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093A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093A
KR20100131093A KR1020090049801A KR20090049801A KR20100131093A KR 20100131093 A KR20100131093 A KR 20100131093A KR 1020090049801 A KR1020090049801 A KR 1020090049801A KR 20090049801 A KR20090049801 A KR 20090049801A KR 20100131093 A KR20100131093 A KR 2010013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menu
content object
setting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일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093A/ko
Publication of KR2010013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46Create control program by demonstrating behaviours using widget and inferenc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LED 블록으로 구성되고, 전원이 오프된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복수의 LED 블록 중에서 일부 LED 블록을 이용하여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 DTV를 켜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정보를 TV의 대기 화면에 설정한 내용을 통해 위젯 메뉴로 확인할 수 있고, 화면 전체를 켜지 않아도 되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LED, 로컬 디밍(Local Dimming), 위젯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Lig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isplay Widget type idle-screen}
본 발명은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젯 형 대기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표시장치(flat pannel display)는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되는데, 발광형으로는 음극선과(CRT), 전계 발광(Electro Luminescent;EL) 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nel; PDP) 등이 있고, 수광형으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이 있다. 상기 LCD는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원, 예를 들면 백라이트를 설치하여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LCD용 백라이트는 광원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직하 형(direct type)과 에지(edge) 형으로 구분되며,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가로 길이가 긴 바(bar) 형태의 광원이 도광판 측면에 위치하여 동광 판을 통해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직하 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LCD 패널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면 광원로부터 직접 액정 패널의 전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특히, 직하 형 백라이트 유닛은 LCD 패널의 직하 부에 직접 빛을 조사하므로, LCD 패널의 일부 영역을 주위와는 다른 휘도로 조사하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LED를 광원으로 하여 백색광을 생성하는 방법에는 적녹청(RGB) LED를 광학적으로 믹싱하여 백색광을 생성하는 RGB LED 방법과, 자외선 LED와 적녹청 형광체를 혼합하는 방법, 청색 LED와 황색 형광체를 혼합하는 바이너리 컴플리멘터리(binary complimentary) 방식이 있다.
LED 광원은 종래에 광원으로 사용되었던 냉음극형광램프(CCFL)에 비하여 응답시간이 상당히 빠를 뿐 아니라 수은과 같은 중금속을 함유하지 않고 완전 고체 소자이므로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중에서 RGB LED 방식의 경우 색 표현 능력이 우수하여, 고품위의 LCD TV용 LED 백라이트에 채용된다.
본 발명은 LED TV의 대기 화면 시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이용하여 LED 모듈의 일부분만을 활성화시켜 인터넷 연결을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LED 블록으로 구성되고, 전원이 오프된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복수의 LED 블록 중에서 일부 LED 블록을 이용하여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젯 메뉴의 콘텐츠 오브젝트 및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셋팅하기 위한 오브젝트 구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는 시계, 날씨, 환율, 달력, 주식, 메모장, 지도, 뉴스, 검색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 정보이다.
상기 위젯 메뉴의 콘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하기 위해 인터넷과 연결된다.
상기 위젯 메뉴의 위치를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일부 LED 블록을 활성화시키는 데이터 LED 위치 배열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젯 메뉴는 아이콘, 풀다운 메뉴, 버튼, 선택 상자, 체크 박스, 스크롤 바, 창, 토글 단추, 폼(form) 변경의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오브젝트 구성부는,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오브젝트 중 위젯 메뉴에 표시될 콘텐츠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오브젝트 선택부; 상기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가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 콘텐츠 오브젝트의 방향, 크기 및 간략화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셋팅하는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를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새로이 수신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오브젝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셋팅된 콘텐츠 오브젝트 및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는 전원이 온(on)일 때의 위젯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는 대기 화면 시 위젯 메뉴의 시작, 종류 및 유지 시간을 예약 설정한다.
상기 오브젝트 구성부는 상기 위젯 메뉴의 콘텐츠 오브젝트 및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셋팅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호출한다.
