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706B1 -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 Google Patents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706B1
KR101716706B1 KR1020110084327A KR20110084327A KR101716706B1 KR 101716706 B1 KR101716706 B1 KR 101716706B1 KR 1020110084327 A KR1020110084327 A KR 1020110084327A KR 20110084327 A KR20110084327 A KR 20110084327A KR 101716706 B1 KR101716706 B1 KR 10171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head
cylinder
rod
stopp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829A (ko
Inventor
황구연
Original Assignee
황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구연 filed Critical 황구연
Priority to KR102011008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706B1/ko
Priority to DE102011084110.5A priority patent/DE102011084110B4/de
Priority to CN201110317583.7A priority patent/CN102950740B/zh
Publication of KR2013002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3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 B29C48/0014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producing flat articles having components brought in contact outside the extrusion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65Support structures or bases for apparatus, e.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2Extrusion nozzles or di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1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29C48/313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by positioning the die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압출실린더(11) 및 회전헤드(回轉head)(20)가 설치되고 다층의 압출물 유로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압출실린더(11)로부터 토출되는 압출물이 압출과 동시에 적층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헤드(20)의 밀착 고정 및 개방상태를 조절하는 클램프로드(clamp rod)(30)에 경사면(61)이 형성된 경사블럭(60)을 설치하고,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박쐐기(50) 또는 압박로울러(52)를 설치하여, 이들이 이동함에 따라 클램프로드(30)의 축방향으로 강력한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회전헤드(20)에는 클램프로드(30) 선단의 구속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바인더(binder)(40)를 설치하여 클램프로드(30)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회전헤드(20)의 고정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의 회전헤드(20) 밀착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헤드(20)를 유체실린더를 통하여 장시간 고정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실린더의 압력저하 및 그에 따른 회전헤드(20) 밀착상태 이완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헤드(20)에 설치된 바인더(40)를 회전하여 클램프로드(30)의 구속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관련 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전체 장치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MULTILAYER EXTRUDER FOR TIRE MANUFACTURING}
본 발명은 다수의 압출실린더(11) 및 회전헤드(回轉head)(20)가 설치되고 회전헤드(20)들이 밀착 조합됨에 따라 다층의 압출물 유로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압출실린더(11)로부터 토출되는 압출물이 압출과 동시에 적층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헤드(20)의 밀착 고정 및 개방상태를 조절하는 클램프로드(clamp rod)(30)에 경사면(61)이 형성된 경사블럭(60)을 설치하고 이 경사블럭(60)의 경사면(61)에 접하고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박쐐기(50) 또는 압박로울러(52)를 설치하여, 이들 압박쐐기(50) 또는 압박로울러(52)가 이동함에 따라 경사블럭(60)이 설치된 클램프로드(30)의 축방향으로 강력한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헤드(20)의 견고한 밀착 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클램프로드(30)가 삽입되는 회전헤드(20)에는 클램프로드(30) 선단 스토퍼(stopper)(28)의 구속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바인더(binder)(40)를 설치하여 클램프로드(30)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으면서도 회전헤드(20)의 고정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타이어의 제조공정은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 세부적인 부분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인 제조공정은 원재료를 판이나 리본형상으로 만들어 드럼에 감아 타이어의 기본적인 형상을 구성하는 중간성형공정과, 이를 몰드(mold)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체를 완성하고 탄성(彈性)을 부여하는 가황(加黃)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는 중간성형공정을 거친 반제품으로서 타이어의 기본적인 형체만을 갖추고 있는 그린타이어(green tire)가 도시되어 있는데,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린타이어는 고무 압출물 등으로 구성되고 물성이 상이한 다수의 대상체(帶狀體)가 적층 및 권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적층 상태의 고무 압출물은 압출 성형이 완료된 대상체를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적층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은 다층 압출기를 통하여 물성이 상이한 압출물을 압출과 동시에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구성된다.
