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541B1 -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541B1
KR101717541B1 KR1020150052910A KR20150052910A KR101717541B1 KR 101717541 B1 KR101717541 B1 KR 101717541B1 KR 1020150052910 A KR1020150052910 A KR 1020150052910A KR 20150052910 A KR20150052910 A KR 20150052910A KR 101717541 B1 KR101717541 B1 KR 10171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substrate
operation signal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982A (ko
Inventor
조관현
강경태
이상호
황준영
강희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54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67
    • H01L2227/32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기발광형 및 반사형 표시 방식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 시 간섭 변조 방식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반사형 표시부;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 시 내부에 장착된 유기발광층을 작동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형 표시부; 및 명실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반사형 표시부로 출력하고, 암실 상태에서 상기 제2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HYBRI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명실 환경 및 암실 환경 모두에서 시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면 표시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영상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술도 같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휴대 기기의 보급화에 따라 실내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LCD, OLE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되고 있는데, 암실 환경에서 화질이 우수한 일부 디스플레이 패널은 명실 환경에서 반사 빛에 의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명실 환경에서 화질이 우수한 일부 반사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암실 환경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명실 환경 및 암실 환경 모두에서 시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면 표시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형 및 반사형 표시 방식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 시 간섭 변조 방식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반사형 표시부;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 시 내부에 장착된 유기발광층을 작동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형 표시부; 및 명실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반사형 표시부로 출력하고, 암실 상태에서 상기 제2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반사형 표시부는, 투과성 소재인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투과형 고정전극층; 및 제1 부분은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전극층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제2 부분은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상기 고정전극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접착되며, 상기 제1 작동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제3 부분은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반사판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제4 부분은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상기 고정전극층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이동반사판이 접착되지 아니한 부분에 접착되며, 유리 재질을 가지는 밀봉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는, 상기 기판; 상기 기판의 제1 면의 반대 측인 제2 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유기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2 면을 전체적으로 밀봉하는 밀봉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상기 반사형 표시부 및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는 상기 기판의 제1 면 및 제2 면에 서로 중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유기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밀봉층은 투과성 소재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반사형 표시부 및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는 상기 기판의 제1 면 및 제2 면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유기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밀봉층은 투과성 소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모두에 상기 반사형 표시부 또는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가 형성되지 않은 투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유기층, 상기 제2 전극층 및 상기 밀봉층은 투과성 소재일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의하면, 명실 환경 및 암실 환경 모두에서 시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양면 표시가 가능하므로, 실내 및 실외 어디에도 뛰어난 시인성을 제공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유기발광형 표시부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는, 반사형 표시부(100), 유기발광형 표시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반사형 표시부(100)는, 제어부(300)로부터 제1 작동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며, 활성화 시 간섭 변조(Interferometric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반사형 표시부(100)의 간섭 변조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전극층(120)과 이동반사판(130)의 거리에 따라 생성되는 광의 분광 특성을 달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고정 전극층(120)과 이동반사판(130)의 거리는 반사형 표시부(100)의 공진 파장(Wavelength)을 결정하는데, 공진 파장은 반사형 표시부(100)가 표시하는 색에 대응한다.
