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245B1 -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245B1
KR101714245B1 KR1020150149313A KR20150149313A KR101714245B1 KR 101714245 B1 KR101714245 B1 KR 101714245B1 KR 1020150149313 A KR1020150149313 A KR 1020150149313A KR 20150149313 A KR20150149313 A KR 20150149313A KR 101714245 B1 KR101714245 B1 KR 10171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alve
pressure
outlet valv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60T17/222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by filling or bleeding of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60T8/26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with stepped characteristics
    • B60T8/26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using valves with stepped characteristics for hydraulic brak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제동 의지 등을 통해 각 휠에 제동입력이 형성되는 상황에서,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에 증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시켜줌으로써 비증압 휠 실린더 측에 밸브 누유로 인해 형성되는 유압 증가분을 제거함에 따라 불필요한 제동력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ESC 성능을 개선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Apparatus for preventing increase of oil pressure in wheel due to oil leak at valve when ESC is start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동 시스템의 각 휠에 대한 목표 제동 유압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 조정 장치(Hydraulic Control Unit: HCU)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각 휠의 제동 유압을 조정하는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제동을 위한 제동 시스템에서는 운전자 제동 의지에 따라 필요한 유압을 모터 등의 구동을 통해 발생시키며, 모터의 구동으로 발생한 유압을 각 차륜의 휠 브레이크(휠 실린더)로 전달하여 제동력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는 다수의 밸브 및 펌프 등을 포함하는 유압 조정 장치가 포함되며, 이러한 유압 조정 장치를 통해 각 휠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압 조정 장치를 통해 차량 자세 제어(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나 브레이크 잠김 방지(ABS:Anti-lock Brake System)와 같은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 조정 장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축압기(어큐뮬레이터), 펌프, 모터, 마스터 실린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일반적으로 각 브레이크 라인이 2개의 서킷을 이루며, 전륜의 좌측 휠과 후륜의 우측 휠, 전륜의 우측 휠과 후륜의 좌측 휠이 각각 한 조를 이루는 X-서킷 형태로 구현된다.
차량의 선회 시 ESC가 개입하는 상황에서는 각 서킷에서 특정 휠에만 유압이 형성되고, 나머지 휠에는 증압이 불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에 연결된 인렛 밸브는 완전히 닫혀있어야 하지만, 펌프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의 유량으로 인해 인렛 밸브가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압이 불필요한 휠에서도 밸브 누유로 인해 휠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결국 제동이 필요하지 않은 휠에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어 차세 제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9028호(2014. 05. 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가 작동하는 상황에서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에 유압이 형성되어 불필요한 제동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서킷과 또 다른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서킷을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의 유압 조정 장치로써, 상기 유압 조정 장치는,
각 휠 실린더로의 유압을 증압시키기 위한 인렛 밸브; 각 휠 실린더에 형성된 유압을 감압시키기 위한 아웃렛 밸브; 상기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서킷 또는 상기 제2서킷 내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증압 제어가 종료되기 전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적어도 1회 이상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서킷은 전륜 좌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우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이고, 상기 제2서킷은 전륜 우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좌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한 다음, 다시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각 휠 실린더의 상기 인렛 밸브는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 밸브이고, 상기 아웃렛 밸브는 노멀리 클로즈(normally close)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서킷과 또 다른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서킷을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에서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
(a) ESC 상황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ESC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서킷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제1서킷 내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 경우, 제어기에 의해, 증압 제어가 종료되기 전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비증압 휠 실린더의 아웃렛 밸브를 적어도 1회 이상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한 다음, 다시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d) 상기 제2서킷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제1서킷 내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 경우, 제어기에 의해, 증압 제어가 종료되기 전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비증압 휠 실린더의 아웃렛 밸브를 적어도 1회 이상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한 다음, 