다층 압출기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압출실린더(11) 및 회전헤드(回轉head)(20)가 설치되고 회전헤드(20)들이 밀착 조합됨에 따라 다층의 압출물 유로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압출실린더(11)로부터 토출되는 서로 다른 물성의 압출물이 압출과 동시에 융착 적층되는 구조로서, 압출실린더(11)의 토출구를 비롯한 압출물 유로의 침착물을 제거하는 등 압출기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회전헤드(20)가 헤드축(21)을 축으로 회전 및 개방됨에 따라 압출물의 유로가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압출실린더(11)에 내장된 스크류(12)가 회전하면서 압출물을 압출할 시에는 클램프실린더(clamp cylinder)(29)와 연결된 스토퍼(stopper)(28)가 회전헤드(20)를 압박함에 따라 회전헤드(20)들이 압출실린더(11)의 토출압을 극복하고 밀착 조합되어 압출물의 유로를 형성하게되고, 유지관리상 압출물의 유로를 노출시킬 필요성이 있을 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와 헤드축(21)을 통하여 힌지 연결되고 전개실린더(27)와 연결된 회전헤드(20)가 전개실린더(27)에 의하여 헤드축(21)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개방되는 것이다.
압출실린더(11)의 가동 중 회전헤드(20)의 밀착은 도 4의 상부 도면에서와 같이, 스토퍼(28)가 클램프실린더(29)에 의하여 회전헤드(20)를 후방측으로 압박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동 도면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스토퍼(28)가 회전한 후 회전헤드(20)에 형성된 관통공(22)을 후퇴하여 이탈함으로써 회전헤드(20)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렇듯, 종래의 회전헤드(20)식 다층 압출기는 클램프실린더(29)의 축방향 인장측 압력이 스토퍼(28)를 통하여 회전헤드(20)에 직접 작용하여 회전헤드(20)를 밀착 고정하고, 회전헤드(20)의 구속상태 해제시에는 스토퍼(28)가 회전하여 관통공(22)을 이탈하게 되는데, 클램프실린더(29)의 압력유지 및 회전헤드(20)에 작용하는 압출실린더(11) 토출압의 효과적인 극복과 스토퍼(28) 후퇴를 위한 회전 구조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회전헤드(20)의 밀착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8)가 회전헤드(20)를 강력하게 압박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유체실린더인 클램프실린더(29)의 축방향 인장측 압력이 일정하고 강력하게 유지될 필요성이 있으나, 회전헤드(20)에 작용하는 압출실린더(11)의 토출압이 스토퍼(28) 및 피스톤로드(piston rod)를 통하여 클램프실린더(29)에 직접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클램프실린더(29)가 압출실린더(11)의 토출압에 장기간 노출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유체실린더의 특성상 장기간 연속적인 축방향 외력이 작용할 경우 유체압이 작용하는 실린더 내부의 긴밀성 유지상 한계 등으로 인하여 출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회전헤드(20)에 장기간 견고한 밀착력을 제공하여야 하는 클램프실린더(29)는 압출실린더(11)의 토출압에 비하여 월등한 출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는 바, 고가의 대형, 대용량의 유체실린더를 적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헤드(20)의 구속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토퍼(28)를 회전함에 있어서, 스토퍼(28)와 클램프실린더(29)를 연결하는 축인 피스톤로드를 분할하고 분할된 축에 모터 및 기어 등 별도의 회전수단을 설치하거나, 클램프실린더(29) 및 스토퍼(28)와 연결된 전체 구성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는데, 이로 인하여 전체 압출기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작비용이 상승할 뿐 아니라 피스톤로드의 분할부위가 역학적 취약부로 작용하여 고장을 유발하는 등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다수의 압출실린더(11)가 설치되고 압출실린더(11)의 토출구에는 본체(10)와 힌지연결된 다수의 회전헤드(回轉head)(20)가 설치되며 이들 다수의 회전헤드(20)가 밀착 조합됨에 따라 다층의 압출물 유로가 형성되어 다수의 압출실린더(11)로부터 토출되는 압출물이 압출과 동시에 적층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에 있어서, 회전헤드(20)를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전면에 경사면(61)이 형성된 경사블럭(60)이 고정 설치되고 선단에 스토퍼(stopper)(28)가 형성된 클램프로드(clamp rod)(30)가 축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 클램프로드(30)의 선단부가 회전헤드(20)의 관통공(22)에 삽입되며, 본체(10)에 고정된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구동되고 후면에 역경사면(51)에 형성된 압박쐐기(50)가 경사블럭(6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압박쐐기(50)가 클램프로드(30)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박쐐기(50)의 역경사면(51)과 경사블럭(60)의 경사면(61)이 접하며 경사블럭(60) 및 클램프로드(30)가 후퇴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이다.