또한,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제어부(300)로부터 제2 작동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며, 활성화 시 내부에 장착된 유기발광층을 작동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즉,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제2 작동 신호로서 제1 전극층(210) 및 제2 전극층(230)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층(220)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계 발광 현상에 따라 자체 발광하게 된다. 이 때,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OLED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구조로서 양극(anode) 전극으로 ITO (Indium Tin Oxide)를 사용할 수 있고, HIL(Hole Injection layer), HTL(Hole Transport Layer), EML(Emitting Layer), ETL(Electron Transport Layer) EIL(Electron Injection layer)의 유기층 및 음극(cathode) 전극으로 Mg/Ag, Mg/Ag-Al, Al/Ag, Ca/Ag 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명실 상태에서 제1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반사형 표시부(100)로 출력하고, 암실 상태에서 제2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300)는, 내부에 장착된 조도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장치 외부의 빛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데, 조도 센서는, 일례로, 광센서일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감지된 빛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반사형 표시부(100)로 출력함으로써, 명실 환경에서 시인성이 좋은 반사형 표시부(1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감지된 빛의 세기가 소정의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로 출력함으로써, 암실 환경에서 시인성이 좋은 유기발광형 표시부(2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표시부(100)는, 기판(110), 고정전극층(120), 이동반사판(130), 밀봉판(140) 및 공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성(Transparent) 소재로서, 이동반사판(130)에 입사광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리(Glass)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전극층(120)은, 기판(110)의 제1 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제어부(300)로부터 제1 작동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며, 이동반사판(130)에 기판(110)을 통과한 입사광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과성 소재이다. 이 때, 고정전극층(120)은, 부분 반사성 소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사광이 이동반사판(130)에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입사광이 고정전극층(120)의 기판과 접촉한 면에 반사된 제2 반사광이 서로 보강 간섭(Constructive Interference)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전극층(120)은, 한 개의 고정전극층(120)이 서브픽셀(Subpixel)을 구성하고 하나의 기판(110)에 수평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전극층(120)이 모여 하나의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동반사판(130)은, 제1 부분은 기판(110)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고정전극층(120)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제2 부분은 기판(110)의 제1 면에 고정전극층(120)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접착되며, 제어부(300)로부터 제1 작동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1 작동 신호에 의해 제1 부분이 기판(110)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이동반사판(130)은,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장력(Tensile Stress) 또는 압축응력(Compressive Stress)이 작용하여 제1 부분이 기판(110)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이동반사판(130)은, 금속(Metal) 재질의 박막판으로, 약 100nm 두께의 은(A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이동반사판(130)은, 비활성화시 고정전극층(120)과의 사이에 보강 간섭이 일어날 수 없는 거리(상쇄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이 일어나는 거리)인 근접한 상태로 있으면서 사용자가 시인가능한 반사광을 생성하지 않는다. 한편, 이동반사판(130)은, 제어부(300)로부터 제1 작동 신호를 입력받으면 활성화되어, 고정전극층(120)과의 수직 거리가 입사광이 이동반사판(130)에 반사된 제1 반사광 및 입사광이 고정전극층(120)의 기판과 접촉한 면에 반사된 제2 반사광이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거리가 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거리(L)는,
Figure 112015036540840-pat00001
가 되며, 이에 따라 관련된 공진 파장을 갖는 색역의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이 서로 보강 간섭을 하게 되어 해당 색역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게 되고, 나머지 색역의 제1 반사광 및 제2 반사광은 상쇄 간섭을 하게 되어 그 색역은 낮은 반사율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는 높은 반사율을 갖는 해당 색역이 보이게 된다. 예를 들면, 공진 파장이 약 650nm인 적색(Red)인 경우에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거리는 약 325nm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반사판(130)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강 간섭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밀봉판(140)은, 제3 부분은 기판(110)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반사판(130)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제4 부분은 기판(110)의 제1 면에 고정전극층(120)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이동반사판(130)이 접착되지 아니한 부분에 접착되어 이동반사판(130)을 감싸며, 유리 재질을 가진다. 즉, 밀봉판(140)은, 반사형 표시부(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한편, 공동부(150)는, 고정전극층(120)과 이동반사판(130) 간의 공동(Cavity)을 의미하며, 입사광과 반사광의 광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기판(110),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 및 밀봉층(24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반사형 표시부(100)와 공동으로 사용하므로, 이동반사판(130)에 입사광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전극층(210)은, 반사형 표시부(100)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110)의 제1 면의 반대 측인 제2 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제어부(300)로부터 제2 작동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여기서, 제2 작동 신호는, 유기층(220)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하는 구동 전압일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층(210)은, 약 150nm 두께의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유기층(220)은, 제1 전극층(210)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유기층(220)은, 형광성 또는 인광성 유기화합물로서 제1 전극층(210)과 제2 전극층(230)에 제2 작동 신호, 즉, 구동 전압으로 인가된 전압 차에 따라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게 된다.
