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226Y1 - 예초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26Y1
KR200297226Y1 KR2020020025161U KR20020025161U KR200297226Y1 KR 200297226 Y1 KR200297226 Y1 KR 200297226Y1 KR 2020020025161 U KR2020020025161 U KR 2020020025161U KR 20020025161 U KR20020025161 U KR 20020025161U KR 200297226 Y1 KR200297226 Y1 KR 200297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clamp
grip
m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운
Original Assignee
홍석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운 filed Critical 홍석운
Priority to KR2020020025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26Y1/ko

Link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충격흡수 소재가 코팅되어 그립이 용이하고 사용감이 개선된 예초기용 손잡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는 예초기의 샤프트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예초기 샤프트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1 홈을 형성하는 제1 클램프, 예초기 샤프트의 타측을 감싸도록 제2 홈을 형성하고 제1 클램프와 체결되어 본 예초기용 손잡이를 예초기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제2 클램프, 제1 클램프와 일체를 이루며 형성된 핸들 프레임, 및 핸들 프레임의 표면을 덮는 탄성 그립부를 구비한다. 핸들 프레임의 표면에 탄성 그립부를 형성함으로써 예초 작업 중 손잡이의 그립을 좋게 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손잡이{HANDLE FOR A BRUSH CUTTER}
본 고안은 휴대용 예초기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예초기의 손잡이의 그립을 확실하게 하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예초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예초기(brush cutter)는 잔디, 잡초 또는 잡목 등을 깎는 장치로서, 농사 관련 작업, 공원 녹지 관리, 묘지에서의 벌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휴대용 예초기는 휴대 및 작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개시된 휴대용 예초기로는 배낭식과 견착식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예초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예초기는 배낭식으로서 원동기(10), 원동기(10)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예초기 샤프트(pipe assembly)(20), 샤프트(20)의 단부에 장착된 예초 칼날(50), 샤프트(20) 및 예초 칼날(50)의 사이에 장착되어 샤프트(20)통해 전달된 동력을 예초 칼날(50)로 전달하는 기어 케이스(30), 예초 칼날(5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 쪽으로 날리는 것들을 차단하는 안전 커버(40) 및 샤프트(20)에 장착된 손잡이(60)를 포함한다.
원동기(10)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샤프트(20)의 내부 구조를 통해 기어 케이스(30)로 전달되고, 기어 케이스(30)와 연결된 예초 칼날(50)이 회전하면서 잡초 또는 잔디 등을 깎는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샤프트(20) 단부의 몸체를 잡고 다른 손으로 손잡이(60)를 잡아 예초 칼날(50)의 수행 범위를 조절한다.
이 때, 샤프트(20)에 장착된 손잡이(60)는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작업시 발생하는 샤프트(20)의 진동은 손잡이(60)를 통해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예초기용 손잡이는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로만 구성되어 몇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예를 들면, 예초 작업 도중 발생하는 샤프트의 진동이 핸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떨림으로 인해 작업이 불안해지고, 사용자는 그 진동으로 인해 쉽게 피로해져서 오랜 시간동안 작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손잡이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작업 도중 손잡이를 놓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손잡이의 그립이 확실하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할 수 있는 예초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예초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보조 손잡이를 구비한 예초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예초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예초기용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예초기용 손잡이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해 그립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결합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예초기용 손잡이 110, 210, 310 : 제1 클램프
120, 220, 320 : 제2 클램프 130, 230, 330 : 핸들 프레임
150, 250, 350 : 탄성 그립부 155 : 요철라인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는 예초기 샤프트에 고정하기 위한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 제1 클램프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핸들 프레임, 및 핸들 프레임의 일부를 덮는 탄성 그립부를 구비한다.
예초기 샤프트에 대응하여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에는 각각 제1 홈 및 제2 홈이 형성된다. 제1 홈 및 제2 홈의 주변에는 제1 및 제2 클램프에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각 체결홀에 나사 및 볼트로 이루어진 체결 부재가 결합되면서 손잡이가 예초기 샤프트에 고정된다.
핸들 프레임이 제1 클램프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된다. 핸들 프레임은 일단만 제1 클램프에 연결된 외팔보 방식 및 양단이 제1 클램프에 연결된 루프 방식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은 제1 클램프는 탄성 그립부가 형성되는 그립 프레임 및 그립 프레임의 양단과 제1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립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이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되고 그립 프레임이 사용자 측으로 기울어져 예초기 샤프트와 예각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경우 손잡이의 그립이 용이해지고 클램프에 의해 손잡이를 잡은 손의 움직임이 방해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100)는 예초기 샤프트(20)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1 홈(112)을 형성하는 제1 클램프(110), 예초기 샤프트(20)의 타측을 감싸도록 제2 홈(122)을 형성하며 제1 클램프(110)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제2 클램프(120), 제1 클램프(110)의 양측에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핸들 프레임(130) 및 핸들 프레임(130)의 루프 일부에 코팅된 탄성 그립부(150)를 포함한다.
