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486B1 -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7486B1 KR101717486B1 KR1020150129496A KR20150129496A KR101717486B1 KR 101717486 B1 KR101717486 B1 KR 101717486B1 KR 1020150129496 A KR1020150129496 A KR 1020150129496A KR 20150129496 A KR20150129496 A KR 20150129496A KR 101717486 B1 KR101717486 B1 KR 1017174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ig
- chamber
- mounting plate
- bonding
- lower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합착장치로 평판형 소재와 곡면형 소재는 물론이거니와 플렉서블한 소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소재를 진공 상태와 상압 상태에서 각각 합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는, 상측으로 개방된 하측 챔버; 상기 하측 챔버와 결합되어 진공 챔버를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상측 챔버; 상기 상측 챔버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측 챔버를 상기 하측 챔버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챔버 회동수단; 상기 하측 챔버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 설치 플레이트;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피합착 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하부 합착 지그; 상기 지그 설치 플레이트 및 하부 합착 지그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피합착 부재가 장착되는 피합착부재 장착 수단; 상기 상측 챔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피합착 부재가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합착 지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합착장치로 평판형 소재와 곡면형 소재는 물론이거니와 플렉서블한 소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재질의 소재를 진공 상태와 상압 상태에서 각각 합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모바일 통신 기기와 내비게이션, TV 등의 전자 기기에서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함께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윈도우 글래스 또는 커버 글래스에 터치스크린 기능이 내장되거나 필름 형태의 터치 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하는 구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 등에 터치 스크린 패턴이 내재되는 구조 등이 구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패널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의 내구성 확보 및 보호를 위하여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윈도우 글래스(window glass) 또는 커버 글래스(cover glass)를 터치스크린 패널 전면에 설치하는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는 윈도우 글래스를 터치스크린 패널 전면에 안정적으로 합착하는 과정을 필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윈도우 글래스를 터치스크린 패널 전면에 접착하는 방법 중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전면에 합착용 레진을 도포하고 그 상부에 윈도우 글래스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터치스크린 패널과 윈도우 글래스를 접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터치 스크린 패널과 윈도우 글래스를 합착용 레진을 이용하여 합착하는 과정에서는 양 패널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불량이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이렇게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의 합착 작업을 진공 챔버 내에서 진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챔버(20)와 하측 챔버(10)로 나뉘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진공 챔버(1)를 이용하여 2개의 패널을 합착하는 것이다. 2개의 패널을 합착하기 위하여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챔버(20)와 하측 챔버(10)가 분리되고, 양 챔버가 모두 상측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합착될 양측 패널(3, 2)을 상측 챔버(20)와 하측 챔버(10)에 각각 로딩한다. 이때 로딩되는 패널(3, 2)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고, 정확한 위치로 얼라인(align)되는 것은 패널의 정확한 합착 작업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그리고 나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챔버(20)는 하측 챔버(10)와의 합체를 위하여 챔버 전체를 반전시킨다. 이때 상측 챔버(2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 챔버(10)는 상측 챔버(20)와 충분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챔버(10)를 상기 상측 챔버(20) 직하방으로 수평이동시킨다. 그리고 나서 양측 챔버(10, 20)를 정확하게 얼라인하여 합착될 양 패널(3, 2)이 정확하게 합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챔버(10)를 상측 챔버(20) 방향으로 상승시켜 양 챔버를 합체하고 진공 상태를 만든다. 목표로 한 진공 상태가 이루어지면 합착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최근에는 평판형 소재 뿐만아니라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곡면 형태인 소재 뿐만 아니라 전체면이 곡면형태인 소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곡면형 소재에 대한 합착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곡면형 소재(4, 5)를 합착하기 위해서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소재(4, 5)를 곡면형 합착 지그(30, 40)에 합착한 상태에서 합착 작업을 진행한다. 간단하게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곡면형 접착면을 가지는 상측 지그(40)와 하측 지그(50)에 곡면형 소재(5, 4)를 장착한다. 그리고 나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지그(50) 또는 상측 지그(40) 중 어느 하나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양측에 장착된 곡면형 소재를 합착한다.
