 예를 들면 공지의 진공펌프와 같은 공기 흡입수단과 연결되어, 공기 흡입수단의 작동시 제1안착단(111)에 안착된 피혁재(12)를 흡착함으로써 피혁재(12)가 움직이지 않도록 임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몰드(200)는 피혁재(12)의 가장자리 부분을 심재(11) 위로 접기 위한 요소로서, 베이스 몰드(100) 상에 위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각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가 이루는 내형은 피복재(12)의 외형과 동일하고, 각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시 상기 내형이 축소(도 6 참조)됨으로써 각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된 날개부(211, 221)가 피복재(12)의 가장자리를 심재(11) 위로 접을 수 있게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몰드(200)는, 피복재(12)의 양측 변에 위치하고 피복재(12)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210)와, 피복재(12)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고 사이드 플레이트(21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바람직하게는 45°)로 경사지게 이동하는 4개의 엣지 플레이트(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2개의 사이드 플레이트(210)는 그 중심의 각 외측에 형성된 이송 수단 연결부(212)가 프레스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왕복이송수단(20)과 연결되는 한편, 4개의 엣지 플레이트(220)는 각 외측에 형성된 이송수단 연결부(222)가 프레스 장치(미도시)에 마련된 왕복이송수단(20)과 연결됨으로써 각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상태와 같이 2개의 사이드 플레이트(210) 및 4개의 엣지 플레이트(220)가 각각 피복재(12)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플레이트(210,220)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 날개부(211, 221)가 피복재(12)의 가장자리와 접촉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10)는 가방 손잡이의 길이가 긴 경우, 상당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왕복이송수단(20)에 의해 이동할 때 어느 한 쪽이 틀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피복재(12)의 가장자리를 균일하게 접을 수 없게 되어 불량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몰드(100)는 베이스 블록(110)의 양측 변에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레일 블록(120)을 더 포함하고, 또한 각 레일 블록(120)의 상면에는 사이드 플레이트(2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한 쌍의 레일(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121)에는 합성수지 소재의 윤활 블록(214)이 안착되어 레일(121)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고, 각 사이드 플레이트(210)의 나사 홀(213)을 수직 관통한 고정나사(215)가 윤활 블록(213)에 고정됨으로써 각 사이드 플레이트(210)가 그 중심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레일 블록(120)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면, 사이드 플레이트(210)가 안정적으로, 그리고 길이 방향 전체가 균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몰드(300)는 작업자가 피복재(12) 위에 심재(11)를 올려놓을 때 그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요소로서, 프레스 장치(미도시)에 장착되어 베이스 몰드(10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그 내부에는 심재(11)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 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압 몰드(400)는 심재(11)를 눌러서 피혁재(12)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저면이 심재(11)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제1가압 블록(410)을 포함하고, 프레스 장치에 장착되어 베이스 몰드(100)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홀(310)을 관통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제1가압 몰드(400)가 하강할 때 제1안착단(111)의 피복재(12) 상에 위치한 심재(11)를 눌러서 가압한다.
가압이 종료된 후 제1가압 몰드(400)가 상승할 때 피복재(12) 상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서 심재(11)와 피복재(12)의 일부분이 제1가압 블록(410)의 저면에 들러붙어서 함께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가압 몰드(400)는 다수의 푸시 핀(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푸시 핀(420) 구조의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가압 블록(410)의 내부에는 상측이 개방된 복수 개의 수직 공간(411)이 일렬로 형성되고, 각 공간(411)의 저부에는 제1가압 블록(410)의 하단까지 연장된 핀 홀(412)이 형성된다.
