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896Y1 - 예초기용 핸들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896Y1
KR200423896Y1 KR2020060014032U KR20060014032U KR200423896Y1 KR 200423896 Y1 KR200423896 Y1 KR 200423896Y1 KR 2020060014032 U KR2020060014032 U KR 2020060014032U KR 20060014032 U KR20060014032 U KR 20060014032U KR 200423896 Y1 KR200423896 Y1 KR 200423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user
handle
clamp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종
Original Assignee
유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우종 filed Critical 유우종
Priority to KR2020060014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예초기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부가 샤프트에 직각으로 구성되지 않고, 외측으로 일정 각도 비틀어지도록 구성하여, 예초기의 사용 시 사용자의 손이 비틀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그립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시 피로감과 손목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립부와 제 1클램프의 사이에 "∪"형의 완충부를 두도록 하여, 예초기의 취급 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예초칼날이 물체에 부딪쳐 발생되는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 완충시켜,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초기, 그립부, 완충부.

Description

예초기용 핸들{the handle for the grass cutter}
도 1은 본 고안을 예초기에 적용시킨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예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 예시도.
도 5는 기존의 예초기용 핸들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 예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 1클램프
2:지지요홈
3:제 2 클램프
4:지지요홈
5:그립부
10:완충부
본 고안은 휴대용 예초기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부가 샤프트에 직각으로 구성되지 않고, 외측으로 일정 각도 비틀어지도록 구성하여, 예초기의 사용 시 사용자의 손이 비틀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그립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시 피로감과 손목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립부와 제 1클램프의 사이에 "∪"형의 완충부를 두도록 하여, 예초기의 취급 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예초칼날이 물체에 부딪쳐 발생되는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 완충시켜,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초기는 잔디, 잡초 또는 잡목 등을 깎는 장치로서, 농사 관련 작업, 공원 녹지 관리, 묘지에서의 벌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휴대용 예초기는 휴대 및 작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개시된 휴대용 예초기로는 배낭식과 견착식이 있다.
종래의 예초기는 배낭식으로서 원동기 및 원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예초기 샤프트, 그리고 이 샤프트의 단부에 장착된 예초 칼날, 샤프트와 예초 칼날의 사이에 장착되어 샤프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예초 칼날로 전달하는 기어 케이스, 예초 칼날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단물이 사용자 쪽으로 날리는 것들을 차단하는 안전 커버 및 취급의 편의성을 위해 샤프트에 장착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예초기는, 원동기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샤프트의 내부 구조를 통해 기어 케이스로 전달되고, 기어 케이스와 연결된 예초 칼날이 회전하면서 잡초 또는 잔디 등을 깎게 되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샤프트 단부의 몸체를 잡고 다른 손으로 핸들을 잡고서 예초 칼날의 작동 범위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핸들에 있어, 기존의 구조는 도 5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그립부(G)가 샤프트(S)에 대해 직각되게 조립 구성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팔이 그립부를 향할 때 파지에 가장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상태의 손목 방향과 적절한 각도를 이루지 못하고, 그립부(S)를 잡는 사용자의 손목이 도 6에서와 같이 틀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파지가 불편하고 이로 인해 예초기의 장시간 사용 시 손목에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며, 외부의 충격이 핸들을 통해 전이 될 때 비틀어진 손목에 의해 쉽게 부상의 우려가 초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클램프(C)와 그립부(G)를 연결시키는 핸들 프레임(F)이 단순히 직선이거나 또는 살짝 구부러진 정도이므로, 예초작업 도중 발생하는 샤프트의 진동을 충분하게 완충 흡수 할 수 없는 것이어서, 그 진동이 핸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떨림으로 인해 작업이 불안해지고, 사용자는 그 진동으로 인해 쉽게 피로해져서 오랜 시간동안 작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예초기용 핸들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예초기의 사용 시 사용자의 손이 비틀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그립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 시 피로감과 손목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예초기의 취급 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예초칼날이 물체에 부딪쳐 발생되는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 완충시켜,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는 예초기용 핸들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립부가 샤프트에 직각으로 구성되지 않고 외측으로 일정 각도 비틀어지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그립부와 제 1클램프의 사이에 "∪"형의 완충부를 두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예초기에 적용시킨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예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은 저면에 샤프트(S)의 상반부를 감싸는 지지요홈(2)을 갖는 제 1 클램프(1) 및 상면에 샤프트(S)의 하반부를 감싸는 지지요홈(4)을 구비하는 상태로 제 1 클램프(1)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클램프(3), 제 1 클램프(1)와 연결되는 그립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5)를 소정각도만큼 외향으로 비틀어지게 구성함과 동시에, 제 1 클램프(1)와 그립부(5)의 사이에 "∪"형의 완충부(10)를 일체로 연결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에서, 그립부(5)의 비틀림 각도는 특정한 각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샤프트(S)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약 20 ~ 40°이내의 범위로서 30°가 가장 적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그립부(5)가 샤프트(S)의 상측부에 오도록 제 1 클램프(1)의 지지요홈(2)을 샤프트(S)의 상반부에 밀접시킴과 동시에, 제 2 클램프(3)의 지지요홈(4)을 샤프트(S)의 하반부에 밀접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결이 완료된 본 고안의 핸들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부(5)가 샤프트(S)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종래와 같이 직교되는 상태가 아닌 외향으로 일정각도 만큼 비틀어지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팔이 그립부(5)를 향할 때,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에서의 손목 방향과 적절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도 6에서와 같이 손목이 부자연스럽게 휘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그립부(5)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제 1 클램프(1)와 그립부(5)의 사이에 "∪"형의 완충부(10)를 일체로 연결 구성하게 되는 것이므로, 샤프트(S)를 기준으로 좌우 및 전 후 방향의 외부 진동 및 충격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완충시켜주게 주게 되는 것으로,
예초기의 사용 시, 원동기로부터 발생되는 자체 진동이나 풀을 깍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작업상의 불규칙한 제반 외부 진동이 샤프트(S)를 통해 제 1 클램프(1)로 전이되더라도, 급격하게 절곡됨으로써 진동의 전이를 억제하고, 구조 상 그립부(5)의 미세 유동을 가능케 하여 진동과 충격이 흡수 소거될 수 있게 하는"∪"형의 완충부(10)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고 있는 그립부(5)는 미미한 진동과 충격이 전해질 뿐이어서, 사용자는 예초기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일이 배제되고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예초기 사용시 왼손잡이의 경우에는 그립부(5)의 방향을 반대로 장착시키게 되면, 오른손잡이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그립부가 샤프트에 직각으로 구성되지 않고 외측으로 일정 각도 비틀어지게 구성됨으로써, 예초기의 사용 시 사용자의 손이 비틀어지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그립을 파지할 수 있어, 취급 시 피로감과 손목의 부상 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그립부와 제 1클램프의 사이에 구성되는 "∪"형의 완충부를 통해, 예초기의 취급 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예초칼날이 물체에 부딪쳐 발생되는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 완충시켜, 사용자의 손목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샤프트(S)의 상반부를 감싸는 지지요홈(2)을 갖는 제 1 클램프(1) 및 상면에 샤프트(S)의 하반부를 감싸는 지지요홈(4)을 구비하는 상태로 제 1 클램프(1)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클램프(3), 제 1 클램프(1)와 연결되는 그립부(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5)를 소정각도만큼 외향으로 비틀어지게 구성함과 동시에, 제 1 클램프(1)와 그립부(5)의 사이에 "∪"형의 완충부(10)를 일체로 연결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핸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5)는 샤프트(S)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20 ~ 40° 각도로 비틀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핸들.
KR2020060014032U 2006-05-25 2006-05-25 예초기용 핸들 KR200423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32U KR200423896Y1 (ko) 2006-05-25 2006-05-25 예초기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32U KR200423896Y1 (ko) 2006-05-25 2006-05-25 예초기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896Y1 true KR200423896Y1 (ko) 2006-08-11