또한, 제2 전극층(230)은, 유기층(220) 상에 형성되고, 제어부(300)로부터 제2 작동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여기서, 제2 작동 신호는, 유기층(220)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하는 구동 전압일 수 있으며, 제1 전극층(210)에 인가된 구동 전압과의 전압 차에 따라 유기층(220)에 전류가 흐르면 유기발광형 표시부(200)가 활성화된다. 한편, 제2 전극층(230)은, 투과도에 가장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재료 및 두께의 선정이 중요하며, 약 8nm의 은(A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밀봉층(240)은,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및 제2 전극층(230)이 적층된 상태의 기판(110)의 제2 면을 전체적으로 밀봉(Encapsulation)한다. 즉, 밀봉층(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및 제2 전극층(230)의 외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전체적으로 코팅되는 형식으로 기판(110),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및 제2 전극층(23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기판(110)의 제1 면 및 제2 면에 서로 중첩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반사판(130)에 입사광이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 및 밀봉층(240)은 투과성 소재로 형성된다.
한편, 배면발광(bottom emission) OLED는 ITO와 같은 투명전극을 양극(anode)으로 사용하고 불투명한 100nm 정도을 두께를 가지는 Al 등을 음극(cathode)으로 사용한다. 또한, 전면발광(top emission) OLED는 Ag/ITO 구조를 양극(anode)으로 사용하는데 Ag는 100nm 정도의 두께를 가지게 되어 불투명하고, 음극(cathode)으로는 진공 열증착(thermal evaporation)을 이용하여 제작한 10n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Mg/Ag, Mg/Ag-Al, Al/Ag, Ca/A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표시부(100)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를 투명하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표시부(100)는 기판(110), 고정전극층(120), 이동반사판(130), 밀봉판(140) 및 공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기판(110),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 및 밀봉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기판(110)의 양면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유기발광형 표시부(200) 중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은 입사광이 이동반사판(130)에 도달하는 경로를 방해하지 아니하므로,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을 비투과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 및 밀봉층(240)이 투과성 소재인 경우에는 유기발광형 표시부(200)가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빛이 투과하는 경로가 형성되므로, 기판(110)의 제1 면의 외부 방향에서는 기판(110)의 제2 면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 보이고 기판(110)의 제2 면의 외부 방향에서는 기판(110)의 제1 면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 보이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반사형 표시부(100)는 기판(110)의 양면에 반사형 표시부(100) 및 유기발광형 표시부(200)가 형성되지 않은 투과부(111)를 포함한다.
이 때에도 역시, 유기발광형 표시부(200) 중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은 입사광이 이동반사판(130)에 도달하는 경로를 방해하지 아니하므로,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을 비투과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형 표시부(200) 중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이 비투과성 소재인 경우에도 투과부(111)를 통하여 빛이 투과하는 경로가 형성되므로, 기판(110)의 제1 면의 외부 방향에서는 기판(110)의 제2 면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 보이고 기판(110)의 제2 면의 외부 방향에서는 기판(110)의 제1 면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 보이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전극층(210), 유기층(220), 제2 전극층(230) 및 밀봉층(240)이 투과성 소재인 경우에는 유기발광형 표시부(200)가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빛이 투과하는 경로가 더 넓게 형성되므로, 기판(110)의 제1 면의 외부 방향에서는 기판(110)의 제2 면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 더 잘 보이고 기판(110)의 제2 면의 외부 방향에서는 기판(110)의 제1 면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 더 잘 보이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건물 유리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유리를 통하여 보는 전망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고정 전극층(120) 및 이동반사판(130)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전극층(120)은, 제1 유전체층일 수 있는데, 이 때, 제1 유전체층은, 약 54nm, 바람직하게는 54.36nm의 산화지르코늄(ZrO₂)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반사판(130)은, 제1 금속층(131), 제2 유전체층(132) 및 제2 금속층(13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금속층(131)은, 약 15nm, 바람직하게는 14.9nm의 텅스텐(W)일 수 있으며, 제2 유전체층(132)은, 약 50nm의 규산(SiO₂)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2 금속층(133)은 약 400nm의 알루미늄(A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의 유기발광형 표시부(200)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형 표시부(200)는, 하기와 같은 구조로 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투명한 유기발광소자(OLED)를 제작하기 위해서 제1 전극층(210)인 양극(anode)으로 ITO를 사용할 수 있고, HIL(Hole Injection layer)(225), HTL(Hole Transport Layer)(224), EML(Emitting Layer)(223), ETL(Electron Transport Layer)(222), EIL(Electron Injection layer)(221) 등의 대부분의 유기층(220)은 소광계수(k)가 0에 가까운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유기층(220)의 계면반사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굴절률(n)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2 전극층(230)인 음극(Cathode)을 투명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얇은 두께에서 광학적으로 흡수가 낮아 투명하고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인 은(Ag)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은(Ag)은 굴절률(n)=0.145, 소광계수(k)=3.226 의 값을 가지므로 흡소도에 영향을 미치는 n과 k의 곱이 매우 낮은 값을 가지게 되어 금속의 두께가 10 nm 정도의 초박막(ultra-thin film)에서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반사형 표시부 110: 기판