상기 푸시 핀(420)은 핀 홀(412)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더 연장되어 그 하부가 제1가압 블록(410)의 하단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푸시 핀(420)의 상단에는 공간(411) 내에 위치하고 핀 홀(41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의 플랜지(421)가 형성되며, 공간(411)의 상부는 스토퍼(423)가 고정된다. 이때 스토퍼(423)와 플랜지(421) 사이에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422)이 개재되어 푸시 핀(420)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손잡이 제조형 금형은, 예컨대 프레스 장치의 트레이(30)(도 13 참조) 등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베이스 몰드(100)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가압 몰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압 몰드(500)는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그 하단면이 심재(11)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제2가압 몰드(500)가 하강했을 때 심재(11) 위로 접힌 피복재(12)의 가장자리를 가압함으로써 심재(11) 상면에 피복재(12)의 가장자리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제2가압 몰드(500)의 하단면에는 그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운데 부분이 함몰된 홈(5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가압 몰드(500)의 하단면이 심재(11)의 중심 부분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오직 피복재(12)의 가장자리 부분만 가압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접착이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을 이용하여 가방 손잡이를 제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금형의 단면도로서, 전술한 각 몰드의 작동 상태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몰드(100)와 슬라이드 몰드(200)를 프레스 장치의 하부에 장착하고, 가이드 몰드(300)와 제1가압 몰드(400)를 프레스 장치의 상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베이스 몰드(100)의 제1안착단(111)에 피혁재(12)를 안착한다. 이대 피혁재(12)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있고, 피혁재(12)는 기공(113)을 통해 빨아들이는 공기에 의해 흡착되어 베이스 몰드(100)에 고정된다.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를 작동하여 가이드 몰드(300)가 하강하면, 피혁재(12) 위에 심재(11)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 홀(310)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가이드 홀(310)을 통해 심재(11)를 정확한 위치(피혁재의 중심)에 손쉽게 올려놓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를 작동하여 제1가압 몰드(400)가 하강하면 제1가압 블록(410)의 하단면이 심재(11)를 눌러서 가압하므로, 심재(11)와 피혁재(12)가 부착된다. 이때 푸시 핀(420)은 심재(11)를 누르는 동시에 제1가압 블록(410) 내부의 공간(411)으로 내입되고, 또한 심재(11)와 맞닿아 있는 피혁재(12)의 중심 부분이 제1안착단(111)에서 더 함몰되어 있는 제2안착단(112)에 내입되면서 피혁재(12)의 가장자리가 들리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가압 몰드(100)가 심재(11)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를 작동하여 가이드 몰드(300)를 상승시키고, 이어서 슬라이드 몰드(200)를 수평 이송시켜서 각 플레이트(210, 220)의 내측 단부의 내형을 축소(도 6의 작동 상태)시키면 각 플레이트에서 돌출된 날개부(211,221)가 피혁재(12)의 전체 가장자리를 밀어서 심재(11) 위로 접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몰드(200)가 피혁재(12)의 가장자리를 접은 상태에서 프레스 장치를 작동하여 제1가압 몰드(400)를 상승시킨다.
이후, 도 1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를 작동시켜서 트레이(30)를 이동시키면 베이스 몰드(100) 및 슬라이드 몰드(200)가 제2가압 몰드(500)의 하부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도 1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장치를 작동하여 슬라이드 몰드(200)를 원위치시키는 동시에 제2가압 몰드(500)가 하강하면, 제2가압 몰드(500)의 가장자리 부분이 심재(11) 위로 접힌 피혁재(12)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심재(11) 위에 피혁재(12)의 가장자리를 접착하게 된다. 이때 제2가압 몰드(500)의 하단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가압 몰드(500)의 하단면이 심재(11)의 상단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2가압 몰드(500)를 원위치로 상승시키더라도 완성된 손잡이가 제2가압 몰드(500)의 하단면에 들러붙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가방 손잡이 11... 심재 12... 피복재
20... 왕복이송 수단 30... 트레이
100... 베이스 몰드 110... 베이스 블록
111... 제1안착단 112... 제2안착단 113... 기공
120... 레일 블록 121... 레일
200... 슬라이드 몰드 210... 사이드 플레이트
211... 날개부 212... 이송 수단 연결부 213... 나사 홀
214... 윤활 블록 215... 고정나사
220... 엣지(edge) 플레이트 221... 날개부
222... 이송 수단 연결부 300... 가이드 몰드 310... 가이드 홀
400... 제1가압 몰드 410... 제1가압 블록 411... 공간
412... 핀 홀 420... 푸시 핀 421... 플랜지
422... 스프링 423... 스토퍼
500... 제2가압 몰드 510... 홈

Claims (7)

  1. 심재의 외면에 피복재를 감싸서 고정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으로서,
