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919B1 - 예초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919B1
KR101715919B1 KR1020150156063A KR20150156063A KR101715919B1 KR 101715919 B1 KR101715919 B1 KR 101715919B1 KR 1020150156063 A KR1020150156063 A KR 1020150156063A KR 20150156063 A KR20150156063 A KR 20150156063A KR 101715919 B1 KR101715919 B1 KR 10171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upled
fastener
hand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섭
Original Assignee
최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섭 filed Critical 최병섭
Priority to KR102015015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4Handle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6Noise redu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01D2075/2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된 조작로드와, 샤프트와 절단날의 사이에 장착되어 샤프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절단날로 전달하는 기어케이스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조작로드를 전후좌우로 이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조작로드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의 양측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지지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출지지부의 양 끝단에 다수의 탄성부재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풀을 깎기 위해 결합된 절단날의 회전에 의한 떨림이나, 풀을 깎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 등이 사용자가 파지한 손잡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부상을 방지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예초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손잡이{HANDLE FOR BRUSH CUTTER}
본 발명은 잔디관리 및 벌초작업 등 풀을 깎는데 사용되는 예초기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도록 결합된 예초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풀을 깎기 위해 결합된 절단날의 회전에 의한 떨림이나, 풀을 깎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 등이 사용자가 파지한 손잡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부상을 방지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예초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brush cutter)는 잔디, 잡초 또는 잡목 등을 깎는 장치로서, 농사 관련 작업, 공원 녹지 관리, 묘지에서의 벌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넓은 면적의 풀을 수작업을 제거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어, 휴대 및 작동이 용이한 자동식 휴대용 예초기가 다양하게 제안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견착식과 배낭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낭식과 견착식 예초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방법에 따라 분리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배낭식 예초기는 원동기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질 수 있도록 한 쌍의 어깨끈이 마련된 등받이와,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된 조작로드와, 샤프트와 예초 칼날의 사이에 장착되어 샤프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절단날로 전달하는 기어 케이스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조작로드를 전후좌우로 이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와, 절단날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단물이 사용자 쪽으로 날리는 것들을 차단하는 안전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견착식 예초기는 조작로드의 끝단에 원동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일측 어깨에 멜 수 있도록 마련된 견착벨트가 조작로드의 외면에 결합되는 점에서 배낭식 예초기와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에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예초기를 통해 목적한 장소의 풀을 깎기 위해서는 조작로드에 결합된 손잡이를 통해 절단날을 이동해야 하는데, 이러한 절단날이 공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떨림과, 절단날을 통해 풀을 깎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과, 풀 이외에 지면에 위치한 자갈 등의 이물질이 절단날에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 등이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일정 시간 작업을 하고 난 이후에는 팔을 제대로 가누지 못할 정도로 사용자의 피로도가 증대되었고, 진동이나 충격이 심한 경우는 손목, 팔꿈치, 어깨 등이 부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896호에는 도 1과 같이, 풀을 깎는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피로감과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S)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나사 결합되는 제1클램프(1)와 제2클램프(3), 제1클램프(1)와 연결되는 그립부(5)로 구성되되, 그립부(5)를 소정 각도만큼 외향으로 비틀어지게 구성하고, 제1클램프(1)와 그립부(5) 사이에 "∪"형의 완충부(10)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된 예초기용 핸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그립부(5)가 샤프트(S)에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는 있었으나, "∪"형의 완충부(10) 만으로는 풀을 깎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완충시킬 수는 없어, 사용자의 피로도 증대 및 부상으로 인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7226호(2002.12.11.공고, 예초기용 손잡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3896호(2006.08.11.공고, 예초기용 핸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하고, 절단날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떨림, 풀을 깍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예초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된 조작로드와, 샤프트와 예초 칼날의 사이에 장착되어 샤프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절단날로 전달하는 기어 케이스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조작로드를 전후좌우로 이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조작로드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클램프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의 양측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지지부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출지지부의 양 끝단에 다수의 탄성부재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그립부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주탄성부재와, 상기 주탄성부재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보조탄성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주탄성부재 및 상기 보조탄성부재의 양 끝단부는 걸림턱을 통한 끼움결합, 걸림고리를 통한 결합, 용접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그립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양 끝단부는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그립부의 결합면에 결합보조편이 더 구비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보조편의 테두리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보조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보조편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보조편은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부가 결합된 반대측면에, 돌출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 또는 함몰된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체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그립부는 상기 체결구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고정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그립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체결구가 관통 삽입된 반대측면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가 상기 그립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 경우,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체결구가 밀착 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가 상기 그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구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고정구가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체결구가 밀착 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동 및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관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운반 및 이동이 가능하고, 절단날이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떨림, 풀을 깍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부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예초기용 핸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 및 결합보조편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탄성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보조편에 볼트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탄성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보조편에 너트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및 8은 탄성부재의 양측에 결합되는 결합보조편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너트부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2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는 예초기는 원동기(200)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된 조작로드(300)와, 샤프트와 절단날(500)의 사이에 장착되어 샤프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절단날(500)로 전달하는 기어케이스(400)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조작로드(300)를 전후좌우로 이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예초기이다.