다시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서킷은 전륜 좌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우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이고, 상기 제2서킷은 전륜 우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좌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각 휠 실린더의 상기 인렛 밸브는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 밸브이고, 상기 아웃렛 밸브는 노멀리 클로즈(normally close)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ESC 상황시 특정 서킷 중 한쪽 휠만의 증압이 필요한 경우, 증압이 불필요한 휠에서 밸브의 오일 누유로 인해 휠에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에 불필요한 제동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ESC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유압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예에서, 제1서킷의 특정 휠에 증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펌프의 토출 유량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예에서,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후륜 우측 휠 측으로 오일 리크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 측의 아웃렛 밸브의 개폐 제어를 시간에 따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순서도이고,
도 7은 증압하고자 하는 휠의 오일 압력 변화 및 해당 구간에서의 아웃렛 밸브 제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제동 의지 등을 통해 각 휠에 제동입력이 형성되는 상황에서,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에 증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써 ESC 상황에서 X-서킷의 특정 서킷에서 하나의 휠만이 증압이 필요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킷 내 일부 휠의 증압이 필요하지 않으며, 밸브 개폐를 통해 유입된 유량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유압 조정 장치의 구조는 제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압 조정 장치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모터/펌프를 포함하는 구조로, ABS(Anti-lock 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ESC 등의 상황 시 휠 실린더 목표 제동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유압 조정 장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축압기, 펌프, 모터 및 압력 센서로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코일에 의한 자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유로를 개폐하여 압력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의 유압 조정 장치 내에 12개의 밸브가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축압기는 각 휠의 아웃렛 밸브 후단에 연결되며, 압력 강하 시 휠 실린더로부터 유출된 유량을 저장하여 압력 감소가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모터 및 펌프는 축압기에 유입된 유량을 토출하는 것으로, 각 휠에 대한 제동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압력 센서는 운전자의 제동 의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터 실린더 압력을 검출하여 밸브를 정밀 제어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유압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1은 차량에서 가속 페달로부터 각 휠로 연결되는 유압 조정 장치의 각 구성들을 유압 라인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유압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은 차량의 4륜을 기준으로 각 휠로의 유압 라인이 "X"자로 배치되는 X-서킷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X-서킷의 경우, 한 쪽 서킷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차량의 스핀을 방지하면서 제동할 수 있도록 대각선 휠끼리 하나의 서킷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X-서킷은 전륜 좌측 휠(이하, FL휠)과 후륜 우측 휠(이하, RR휠)이 하나의 서킷을 이루고, 전륜 우측 휠(이하, FR휠)과 후륜 좌측 휠(이하, RL휠)이 또 다른 서킷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두 서킷은 모터를 기준으로 동일한 구조를 이루는데, 편의상 FL휠과 RR휠이 이루는 서킷을 제1서킷이라 하고, FR휠과 RL휠이 이루는 서킷을 제2서킷이라 하기로 한다.
각 서킷에는 펌프, 축압기 등의 구성과 함께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포함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가속 페달에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모터 및 펌프 측으로 연결된 유로를 단속하는 스위치 밸브(ESV), 펌프로부터 생성된 유압을 각 휠 실린더 측으로 공급하여 각 휠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트랙션 컨트롤 밸브(TCV)를 포함한다.
또한, 각 휠 실린더 측으로는 제동 유압을 증압시키기 위하여 유량을 공급하기 위한 인렛 밸브(IV) 및 감압을 위한 아웃렛 밸브(OV)가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 밸브(ESV) 및 상기 아웃렛 밸브(OV)는 각각 노멀리 클로즈(normally close)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트랙션 컨트롤 밸브(TCV) 및 상기 인렛 밸브(IV)는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압 조정 장치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ESC 차선 변경 또는 원 선회 시 등과 같은 상황에서 서킷의 특정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 상황이 존재한다.
이 경우, 증압이 필요한 휠 실린더는 증압하고, 그렇지 않은 휠 실린더는 증압되지 않도록 유압 조정 장치를 제어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 도 2는 제1서킷의 특정 휠에만 증압이 이루어지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아래 표 1은 도 2에서와 같이 증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각 밸브 및 모터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밸브/모터 구동
IV(Front Left, Normally Open ) Open
OV(Front Left, Normally Close) Close
IV(Rear Right, Normally Open) Close
OV(Rear Right, Normally Close ) Close
ESV(서킷 1, Normally Close) Open
TCV(서킷 1, Normally Open) Close
모터 구동
즉, 위 표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FL휠 측으로만 증압이 필요한 경우, FL휠 측의 인렛 밸브(IV)는 증압을 위해 개방되고, 아웃렛 밸브(OV)는 폐쇄된다. 또한,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RR휠 측 인렛 밸브(IV) 및 아웃렛 밸브(OV)는 모두 폐쇄된다.
이 경우, 모터는 펌프에서의 유량 토출을 위해 구동된다.