상기 오브젝트 구성부는 상기 호출된 메뉴 화면을 사용자의 ID 및 비밀 번호 를 확인하여 사용자별로 위젯 메뉴를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되어 대기모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및 상기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LED 블록을 이용하여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LED 블록이 구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위젯 모드에 따라 인터넷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젯 메뉴는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오브젝트를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근거하여 생성된다.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는 시계, 날씨, 환율, 달력, 주식, 메모장, 지도, 뉴스, 검색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 정보이다.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오브젝트 중 상기 위젯 메뉴에 등록되는 콘텐츠 오브젝트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가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의 방향, 크기 및 간략화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전원이 온(on) 상태일 때의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위젯 메뉴의 시작, 종료 및 유지 시간의 예약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위젯 메뉴는 콘텐츠 오브젝트를 상기 연결된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젯 메뉴는 아이콘, 풀다운 메뉴, 버튼, 선택 상자, 체크 박스, 스크롤 바, 창, 토글 단추, 폼(form) 변경의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위젯 설정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위젯 설정 모드에 따라 위젯 기능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단계; 인터넷과 연결되어 콘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 오브젝트 중 위젯 메뉴에 등록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뉴 화면 호출 단계에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LED DTV를 켜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정보를 TV의 대기 화면에 설정한 내용을 통해 위젯 메뉴로 확인할 수 있고, 화면 전체를 켜지 않아도 되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메뉴 간의 계층적 이동 없이 한 화면에 원하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정보이용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LED 패키지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선택된 부분은 RGB 타입의 LED 패키지 어레이 광원 모듈을 도시한 것으로, RGB 칩으로부터 출사되는 각각의 고유한 색을 갖는 광을 혼색시켜 백색(White) 광을 구현하는 LED 패키지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하나의 패키지에 동일한 크기 혹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R, G, B 칩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패키지화한 것으로, 백색(White) 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내의 RGB 칩(chip)에서 나오는 각각의 고유한 색을 갖는 광량을 구동회로를 통하여 일정한 비율로 조정해야 백색(White)광이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RGB 칩에서 나오는 각각의 광량을 혼색시켜 백색(White) 광을 구현하는 데에 필요한 RGB 광량의 상대적인 비율은 R:G:B = 3:6:1로 녹색(G)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광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 혹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레드(R), 그린(G), 블루(B) 칩에서 나오는 광량으로 백색(White) 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그린(G)의 광량이 높은 그린(G) 칩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LED 블럭(block)은 로컬 디밍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휘도의 빛을 조명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이를 위해 각 LED 블럭(block)을 개별적으로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 회로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LED 블럭(block)은 각각을 구동하는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어부(40)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온/오프를 판별하여 전원 오프(off) 시 위젯 형 대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최소의 전력을 공급받아 인터넷 연결부(10), 오브젝트 구성부(20), 오브젝트 처리부(30), 메모리(50), 데이터 LED 위치 배열 처리부(60) 및 LED 모듈(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인터넷 연결부(10)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맥어드레스(MAC address) 및 위젯 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콘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한다. 위젯(widget)은 웹 브라우저를 열지 않고도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윈도우(window)를 말한다. 위젯은 아이콘, 풀다운 메뉴, 버튼, 선택 상자, 체크 박스, 스크롤 바, 창, 토글 단추, 폼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자와 커뮤니케이션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용 콘텐츠 오브젝트는 시계, 날씨, 환율, 달력, 주식, 메모장, 지도, 뉴스, 검색 등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 한 부가 정보이다.
오브젝트 구성부(20)는 인터넷 연결부(10)로부터 수신된 위젯용 콘텐츠 오브젝트 중 위젯 기능에 표시될 콘텐츠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입력받아 설정한다.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가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 콘텐츠 오브젝트의 방향, 크기 및 간략화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정보를 포함한다.
메모리(50)는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 및 입력된 위젯의 표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오브젝트 처리부(30)는 오브젝트 구성부(20)에서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를 설정된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근거하여 위젯 메뉴를 생성한다.
