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962B1 -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962B1
KR101714962B1 KR1020160027315A KR20160027315A KR101714962B1 KR 101714962 B1 KR101714962 B1 KR 101714962B1 KR 1020160027315 A KR1020160027315 A KR 1020160027315A KR 20160027315 A KR20160027315 A KR 20160027315A KR 101714962 B1 KR101714962 B1 KR 10171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video signal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066A (ko
Inventor
에이호 요우
스스무 기무라
히로마사 스즈끼
마사루 히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6003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13Details of control of colour illumination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1Illuminating devices providing coloured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25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the sub-frames having all the same time d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2F2001/133614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패널과, 제1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입력광을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입력광을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2 발광부와, 제1 발광 신호와 제2 발광 신호와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와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고, 발광 제어부는, 제1 서브 프레임에는 제1 발광 신호와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고,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제2 발광 신호와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CRT 디스플레이(Cathode Ray Tube display)를 대신하는 표시 장치로서,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또는, OLED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라고도 불림.), FED(Field Emission Display;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 중, 액정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저소비 전력에서의 구동이 가능하며, 또한, 생산 기술이 성숙해서 저가격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CRT 디스플레이를 대신하는 차세대의 표시 장치로서 가속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액정 셔터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과, 광원(예를 들면, 백라이트)과, 해당 광원이 발하는 광을 해당 액정 패널에 입력하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비자발광형의 표시 장치이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하는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냉음극관(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나,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음극관은, 형광관 내에 수은이 봉입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발광에 고전압이 필요로 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의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발광 다이오드가 광원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 청색 광을 발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가 실용화되었기 때문에, 액정 디스프레이에서는, 적, 녹, 청의 3원색의 광을 각각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적색 발광 다이오드/녹색 발광 다이오드/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원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는, 보다 충실한 백색 광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각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면, 재료 등의 차이에 따라서, 열화의 방법이나 동작 온도에 의한 발광 특성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발광 제어(색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것 중,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를 보다 간소화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1계통의 피드백에 의해 발광 제어를 행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7-286359호 공보를 들 수 있다.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이하, 간단히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을 보다 간소화하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종래의 표시 장치(이하, 간단히 「종래의 표시 장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는, 1계통의 피드백 루프밖에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피드백 루프에 필요로 하는 코스트를 보다 삭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표시 장치는, 여전히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해당 피드백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코스트 증가는 회피할 수 없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WALKMAN(등록상표) 등의 영상/음악 재생 장치, PlayStation Portable(등록상표) 등의 휴대형 게임기 등, 가반형(可搬型;portable)의 기기(소위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이들 기기에서는 한층 더한 소형화나 경량화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표시 장치는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당연히 피드백계를 구성하는 회로 등이 필요로 된다. 즉,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피드백계를 구성하는 회로 등을 설치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하며, 또한 해당 회로 등에 의한 중량의 증가는 회피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표시 장치가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가반형의 기기에 적용된 경우에는, 한층 더한 소형화나 경량화는 기대할 수도 없다.
또한,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을 보다 간소화하는 종래의 기술은,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을 보다 간소화하는 것에 불과하며, 표시되는 영상(정지 화상/동화상)의 고화질화에 대해서는 아무런 고려도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되는 영상(정지 화상/동화상)의 고화질화는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 또한 개량된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 녹, 청의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컬러 필터와는 투과시키는 색이 상이한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상기 3원색 중의 제1 색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 제2 색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 및 제3 색에 대응하는 제3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색의 광을 제1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1 발광부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상기 제1 입력광 이외의 색의 광을 제2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발광 신호와, 상기 제2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2 발광 신호와, 입력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 중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1프레임 기간을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발광부에의 상기 제1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발광부에의 상기 제2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 각각은,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중의 어느 하나 및 광이 입력되면 적색 출력광을 출력하는 적색 형광체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컬러 필터는, 청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시안 필터, 또는, 적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옐로 필터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에는,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가 생성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된 1프레임 기간 중의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적, 녹, 청의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색의 광을 제1 입력광으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제1 발광 신호를 제1 발광부에 전달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의 상기 제1 발광 신호의 전달과 동기해서,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대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상기 제1 입력광 이외의 색의 광을 제2 입력광으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제2 발광 신호를 제2 발광부에 전달하는 제3 스텝과, 상기 제3 스텝에서의 상기 제2 발광 신호의 전달과 동기해서,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제4 스텝을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컬러 필터와는 투과시키는 색이 상이한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텝에서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광을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제3 스텝에서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입력광을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적, 녹, 청의 3원색 중의 제1 색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 제2 색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 및 제3 색에 대응하는 제3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상기 제3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컬러 필터와는 투과시키는 색이 상이한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전달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상기 제3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서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색의 광을 제1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1 발광부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로서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상기 제1 입력광 이외의 색의 광을 제2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발광 신호와, 상기 제2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2 발광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가 생성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 중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1프레임 기간을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발광부에의 상기 제1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발광부에의 상기 제2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제1 발광부) 및 제2 광원(제2 발광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제1 발광부) 및 제2 광원(제2 발광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제1 발광부) 및 제2 광원(제2 발광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제1 발광부) 및 제2 광원(제2 발광부)의 스펙트럼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하기 위한, 광원에 따른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설명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광원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광원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의 특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화질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 패널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영상은 동화상이어도 되고, 정지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등에서 이용되는 디지털 신호이어도 되고, 아날로그 방송 등에서 이용되는 아날로그 신호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하기의 순서로 설명을 행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프로치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프로치)
우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이하, 「표시 장치(100)」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서의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1)광원과, (2)표시 방식의 2개의 관점으로부터 어프로치함으로써,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한다.