한편, 도 3은 펌프의 토출 유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펌프에 의한 토출 유량은 모터 1회전 전체 시간에 걸쳐 토출되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에 토출되어 순간적으로 밸브가 큰 힘을 받게 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펌프의 토출 유량이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 도 2에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RR 휠 측 인렛 밸브(IV)가 펌프의 순간적인 토출 압력으로 인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RR 휠 측 인렛 밸브(IV)가 닫혀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순간적인 누유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RR 휠 측으로 증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에서는 이와 같이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후륜 우측 휠 측으로 누유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비증압 휠 측이 증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OV)를 주기적으로 또는 적어도 1회 이상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써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 측의 아웃렛 밸브(OV)가 주기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x축은 시간 축이고, 초기 점은 서킷의 특정 휠에만 증압이 이루어지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증압 제어가 이루어지는 제어 구간 내에서 비증압 휠의 아웃렛 밸브(OV)는 개방되게 되며, 도 5는 이러한 밸브 개방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아웃렛 밸브(OV)의 개방은 반드시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증압 제어 구간 내에서 적어도 1회 이상 아웃렛 밸브(OV)가 개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아웃렛 밸브(OV)의 개방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웃렛 밸브(OV)가 주기적으로 개방되는 경우라도 밸브의 개방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렛 밸브(OV)는 노멀리 클로즈 밸브로 구성되는 바, 밸브 개방 신호를 인가하여 밸브를 개방시킨 후,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신호를 끊어 밸브가 다시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ESC 상황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이 수행되고, ESC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서킷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반면, ESC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를 종료한다.
상기 제1서킷 내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 경우라면, 증압 제어가 종료되기 전,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비증압 휠 실린더의 아웃렛 밸브(OV)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는 제1서킷을 증압하기 위해 트랙션 컨트롤 밸브(TCV)를 폐쇄하고, 스위치 밸브(ESV)를 개방하는 단계(S120), 증압이 필요한 휠 측을 증압하기 위하여, 해당 휠 측의 인렛 밸브(IV)를 개방하고 아웃렛 밸브(OV)를 폐쇄하는 단계(S130), 및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 측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증압 휠 측 인렛 밸브(IV)를 폐쇄한 상태(즉, 해당 인렛 밸브(IV)에는 닫힘 지령을 내린 상태)에서, 아웃렛 밸브(OV)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2서킷에 대한 제어 또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데, 제2서킷에 대한 제어는 제1서킷의 한 쪽 휠만의 증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또는 제1서킷에 대한 제어가 종료된 이후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서킷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0)가 수행되고, 이를 통해 후속 제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서킷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 경우라면, 제2서킷을 증압하기 위해 트랙션 컨트롤 밸브(TCV)를 폐쇄하고, 스위치 밸브(ESV)를 개방하는 단계(S160), 증압이 필요한 휠 측을 증압하기 위하여, 해당 휠 측의 인렛 밸브(IV)를 개방하고 아웃렛 밸브(OV)를 폐쇄하는 단계(S170), 및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휠 측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증압 휠 측 인렛 밸브(IV)를 폐쇄한 상태(즉, 해당 인렛 밸브(IV)에는 닫힘 지령을 내린 상태)에서, 아웃렛 밸브(OV)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단계(S180)가 수행된다.