또한, 다수의 압출실린더(11)가 설치되고 압출실린더(11)의 토출구에는 본체(10)와 힌지연결된 다수의 회전헤드(回轉head)(20)가 설치되며 이들 다수의 회전헤드(20)가 밀착 조합됨에 따라 다층의 압출물 유로가 형성되어 다수의 압출실린더(11)로부터 토출되는 압출물이 압출과 동시에 적층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에 있어서, 회전헤드(20)를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전면에 경사면(61) 및 수직면(62)이 형성된 경사블럭(60)이 고정 설치되고 선단에 스토퍼(stopper)(28)가 형성된 클램프로드(clamp rod)(30)가 축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 클램프로드(30)의 선단부가 회전헤드(20)의 관통공(22)에 삽입되며, 본체(10)에 고정된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호 이격된 한쌍의 압박로울러(52)가 경사블럭(6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압박로울러(52)가 클램프로드(30)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박로울러(52)가 경사블럭(60)의 경사면(61) 및 수직면(62)에 순차적으로 접하며 경사블럭(60) 및 클램프로드(30)가 후퇴 및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이다.
그리고, 다수의 압출실린더(11)가 설치되고 압출실린더(11)의 토출구에는 본체(10)와 힌지연결된 다수의 회전헤드(回轉head)(20)가 설치되며 이들 다수의 회전헤드(20)가 밀착 조합됨에 따라 다층의 압출물 유로가 형성되어 다수의 압출실린더(11)로부터 토출되는 압출물이 압출과 동시에 적층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에 있어서, 회전헤드(20)를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되 회전헤드(20)의 전면부에는 관통공(22)과 동심의 확공부(23)가 형성되고, 선단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돌출된 스토퍼(stopper)(28)가 형성된 클램프로드(clamp rod)(30)가 축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 클램프로드(30)의 선단부가 회전헤드(20)의 관통공(22)에 삽입되며, 회전헤드(20)에 고정된 구동부(41)와 전단이 연결되고 후단에는 출입공(42) 및 걸림턱(43)이 형성된 중공(中空)의 바인더(binder)(40)가 확공부(23)에 삽입되고, 관통공(22)을 통과한 클램프로드(30)의 스토퍼(28)가 출입공(42)을 통과하여 바인더(40) 내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구동부(41)에 의하여 바인더(40)가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28)와 걸림턱(43)의 정렬상태가 변경되어 스토퍼(28)가 구속 및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의 회전헤드 밀착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헤드를 유체실린더를 통하여 장시간 고정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실린더의 압력저하 및 그에 따른 회전헤드 밀착상태 이완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헤드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클램프로드 자체를 회전하지 않고도, 회전헤드에 설치된 바인더를 회전함으로써 클램프로드의 구속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클램프로드를 비롯한 관련 장치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전체 장치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작동과정에서 빈발하였던 회전헤드의 밀착상태 이완에 따른 압출물의 누출을 방지하여 압출물의 품질을 제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크랩(scrap) 제거 등 후처리 공정, 압출기 가동 중단 및 수리 등의 압출물 누출로 인하여 야기되는 후속작업 필요성이 경감되어, 터이어 제조 공정상 작업효율의 향상 및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타이어 제조공정 개략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다층 압출기 작동상태 대표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다층 압출기 회전헤드 개방상태 대표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다층 압출기 회전헤드 구속방식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회전헤드 구속상태 대표단면도
도 6은 도 5 실시예의 회전헤드 개방상태 대표단면도
도 7은 도 5 실시예의 회전헤드 구속방식 설명도
도 8은 도 5 실시예의 바인더 및 클램프로드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9는 도 5 실시예의 클램프로드 작동계통 부분절단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지지블럭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대표단면도
도 12는 도 11 실시예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13은 압박로울러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대표단면도
도 14는 도 13 실시예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는 회전헤드(20)가 밀착 조합된 상태의 본 발명 대표 단면도로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헤드(20)를 관통하는 클램프로드(30)는 바인더(40)에 의하여 구속 및 해제되며 클램프로드(30)에는 경사블럭(60)이 고정 설치된다.
클램프로드(30)의 후단에는 왕복실린더(39)가 연결되어 왕복실린더(39)가 작동함에 따라 클램프로드(30)가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되며, 클램프로드(30)에 설치된 경사블럭(60)의 전방측에는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박쐐기(50)가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박실린더(59)는 클램프로드(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구동되는 압박쐐기(50) 역시 클램프로드(30)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클램프로드(30)의 구속상태가 해제된 후 왕복실린더(39)에 의하여 클램프로드(30)가 후퇴하면 회전헤드(20)는 가동(可動)상태가 되며, 전개실린더(27)가 작동함에 따라 헤드축(21)을 축으로 회전헤드(20)가 회전하면서 개방되어 압출실린더(11)의 토출구를 비롯한 압출물의 유로가 노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실린더(11) 작동 중 회전헤드(20)의 구속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발췌한 부분절단 사시도로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헤드(20)에는 클램프로드(3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회전헤드(20) 전면부의 관통공(22)에는 확공부(23)가 동심(同心)으로 형성되어, 이 확공부(23)에 원통형의 바인더(40)가 삽입된다.
