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252B1 - 전사인쇄용 프레스 - Google Patents

전사인쇄용 프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252B1
KR101717252B1 KR1020150146582A KR20150146582A KR101717252B1 KR 101717252 B1 KR101717252 B1 KR 101717252B1 KR 1020150146582 A KR1020150146582 A KR 1020150146582A KR 20150146582 A KR20150146582 A KR 20150146582A KR 101717252 B1 KR101717252 B1 KR 10171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ferring
case
patter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102015014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73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사인쇄용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면서 내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및 전·후로 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측판 케이스의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열을 이용하여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전사하는 전사수단; 상기 본체의 지지대 및 전사수단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전사수단과 함께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전사하는 가압벨트;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문구, 그림, 도형 등의 전사패턴을 공급하는 전사패턴 공급대상물;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사패턴 공급대상물과 함께 회전작동하는 전사수단 및 가압벨트의 사이에 투입되어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이 형성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전사대상물;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측면 케이스에 장착되고 전사수단, 가압벨트, 전사패턴 공급대상물, 전사대상물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사대상물과 전사수단의 사이에 장착되고 전사대상물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텐션 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사수단을 구성하는 전사 케이스에 열원 공급부의 열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정확하게 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사인쇄용 프레스{Press for decalcomania}
본 발명은 전사인쇄용 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일정한 온도로 전사작업할 수 있도록 한 전사인쇄용 프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사인쇄용 프레스는 히팅부를 통해 기름을 가열하여 발생되는 열을 통해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을 전사하게 된다.
이때, 전사인쇄용 프레스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름은 히팅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므로, 전사인쇄용 프레스의 내부에 기름을 수시로 공급해줘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사인쇄용 프레스의 내부는 가열된 기름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내압이 상승되어 기름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사인쇄용 프레스는 기름 공급이 불가능함에 따라 전사인쇄용 프레스의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어 정상적인 전사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옷감의 나염이 전사인쇄용 프레스에 들러 붙거나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8-001108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9-00338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사수단을 구성하는 전사 케이스에 열원 공급부의 열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정확하게 전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사 케이스와 접촉 및 지지하는 열전달 지지구를 점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열전달 지지구와 접촉하는 부분과 비접촉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온도차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면서 내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및 전·후로 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측판 케이스의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열을 이용하여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전사하는 전사수단; 상기 본체의 지지대 및 전사수단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전사수단과 함께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전사하는 가압벨트;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문구, 그림, 도형 등의 전사패턴을 공급하는 전사패턴 공급대상물;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사패턴 공급대상물과 함께 회전작동하는 전사수단 및 가압벨트의 사이에 투입되어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이 형성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전사대상물;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측면 케이스에 장착되고 전사수단, 가압벨트, 전사패턴 공급대상물, 전사대상물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사대상물과 전사수단의 사이에 장착되고 전사대상물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텐션 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사수단은 중앙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중간 케이스;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삽입장착되면서 중간 케이스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판; 상기 중간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전사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와 전사 케이스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열전달 지지구; 상기 중간 케이스와 전사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열전달 지지구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열원 공급부; 상기 회전축과 중간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는 모래나 점성의 유체로 이루어진 열 매개체; 상기 전사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수직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 지지구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며, 일 측 끝단에는 회전축 장착공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뾰쪽형상의 지지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회전축 장착공에 삽입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면서 일 측이 중간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고 반대 측은 측면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대응하는 측면 케이스의 내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수직 커버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면서도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와 공기배출구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사수단을 구성하는 전사 케이스에 열원 공급부의 열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정확하게 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사 케이스와 접촉 및 지지하는 열전달 지지구를 점 접촉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열전달 