(1)광원에 따른 어프로치
표시 장치(100)는, 적(Red. 이하, 「R」이라고 함.), 녹(Green. 이하, 「G」라고 함.), 청(Blue. 이하, 「B」라고 함.)의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색의 광을 제1 입력광으로서 발하는 제1 광원(제1 발광부)과, RGB의 3원색의 광 중에서 제1 입력광 이외의 색의 광을 제2 입력광으로서 발하는 제2 광원(제2 발광부)을 구비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제1 광원, 제2 광원 중 어느 한 쪽을 G 광을 발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하고, 다른 쪽을 B 광을 발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 중 어느 하나에, 광이 입력되면 R 광을 출력하는 R 형광체(이하, 「형광체(R)」이라고 함.)를 구비함으로써, 추가로 R 광을 실현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를 LED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RGB 각 색의 LED를, 각각 LED(R), LED(G), LED(B)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제1 광원, 제2 광원의 구성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제1 발광부) 및 제2 광원(제2 발광부)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고, 어느 한 쪽이 제1 광원으로 되고, 다른 쪽이 제2 광원으로 된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광원이 발하는 광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제1 발광부), 및 제2 광원(제2 발광부)의 스펙트럼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4는, 표시 장치(100)가 도 1에 도시하는 광원 및 도 2에 도시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경우에서의 스펙트럼 이미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광원은, LED(G)를 구비하고, G 광을 발한다(도 4에 도시하는 "LED(G)").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광원은, LED(B)와, 복수의 형광체(R)를 구비하고, LED(B)의 발광에 의한 B 광과, 형광체(R)로부터 출력되는 R 광을 발한다(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LED(B)+형광체(R)").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구비함으로써,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 그 이유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설명도로서, 각 색의 LED에서의 동작 온도마다의 발광 특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5a는 LED(R)의 발광 특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도 5b는 LED(G)의 발광 특성, 도 5c는 LED(B)의 발광 특성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하는 문자 a는, 섭씨 -20도에서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문자 b는 섭씨 25도에서의 발광 특성, 문자 c는 섭씨 85도에서의 발광 특성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LED(G)와 LED(B)는 마찬가지의 발광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하기 위한 광원에 따른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설명도로서, 각 색의 LED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LED(G)와 LED(B)는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속도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G)와 LED(B)는 발광 특성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속도가 유사하다. 이것은, LED(G)와 LED(B)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가 동일 계통의 재료이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하여, LED(R)는 기본 재료가 LED(G) 및 LED(B)와 상이하기 때문에, LED(R)는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특성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속도가 LED(G) 및 LED(B)와 크게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LED의 특성에 주목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사한 특성을 갖는 LED(G)와 LED(B)를 각각 광원에 이용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광원(LED(B)+형광체(R))과, 적색 발광 다이오드(LED(R))를 구비하는 광원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광원은 LED(R)를 구비하는 광원보다도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속도가 느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ED(G)와 LED(B)는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속도가 유사하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사한 특성을 갖는 LED(G)와 LED(B)를 광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동작 온도나 경시 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광원이 발하는 광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에서는, 종래의 표시 장치와 같이, 피드백에 의해 발광 제어를 행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LED(G) 및 복수의 형광체(R)를 구비하는 광원과, LED(B)를 구비하는 광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광원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는 표시 장치(100)의 구성에서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은, 각각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하는 광원을 복수 구비할 수도 있다.
(2) 표시 방식에 따른 어프로치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의 표시 방식에 따른 어프로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방식에 따른 어프로치는 표시 장치(100)에서의 고화질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에 상당한다.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인 액정 디스플레이에서의 컬러 영상(동화상/정지 화상)의 표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컬러 필터 방식과 필드 시퀀셜 방식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컬러 필터 방식이란, 특정한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각 컬러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이다. 각 화소에 설치되는 상기 컬러 필터로서는, 예를 들면, R 광을 투과시키는 적 컬러 필터, G 광을 투과시키는 녹 컬러 필터, B 광을 투과시키는 청 컬러 필터의 3색의 컬러 필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컬러 필터 방식에서는, RGB 3색의 컬러 필터 각각에 의한 광 흡수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의 감쇠(약 1/3 정도로 감쇠함.)가 발생한다. 따라서,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발광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단점이 생긴다.
또한, 필드 시퀀셜 방식이란, RGB의 각 색의 광을 광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광원에 의한 각 색의 광의 입력과 동기해서 대응하는 색의 화상을 표시 패널에 표시시키는 방식이다. 필드 시퀀셜 방식은, RGB의 각 색을 시간적으로 혼합시킴으로써 컬러 표시를 행하는 방식으로서, 영상을 보는 유저에게 있어서의 잔상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RGB의 각 색의 화상을 1개의 화상으로서 유저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필드 시퀀셜 방식은, 컬러 필터 방식에서와 같이 컬러 필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발광 효율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플리커(Flicker)나 색 깨짐(Color break) 등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필드 시퀀셜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레임 기간(예를 들면, 1프레임 기간)에서 RGB의 각 색의 화상을 절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필드 시퀀셜 방식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보다도 약 3배의 응답 속도가 필요로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필드 주파수가 60㎒인 경우에는, 필드 시퀀셜 방식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180㎒ 이상의 주파수에서 동작해야만 한다. 또한, 동화상 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드 시퀀셜 방식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는 더욱 높은 주파수 동작이 요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180㎒ 이상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거나 하는 것은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곤란하기 때문에, 필드 시퀀셜 방식을 이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실현은 곤란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의 컬러 영상의 표시 방식에는, 컬러 필터 방식과 필드 시퀀셜 방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필드 시퀀셜 방식의 실현은 곤란하기 때문에,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는 컬러 필터 방식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기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라고 하는 2종류의 광원을 구비한다. 표시 장치(100)는, 2종류의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이용하고, 컬러 필터 방식과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이용함으로써 고화질화를 도모한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 방식에 따른 어프로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2-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 방식
표시 장치(100)는, RGB의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며 또한 제1 컬러 필터와는 투과시키는 색이 상이한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B 및 도 8C는, 광원에서 발하여지는 광과 도 8A에 도시하는 컬러 필터를 투과하는 광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1개의 광원으로서 표현하고 있다.