클램프로드(30)와 압박쐐기(50)를 각각 구동하는 왕복실린더(39) 및 압박실린더(59)는 본 발명 다층 압출기의 본체(10)에 고정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체(10)와 일체화되거나 본체(10)에 부착된 폐합된 형태의 지지프레임(19)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왕복실린더(39), 압박실린더(59) 및 본체(10)간 고정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 적용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인더(40) 및 클램프로드(30)를 발췌한 부분절단 사시도로서, 클램프로드(30)의 선단에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돌출된 스토퍼(28)가 형성되며, 중공(中空) 원통형의 바인더(40) 후단에는 상기 스토퍼(28)가 통과할 수 있는 단면 형상의 출입공(42)과, 스토퍼(28)의 돌출부와 동수(同數)의 걸림턱(43)이 형성되어, 바인더(40)가 회전함에 따라 스토퍼(28)의 구속상태가 조절된다.
즉, 클램프로드(30)의 스토퍼(28)가 바인더(40)의 출입공(42)을 통과하여 바인더(40)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바인더(40)가 회전하여 걸림턱(43)과 스토퍼(28)의 돌출부가 동일선상에 정렬되면 스토퍼(28)가 구속되며, 바인더(40)가 역회전하여 걸림턱(43)이 스토퍼(28)의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면 스토퍼(28)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클램프로드(30)의 후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28)의 돌출부 및 바인더(40)의 걸림턱이 120도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바인더(40)를 60도 정, 역회전함으로써 구속 및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토퍼(28)의 3점식 고정을 통하여 스토퍼(28)의 돌출부와 바인더(40)의 걸림턱간 부등(不等) 접촉으로 인한 클램프로드(30)의 편심 응력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인더(40)는 도 7에서와 같이, 구동부(41)와 연결되어 확공부(23)에 삽입되며, 구동부(41)는 회전헤드(20)에 고정된다.
바인더(4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41)는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나, 360도 이상의 회전이 불필요한 대신 정확한 각도의 정, 역방향 회전이 필요하고, 다수의 유체실린더가 설치되어 유체압 활용이 용이한 본 발명의 특성상 로터리액츄에이터(rotary actuator)를 구동부(41)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클램프로드(30)에 축방향의 강력한 압박력을 제공하는 압박실린더(59), 압박쐐기(50) 및 경사블럭(60) 등의 구성요소를 발췌한 부분절단 사시도로서, 축방향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9)에 결합된 클램프로드(30)에는 전면에 경사면(61)에 형성된 경사블럭(60)이 고정 설치되고, 이 경사블럭(60)의 전방측에는 지지프레임(19)에 고정된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클램프로드(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되는 압박쐐기(50)가 설치된다.
압박쐐기(50)의 후면에는 경사블럭(60)의 경사면(61)과 대응되는 역경사면(51)이 형성되어, 도 10에서와 같이, 압박쐐기(50)가 클램프로드(30)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경사블럭(60)의 경사면(61)과 압박쐐기(50)의 역경사면(51)이 서로 접하면서 클램프로드(30)의 축을 따라 후방측으로 강력한 압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압박쐐기(50)의 역경사면(51)과 압박실린더(59)의 축이 이루는 경사각(θ)은 45도 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압박실린더(59)의 출력은 클램프로드(3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반면 클램프로드(30)에 작용되는 압출실린더(11) 토출압의 압박쐐기(50) 및 압박실린더(59)로의 전달은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듯, 압박실린더(59)의 출력을 이완시키는 압출실린더(11) 토출압의 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압박실린더(59)의 유효 출력을 유지함은 물론 소요 출력을 절감하여 압박실린더(59)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압박쐐기(50)의 하단 중심부에는 절개구(55)를 형성하여 압박쐐기(50)의 작동과정에서 압박쐐기(50)와 클램프로드(30)가 충돌하지 않도록 하였다.