또한, 이러한 예초기는 조작로드(300)의 끝단에 원동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일측 어깨에 멜 수 있는 견착벨트가 마련된 견착식 예초기일 수 있으나, 본 제1실시예는 한 쌍의 어깨끈(11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된 상태로 원동기(200)를 짊어서 등에 얹을 수 있는 등받이(100)가 마련된 배낭식 예초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첨부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작로드(300)에는 절단날(5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단물이 사용자 쪽으로 날리는 것들을 차단하는 안전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는 크게 조작로드(3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613)를 통해 결합되는 클램프수단(610)과, 클램프수단의 양측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620)와, 지지부(620)의 양 끝단에 다수의 탄성부재(630)를 통해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마련된 그립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클램프수단(610)은 조작로드(300)의 외면에 밀착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측 외면에 지지부(620)가 돌출 형성되는 제1클램프(611)와, 조작로드(300)의 외면을 감싼 상태로 체결부재(613)를 통해 제1클램프(611)와 결합되는 제2클램프(6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탄성부재(630)는 지지부(620) 및 그립부(650)에 결합되는 면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주탄성부재(631)와, 주탄성부재(631) 내부에 하나 이상 삽입된 상태로 지지부(620) 및 그립부(650)에 양 끝단이 결합되는 보조탄성부재(632)로 구성되며, 이러한 탄성부재(630)의 양 끝단부는 지지부(620) 및 그립부(650)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 걸림턱을 통한 끼움결합, 결합면에 탄성부재의 양 끝단부가 걸어 체결될 수 있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이 걸림고리를 통한 결합, 용접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630)와 지지부(620) 및 그립부(650)가 결합되는 면에는 탄성부재(630)의 양 끝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되는 결합보조편(640)이 더 구비되어, 이 결합보조편(640)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보조편(640)이 구비된 경우, 주탄성부재(631)는 결합보조편(640)의 테두리부에 결합되고, 보조탄성부재(632)는 결합보조편(640)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주탄성부재(631) 및 보조탄성부재(632)는 결합보조편(640)과 상호 용접 결합되거나, 본 제1실시예와 같이 주탄성부재(631)는 결합보조편(640)의 외면에 용접 결합되고, 보조탄성부재(632)는 결합보조편(640)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고리(641)를 통해 체결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보조편(640)의 일측면 즉, 탄성부재(630)의 끝단부가 결합된 반대측면에는 돌출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642a)나, 함몰된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부(642b)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체결구(642)가 형성되며, 지지부(620) 및 그립부(650)는 체결구(642)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결합되는 고정구(643), 즉 볼트부(642a)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너트(643a) 또는 너트부(642b)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볼트(643b)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한 고정구(643)는 지지부(620) 또는 그립부(650)에 매립 설치된 상태로 체결구(642)와 결합되거나, 지지부(620) 또는 그립부(650)에 체결구(642)가 관통 삽입되어 그 삽입된 반대측면에서 체결구(642)와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구(643)가 지지부(620) 또는 그립부(650)에 매립되는 방식은 인서트몰딩을 통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고정구(643)가 매립 설치되지 않는 지지부(620) 또는 그립부(650)에는 결합보조편(640)이 밀착 지지된 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621)과, 체결구(642) 및 고정구(643)가 결합되도록 안착홈(621)의 중심부에 관통되는 관통공(6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지지부(620)와 그립부(650) 중 어느 하나에 고정구(643)가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 경우, 다른 하나는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아닌 체결구(642)가 밀착 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고정구(643)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부(620)와 그립부(650) 중 어느 하나가 체결구(642)의 밀착 지지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고정구(643)를 통해 결합되는 경우, 다른 하나 역시도 체결구(642)의 밀착 지지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고정구(643)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5 내지 8은 결합보조편(640)에 형성된 체결구(642) 및 이 체결구(642)와 결합 가능한 고정구(643)가 그립부(650)에는 매립된 상태로 결합되고, 지지부(620)에는 체결구(642)가 밀착 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고정구(643)를 통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더해, 주탄성부재(631)의 외면으로는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식 및 파손 등을 예방하기 위해 주탄성부재(631)와 함께 유동 및 신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호관(633)이 결합되고, 그립부(650)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면서도, 진동 및 충격의 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스펀지, 고무, 우레탄 등으로 마련된 쿠션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쿠션부재는 보호관(633)의 외면 및 지지부(620)의 끝단부를 