〔1〕광원이 비발광인 경우(도 8A)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제1 컬러 필터/제2 컬러 필터)는, 예를 들면, B 광 및 G 광을 투과시키는 시안 필터(도 8A의 「C」에 대응)와 R 광 및 G 광을 투과시키는 옐로 필터(도 8A의 「Y」에 대응)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8A에 도시하는 시안 필터 또는 옐로 필터 중 어느 한 쪽이 제1 컬러 필터에 대응하고, 다른 쪽이 제2 컬러 필터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젠타 필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의 특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C는 시안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Y는 옐로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M은 마젠타 필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R 광은 파장은 약 610 내지 750㎚이고, G 광의 파장은 약 500 내지 560㎚, B 광의 파장은 약 435 내지 480㎚이다. 따라서, 도 9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안 필터는 B 광 및 G 광, 옐로 필터는 R 광 및 G 광, 그리고 마젠타 필터는 B 광 및 R 광을 각각 투과시킨다.
〔2〕광원이 R 광과 B 광을 발하는 경우(도 8B)
광원이 R 광과 B 광을 발하는 경우, 시안 필터는 B 광을 투과시키고 옐로 필터는 R 광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는 광원이 발하는 B 광과 R 광의 쌍방을 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에서는,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과 유사하게, 컬러 필터 각각에 의한 광 흡수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이 감쇠한다.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RGB의 3색의 컬러 필터 각각에 의한 광 흡수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이 약 1/3으로 감쇠한다(즉, 투과율이 약 33%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GB의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를 2개 구비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에서의 광 흡수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의 감쇠는 약 1/2로 억제할 수 있다(즉, 투과율이 약 50%로 된다.). 즉, 표시 장치(100)는, 도 8A에 도시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표시 장치보다도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보다 고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3〕광원이 G 광을 발하는 경우(도 8C)
광원이 G 광을 발하는 경우, 시안 필터는 G 광을 투과시키고, 옐로 필터는 G 광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는 광원이 발하는 G 광을 쌍방의 필터를 이용해서 투과시킬 수 있다. 즉, 상기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에서의 광 흡수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의 감쇠는 방지되게 된다(즉, 투과율을 100%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도 8A에 도시하는 컬러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표시 장치보다도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도 8C의 경우에도 보다 고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하는 구성의 컬러 필터(제1 컬러 필터/제2 컬러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장치(100)는, G 광의 투과율을 100%로 할 수 있다. 여기서, G 광은, R 광이나 B 광과 비교해서 시감도(luminosity factor)가 높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가, 예를 들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 광의 투과율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유저가 느끼는 밝기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2-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광원(제1 광원/제2 광원)과 도 8A에 도시하는 구성의 컬러 필터(제1 컬러 필터/제2 컬러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이 발하는 광에 따른 광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하는 컬러 필터로부터 투과되는 광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 패널에 표시시킨다
표시 장치(100)는, 1프레임 기간을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프레임에서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 중 어느 한 쪽의 광원을 발광시킨다. 그리고, 표시 장치(100)는, 각 광원의 발광과 동기해서,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 또는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표시 패널에 전달하고,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 및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의 외부 장치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이어도 되고, 표시 장치(100)가 생성한 영상 신호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 및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R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이하에서는, 「R 신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 G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이하에서는, 「G 신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 B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이하에서는, 「B 신호」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를 말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화질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프로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제1 입력광이 도 8B에 도시하는 R 광 및 B 광인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R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와 B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에 전달한다(도 10에 도시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또한, 제2 입력광이 도 8C에 도시하는 G 광인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G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에 전달한다(도 10에 도시하는 제2 서브 프레임).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상기한 경우, 제1 서브 프레임에는 R의 화상 및 B의 화상을 표시하고, 또한, 제2 서브 프레임에는 G의 화상을 표시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에서는, 1프레임 기간을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해당 서브 프레임마다 광원의 발광과 동기해서,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또는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필드 시퀀셜 방식은 RGB의 각 색을 시간적으로 혼합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180㎒ 이상의 필드 주파수에서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에서는, 1프레임 기간을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므로, 120㎒ 이상의 필드 주파수에서 동작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은, 종래의 필드 시퀀셜 방식보다도 필드 주파수를 2/3 정도로 낮출 수 있으므로, 실현이 보다 용이하다(더 구체적으로는,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충분히 대응 가능함.).
표시 장치(100)는, 상기 (2-1),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 방식과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이용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이용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컬러 필터의 투과율 및 표시 시간에 기초하는 휘도 분석의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비교를 위해,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의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이용 효율도 아울러 설명하고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
·R의 휘도: 33%(투과율)×100%(표시 시간)=33%
·G의 휘도: 33%(투과율)×100%(표시 시간)=33%
·B의 휘도: 33%(투과율)×100%(표시 시간)=33%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
·R의 휘도: 50%(투과율)×50%(표시 시간)=25%
·G의 휘도: 100%(투과율)×100%(표시 시간)=100%
·B의 휘도: 50%(투과율)×50%(표시 시간)=25%
상술한 바와 같이, G 광은, R 광이나 B 광과 비교해서 시감도가 높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G의 휘도를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보다도 높임으로써, 유저가 느끼는 밝기를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보다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보다도 보다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서브 프레임마다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을 100%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표시 장치와 비교해서, 광의 이용 효율을 이하와 같이 높일 수 있다.