도 11 및 도 12는 압박쐐기(50)의 전방측에 본체(10)에 고정된 지지블럭(70)을 설치하여 클램프로드(30) 및 경사블럭(60)을 통하여 전달되어 클램프로드(30)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출실린더(11)의 토출압에 의하여 압박실린더(59)의 피스톤로드(piston rod)가 휨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1의 타원내 확대부 및 도 12에서와 같이, 압박쐐기(50)의 이동시 압박쐐기(50)의 전면이 지지블럭(70)에 접하면서 압박쐐기(50)가 지지됨으로써, 압박실린더(59) 피스톤로드의 휨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블럭(70)이 본체(10) 또는 지지프레임(19)과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으나, 본체(10) 또는 지지프레임(19)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경사블럭(61)에 경사면(61) 및 수직면(62)을 형성하고,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승강하는 한쌍의 압박로울러(52)를 구성하여, 경사블럭(61)을 이동 및 고정하는 것으로, 압박로울러(52)가 하강하여 경사면(61) 하부의 수직면(62)에 진입하면, 압출실린더(11)의 토출압이 압박실린더(59)에 일체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4에서와 같이, 클램프로드(clamp rod)(30)에 설치되는 경사블럭(60)의 전면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경사면(61) 및 수직면(62)을 형성하고, 본체(10)에 고정된 압박실린더(59)의 선단에는 상호 이격된 한쌍의 압박로울러(52)를 경사블럭(60)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압박로울러(52)가 클램프로드(30)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박로울러(52)가 경사블럭(60)의 경사면(61) 및 수직면(62)에 순차적으로 접하면서 경사블럭(60) 및 클램프로드(30)가 후퇴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3의 타원내 확대부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압박로울러(52)가 하강함에 따라, 압박로울러(52)는 일단 경사블럭(60) 상부의 경사면(61)에 접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경사블럭(60)이 이동하게 되며, 압박로울러(52)가 하강을 지속하여 경사블럭(60) 하부의 수직면(62)에 진입하면 경사블럭(60)의 이동은 중지되지만, 경사블럭(60)에 작용하는 압출실린더(11)의 토출압은 압박실린더(59)의 축과 직각방향으로만 작용할 뿐 압박실린더(59) 축방향의 분력(分力) 성분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압박실린더(59)의 출력을 이완시키는 압출실린더(11) 토출압 전달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본체
11 : 압출실린더
12 : 스크류
19 : 지지프레임
20 : 회전헤드(回轉head)
21 : 헤드축
22 : 관통공
23 : 확공부
27 : 전개실린더
28 : 스토퍼(stopper)
29 : 클램프실린더
30 : 클램프로드(clamp rod)
39 : 왕복실린더
40 : 바인더
41 : 구동부
42 : 출입공
43 : 걸림턱
50 : 압박쐐기
51 : 역경사면
55 : 절개구
59 : 압박실린더
60 : 경사블럭
61 : 경사면
62 : 수직면
70 : 지지블럭

Claims (3)

  1. 삭제
  2. 다수의 압출실린더(11)가 설치되고 압출실린더(11)의 토출구에는 본체(10)와 힌지연결된 다수의 회전헤드(回轉head)(20)가 설치되며 이들 다수의 회전헤드(20)가 밀착 조합됨에 따라 다층의 압출물 유로가 형성되어 다수의 압출실린더(11)로부터 토출되는 압출물이 압출과 동시에 적층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에 있어서,
    회전헤드(20)를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전면에 경사면(61) 및 수직면(62)이 형성된 경사블럭(60)이 고정 설치되고 선단에 스토퍼(stopper)(28)가 형성된 클램프로드(clamp rod)(30)가 축방향으로 왕복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이 클램프로드(30)의 선단부가 회전헤드(20)의 관통공(22)에 삽입되며;
    본체(10)에 고정된 압박실린더(59)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호 이격된 한쌍의 압박로울러(52)가 경사블럭(60)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압박로울러(52)가 클램프로드(30)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압박로울러(52)가 경사블럭(60)의 경사면(61) 및 수직면(62)에 순차적으로 접하며 경사블럭(60) 및 클램프로드(30)가 후퇴 및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3. 삭제
KR1020110084327A 2011-08-24 2011-08-24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KR10171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327A KR101716706B1 (ko) 2011-08-24 2011-08-24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DE102011084110.5A DE102011084110B4 (de) 2011-08-24 2011-10-06 Mehrschicht-Strangpresse
CN201110317583.7A CN102950740B (zh) 2011-08-24 2011-10-18 轮胎制造用多层挤出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327A KR101716706B1 (ko) 2011-08-24 2011-08-24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829A KR20130021829A (ko) 2013-03-06
KR101716706B1 true KR101716706B1 (ko) 2017-03-15