    상면에 상기 피복재가 안착되는 제1안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단의 내부에 상기 심재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홈이 패인 제2안착단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을 포함하는 베이스 몰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심재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몰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상하 이동 및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강시 상기 제1안착단의 피복재 상에 위치한 심재를 가압하는 제1가압 블록을 포함하는 제1가압 몰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각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가 이루는 내형은 상기 피복재의 외형과 동일하고, 각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시 상기 내형이 축소됨으로써 각 플레이트의 내측 단부에서 돌출된 날개부가 상기 피복재의 가장자리를 심재 위로 접을 수 있게 마련된 슬라이드 몰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단 또는 제2안착단에 수직으로 천공된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공은 공기 흡입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피복재를 흡착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 블록의 내부에 상측이 개방된 복수 개의 수직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각 공간의 저부에는 제1가압 블록의 하단까지 연장된 핀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몰드는 상기 핀 홀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푸시 핀을 더 포함하되, 상기 푸시 핀의 상단에는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핀 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부를 폐쇄하는 스토퍼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몰드는, 상기 피복재의 양측 변에 위치하고 피복재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피복재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이동하는 4개의 엣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몰드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양측 변에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레일 블록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레일 블록의 상면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윤활 블록이 활주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각 사이드 플레이트를 수직 관통한 고정나사가 상기 윤활 블록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각 사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제조형 금형은, 트레이에 의해 위치가 이동된 상기 베이스 몰드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강시 상기 심재 위로 접힌 상기 피복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제2가압 몰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 몰드의 하단면에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운데 부분이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피복재의 가장자리 부분만 가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KR1020220043187A 2022-04-07 2022-04-07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KR10241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87A KR102416193B1 (ko) 2022-04-07 2022-04-07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187A KR102416193B1 (ko) 2022-04-07 2022-04-07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193B1 true KR102416193B1 (ko) 2022-07-01

Family

ID=8239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187A KR102416193B1 (ko) 2022-04-07 2022-04-07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1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35Y1 (ko) 2004-12-09 2005-03-10 송원호 기능성 끈
KR20160113478A (ko) 2015-03-20 2016-09-29 김재봉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JP2020185705A (ja) * 2019-05-14 2020-11-19 株式会社極東精機 表皮材被覆基材の製造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金型並びに表皮材被覆基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335Y1 (ko) 2004-12-09 2005-03-10 송원호 기능성 끈
KR20160113478A (ko) 2015-03-20 2016-09-29 김재봉 다용도 복합끈 및 그 제작방법
JP2020185705A (ja) * 2019-05-14 2020-11-19 株式会社極東精機 表皮材被覆基材の製造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金型並びに表皮材被覆基材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973B1 (ko) 마스크 귀걸이끈 접철장치
CN107207238B (zh) 床垫制造方法和装置
KR102416193B1 (ko) 가방 손잡이 제조용 금형
CA1079175A (en) Vacuum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441913A (zh) 成型装置及成型方法
CN108382639B (zh) 一种充电器气动包膜方法
CN208496829U (zh) 定位治具
JPH04170991A (ja) ミシン用布保持枠
TWI616327B (zh) 用於鞋幫成型的模具裝入用夾具
JPH0526348U (ja) 内装部品における表皮材の貼着装置
CN108025587B (zh) 粘贴装置和粘贴方法
CN107207239B (zh) 床垫制造方法和装置
CN109619769B (zh) 一种基于鞋子包头的压合装置
JP2021030457A (ja) 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12451887U (zh) 一种双层折边定位装置
CN208133776U (zh) 一种贴合设备
TWI543214B (zh) Transformer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US4644629A (en) Embroidery framing method
KR101368916B1 (ko) 장식용 찡 부착장치
US122051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boxes.
CN115059671B (zh) 一种片材的绷紧贴合装置及方法
CN113966896B (zh) 铁板烧、打圆和换模一体设备
CN216453648U (zh) 鞋跟打圆和换模一体设备
CN107044003A (zh) 一种自动居中和自动开合的四边形边线缝制模具
CN214188532U (zh) 一种自动打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