·R: 33%(종래의 표시 장치)⇒50%(표시 장치(100))
·G: 33%(종래의 표시 장치)⇒100%(표시 장치(100))
·B: 33%(종래의 표시 장치)⇒50%(표시 장치(100))
이상과 같이, 표시 장치(100)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라고 하는 2종류의 광원을 구비하고,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 중 어느 한 쪽을 G 광을 발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하며, 또한, 다른 쪽을 B 광을 발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한다((1)의 어프로치). 또한, 표시 장치(100)는, 상기 (2-1)에 설명하는 컬러 필터 방식과 상기 (2-2)에 설명하는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이용함으로써,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2)의 어프로치).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상술한 어프로치를 이용함으로써,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프로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영상 신호 처리부(102)와, 표시부(104)를 구비한다. 또한, 도 11에서는, 표시 장치(100)가 영상 신호 처리부(102)를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는 영상 신호 처리부(102)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 즉, 영상 신호 처리부(102)에 상당하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가 처리한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와 함께, 1개의 전자 기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이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구성이 해당 전자 기기로 됨.).
또한,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제어부(도시 생략)나, ROM(Read Only Memory;도시 생략), RAM(Random Access Memory;도시 생략), 기억부(도시 생략), 통신부(도시 생략),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도시 생략) 등을 구비해도 된다.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bus)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간을 접속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각 구성 요소를 구동시키는 구동 전압이나, 후술하는 표시 패널(108)의 커먼 전극(대향 전극)에 인가하는 기준 전압 등을 공급하는 전원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가 상기 구동 전압 등을 외부전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제어부는, 예를 들면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되고 표시 장치(100) 전체를 제어한다. ROM은, 제어부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은,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한다. 기억부는, 표시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영상 파일이나 화상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무선/유선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100)가 구비하는 통신 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부(도시 생략)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Hard Disk)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부로서는, 예를 들면,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나,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 802.11b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혹은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도시 생략)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나, 버튼, 방향 키, 죠그 다이얼 등의 회전형 셀렉터,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MPU(150)와, ROM(152)과, RAM(154)과, 기록 매체(156)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와, 표시 디바이스(162)와, 통신 인터페이스(164)를 구비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166)로 각 구성 요소간을 접속한다.
MPU(150)는 표시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MPU(150)는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 신호 처리부(102)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ROM(152)은 MPU(15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RAM(154)은 MPU(1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1차 기억한다.
기록 매체(156)는 기억부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면, 영상 파일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기억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156)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는, 예를 들면,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나, 표시 디바이스(162)를 접속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는 조작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표시부(104)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로서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는 표시 장치(100) 상에 구비할 수 있고, 표시 장치(1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접속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면, 버튼, 방향 키, 죠그다이얼 등의 회전형 셀렉터,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예를 들면 LCD 등의 비발광형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표시 장치(100) 상에 구비되고, 표시 장치(1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접속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는 표시 장치(100)의 외부 장치로서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나 표시 디바이스(예를 들면, 외부 디스플레이 등)와 접속할 수도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표시 장치(100)가 구비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외부 장치와 무선/유선으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64)로서는, 예를 들면,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나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0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어프로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도 12에 도시하는 표시 디바이스(162)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즉, 후술하는 도 11에 도시하는 표시부(10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표시 디바이스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조립되어 사용되게 된다.
재차 도 11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102)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RGB의 3원색 중의 제1 색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 제2 색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 및 제3 색에 대응하는 제3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영상 신호가 R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R 신호), 제2 영상 신호가 G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G 신호), 그리고 제3 영상 신호가 B의 화상을 나타내는 영상 신호(B 신호)인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영상 신호 처리부(102)는, 표시 장치(100)가 구비하는 제어부로서의 MPU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 처리부(102)는, 제1 영상 신호, 제2 영상 신호, 및 제3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용의 신호 처리 회로나 범용의 신호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102)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신호 처리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표시부(104)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종류의 광원을 갖고, 또한,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광원(즉, R 광과 B 광을 발하는 광원)을 제1 광원으로 하고, 도 1에 도시하는 광원(즉, G 광을 발하는 광원)을 제2 광원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00)가 도 8A에 도시하는 컬러 필터(즉, 시안 필터 및 옐로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제1 광원이 발광한 경우에는, 각 컬러 필터는 B 광과 R 광을 투과시키고(도 8B), 또한, 제2 광원이 발광한 경우에는, 각 컬러 필터는 G 광을 투과시키게 된다(도 8C).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이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표시부(104)를 구비함으로써,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4)는,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 중 어느 하나를 1프레임 기간 내에 선택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1프레임 기간을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표시부(104)는,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의 선택적인 발광과 동기해서, 각 서브프레임마다 영상 신호 처리부(102)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제1 영상 신호, 제2 영상 신호, 및 제3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104)가, 예를 들면, 제1 서브 프레임에 제1 광원을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제1 광원이 발하는 광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R 신호) 및 제3 영상 신호(B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부(104)가, 예를 들면, 제2 서브 프레임에 제2 광원을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제2 광원이 발하는 광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G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시킨다.
따라서, 표시부(104)는, 상술한 (2-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컬러 필터 방식과, 상술한 (2-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04)를 구비함으로써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표시부(104)의 구성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부(104)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부(104)는, 백라이트 유닛(106)과, 표시 패널(108)과, 스캔 드라이버(110)와, 데이터 드라이버(112)와, 발광 제어부(114)를 구비한다.