Family

ID=4177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32U KR200423896Y1 (ko) 2006-05-25 2006-05-25 예초기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8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919B1 (ko) 2015-11-06 2017-03-13 최병섭 예초기용 손잡이
KR102032766B1 (ko) 2019-03-28 2019-10-16 신경조 관상 작업대용 회동축의 방진 회동 지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919B1 (ko) 2015-11-06 2017-03-13 최병섭 예초기용 손잡이
KR102032766B1 (ko) 2019-03-28 2019-10-16 신경조 관상 작업대용 회동축의 방진 회동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756B2 (en) Bush cutter
EP0284659A2 (en) Vibration-damping control handle for a portable power tool
US20100000097A1 (en) Weed trimming device
KR200423896Y1 (ko) 예초기용 핸들
ES2661396T3 (es) Empuñadura para máquina de trabajo portátil y desbrozadora que comprende la misma
US8490373B2 (en) Grip for push mower
JP4537594B2 (ja) 刈払機
JPH10313681A (ja) 手持ち式動力作業機
ES2448831T3 (es) Dispositivo portátil con mango antivibratorio para su uso en agricultura y jardinería
US10334779B2 (en) Balanced trim shield with a single, dual direction line cutting member
EP3694304A1 (en) An electrically powered vegetation cutter
JP2013078268A (ja) 刈払機
KR101715919B1 (ko) 예초기용 손잡이
KR100804365B1 (ko) 예취기용 보조 장치
KR200297226Y1 (ko) 예초기용 손잡이
KR102491754B1 (ko) 예초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US11412655B2 (en) Ergonomic trimmers having high operational safety
KR20100077452A (ko) 예초기용 간접핸들봉
JP3249489B2 (ja) 刈取機
KR102173268B1 (ko) 예초기용 보조 어깨끈
JP7498110B2 (ja) 電動式草木カッター
KR200249855Y1 (ko) 휴대용 예초기의 루프식 핸들
JP4828657B2 (ja) 刈払機
JP5199715B2 (ja) 刈払機
JP2002034315A (ja) 刈払機の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