지지구와 접촉하는 부분과 비접촉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온도차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시키면서도 장시간에도 안정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구성하는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구성하는 전사수단을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구성하는 전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구성하는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구성하는 전사수단을 나타낸 측면 개략도이며,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구성하는 전사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전사인쇄용 프레스(10)는 본체(20), 전사수단(30), 가압벨트(40),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 전사대상물(60), 제어부(70), 텐션 유지부(80), 송풍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구동수단(22)이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21)와 상기 측면 케이스(21)의 사이 공간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및 전·후로 장착되고 회전작동되는 지지대(2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20)는 양측에 설치되는 구동수단(22)이 구비된 측면 케이스(21)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지지대(23)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 케이스(21)의 크기와 지지대(23)의 지름 및 길이는 전사대상물(60)의 크기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측면 케이스(21)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수단(22)은 회전작동을 위한 공지된 모터, 벨트, 기어 등을 단일 또는 조합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 케이스(21)의 내측에는 환경 및 목적과 가압벨트(40)의 텐션 등에 따라 지지대(2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 위치 조절부(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 위치 조절부(24)는 전·후 방향으로 지지대(23)를 조절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사수단(30)은 본체(20)를 구성하는 측판 케이스(21)와 측판 케이스(21)의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대(23)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열을 이용하여 전사대상물(60)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의 전사패턴을 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수단(30)은 중앙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중간 케이스(32)와, 상기 회전축(31)의 양측에 각각 삽입장착되면서 중간 케이스(32)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판(33)과, 상기 중간 케이스(32)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전사 케이스(34)와, 상기 중간 케이스(32)와 전사 케이스(34)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열전달 지지구(35)와, 상기 중간 케이스(32)와 전사 케이스(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열전달 지지구(35)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열원 공급부(36)와, 상기 회전축(31)과 중간 케이스(32)의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모래나 점성의 유체로 이루어진 열 매개체(37)와, 상기 전사 케이스(34)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수직 커버(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사수단(3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축(31)의 외측으로 상기 회전축(31)의 지름보다 큰 원통 형상의 중간 케이스(32)를 장착한 후, 상기 회전축(31)의 양측으로 수직 지지판(33)을 장착한 다음, 상기 회전축(31)의 외면과 중간 케이스(32)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모래나 점성이 유체로 이루어진 열 매개체(37)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 케이스(32)의 외측으로 중간 케이스(32)의 지름보다 크고 전사대상물(60)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의 전사패턴을 공급할 수 있는 전사 케이스(34)을 장착한 후, 상기 중간 케이스(32)와 전사 케이스(34)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열전달 지지구(35)를 장착한 다음, 상기 열전달 지지구(35)의 사이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36)를 장착한 후, 상기 전사 케이스(34)의 양측에 측면 수직 커버(38)를 고정결합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전사수단(30)은 열원 공급부(36)에서 배출되는 열을 전사 케이스(34)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31)과 중간 케이스(32)의 사이에 수용되는 열 매개체(37)를 가열하여, 상기 전사 케이스(3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열 매개체(37)의 열을 활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31)과 중간 케이스(32)의 사이에 수용되는 모래나 점섬의유체는 상기 회전축(31)의 양 측에 장착되는 수직 지지판(33)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열원 공급부(36)는 열선 이외에도 열을 발산할 수 있는 구성이면 본원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면 수직 커버(38)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면서도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100)와 공기배출구(38b)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측면 수직 커버(38)는 내부의 온도가 온도 센서(100)를 통해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내부의 공기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 지지구(35)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며, 일 측 끝단에는 회전축 장착공(35b)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경사면(35c)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뾰쪽형상의 지지핀(35d)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판(35a)과, 상기 지지판(35a)의 회전축 장착공(35b)에 삽입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는 회전축(35e) 및 상기 회전축(35e)에 장착되면서 일 측이 중간 케이스(32)의 외면에 지지되고 반대 측은 측면 수직 커버(38)의 내면에 지지되는 스프링(35f)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면(35c)이 형성되는 지지판(35a)과 대응하는 측면 수직 커버(38)의 내부에는 경사부(38a)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열전달 지지구(35)는 중간 케이스(32)와 전사 케이스(34)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되, 상기 열전단 지지구(35)는 전사 케이스(34)와 접촉하는 지지핀(35d)을 점 접촉하도록 구성되면서도 중간케이스(32)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전사 케이스(34)에 열원 공급부(36)와 열 매개체(37)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구획을 통해 전사 케이스(34)에 일정한 열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열전달 지지구(35)는 최초 회전축(35e)을 중심으로 지지판(35a)이 내측이나 외측을 향해 지지되어 있다가 상기 측면 케이스(21)의 결합시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부(21a)와 접촉하는 경사면(35c)을 통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핀(35d)이 전사 케이스(34)의 내면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가압벨트(40)는 본체(20)의 지지대(23) 및 전사수단(30)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전사수단(30)과 함께 전사대상물(60)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의 전사패턴을 전사하게 된다.