백라이트 유닛(106)은,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구비하고, 후술하는 발광 제어부(114)로부터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08)에 RGB 각각의 광을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여기서, 제1 발광 신호는 제1 광원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이며, 또한, 제2 발광 신호는 제2 광원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또한, 도 11에서는, 백라이트 유닛(106)이 표시 패널(108)의 하부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편의상의 표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6)은, 예를 들면, 표시 패널(108)의 배면(영상을 보는 유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배면. 이하, 마찬가지로 함.)에 배치되고, 표시 장치(100)의 정면(영상을 보는 유저측을 가리킨다. 이하, 마찬가지로 함.)을 향해서 광을 발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106)의 구성예에 대해서는, 표시 패널(108)의 구성과 함께 나타낸다.
표시 패널(108)은, 매트릭스 형상(행렬 형상)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를 구비하고,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화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SD(Standard Definition)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은 적어도 640×480=307200(데이터선×주사선)의 화소를 갖고, 컬러 표시를 위해 해당 화소가 R, G, B의 서브 픽셀(sub pixel)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640×480×3=921600(데이터선×주사선×서브픽셀의 수)의 서브 픽셀을 갖는다. 유사하게, 예를 들면, HD(High Definition)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은 1920×1080의 화소를 갖고, 컬러 표시의 경우에는, 1920×1080×3의 서브 픽셀을 갖는다.
또한, 표시 패널(108)은, 예를 들면, 화소 전극(도시 생략)과 해당 화소 전극을 구동시키기 위한 화소 회로(도시 생략)를 화소마다 구비한다. 또한, 표시 패널(108)은, 예를 들면, 각 화소 전극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향하는 면에 대향 전극(소위 커먼 전극.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화소가 형성되는 면과 대향 전극이 구비되는 면 사이에는 액정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화소 회로는, 예를 들면, 주사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서 ON/OFF하는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데이터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화소 전극에 인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화소 회로가 화소 전극에 선택적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계에 의해 해당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 사이의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표시 패널(108)에서는 소위 액정 셔터가 실현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08)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표시부(104)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부(104)가, 예를 들면, 패시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백라이트 유닛(106), 표시 패널(108)의 구성예〕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6) 및 표시 패널(108)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13은, 백라이트 유닛(106) 및 표시 패널(108)을 단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은, 설명의 편의상, 각 구성 요소를 과장해서 나타내고 있다.
〔A〕백라이트 유닛(106)의 구성예
도 1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06)은, 광원(120)과, 반사 시트(122)와, 도광판(124)과, 확산 시트(126)와, 프리즘 시트(128)를 구비한다. 광원(120)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반사 시트(122)나 확산 시트(126)에 의해 도광판(124) 내에서 반사 및 확산하고, 프리즘 시트(128)를 통해서 표시 패널(108)에 입력된다. 또한,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의 반사를 나타내고 있지만, 광의 확산도 행하여진다.
<광원(120)의 구성예>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12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광원(120)은 1 이상의 광원 유닛(170)을 구비한다. 또한, 각 광원 유닛은 제1 광원(172)과 제2 광원(174)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14에서는, 3개의 광원 유닛(170a 내지 170c)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이 3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제1 광원(172a 내지 172c)이 도 2의 구성(R 광과 B 광을 발하는 구성)을 갖고, 제2 광원(174a 내지 174c)이 도 1의 구성(G 광을 발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각 광원 유닛에는 발광 제어부(114)로부터 제1 발광 신호와 제2 발광 신호가 전달되고,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에 따라서 제1 광원이 발광하고, 또한,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에 따라서 제2 광원이 발광한다. 예를 들면,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가 하이 레벨의 신호인 경우에는, 제1 광원은 R 광과 B 광을 발광하고, 또한, 하이 레벨의 제1 발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신호가 로우 레벨의 신호인 경우나,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광원은 발광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가 하이 레벨의 신호인 경우에는, 제2 광원은 G 광을 발광하고, 또한, 하이 레벨의 제2 발광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신호가 로우 레벨의 신호인 경우나,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광원은 발광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원(120)이 발광 제어부(114)로부터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에 따라서 발광함으로써, 표시 장치(100)는 1프레임 기간을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광원(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녹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구비함으로써,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할 수 있다.
〔B〕표시 패널(108)의 구성예
재차 도 13을 참조해서 표시 패널(108)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 패널(108)은, 편광판(130, 132)과, 제1 글래스 기반(134)과, 제2 글래스 기반(136)과, 액정층(138)을 구비한다.
제1 글래스 기반(134)은, 표시 패널의 배면측에 구비되는 글래스로 구성된 기반이며, 제1 글래스 기반(134)에는 상술한 주사선, 데이터선 및 화소 회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주사선은 스캔 드라이버(110)와 접속되고, 주사선에는 스캔 드라이버(110)로부터 주사 신호가 전달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선에는 데이터 드라이버(112)가 접속되고, 데이터선에는 데이터 드라이버(112)로부터 영상 신호에 따른 데이터 신호가 전달된다.
제2 글래스 기반(136)은, 표시 패널의 정면측에 구비되는 글래스로 구성된 기반이며, 상술한 대향 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글래스 기반(136)의 내표면(제1 글래스 기반(134)측)에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컬러 필터(140)가 화소마다 설치된다.