감싼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예초기용 손잡이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동기(200)를 통해 동력이 발생하게 되면, 이는 조작로드(300)의 내부에 삽입된 샤프트로 전달되고, 샤프트에 전달된 동력은 기어케이스(400)를 통해 절단날(500)을 통해 전달되는데, 이러한 절단날(500)이 회전하게 되면 손잡이(600)를 파지한 상태로 조작로드(300)를 이동하여 풀을 깎고자 하는 곳으로 절단날(500)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절단날(500)이 풀을 깎는 동안에는 풀이 깎이면서 발생되는 진동과, 풀 이외에 지면에 위치한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절단날(500)에 부딪혀 충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한 절단날(500)의 진동 및 충격은 조작로드(300)를 거쳐, 조작로드(300)의 외면에 결합된 지지부(620)에 전달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650)는 탄성부재(630)를 매개로 지지부(620)에 결합되는 것이고, 탄성부재(630)는 길이가 신축되면서 지지부(620)에 전달된 진동 및 충격을 상쇄하는 것이므로, 탄성부재(630)를 통해 지지부(62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그립부(650) 측으로는 이러한 진동 및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620)와 그립부(650) 사이에는 강한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키는 주탄성부재(631) 뿐만아니라, 미세한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보조탄성부재(632)가 더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피로도가 감소됨은 물론 손목, 팔꿈치, 어깨 등으로 떨림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부상을 예방할 수 있고, 풀 깎는 작업시간에 구애받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지부(620) 중 그립부(650) 중 어느 하나에 고정구(643)가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 다른 하나에는 체결구(642)가 밀착 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고정구(643)를 통해 결합되거나, 지지부(620) 및 그립부(650) 모두 체결구(642)가 밀착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고정구(643)를 통해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는 고정구(643)와 체결구(642)는 상호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기 때문인 것으로, 지지부(620)와 그립부(650) 모두 고정구(643)가 매립 설치되는 경우, 둘 중 어느 하나의 고정구(643)에 체결구(642)를 먼저 결합하게 되면, 반대측에서는 이러한 나사결합을 할 수 없거나 나사결합을 하더라도 진동에 의해 임의로 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지지부(620) 및 그립부(650)에 매립된 고정구(643)의 나사홈 방향이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 중 어느 하나로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결합보조편(640) 일측의 체결구(642)가 지지부(620)에 매립된 고정구(643)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결합보조편(640) 타측의 체결구(642)는 그립부(650)에 매립된 고정구(643)와 결합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정상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부(620)에 매립된 고정구(643)의 나사홈 방향과, 그립부(650)에 매립된 고정구(643)의 나사홈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 경우에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부재(630)의 양 끝단에 체결구(642)를 각각의 나사홈에 동시 결합할 수 있으나, 이는 진동에 의해 결합상태가 임의로 분리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본 제1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처럼, 주탄성부재(631) 및 보조탄성부재(632)는 볼트부(642a) 또는 너트부(642b)로 이루어진 체결구(642)가 형성된 결합보조편(640)과 결합되고, 이 결합보조편(640)은 고정구(643)를 통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탄성부재(630)는 물론 그립부(650)가 오염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예초기 100 : 등받이
110 : 어깨끈 200 : 원동기
300 : 조작로드 400 : 기어케이스
500 : 절단날 600 : 손잡이
610 : 클램프수단 611 : 제1클램프
612 : 제2클램프 613 : 체결부재
620 : 지지부 621 : 안착홈
622 : 관통공 630 : 탄성부재
631 : 주탄성부재 632 : 보조탄성부재
633 : 보호관 640 : 결합보조편
641 : 연결고리 642 : 체결구
642a : 볼트부 642b : 너트부
643 : 고정구 643a : 고정너트
643b : 고정볼트 650 : 그립부

Claims (8)

  1. 원동기(200)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샤프트가 내부에 삽입된 조작로드(300)와, 상기 샤프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절단날(500)로 전달하는 기어케이스(400)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상기 조작로드(300)를 전후좌우로 이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마련된 손잡이(600)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600)는 상기 조작로드(30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613)를 통해 결합되는 클램프수단(610)과, 상기 클램프수단(610)의 양측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620)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620)의 양 끝단에 다수의 탄성부재(630)를 통해 각각 결합되는 그립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30)는 상기 지지부(620) 및 상기 그립부(650)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주탄성부재(631)와, 상기 주탄성부재(631) 내부에 하나 이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조탄성부재(632)로 구성되며, 상기 주탄성부재(631) 및 상기 보조탄성부재(632)의 양 끝단부는 걸림턱을 통한 끼움결합, 걸림고리를 통한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한 결합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620) 및 상기 그립부(65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30)의 