한편 상압 상태에서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식으로 소재를 합착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그(70)와 고정 지그(80)로 나뉘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라미네이팅 장치(7)를 이용하여 2개의 패널(2, 3)을 합착하는 것이다. 2개의 패널을 합착하기 위하여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그(70)와 고정 지그(80)가 분리되고, 양 지그가 모두 상측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합착될 양측 패널(3, 2)을 회전 지그(70)와 고정 지그(80)에 각각 로딩한다. 이때 로딩되는 패널(3, 2)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되고, 정확한 위치로 얼라인(align)되는 것은 패널의 정확한 합착 작업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이때 상기 상측 패널(3)의 일측 말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팅 롤러(90) 상측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나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그(70)는 고정 지그(80)와의 합체를 위하여 지그 전체를 반전시킨다. 이때 상기 라미네이팅 롤러(90)의 위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패널(3)의 말단이 하측 패널(2)의 말단과 정확하게 일치되는 위치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라미네이팅 롤러(90)가 상측 패널(3)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합착 작업을 시작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미네이팅 롤러(90) 및 회전 지그(70)를 좌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상측 패널(3)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합착 면적을 확장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 지그(70)는 상측 패널(3)을 약하게 진공 흡착하여 흡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그(70)와 라미네이팅 롤러(90)가 완전히 좌측으로 이동하면 합착 작업이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소재와 다양한 환경에서의 합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합착 장치가 모두 각자 독립한 구조를 가져서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합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합착 라인의 복잡해지고 매우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투자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합착 장치로 평판형 소재와 곡면형 소재는 물론이거니와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소재를 진공 상태와 상압 상태에서 각각 합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합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는, 상측으로 개방된 하측 챔버; 상기 하측 챔버와 결합되어 진공 챔버를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상측 챔버; 상기 상측 챔버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측 챔버를 상기 하측 챔버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챔버 회동수단; 상기 하측 챔버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 설치 플레이트;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피합착 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하부 합착 지그; 상기 지그 설치 플레이트 및 하부 합착 지그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피합착 부재가 장착되는 피합착부재 장착 수단; 상기 상측 챔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피합착 부재가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합착 지그;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합착 지그는 상측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합착 지그는 상기 하부 합착 지그와 포개질 수 있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합착 지그에는 일측단에 제2 피합착 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챔버 회동수단에는 상기 챔버 회동수단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 수평 이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합착장치를 이용하여 평판형 소재에 대한 진공 슬릿 합착 공정 및 상압 라미네이팅 합착 공정 그리고 곡면형 소재에 대한 진공 합착 공정 및 상압 합착 공정을 단순한 합착 지그 등의 교체만으로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10은 종래의 다양한 합착장치들의 구조 및 작동과정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2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2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의 구조 및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챔버(110), 상측 챔버(120), 챔버 회동수단(130), 지그설치 플레이트(140), 플레이트 구동부(150), 하부 합착지그(160), 피합착부재 장착수단(170) 및 상부 합착지그(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측 챔버(1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후술하는 지그 설치 플레이트(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 챔버(110)는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상측 챔버(120)와 합체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 챔버를 이룬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 챔버(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챔버(110)와 결합되어 진공 챔버를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측 챔버(120)의 내부에는 제2 피합착 부재(3)가 장착되며, 상기 하측 챔버(110) 상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챔버 회동수단(1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챔버(120)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측 챔버(120)를 상기 하측 챔버(110)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 챔버 회동수단(130)에 의하여 상기 상측 챔버(120)가 합착 위치 또는 장착 위치로 회동하면서 합착 공정과 피합착 부재 장착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측 챔버(120)를 회동시키면서 합착 공정과 장착 공정을 진행하며, 상측 챔버를 반전시키고 수평 이동시키는 방식보다 장비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 print)가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140)는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챔버(110)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하부 합착지그(16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지그 설치 플레이트(140)는 상기 하측 챔버(110) 내부 하측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후술하는 하부 