데이터 LED 위치 배열 처리부(60)는 오브젝트 처리부(3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 오브젝트의 설정된 위치 정보를 근거하여 LED 모듈(70)의 일부 LED 블록만을 활성화시킨다.
LED 모듈(70)은 대기 상태에서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이용하여 부분 전원이 인가된 LED 화면상에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를 출력하여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 구성부를 구체화한 구성 블럭도이다.
오브젝터 선택부(23)는 연결된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위젯 용 콘 텐츠 오브젝트 중 일부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를 근거한다.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25)는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가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 콘텐츠 오브젝트의 방향, 크기 및 간략화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25)는 콘텐츠 오브젝트의 TV 온(on)일 때의 위젯 모드를 설정하고, TV 대기 화면 시 위젯 기능의 시작 및 종료 예약시간을 설정한다.
오브젝트 업데이트 처리부(27)는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를 연결된 인터넷으로부터 새로이 수신되는 정보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설정 모드의 선택을 입력받는다(S401). 선택된 위젯 설정 모드에 의해 위젯 기능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이 호출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ID 및 비밀 번호를 확인하여 개인별 위젯 메뉴 설정이 가능하다.
인터넷 연결부를 통해 LED TV는 인터넷과 연결된다(S402).
인터넷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콘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한다(S403).
수신된 콘텐츠 오브젝트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위젯 메뉴에 등록할 콘텐츠 오브젝트를 선택한다(S404).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S405).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가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 콘텐츠 오브젝트의 방향, 크기 및 간략화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정보, TV 온(on)일 때의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모드 및 TV 대기 화면 시 위젯 기능의 시작 및 종료 예약 시간, 유지 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설정된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S406).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LED TV의 전원이 오프(off)되어 대기 화면 상태로 변경된다(S501). 이때, 위젯 모드 실행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된다(S502). 그리고 제어부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인터넷과 연결한다(S503).
위젯 모드에 따라 저장된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근거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를 처리한다(504).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는 LED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오브젝트 방향, 크기 및 간략화 등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의 셋팅 값으로 가공된다.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이용한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의 해당 LED 위치 배열 영역에 전원이 공급되어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506).
제어부는 LED TV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변경되는 지를 판단하여(S506), TV 전원이 온(on) 상태 일 때는 해당 위젯 모드의 설정 값으로 구동한다(S507).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이용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로컬 디밍(Local Dimming)에 따른 LED TV의 대기 화면 시 위젯 메뉴(S)는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를 네이케이팅 할 수 있는 표시형태이다. 실제로, 위젯 메뉴(S)는, 시각적으로 링크된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 내에서 오브젝트들의 그룹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한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은 위젯 메뉴(S)에 대응하여 직사각형 형상으로 나타난다. 위젯 형태의 각 오브젝트들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어떠한 기능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제목을 가지는 작은 창으로 구현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알리기 위한 기호, 그림, 아이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일반적인 LED 패키지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 구성부를 구체화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이용한 LED 기반 위젯 형 대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터넷 연결부 20. 오브젝트 구성부
23. 오브젝트 선택부 25.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
27. 오브젝트 업데이트 처리부 30. 오브젝트 처리부
40. 제어부 50. 메모리
60. 데이터 LED 위치 배열 처리부 70. LED 모듈

Claims (27)

  1.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LED 블록으로 구성되고, 전원이 오프된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복수의 LED 블록 중에서 일부 LED 블록을 이용하여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메뉴의 콘텐츠 오브젝트 및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셋팅하기 위한 오브젝트 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는 시계, 날씨, 환율, 달력, 주식, 메모장, 지도, 뉴스, 검색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메뉴의 콘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하기 위해 인터넷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메뉴의 위치를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근거하여 상기 일부 LED 블록을 활성화시키는 데이터 LED 위치 배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메뉴는 아이콘, 풀다운 메뉴, 버튼, 선택 상자, 체크 박스, 스크롤 바, 창, 토글 단추, 폼(form) 변경의 사용자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구성부는,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오브젝트 중 위젯 메뉴에 표시될 콘텐츠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오브젝트 선택부;
    상기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가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 콘텐츠 오브젝트의 방향, 크기 및 간략화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셋팅하는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 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를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새로이 수신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오브젝트 처리부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된 콘텐츠 오브젝트 및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는 전원이 온(on)일 때의 위젯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 설정부는 대기 화면 시 위젯 메뉴의 시작, 종류 및 유지 시간을 예약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구성부는 상기 위젯 메뉴의 콘텐츠 오브젝트 및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셋팅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구성부는 상기 호출된 메뉴 화면을 사용자의 ID 및 비밀 번호 를 확인하여 사용자별로 위젯 메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3. 전원이 오프되어 대기모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및