핸들 프레임(130)은 탄성 그립부(150)가 코팅되고 굽어진 그립 프레임(135) 및 그립 프레임(135)의 양단과 제1 클램프(110)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140)은 예초기 샤프트(20)와 접하는 제1 홈(112)의 양쪽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하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양측으로 벌어져 각 그립 프레임(135)의 단부와 연결된다.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 제1 클램프(110)가 그립 프레임(135)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게 되고, 샤프트(20)를 중심으로 핸들 프레임(130)에 주변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샤프트(20)의 방향 전환 및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클램프(110)에는 샤프트(20)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 2개의 체결홀(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클램프(120)에도 제1 클램프(110)의 체결홀(114)에 대응하여 양쪽에 체결홀(124)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홈(112, 122)에 샤프트(20)가 안착되고, 나사 및 볼트(126, 127)가 체결홀(114, 124)을 통해 체결되면서 손잡이(100)가 샤프트(20)에 고정된다.
탄성 그립부(150)는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그립부(15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요철라인(155)이 그립 프레임(135)을 따라 형성된다. 복수개의 요철라인(155)은 탄성 그립부(150)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부가 함몰하여 상대적으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립 프레임(135)에 평행한 요철라인(155)이 형성되지만,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기술 및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배열의
탄성 그립부(150)가 실리콘-고무 등으로 구성되어도 사용자의 그립을 좋게 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그립부(150)에 복수개의 요철라인(155)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그립 개선 및 미끄러짐의 방지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요철라인(155)의 상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 미끄러짐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느다란 다수개의 홈이 서로 교차하여 돌기를 형성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및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예초기용 손잡이(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립 프레임(135) 및 지지 프레임(140)은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110, 120)는 그립 프레임(135)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즉, 샤프트(20)에 대해서 그립 프레임(135) 및 탄성 그립부(150)로 구성된 부분은 예각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탄성 그립부(150)를 잡을 때, 손잡이(100)가 전반적으로 뒤로 기울어져 잡기가 편하며, 제1 및 제2 클램프(110, 120)로부터 충분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사용자의 손이 클램프(110, 1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예초기용 손잡이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해 그립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결합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200)는 예초기 샤프트(20)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1 홈(212)을 형성하는 제1 클램프(210), 예초기 샤프트(20)의 타측을 감싸도록 제2 홈(222)을 형성하며 제1 클램프(210)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제2 클램프(220), 제1 클램프(210)의 양측에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핸들 프레임(230) 및 핸들 프레임(230)의 루프 일부에 코팅된 탄성 그립부(250)를 포함한다.
핸들 프레임(230)은 활 모양으로 굽어진 그립 프레임(235) 및 제1 클램프(210)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각각 그립 프레임(235)의 양단에 체결되는 지지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그립 프레임(235)의 외주에는 발포성 합성수지가 덮여 탄성 그립부(250)를 형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프레임(235)의 외면에 탄성 그립부(250)를 형성하고, 그립 프레임(235)의 단부를 지지 프레임(240)의 단부와 체결함으로써 손잡이(200)를 조립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0)의 단부에는 원형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그 체결홈에 플레인 와셔(244), 스프링 와셔(245) 및 나사(246)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지지 프레임(240)의 단부와 그립 프레임(235)의 단부를 결합한다. 지지 프레임(240)과 그립 프레임(235)의 사이에는 연결구(237)가 배치되며, 연결구(237)는 원통 실린더 형상으로서 탄성 그립부(250)의 일단을 수용하여 탄성 그립부(250) 단부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립 프레임(235)에 별도로 탄성 그립부(250)를 형성한 후, 손잡이(200)에 그립 프레임(235)을 조립할 수 있다. 이는 탄성 그립부를 핸들 프레임에 직접 코팅해야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는 제작이 용이하며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지지 프레임(240)은 제1 홈(212)을 중심으로 제1 클램프(210)의 양측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하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양측으로 벌어져 각 그립 프레임(235)의 단부와 체결된다. 