따라서, 표시 패널(108)은, 제1 글래스 기반(134)에 전달되는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따라서, 액정층(138)의 배열을 선택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액정층(138)은,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 액정이나,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패널(108)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06)으로부터 입력되는 광(제1 입력광/제2 입력광)을 이용해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해서 표시부(10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캔 드라이버(110)는, 각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여기서, 스캔 드라이버(110)는, 예를 들면, 발광 제어부(114)로부터 전달되는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선에 선택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12)는, 발광 제어부(114)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제1 영상 신호/제2 영상 신호/제3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각 데이터선에 영상 신호에 따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발광 제어부(114)는, 백라이트 유닛(106)에 대하여,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가 하이 레벨(도 15에 도시하는 H)일 때,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발광시키고, 로우 레벨(도 15에 도시하는 L)일 때,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발광시키지 않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로우 레벨이 0(제로)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발광 제어부(114)는,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가 하이 레벨일 때에만, 제1 발광 신호 및 제2 발광 신호를 백라이트 유닛(106)에 전달한다. 또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 신호(제1 발광 신호, 제2 발광 신호)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발광 제어부(114)는, 제1 서브 프레임에서는, 하이 레벨의 제1 발광 신호를 백라이트 유닛(106)에 전달하고, 하이 레벨의 제2 발광 신호는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서브 프레임에서는, 발광 제어부(114)는 하이 레벨의 제2 발광 신호를 백라이트 유닛(106)에 전달하고, 하이 레벨의 제1 발광 신호는 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106)에서는, 제1 서브 프레임에서 제1 광원(172)이 발광하고, 제2 서브 프레임에서 제2 광원(174)이 발광하게 된다.
발광 제어부(114)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발광 신호(제1 발광 신호, 제2 발광 신호)를 백라이트 유닛(106)에 전달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100)는 1프레임 기간을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제어부(114)는, 영상 신호 처리부(102)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제1 영상 신호/제2 영상 신호/제3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서브 프레임에서, 제1 영상 신호(R 신호) 및 제3 영상 신호(B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112)에 전달한다. 또한, 발광 제어부(114)는, 제2 서브 프레임에서, 제2 영상 신호(G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112)에 전달한다. 그리고, 발광 제어부(114)는, 데이터 드라이버(112)에의 영상 신호의 전달과 동기해서, 스캔 드라이버(110)에 동기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발광 제어부(114)는, 각 서브 프레임에서 광원(제1 광원/제2 광원)이 발하는 광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 패널(108)에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에서는, 상술한 (2-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이 실현된다. 여기서, 발광 제어부(114)는, 예를 들면, 타이밍 컨틀롤러 등을 구비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106), 스캔 드라이버(110), 데이터 드라이버(112) 각각에 각종 신호를 동기해서 전달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표시부(104)를 구비함으로써,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이라고 하는 2종류의 광원을 구비한다. 제1 광원과 제2 광원 중 어느 한쪽이 G 광을 발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또한, 다른 쪽은 B 광을 발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또한, 제1 광원과 제2 광원 중 어느 한쪽이 R 형광체를 구비함으로써, R 광을 실현한다. 여기서, 녹색 발광 다이오드와 청색 발광 다이오드는 유사한 특성을 가지므로, 이들을 광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동작 온도나 경시 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광원이 발하는 광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에서는, 종래의 표시 장치와 같이, 피드백에 의해서 발광 제어를 행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가 예를 들면 가반형의 기기(소위 모바일 기기)에 적용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해당 가반형의 기기의 한층 더한 소형화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상술한 (2-1)에 도시하는 컬러 필터 방식과 상술한 (2-2)에 도시하는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이용함으로써,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 장치(100)는, RGB의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3원색의 광 중에서 2개의 색의 광을 투과시키며 또한 제1 컬러 필터와는 투과시키는 색이 상이한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한다<컬러 필터 방식>. 또한, 표시 장치(100)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1프레임 기간 내에서 선택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1프레임 기간을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100)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발광과 동기해서, 제1 광원이 발하는 광(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또는 제2 광원이 발하는 광(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을 서브 프레임마다 표시한다<필드 시퀀셜 방식>. 상기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 방식과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이용함으로써, 표시 장치(100)는, 서브 프레임마다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을,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표시 장치보다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컬러 필터 방식과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이용함으로써, 유저가 느끼는 밝기를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보다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종래의 컬러 필터 방식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보다도 보다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은, 종래의 필드 시퀀셜 방식보다도 필드 주파수를 2/3 정도로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필드 시퀀셜 방식을 종래의 필드 시퀀셜 방식보다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표시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예를 들면,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컴퓨터, 휴대 전화나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휴대형 통신 장치, WALKMAN(등록상표) 등의 영상/음악 재생 장치, PlayStation Portable(등록상표) 등의 휴대형 게임기, LCD나 DMD 등의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이하에 도시하는 표시 방법은, 표시 장치(100)가 상술한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2종류의 광원과, 상술한 제1 컬러 필터 및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한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표시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0). 여기서, 표시 장치(100)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나, 조작부(도시 생략)로부터 유저 조작에 기초한 소정의 조작 신호가 전달되었는지의 여부 등에 기초하여, 스텝 S100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스텝 S100에서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처리를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100에서 영상을 표시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발광 신호를 제1 광원에 전달한다(S102; 제1 스텝). 여기서, 제1 발광 신호는 제1 광원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이 레벨의 제1 발광 신호를 제1 광원에 전달함으로써 제1 광원을 발광시키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1프레임 기간의 1/2에 상당하는 시간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는, 「(1프레임 기간)>(스텝 S102에서의 소정의 시간)」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발광 신호를 제1 광원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1프레임 기간 내의 소정의 시간 동안 제1 발광 신호를 제1 광원에 전달함으로써, 표시 장치(100)는 제1 서브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스텝 S102에서의 제1 발광 신호의 전달과 동기해서, 제1 광원이 발하는 광(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제1 영상 신호/제2 영상 신호/제3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에 전달한다(S104; 제2 스텝). 여기서, 상기 영상 신호(제1 영상 신호/제2 영상 신호/제3 영상 신호)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가 구비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102)에서 생성된 것이어도 되고, 표시 장치(100)에 입력된 것이어도 된다.