    상기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LED 블록을 이용하여 위젯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일부 LED 블록이 구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위젯 모드에 따라 인터넷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메뉴는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 오브젝트를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는 시계, 날씨, 환율, 달력, 주식, 메모장, 지도, 뉴스, 검색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콘텐츠 오브젝트 중 상기 위젯 메뉴에 등록되는 콘텐츠 오브젝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가 화면의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의 방향, 크기 및 간략화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전원이 온(on) 상태일 때의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는 상기 위젯 메뉴의 시작, 종료 및 유지 시간의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메뉴는 콘텐츠 오브젝트를 상기 연결된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메뉴는 아이콘, 풀다운 메뉴, 버튼, 선택 상자, 체크 박스, 스크롤 바, 창, 토글 단추, 폼(form) 변경의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5.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위젯 설정 모드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위젯 설정 모드에 따라 위젯 기능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단계;
    인터넷과 연결되어 콘텐츠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 오브젝트 중 위젯 메뉴에 등록할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및
    상기 선택된 콘텐츠 오브젝트의 위젯 기능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 호출 단계에서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KR1020090049801A 2009-06-05 2009-06-05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KR20100131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801A KR20100131093A (ko) 2009-06-05 2009-06-05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801A KR20100131093A (ko) 2009-06-05 2009-06-05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093A true KR20100131093A (ko) 2010-12-15

Family

ID=4350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801A KR20100131093A (ko) 2009-06-05 2009-06-05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09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989B1 (ko) * 2016-01-04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51905A (ko) * 2015-11-03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563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1564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9132409A1 (ko) * 2017-12-29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9637A (ko) * 2018-01-23 2019-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2180627A (zh) * 2019-07-05 2021-01-05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控制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905A (ko) * 2015-11-03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85989B1 (ko) * 2016-01-04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1563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81564A (ko) * 2016-01-0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007381B2 (en) 2016-01-04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9132409A1 (ko) * 2017-12-29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9637A (ko) * 2018-01-23 2019-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9146916A1 (ko) * 2018-01-23 2019-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2180627A (zh) * 2019-07-05 2021-01-05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控制方法
CN112180627B (zh) * 2019-07-05 2024-02-02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显示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1093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위젯 형 대기 화면 표시 방법
EP3299880B1 (en) Display device
KR101714962B1 (ko) 표시 장치, 표시 방법, 및 전자 기기
CN102707487B (zh) 透明显示装置及具有透明显示装置的电子设备
JP4956520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7060666A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画面制御方法
US20070252846A1 (en) Character highlighting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highlighting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209508A (ja) 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134421A (ja) 光源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20070059251A (ko) 광원 구동 장치,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광원 구동 방법
KR102178346B1 (ko) 표시 장치, 이의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JP2009163196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3631552B (zh) 一种实现显示模块节能和精细控制的方法和装置
TWI408652B (zh) 顯示方法與彩色序列式顯示器
JP2007179010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565629B1 (ko) 양방향 표시형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
JP201320051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079543A (ja) 表示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5250444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60413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소비전력 제어방법
WO2010018881A1 (en) Display apparatus for variable picture size
KR100877560B1 (ko) 화면크기 가변형 디스플레이장치
JP200621522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KR20130109819A (ko)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US20110032267A1 (en) Method for increasing frame contrast rat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