지지 프레임(240) 및 그립 프레임(235)의 구조에 의해 제1 클램프(210)가 그립 프레임(235)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제1 클램프(210)에는 샤프트(20)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 2개의 체결홀(2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클램프(220)에도 제1 클램프(210)의 체결홀(214)에 대응하여 양쪽에 체결홀(224)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홈(212, 222)에 샤프트(20)가 안착되고, 나사 및 볼트(226, 227)가 체결홀(214, 224)을 통해 체결되면서 손잡이(200)가 샤프트(20)에 고정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300)는 예초기 샤프트(20)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1 홈(312)을 형성하는 제1 클램프(310), 예초기 샤프트(20)의 타측을 감싸도록 제2 홈(322)을 형성하며 제1 클램프(310)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제2 클램프(320), 제1 클램프(310)의 양측에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하는 핸들 프레임(330) 및 핸들 프레임(330)의 루프 일부에 코팅된 탄성 그립부(35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클램프(340)의 전방부에는 보조 손잡이(325)가 제2 홈(322)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손잡이(325)는 제2 클램프와 일체를 이루며 제2 클램프(325)의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보조 손잡이(325)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대응되는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손잡이를 설명함에 있어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300)는 보조 손잡이(325)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핸들 프레임(330) 외에도 보조 손잡이(325)를 잡고 예초 작업을 할 수 있다. 보조 손잡이(325)에 의해서 작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에 탄성 그립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으며,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떨림 현상을 예방하여 사용자가 안정하고 편하게 장시간 작업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으로 잡는 핸들 프레임에 천연고무, 우레탄 또는 실리콘-고무와 같은 재질로 코팅되고 그 외주에 요철라인이 형성된 탄성 그립부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 개선 및 안정성 향상 등의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예초기의 샤프트에 장착되는 예초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예초기 샤프트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1 홈을 형성하는 제1 클램프;
    예초기 샤프트의 타측을 감싸도록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체결되어 상기 손잡이를 예초기 샤프트에 고정시키는 제2 클램프;
    상기 제1 클램프와 일체를 이루며 형성된 핸들 프레임;
    상기 핸들 프레임의 표면을 덮는 탄성 그립부를 구비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은 양단이 상기 제1 클램프에 연결된 루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은 상기 탄성 그립부가 형성되는 그립 프레임 및 상기 그립 프레임의 양단과 상기 제1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이 서로 다른 평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 프레임이 예초기 샤프트와 예각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은 상기 탄성 그립부가 형성되는 그립 프레임 및 상기 그립 프레임의 양단과 상기 제1 클램프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 프레임과 연결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 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에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그립 프레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그립부에는 복수개의 요철라인이 상기 핸들 프레임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라인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그립부는 천연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고무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에는 보조 손잡이가 상기 제2 홈에 수직하게 상기 제2 클램프의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손잡이.
KR2020020025161U 2002-08-23 2002-08-23 예초기용 손잡이 KR200297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161U KR200297226Y1 (ko) 2002-08-23 2002-08-23 예초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161U KR200297226Y1 (ko) 2002-08-23 2002-08-23 예초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26Y1 true KR200297226Y1 (ko) 2002-12-11

Family

ID=7307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161U KR200297226Y1 (ko) 2002-08-23 2002-08-23 예초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919B1 (ko) 2015-11-06 2017-03-13 최병섭 예초기용 손잡이
KR20170103307A (ko) 2016-03-03 2017-09-13 강광원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919B1 (ko) 2015-11-06 2017-03-13 최병섭 예초기용 손잡이
KR20170103307A (ko) 2016-03-03 2017-09-13 강광원 예초기의 작업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5548A (en) Vibration-damping control handle for a portable power tool
US7493697B2 (en) Lawn mower
US6112416A (en) Weed and grass trimmer attachment head
US8342187B2 (en) Vibrating device
US8117756B2 (en) Bush cutter
US6345489B1 (en) Wheeled lawn care unit
JPS63312083A (ja) 振動絶縁ハンドル装置
JPH1089322A (ja) 分割ブーム型動力機械
JP2006311828A (ja) 刈払機
US20100064648A1 (en) Bending Attachment and Portable Mowing Machine Mounted With This
KR200297226Y1 (ko) 예초기용 손잡이
US11432468B2 (en) Reciprocating blade apparatus and handheld working machine
JPH10313681A (ja) 手持ち式動力作業機
EP1530890B1 (en) Portable device with anti-vibration handle for use in agriculture and gardening
KR101715919B1 (ko) 예초기용 손잡이
KR200423896Y1 (ko) 예초기용 핸들
US10334779B2 (en) Balanced trim shield with a single, dual direction line cutting member
CN215011657U (zh) 智能割草机的工作组件、智能割草机及工具组合
EP3694304A1 (en) An electrically powered vegetation cutter
KR100662731B1 (ko) 예초기 및 그의 결합 방법
KR102173268B1 (ko) 예초기용 보조 어깨끈
US20170166003A1 (en) Vibration dampening assembly for a walk-behind working tool
JP2005006528A (ja) 刈払機
JPS585446Y2 (ja) 茶園動力作業機の防振把柄
KR20220016633A (ko) 예초기용 손잡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