즉 상기 가압벨트(4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23)와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의 외면에 무한궤도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은 본체(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 면에는 문구, 그림, 도형 등의 전사패턴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은 본체(2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 브라켓(52)에 장착되고 상기 전사대상물(60)과 함께 가압벨트(40) 및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에 삽입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의 고정은 도시된 도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가압벨트(40) 및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의 방향으로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면 본원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전사대상물(60)은 본체(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과 함께 회전작동하는 전사수단(30) 및 가압벨트(40)의 사이에 투입되어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의 전사패턴을 일면에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사대상물(60)은 본체(20)의 하부 전방에 배치되는 하부 고정 브라켓(52)에 장착되고 상기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과 함께 가압벨트(40) 및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에 삽입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52)에는 전사대상물(6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다수개의 안내 지지대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과 전사대상물(60)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전사패턴 공급대상물과 전사대상물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제어부(70)는 본체(20)를 구성하는 측면 케이스(21)에 장착되고 전사수단(30), 가압벨트(40),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 전사대상물(6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70)는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과 전사대상물(60)에 따른 전사수단(30)의 열과 가압벨트(4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텐션 유지부(80)는 전사대상물(60)과 전사수단(30)의 사이에 장착되고 전사대상물(6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여기서 상기 텐션 유지부(80)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되고 상부와 하부에 롤러가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되, 상기 텐션 유지부(80)는 도시된 도면 이외에도 공지된 구성이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텐션 유지부(80)는 전사대상물(60)을 상, 하로 배치되는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장력을 가지고 전사수단(3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사인쇄용 프레스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구동수단(22)이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21)와 상기 측면 케이스(21)의 사이 공간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및 전·후로 장착되고 회전작동되는 지지대(23)로 이루어진 본체(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를 구성하는 측판 케이스(21)와 측판 케이스(21)의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대(23)의 내부 중앙으로 원통 형상의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중간 케이스(32)와, 상기 회전축(31)의 양측에 각각 삽입장착되면서 중간 케이스(32)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판(33)과, 상기 중간 케이스(32)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전사 케이스(34)와, 상기 중간 케이스(32)와 전사 케이스(34)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열전달 지지구(35)와, 상기 중간 케이스(32)와 전사 케이스(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열전달 지지구(35)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열원 공급부(36)와, 상기 회전축(31)과 중간 케이스(32)의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모래나 점성의 유체로 이루어진 열 매개체(37)와, 상기 전사 케이스(34)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수직 커버(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사수단(30)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열전달 지지구(35)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며, 일 측 끝단에는 회전축 장착공(35b)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경사면(35c)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뾰쪽형상의 지지핀(35d)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판(35a)과, 상기 지지판(35a)의 회전축 장착공(35b)에 삽입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는 회전축(35e) 및 상기 회전축(35e)에 장착되면서 일 측이 중간 케이스(32)의 외면에 지지되고 반대 측은 측면 케이스(21)의 내면에 지지되는 스프링(35f)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20)의 지지대(23) 및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에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며 무한궤도로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가압벨트(4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부 전방으로 전방 브라켓(52)을 장착한 후 상기 전방 브라켓(52)에 일면에 문구, 그림, 도형 등의 전사패턴이 형성된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을 장착한 후, 상기 본체(20)의 하부 전방으로 하부 고정 브라켓(52)을 장착한 후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52)에 전사대상물(6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20)를 구성하는 측면 케이스(21)에 전사수단(30), 가압벨트(40),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 전사대상물(60)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장착하고, 상기 전사대상물(60)과 전사수단(30)의 사이로 텐션 유지부(80)를 장착하면 전사인쇄용 프레스(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사인쇄용 프레스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사인쇄용 프레스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과 전사대상물(60)의 끝단 부분을 가압벨트(40)와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의 사이로 삽입한 후 상기 텐션 유지부(80)를 이용하여 전사대상물(60)의 장력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케이스(21)에 장착되는 제어부(70)를 조작하여 상기 열원 공급부(36)의 온도를 조절한 후 상기 전사수단(30)과 지지대(23)를 작동시키면, 상기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과 전사대상물(60)은 가압벨트(40)와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의 사이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압벨트(40)와 전사수단(30)의 전사 케이스(34)에 삽입된 전사대상물(60) 및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은 전사 케이스(34)를 통해 공급되는 열을 통해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의 전사패턴이 전사대상물(60)에 전사하고 상기 전사패턴이 형성된 전사대상물(60)은 전사수단(30)과 가압벨트(40)를 거쳐 지정된 장소에 권취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사패턴을 전사한 후 전사패턴 공급대상물(50)과 전사패턴이 형성된 전사대상물(60)은 전사수단(30)의 하부나 후방에 위치하는 귄취릴(미도시)을 통해 권취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전사인쇄용 프레스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사인쇄용 프레스, 20 : 본체,
21 : 측면 케이스, 22 : 구동수단,
23 : 지지대, 24 : 지지대 위치 조절부,
30 : 전사수단, 31 : 회전축,
32 : 중간 케이스, 33 : 수직 지지판,
34 : 전사 케이스, 35 : 열전달 지지구,
36 : 열원 공급부, 37 : 열 매개체,
38 : 측면 수직 커버, 40 : 가압벨트,
50 : 전사패턴 공급대상물, 60 : 전사대상물,
70 : 제어부, 80 : 텐션 유지부.