합착지그(1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42)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150)는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챔버(1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140)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150)는 상기 하측 챔버(110)의 하벽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하측 챔버(110)가 진공 챔버를 이룬 상태에서도 진공 상태를 깨지않고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14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승강축, 벨로우즈, 승강플레이트, 승강 구동부 등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합착지그(160)는 도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14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피합착 부재(2)의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합착 작업을 진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 합착 지그(160)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홈(14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1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합착 지그(160)의 상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제1 피합착 부재를 곡면형 제2 피합착 부재에 합착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하는 상부 합착 지그(180)의 상면도 상기 하부 합착 지그(160)와 서로 포개질 수 있는 곡면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합착지그(180)는 도 13,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챔버(1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곡면 형상의 제2 피합착 부재(3)가 상면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상측 챔버(120)의 상면에는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합착 지그(180)의 하면에는 결합홈(12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8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피합착부재 장착수단(17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 설치 플레이트(14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이 피합착부재 장착수단(170)에는 도 12,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제1 피합착 부재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 피합착 부재의 양측 말단은 상기 피합착부재 장착수단(170)에 견고하게 그리핑(gripping)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피합착부재 장착수단(170) 양측에는 상기 피합착부재 장착수단의 간격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172)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의 합착 장치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합착 지그(180)가 반전되어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합착 지그(160)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피합착 부재 장착 수단(170)에 그리핑된 제1 피합착부재(2)가 중앙 부분부터 상기 하부 합착 지그(160)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곡면 형상의 제2 피합착 부재(3)의 하면에 순차적으로 합착되어 곡면 형상 피합착부재에 기포 발생없이 합착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200)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회동수단(230), 지그설치 플레이트(240), 플레이트 구동부(250), 하부 버팀지그(260), 피합착부재 장착수단(270), 피합착부재 장착 플레이트(274) 및 상부 합착 플레이트(280), 상부 합착 지그(282) 및 가압 롤러(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 설치 플레이트(240), 플레이트 구동부(250), 하부 버팀 지그(260) 및 피합착부재 장착수단(270)은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하부 버팀 지그(260)는 실제 피합착 부재를 합착하기 보다는 합착 과정에서 상기 피합착부재 장착 플레이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피합착부재 장착수단(270)에는 직접 제1 피합착부재(2a)가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합착부재 장착 플레이트(274)가 먼저 장착되고, 그 상부에 제1 피합착 부재(2a)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합착 플레이트(28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 회동수단(23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합착 플레이트(280)는 실시예 1에서 상부 챔버(120)가 분리되어 제거되고, 새로이 챔버 회동수단(230)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1의 합착 장치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합착 지그(282)는 상기 상부 합착 플레이트(280)의 상면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제2 피합착 부재(3a)를 장착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합착 지그(282)에는 진공 흡입 수단 등이 설치되어 플렉서블한 제2 피합착 부재(3a)를 흡착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 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흡착력을 제거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 롤러(29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합착 플레이트(280)의 말단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상부 합착 지그(282)에 장착된 제2 피합착 부재(3a)의 말단이 그 상부에 놓이는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실제 합착 과정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피합착 부재(3a)의 말단이 먼저 상기 가압 롤러에 의하여 눌리면서 상기 제1 피합착 부재(2a)에 합착되고, 상기 가압 롤러(290)를 포함한 상부 합착 플레이트(280) 전체가 수평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합착 과정이 진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합착 장치(200)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합착 장치에서 상부 챔버(120)를 상부 합착 플레이트(280)로 교환하고, 피합착부재 장착 플레이트(274)를 설치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합착이 가능한 합착 장치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3 >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300)는 도 18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챔버, 상측 챔버(320), 챔버 회동수단(330), 지그설치 플레이트(340), 플레이트 구동부(350), 하부 합착지그(360), 피합착부재 장착수단(370), 하부 합착 지그 안착 플레이트(362), 탄성 고정수단(364) 및 상부 합착지그(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측 챔버, 상측 챔버(320), 챔버 회동수단, 지그 설치 플레이트(340), 플레이트 구동부(350), 피합착부재 장착수단(370)은 실시예 1의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 설치 플레이트(340)의 상면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지지 지그(342)가 설치되며, 상기 하면 지지 지그(342)는 상면이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 이 하면 지지 지그(342)는 상기 하부합착지그 안착 플레이트(362)의 하면을 합착 과정 동안 상측으로 밀면서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합착지그 안착 플레이트(36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고정수단(364)에 의하여 항상 하측으로 당겨진 상태로 상기 피합착부재 장착수단(370)에 결합된다. 따라서 슬릿 합착 과정에서 미세한 갭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합착 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합착 장치에서 단순하게 상부 합착 지그(380)와 피합착부재 장착수단(370) 및 하부 합착 지그(360)를 교체하는 방법에 의하여 슬릿 합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110 : 하측 챔버 120 : 상측 챔버