스텝 S102에서의 제1 발광 신호의 전달 및 스텝 S104에서의 영상 신호의 전달이 완료하면, 표시 장치(10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발광 신호를 제2 광원에 전달한다(S106; 제3 스텝). 여기서, 제2 발광 신호는 제2 광원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이다.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이 레벨의 제2 발광 신호를 제2 광원에 전달함으로써 제2 광원을 발광시키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소정의 시간으로서는 스텝 S102와 유사하게, 예를 들면, 1프레임 기간의 1/2에 상당하는 시간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는 1프레임 기간으로부터 스텝 S102에서의 소정의 시간을 뺀 남은 시간을, 스텝 S104에서의 소정의 시간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가 1프레임 기간 내의 소정의 시간 동안 제2 발광 신호를 제2 광원에 전달함으로써, 표시 장치(100)는 제2 서브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스텝 S106에서의 제2 발광 신호의 전달과 동기해서, 제2 광원이 발하는 광(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제1 영상 신호/제2 영상 신호/제3 영상 신호)를 표시 패널에 전달한다(S108; 제4 스텝).
스텝 S102 내지 스텝 S108의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표시 장치(100)는 1프레임 기간을 2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프레임에서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스텝 S106에서의 제2 발광 신호의 전달 및 스텝 S108에서의 영상 신호의 전달이 완료하면, 표시 장치(100)는 영상의 표시를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0). 여기서, 표시 장치(100)는 스텝 S100과 유사하게 영상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나, 조작부(도시 생략)로부터 유저 조작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작 신호가 전달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스텝 S110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스텝 S110에서 영상의 표시를 종료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스텝 S1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표시 화면(표시 패널)에 영상을 계속해서 표시시킨다. 또한, 스텝 S110에서 영상의 표시를 종료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표시 장치(100)는 영상의 표시를 종료한다.
표시 장치(100)는 도 16에 도시하는 표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2-1)에 도시하는 컬러 필터 방식과 상술한 (2-2)에 도시하는 필드 시퀀셜 방식의 쌍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표시 방법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100)는, 어느 한 쪽이 G 광을 발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또한, 다른 쪽이 B 광을 발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구비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는, 도 16에 도시하는 표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방법은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상술한 표시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별도의 광원을 갖는 비발광형의 표시 장치에서) 발광 제어를 위한 피드백계의 불필요화와 고화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8년 7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08-192330호에 개시된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각종 변경, 조합, 서브조합 및 변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동등물의 범주 내에 속하는 한 설계 요건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음을 당업자이면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컴퓨터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computer program)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 매체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 장치
102 : 영상 신호 처리부
104 : 표시부
106 : 백라이트 유닛
108 : 표시 패널
114 : 발광 제어부
120 : 광원
140 : 컬러 필터
170 : 광원 유닛
172 : 제1 광원
174 : 제2 광원

Claims (5)

  1. 적, 녹, 청의 3원색의 광 중에서 청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상기 3원색 중의 제1 색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 제2 색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 및 제3 색에 대응하는 제3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색의 광을 제1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1 발광부와;
    청색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청색 광이 입력되면 적색 출력광을 출력하는 적색 형광체를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상기 제1 입력광 이외의 색의 광을 제2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발광 신호와, 상기 제2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2 발광 신호와, 입력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 중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발광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녹색 광을 상기 제1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녹색 광, 적색 광을 상기 제2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1 컬러 필터는, 청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시안 필터이고, 상기 제2 컬러 필터는, 적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옐로 필터이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1프레임 기간을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발광부에의 상기 제1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발광부에의 상기 제2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고,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와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가 동일 계통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제어부에는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가 생성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표시 장치.
  3.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된 1프레임 기간 중의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에 대하여 적, 녹, 청의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색의 광을 제1 입력광으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제1 발광 신호를 제1 발광부에 전달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의 상기 제1 발광 신호의 전달과 동기해서,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표시 패널에 대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상기 제1 입력광 이외의 색의 광을 제2 입력광으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제2 발광 신호를 제2 발광부에 전달하는 제3 스텝과;
    상기 제3 스텝에서의 상기 제2 발광 신호의 전달과 동기해서,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하는 제4 스텝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청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스텝에서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입력광을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청색 광이 입력되면 적색 출력광을 출력하는 적색 형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스텝에서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입력광을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녹색 광을 상기 제1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청색 광, 적색 광을 상기 제2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1 컬러 필터는, 청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시안 필터이고, 상기 제2 컬러 필터는, 적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옐로 필터이고,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와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가 동일 계통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방법.
  4.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적, 녹, 청의 3원색 중의 제1 색에 대응하는 제1 영상 신호, 제2 색에 대응하는 제2 영상 신호, 및 제3 색에 대응하는 제3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상기 제3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청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전달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상기 제3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1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어도 1개의 색의 광을 제1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1 발광부와;
    청색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청색 광이 입력되면 적색 출력광을 출력하는 적색 형광체를 구비하고, 전달되는 제2 발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상기 제1 입력광 이외의 색의 광을 제2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는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1 발광 신호와, 상기 제2 발광부를 발광시키기 위한 상기 제2 발광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가 생성한 상기 제1 영상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및 상기 제3 영상 신호 중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와,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발광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녹색 광을 상기 제1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청색 광, 적색 광을 상기 제2 입력광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에 입력하고,
    상기 제1 컬러 필터는, 청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시안 필터이고, 상기 제2 컬러 필터는, 적색 광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옐로 필터이고,
    상기 발광 제어부는, 1프레임 기간을 제1 서브 프레임과 제2 서브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발광부에의 상기 제1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1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고,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제2 발광부에의 상기 제2 발광 신호의 출력과 상기 표시 패널에의 상기 제2 입력광에 대응하는 색의 영상 신호의 출력을 동기해서 행하고,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와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가 동일 계통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 기기.