Claims (3)

  1.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면서 내부에는 회전작동을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및 전·후로 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측면 케이스의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고 열을 이용하여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전사하는 전사수단;
    상기 본체의 지지대 및 전사수단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전사수단과 함께 전사대상물에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을 전사하는 가압벨트;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문구, 그림, 도형 등의 전사패턴을 공급하는 전사패턴 공급대상물;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사패턴 공급대상물과 함께 회전작동하는 전사수단 및 가압벨트의 사이에 투입되어 전사패턴 공급대상물의 전사패턴이 형성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전사대상물;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측면 케이스에 장착되고 전사수단, 가압벨트, 전사패턴 공급대상물, 전사대상물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전사대상물과 전사수단의 사이에 장착되고 전사대상물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텐션 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사수단은 중앙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중간 케이스;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삽입장착되면서 중간 케이스를 지지하는 수직 지지판; 상기 중간 케이스의 외부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전사 케이스; 상기 중간 케이스와 전사 케이스의 사이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열전달 지지구; 상기 중간 케이스와 전사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열전달 지지구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열원 공급부; 상기 회전축과 중간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는 모래나 점성의 유체로 이루어진 열 매개체; 상기 전사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수직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전달 지지구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며, 일 측 끝단에는 회전축 장착공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뾰쪽형상의 지지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회전축 장착공에 삽입장착되면서 연동작동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면서 일 측이 중간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고 반대 측은 측면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대응하는 측면 케이스의 내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인쇄용 프레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수직 커버에는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면서도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와 공기배출구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인쇄용 프레스.
KR1020150146582A 2015-10-21 2015-10-21 전사인쇄용 프레스 KR10171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82A KR101717252B1 (ko) 2015-10-21 2015-10-21 전사인쇄용 프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82A KR101717252B1 (ko) 2015-10-21 2015-10-21 전사인쇄용 프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252B1 true KR101717252B1 (ko) 2017-03-27

Family

ID=5849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582A KR101717252B1 (ko) 2015-10-21 2015-10-21 전사인쇄용 프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2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71A (ja) * 1993-06-28 1995-01-17 Fuji Electric Co Ltd 回転ドラムの誘導加熱装置
KR19980011085U (ko) 1996-08-16 1998-05-25 오옥근 원단 전사장치의 전사롤러 가열장치
KR100929803B1 (ko) * 2008-07-23 2009-12-07 크로다 우방 주식회사 색 발현장치
KR20110032835A (ko) * 2009-09-24 2011-03-30 (주)신진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도광판 제조 장치
KR101469383B1 (ko) * 2013-09-10 2014-12-04 유현기 전사인쇄용 프레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671A (ja) * 1993-06-28 1995-01-17 Fuji Electric Co Ltd 回転ドラムの誘導加熱装置
KR19980011085U (ko) 1996-08-16 1998-05-25 오옥근 원단 전사장치의 전사롤러 가열장치
KR100929803B1 (ko) * 2008-07-23 2009-12-07 크로다 우방 주식회사 색 발현장치
KR20110032835A (ko) * 2009-09-24 2011-03-30 (주)신진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도광판 제조 장치
KR101469383B1 (ko) * 2013-09-10 2014-12-04 유현기 전사인쇄용 프레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940B1 (ko) 열전사 인쇄장치
KR101320895B1 (ko) 텐션 조절이 가능한 롤 코팅 장치
KR101717252B1 (ko) 전사인쇄용 프레스
JP4239369B2 (ja) ウエブの蛇行制御装置およびこの蛇行制御装置を用いた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装置
US20200086627A1 (en) Vertical double-sided rotary screen transfer printing apparatus
KR20030026852A (ko) 필름형상 인쇄체의 일관 인쇄실장장치에서의 리플로우장치
CN207432983U (zh) 一种用于圆管状承印物的丝网印刷装置
US10099492B1 (en) Printing apparatus
KR101188728B1 (ko) 레이스 기계의 원사 자동 송출 장치
KR101457074B1 (ko) 멀티 롤러를 구비한 엠보싱 장치
KR102112474B1 (ko) 출력매체용 언와인더의 텐션 유지장치
RU2769892C1 (ru) Подающее голографическую пленку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машина для горячего тиснения пленкой
CN207517652U (zh) 用于吸附太阳能电池片的伺服步进传输装置
KR20130058189A (ko) 주름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름관 성형방법
JP5313190B2 (ja) 熱転写加工機における箔の姿勢調整装置
JP2008137157A (ja) 同期補間の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2586461A (en) Wick moistening means for duplicating machines
JP7315292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4141557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KR102136764B1 (ko) 전사기의 열전사 어셈블리
KR102056370B1 (ko) 필름 부착 장치
KR100631475B1 (ko) 증착장치용 자동 와이어공급피더
KR102112472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200317630Y1 (ko) 전사기의 펠트장력 조절기구
KR102560721B1 (ko) 이송제어기구를 포함하는 기판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