130 : 챔버 회동수단 140 : 지그설치 플레이트
150 : 플레이트 구동부 160 : 하부 합착지그
170 : 상부 합착지그 180 : 상측챔버 이동부
110 : 하측 챔버 120 : 상측 챔버
130 : 챔버 회동수단 140 : 지그설치 플레이트
150 : 플레이트 구동부 160 : 하부 합착지그
170 : 상부 합착지그 180 : 상측챔버 이동부
Claims (3)
- 상측으로 개방된 하측 챔버;
상기 하측 챔버와 결합되어 진공 챔버를 이루며, 상측으로 개방된 상측 챔버;
상기 상측 챔버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측 챔버를 상기 하측 챔버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챔버 회동수단;
상기 하측 챔버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지그 설치 플레이트;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플레이트 구동부;
상기 지그설치 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피합착 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하부 합착 지그;
상기 지그 설치 플레이트 및 하부 합착 지그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피합착 부재가 장착되는 피합착부재 장착 수단;
상기 상측 챔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피합착 부재가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합착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합착 지그에는 일측단에 제2 피합착 부재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롤러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챔버 회동수단에는 상기 챔버 회동수단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 수평 이동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합착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합착 지그는 상측으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 합착 지그는 상기 하부 합착 지그와 포개질 수 있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496A KR101717486B1 (ko) | 2015-09-14 | 2015-09-14 |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496A KR101717486B1 (ko) | 2015-09-14 | 2015-09-14 |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7486B1 true KR101717486B1 (ko) | 2017-03-17 |
Family
ID=5850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496A KR101717486B1 (ko) | 2015-09-14 | 2015-09-14 |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748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8119A (ko) * | 2005-04-12 | 2006-10-17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기판 합착기 |
KR20090093549A (ko) * | 2008-02-29 | 2009-09-02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기판처리장치 |
KR20100033314A (ko) * | 2008-09-19 | 2010-03-29 | 주식회사 아이피에스 | 진공처리장치 |
KR101331875B1 (ko) * | 2013-04-05 | 2013-11-26 |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진공 합착 장치 |
-
2015
- 2015-09-14 KR KR1020150129496A patent/KR1017174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8119A (ko) * | 2005-04-12 | 2006-10-17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기판 합착기 |
KR20090093549A (ko) * | 2008-02-29 | 2009-09-02 |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 기판처리장치 |
KR20100033314A (ko) * | 2008-09-19 | 2010-03-29 | 주식회사 아이피에스 | 진공처리장치 |
KR101331875B1 (ko) * | 2013-04-05 | 2013-11-26 | 유진디스컴 주식회사 |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진공 합착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7488B1 (ko) | 곡면형상 기판에 플렉서블 소재를 합착하는 장치 | |
JP5197089B2 (ja) |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KR101668081B1 (ko) | 곡면형 윈도우 글래스에 플렉시블 소재 합착장치 | |
EP3693951B1 (en) | Bonding device and bonding method for special-shaped curved cover plate and flexible screen | |
KR101765551B1 (ko) | 곡면소재 합착장치 | |
KR101737355B1 (ko) | 플렉서블 패널 부착장치 | |
JP4657387B1 (ja) |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 |
KR101828833B1 (ko) | 미소 곡면형 합착장치 | |
WO2014021198A1 (ja) | 基板貼合装置及び貼合方法 | |
AU2014405639A1 (en) |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 |
JPH0876133A (ja) | 液晶表示板用ガラス基板の貼り合せ装置における定盤構造 | |
KR101962365B1 (ko) | 곡면 합착 장치 | |
JP2013022760A (ja) | フィルム貼付装置 | |
KR20190011405A (ko) | 곡면 합착 방법 | |
JP2001051284A (ja) | 液晶表示装置製造装置 | |
JP6406247B2 (ja) | 積層体の製造装置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 |
WO2021077465A1 (zh) | 贴合装置及贴合方法 | |
US11396174B2 (en) | Bonding devices and bonding methods for curved cover plates with irregular shape and flexible screen | |
KR20150113397A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곡면 커버 부재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 |
KR101689057B1 (ko) |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착 방법 | |
KR20150019431A (ko) | 대면적 기판 합착장치 | |
KR101717486B1 (ko) | 하이브리드 합착장치 | |
KR20160006436A (ko) | 진공 합착장치 | |
KR20190105355A (ko) | 곡면이 형성된 대상물의 필름지 부착이 용이한 접착장치 | |
KR20160000967A (ko) |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