Family

ID=4766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327A KR101716706B1 (ko) 2011-08-24 2011-08-24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16706B1 (ko)
CN (1) CN102950740B (ko)
DE (1) DE10201108411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6982Y1 (sk) * 2013-12-13 2014-12-04 Konstrukta Industry A S Spôsob uzamykania vytlačovacej hlavy a zariadenie na vykonávanie tohto spôsobu
DE102014117068B4 (de) 2014-11-21 2020-04-23 KraussMaffei Extrusion GmbH Mehrfach-Strangpresskopf sowie Laufprofil-Herstell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Laufprofilen von Fahrzeugreifen
EP3112144B1 (en) * 2015-06-30 2020-02-1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ompound switching apparatus for forming tire components and method for forming a tire tread
FR3046105B1 (fr) * 2015-12-23 2017-12-22 Michelin & Cie Tete de coextrusion d’un profile caoutchouteux complexe destine a la fabrication d’un pneumatique
FR3105065B1 (fr) * 2019-12-24 2021-12-03 Michelin & Cie Installation d’extrusion avec système de verrouillage à verrous autotracté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494A (ja) 1999-08-10 2001-02-20 Bridgestone Corp 未加硫ゴム押出装置及び未加硫ゴム押出方法
KR101042925B1 (ko) * 2010-02-23 2011-06-20 주식회사 우성기공 가동헤드 타이어 압출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6231C3 (de) * 1986-11-27 2000-07-13 Thyssen Krupp Ag Extrusionskopf
DE3729447A1 (de) * 1987-09-03 1989-03-16 Krupp Gmbh Extrusionskopf
JP2601272Y2 (ja) * 1993-04-08 1999-11-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多層押出し装置のヘッド
DE19517246A1 (de) * 1995-05-15 1996-11-21 Troester Maschf Paul Spritzkopf für eine Extrusionsanlage der Kautschuk oder Kunststoff verarbeitenden Industrie
JP3837433B2 (ja) * 2004-07-20 2006-10-25 横浜ゴム株式会社 押出しヘッド
CN201012535Y (zh) * 2007-01-31 2008-01-30 中国化学工业桂林工程公司 复合多种橡胶材料挤出机的液压复合机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494A (ja) 1999-08-10 2001-02-20 Bridgestone Corp 未加硫ゴム押出装置及び未加硫ゴム押出方法
KR101042925B1 (ko) * 2010-02-23 2011-06-20 주식회사 우성기공 가동헤드 타이어 압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829A (ko) 2013-03-06
DE102011084110B4 (de) 2015-07-16
DE102011084110A1 (de) 2013-02-28
CN102950740B (zh) 2015-03-25
CN102950740A (zh)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706B1 (ko) 타이어 제조용 다층 압출기
KR101042925B1 (ko) 가동헤드 타이어 압출기
US76255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tire's annular member
CN100546806C (zh) 合模装置
WO2009094815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plasticizing and transporting polymer material based on elongation rheology
CA2966379C (en) Multiple extrusion press head
JP6250128B1 (ja) 射出成形機
JP6281999B1 (ja) 射出成形機
KR100847340B1 (ko) 회전압박식 그린타이어 제조장치
CN105341020A (zh) 一种面条挤压机
CN117227137B (zh) 一种塑料挤出机及其使用方法
WO2010131588A1 (ja) タイヤ製造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US20190315036A1 (en) Extrusion equipment comprising an improved extrusion head
CN105383081A (zh) 橡胶部件的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CN110831737B (zh) 塑料注射成型机械及成型方法
CN110087854A (zh) 包括改进的挤出头的挤出设备
KR101991815B1 (ko) 금형 개폐 장치
JP3785311B2 (ja) 金型回転機構を備えた横型射出成形機
CN113523134A (zh) 一种压型装置及其冲压方法
JP5415987B2 (ja) タイヤ製造装置及びタイヤ製造方法
LV14541B (lv) Iekārta mitra materiāla, it īpaši cietu komunālo atkritumu, saspiešanai
CN116604795B (zh) 一种密封件挤出模具
KR20190126788A (ko) 반응 성형기를 위한 노즐 유닛 및 플라스틱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220826286U (zh) 一种便于检修的挤出机
WO2008057299A2 (en) Clamping mechanism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