  5. 적, 녹, 청의 3원색의 광 중에서 청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1 컬러 필터와, 상기 3원색의 광 중에서 적색 및 녹색 광을 투과시키는 제2 컬러 필터를 화소마다 구비하고,
    녹색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제1 발광부와;
    청색 발광 다이오드,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청색 광이 입력되면 적색 출력광을 출력하는 적색 형광체, 상기 제1 컬러 필터 및 상기 제2 컬러 필터를 구비하는 제2 발광부
    를 구비하고,
    상기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와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구성하는 기본 재료가 동일 계통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 장치.
KR1020160027315A 2008-07-25 2016-03-07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1714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2330A JP4720865B2 (ja) 2008-07-25 2008-07-25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8-192330 2008-07-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639A Division KR20100011944A (ko) 2008-07-25 2009-07-24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066A KR20160032066A (ko) 2016-03-23
KR101714962B1 true KR101714962B1 (ko) 2017-03-09

Family

ID=415681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639A KR20100011944A (ko) 2008-07-25 2009-07-24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20160027315A KR101714962B1 (ko) 2008-07-25 2016-03-07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639A KR20100011944A (ko) 2008-07-25 2009-07-24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4452B2 (ko)
JP (1) JP4720865B2 (ko)
KR (2) KR20100011944A (ko)
CN (1) CN101635132B (ko)
TW (1) TWI4342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6463A1 (en) * 2009-03-17 2010-09-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of driving colour sequential displays
US8564628B2 (en) * 2011-01-26 2013-10-22 Nokia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JP5971976B2 (ja) * 2011-05-02 2016-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75229B2 (ja) * 2011-12-09 2017-08-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駆動方法
CN102638426A (zh) * 2012-03-19 2012-08-15 航天科工深圳(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频率的通信互连系统及其实现方法
JP2013205661A (ja) * 2012-03-29 2013-10-07 Nichia Chem Ind Ltd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方法
KR101913704B1 (ko) * 2012-04-27 2018-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3956144B (zh) * 2013-12-13 2016-06-08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驱动方法、装置及显示器
KR102101182B1 (ko) * 2013-12-23 2020-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897159B2 (ja) 2014-02-25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4112436B (zh) * 2014-07-07 2016-05-11 复旦大学 一种采用彩色滤光片与场序的彩色液晶图像显示方法
CN104167175B (zh) * 2014-08-06 2016-08-31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器
CN104133320A (zh) * 2014-08-20 2014-11-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彩色液晶显示模组结构及其背光模组
US10013930B2 (en) 2014-12-08 2018-07-03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16161860A (ja) 2015-03-04 2016-09-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043A (ja) * 2005-04-18 2006-11-02 Agilent Technol Inc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40704A (ja) * 2006-12-04 2008-06-19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バックライ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9661B2 (ja) * 2000-11-13 2006-03-01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表示装置、カラー画像表示方法
JP5057692B2 (ja) * 2005-04-27 2012-10-24 サムソン エルイーディ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発光ダイオードを利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657137B1 (ko) * 2005-05-24 2006-12-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티오갈레이트계 녹색 형광체 및 알칼리 토금속 황화물계 적색 형광체를 채용한 백색 발광 소자
JP2007286359A (ja) 2006-04-17 2007-11-01 Sony Corp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方法
JP4805026B2 (ja) * 2006-05-29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発光装置、表示装置及び発光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96923A (ko) * 2010-02-24 2011-08-31 주식회사 루멘스 백색 발광 다이오드 광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043A (ja) * 2005-04-18 2006-11-02 Agilent Technol Inc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140704A (ja) * 2006-12-04 2008-06-19 Stanley Electric Co Ltd Ledバックライ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32626A (ja) 2010-02-12
TWI434266B (zh) 2014-04-11
KR20160032066A (ko) 2016-03-23
US20100020007A1 (en) 2010-01-28
US8264452B2 (en) 2012-09-11
CN101635132A (zh) 2010-01-27
JP4720865B2 (ja) 2011-07-13
TW201007686A (en) 2010-02-16
KR20100011944A (ko) 2010-02-03
CN101635132B (zh)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962B1 (ko)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JP4292242B2 (ja) 帰還回路部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5478826B2 (ja) 表示装置
JP4666397B2 (ja) 反射透過両用型の表示装置
EP2211329A2 (en) Color display unit
US20140036203A1 (en) Light mixture for a display utilizing quantum dots
US20060098033A1 (en) Optimal subpixel arrangement for displays with more than three primary colors
TWI333382B (en) Im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ixel location determining method
JPWO2007091611A1 (ja) 液晶表示装置
JP2007322944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20090059581A1 (en) Display Device
CN108681153B (zh)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07122058A (ja) 可変の光出力を有する発光体を利用するlcdディスプレイ
US10685596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7287385A (ja) 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5273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
KR20100131093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US2003003037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backlight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4527512B2 (ja) 液晶表示装置
CN110007520B (zh) 背光源、背光模组、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11640068B2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176301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657924B2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92349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2015210331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