111: 투과부 120: 고정전극층
130: 이동반사판 131: 제1 금속층
132: 제2 유전체층 133: 제2 금속층
140: 밀봉판 200: 유기발광형 표시부
210: 제1 전극층 220: 유기층
230: 제2 전극층 240: 밀봉층
300: 제어부

Claims (9)

  1. 유기발광형 및 반사형 표시 방식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 시 간섭 변조 방식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반사형 표시부;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활성화 시 내부에 장착된 유기발광층을 작동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형 표시부; 및
    명실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반사형 표시부로 출력하고, 암실 상태에서 상기 제2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는,
    투과성 소재인 기판;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투과성 소재인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형성되는 투과성 소재인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투과성 소재인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 상기 유기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이 적층된 상태의 상기 제2 면을 전체적으로 밀봉하는 투과성 소재인 밀봉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8nm 이상 10nm 이하의 두께의 은(Ag)이고,
    상기 반사형 표시부 및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는 상기 기판의 제2 면의 반대측인 제1 면 및 상기 기판의 제2 면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모두에 상기 반사형 표시부 또는 상기 유기발광형 표시부가 형성되지 않은 투과부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표시부는,
    상기 기판;
    상기 기판의 제2 면의 반대측인 제1 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작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투과형 고정전극층; 및
    제1 부분은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전극층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제2 부분은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상기 고정전극층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 접착되며, 상기 제1 작동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3 부분은 상기 기판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반사판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제4 부분은 상기 기판의 제1 면에 상기 고정전극층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이동반사판이 접착되지 아니한 부분에 접착되며, 유리 재질을 가지는 밀봉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52910A 2015-04-15 2015-04-15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KR10171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10A KR101717541B1 (ko) 2015-04-15 2015-04-15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10A KR101717541B1 (ko) 2015-04-15 2015-04-15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82A KR20160122982A (ko) 2016-10-25
KR101717541B1 true KR101717541B1 (ko) 2017-03-17

Family

ID=5744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10A KR101717541B1 (ko) 2015-04-15 2015-04-15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5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953A (ja) * 2003-05-09 2004-11-25 Toyota Industries Corp 新規な表示素子
JP2005062815A (ja) * 2003-08-18 2005-03-10 Prime View Internatl Co Ltd 光学干渉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91244B (en) * 2003-03-14 2004-06-11 Prime View Int Co Ltd Color changeable pixel
KR101375334B1 (ko) * 2008-07-17 2014-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953A (ja) * 2003-05-09 2004-11-25 Toyota Industries Corp 新規な表示素子
JP2005062815A (ja) * 2003-08-18 2005-03-10 Prime View Internatl Co Ltd 光学干渉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82A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685B1 (ko) 표시 장치
KR10266759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7944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064579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TWI554144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JP4688229B2 (ja) 表示装置
TW201837895A (zh) 顯示裝置及顯示模組
TWI506835B (zh) 有機發光二極體、包含其之顯示面板及顯示裝置
JP2007165276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20180366678A1 (en) Transparent ole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106992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41728A (ja) 両面表示装置
KR100438797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CN110426859A (zh) 一种光学膜片、显示组件以及显示装置
WO2019223652A1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20180240997A1 (en) Double side oled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206275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0570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27238B1 (ko) 유기 발광 장치
KR1023183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17541B1 (ko) 하이브리드 표시 장치
KR20070024368A (ko) 유기 전기 발광 장치
JP2006318842A (ja) 発光装置及び発光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20160071884A (ko) 투명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112844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