양 끝단부는 상기 지지부(620) 및 상기 그립부(650)의 결합면에 결합보조편(640)이 더 구비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탄성부재(631)는 상기 결합보조편(640)의 테두리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기 보조탄성부재(632)는 상기 결합보조편(640)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결고리(641)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조편(640)은 상기 탄성부재(630)의 끝단부가 결합된 반대측면에, 돌출된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642a) 또는 함몰된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부(642b)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된 체결구(642)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620) 및 상기 그립부(650)는 상기 체결구(642)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고정구(643)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43)는 상기 지지부(620) 및 상기 그립부(650)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체결구(642)가 관통 삽입된 반대측면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43)가 상기 그립부(650)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 경우, 상기 지지부(620)는 상기 체결구(642)가 밀착 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상기 고정구(643)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643)가 상기 그립부(6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구(642)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620)는 상기 고정구(643)가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체결구(642)가 밀착 지지되는 반대측면에서 상기 고정구(643)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630)의 외면에는 상기 탄성부재(6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동 및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관(63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KR1020150156063A 2015-11-06 2015-11-06 예초기용 손잡이 KR10171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63A KR101715919B1 (ko) 2015-11-06 2015-11-06 예초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63A KR101715919B1 (ko) 2015-11-06 2015-11-06 예초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919B1 true KR101715919B1 (ko) 2017-03-13

Family

ID=5841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63A KR101715919B1 (ko) 2015-11-06 2015-11-06 예초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9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2693A (zh) * 2019-06-27 2019-10-22 宁波奥晟机械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动割灌机
KR20220016633A (ko) 2020-08-03 2022-02-10 우기중 예초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26Y1 (ko) 2002-08-23 2002-12-11 홍석운 예초기용 손잡이
KR200423896Y1 (ko) 2006-05-25 2006-08-11 유우종 예초기용 핸들
KR20150059304A (ko) * 2013-11-22 2015-06-01 강련석 안전기능이 구비된 견착식 예초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226Y1 (ko) 2002-08-23 2002-12-11 홍석운 예초기용 손잡이
KR200423896Y1 (ko) 2006-05-25 2006-08-11 유우종 예초기용 핸들
KR20150059304A (ko) * 2013-11-22 2015-06-01 강련석 안전기능이 구비된 견착식 예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2693A (zh) * 2019-06-27 2019-10-22 宁波奥晟机械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动割灌机
CN110352693B (zh) * 2019-06-27 2022-04-15 宁波奥晟机械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动割灌机
KR20220016633A (ko) 2020-08-03 2022-02-10 우기중 예초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4782C (en) Ball handle assembly for a handheld tool
US20200253360A1 (en) Power tool having a backpack-housed power supply
KR101715919B1 (ko) 예초기용 손잡이
US7174639B2 (en) Bush cutting machine
EP2380427B1 (fr) Harnais pour le portage d'appareils de coupe portatifs, et appareils de coupe équipés d'un tel harnais
JP2006311828A (ja) 刈払機
CN113613845A (zh) 用于动力工具的保护装置以及包括保护装置和动力工具的系统
US4912848A (en) Power tool handle
JPH119052A (ja) 背負い式作業機
KR101679796B1 (ko) 예초기용 작업대 지지장치
US8985235B2 (en) Anti-vibration structure for a handle of a portable brush cutter
US11432468B2 (en) Reciprocating blade apparatus and handheld working machine
EP1530890B1 (en) Portable device with anti-vibration handle for use in agriculture and gardening
TWI391088B (zh) 後推式工作機械
KR20170004121U (ko) 예초기 작업봉의 무게 감량 및 진동 감소장치
EP2723155A1 (en) Walk behind garden tool chassis
KR200297226Y1 (ko) 예초기용 손잡이
KR200423896Y1 (ko) 예초기용 핸들
KR200472301Y1 (ko) 등짐 형 배부식 예초기를 장착할 수 있는 주행식 예초기
KR102491754B1 (ko) 예초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140005018A (ko) 예초기용 보호장치
KR101734658B1 (ko) 예초기
KR101278714B1 (ko) 수동예취기
JP6789258B2 (ja) 手持式作業機
JPH0257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