각 밸브의 개폐 제어 및 아웃렛 밸브의 개방 방식 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7은 증압하고자 하는 휠의 오일 압력 변화 및 해당 구간에서의 아웃렛 밸브 제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예는 제1서킷의 FL 휠만을 증압하고, RR 휠은 비증압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이러한 도 7에서는 FL 휠의 압력이 증압되는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RR 휠의 아웃렛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RR 휠 측의 휠압 상승을 방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ESV: 스위치 밸브
TCV: 트랙션 컨트롤 밸브
IV: 인렛 밸브
OV: 아웃렛 밸브

Claims (13)

  1.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서킷과 또 다른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서킷을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의 유압 조정 장치로써,
    상기 유압 조정 장치는,
    각 휠 실린더로의 유압을 증압시키기 위한 인렛 밸브;
    각 휠 실린더에 형성된 유압을 감압시키기 위한 아웃렛 밸브;
    상기 인렛 밸브 및 아웃렛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서킷 또는 상기 제2서킷 내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증압 제어가 종료되기 전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적어도 1회 이상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서킷은 전륜 좌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우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이고, 상기 제2서킷은 전륜 우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좌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한 다음, 다시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휠 실린더의 상기 인렛 밸브는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 밸브이고, 상기 아웃렛 밸브는 노멀리 클로즈(normally close)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6.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서킷과 또 다른 두 개의 휠 실린더로 제동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서킷을 포함하는 제동 시스템에서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으로,
    (a) ESC 상황 진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b) ESC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서킷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제1서킷 내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에 의해, 증압 제어가 종료되기 전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비증압 휠 실린더의 아웃렛 밸브를 적어도 1회 이상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한 다음, 다시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d) 상기 제2서킷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제1서킷 내의 휠 실린더 중 어느 하나의 휠 실린더만이 증압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에 의해, 증압 제어가 종료되기 전 증압이 필요하지 않은 비증압 휠 실린더의 아웃렛 밸브를 적어도 1회 이상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c)단계 또는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한 다음, 다시 비증압 휠 실린더 측 아웃렛 밸브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12.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서킷은 전륜 좌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우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이고, 상기 제2서킷은 전륜 우측 휠 실린더 및 후륜 좌측 휠 실린더와 연결되는 서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13.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각 휠 실린더로의 유압을 증압시키기 위한 인렛 밸브는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 밸브이고, 상기 아웃렛 밸브는 노멀리 클로즈(normally close)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제어 방법.



KR1020150149313A 2015-10-27 2015-10-27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KR10171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313A KR101714245B1 (ko) 2015-10-27 2015-10-27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313A KR101714245B1 (ko) 2015-10-27 2015-10-27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245B1 true KR101714245B1 (ko) 2017-03-08

Family

ID=5840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313A KR101714245B1 (ko) 2015-10-27 2015-10-27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437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554B1 (ko) * 1996-05-31 1999-10-15 도오다 고오이찌로 차량 제동 시스템을 사용하는 차량 거동 안정성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ty Controlling Vehicular Attitude Using Vehicular Braking System)
KR20140059028A (ko) 2012-11-07 2014-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esc의 유압시스템
KR20150095836A (ko) * 2012-12-12 2015-08-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제동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차량 제동 시스템용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554B1 (ko) * 1996-05-31 1999-10-15 도오다 고오이찌로 차량 제동 시스템을 사용하는 차량 거동 안정성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ty Controlling Vehicular Attitude Using Vehicular Braking System)
KR20140059028A (ko) 2012-11-07 2014-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esc의 유압시스템
KR20150095836A (ko) * 2012-12-12 2015-08-2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차량 제동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차량 제동 시스템용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437A (ko) *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9183B1 (ko) 2017-10-26 2022-11-2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69141B (zh) 用于运行用于机动车的制动系统的方法以及制动系统
EP3094529B1 (de) Bremsensteuervorrichtung sowie bremsanlage für fahrzeuge
KR101956491B1 (ko)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제어 기기
KR100374091B1 (ko) 안티브레이크시스템및안티슬립레귤레이션시스템을제어하기위한방법과장치
KR20160108349A (ko) 차량들용의 브레이크 시스템
US20070152500A1 (en) Brak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ake
US20070194622A1 (en) Brake control apparatus
JP2020521666A (ja) 完全統合制動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使用した補助減速
KR20200055092A (ko)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두 가지 방법들
US6582034B2 (en) Vehicular brak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1714245B1 (ko) Esc 상황시 밸브 누유로 인한 휠 압력 증가 방지를 위한 유압 조정 장치 및 그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US7758132B2 (en) Braking hydraulic circuit for controlling linear reduction of front/rear wheel braking liquid pressure and solving difference in gradient of front/rear wheel braking pressure in vehicle
US9156454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brake fluid into at least one wheel brake cylinder of a brake system of a vehicle
CN211442275U (zh) 液压式车辆制动设备
CN109789855B (zh) 制动器控制装置
US20130089438A1 (en) Vehicle brake hydraulic control apparatus
US891102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ing system
JP2005247092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4590676B2 (ja) 車両の制動力配分制御方法
JP2005119426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4581638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0826805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993758B (zh) 用于为外力车辆制动系统检验制动液中的空气的方法
US20220363230A1 (en) Electronic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3033985B2 (ja)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