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185B1 - 유압식 작동기 - Google Patents

유압식 작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185B1
KR101713185B1 KR1020150139862A KR20150139862A KR101713185B1 KR 101713185 B1 KR101713185 B1 KR 101713185B1 KR 1020150139862 A KR1020150139862 A KR 1020150139862A KR 20150139862 A KR20150139862 A KR 20150139862A KR 101713185 B1 KR101713185 B1 KR 10171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unit
fluid
valv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5013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2Flow-dividers; Priori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15B20/002Electrical fail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15B20/004Fluid pressure supply fail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6Control during or prevention of abnormal conditions
    • F15B2211/862Control during or prevention of abnormal conditions the abnormal condition being electric or electronic failure
    • F15B2211/8623Electric supply fail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6Control during or prevention of abnormal conditions
    • F15B2211/863Control during or prevention of abnormal conditions the abnormal condition being a hydraulic or pneumatic failure
    • F15B2211/8636Circuit failure, e.g. valve or hose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유압식 작동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압식 작동기는, 유체가 수용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와 제1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1펌프부와, 제1펌프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액추에이터부와, 제1펌프부와 액추에이터부 사이에 위치하여 액추에이터부에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밸브부와, 제1펌프부와 제1밸브부를 연결하는 제1펌프라인과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제1분기라인을 연결하고, 제1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1펌프라인 또는 제1분기라인에 안내하는 방향전환부와, 제1분기라인에 구비되어 제1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압식 작동기{HYDRAULIC ACTUATOR}
본 발명은 유압식 작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유압식 작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식 작동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유압을 이용하여 기계적 힘을 발생시키는 작동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유압식 작동기는 산업기계, 건설기계, 농기계, 산업설비, 로봇, 조선, 자동차 및 항공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유압식 작동기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전자 밸브의 오작동 등이 발생되면, 장치를 더 이상 작동시킬 수 없는바, 해당 유압식 작동기를 적용한 공정이 중단되므로, 장치의 교체, 교환 및 수리에 필요한 상당히 긴 시간 동안 공정을 재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2015-0081775호(2015.07.15 공개, 발명의 명칭: 유압발생장치용 비상사태 검출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압식 작동기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장치 이상 시에도 사용이 가능한 유압식 작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는: 유체가 수용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와 제1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1펌프부; 상기 제1펌프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액추에이터부; 상기 제1펌프부와 상기 액추에이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부에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밸브부; 상기 제1펌프부와 상기 제1밸브부를 연결하는 제1펌프라인과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제1분기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1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상기 제1펌프라인 또는 상기 제1분기라인에 안내하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제1분기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는, 상기 제1펌프라인과 연결되며 유체가 수용되어, 상기 제1펌프라인의 압력이 하강하면 상기 제1펌프라인에 유체를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제1펌프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는 제2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3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밸브부는, 상기 제2분기라인의 유체가 상기 액추에이터부 측으로만 이동되도록 제한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는, 상기 제1분기라인과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공급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유체를 상기 제1분기라인에 공급하는 제2펌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펌프부는, 펌프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펌프손잡이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수동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펌프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제1펌프라인으로 이동시키는 제1펌프; 상기 제1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제1펌프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제1펌프와 상기 방향전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펌프에서 배출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펌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밸브부는, 상기 제1펌프부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부에 전달되는 유체의 양 및 이동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1펌프부로부터 상기 제1밸브에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단속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밸브는,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프로포셔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실린더하우징;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 거리 또는 회전각인 이동측정값을 측정하는 포지션트랜스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포셔널밸브와 상기 포지션트랜스미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는, 상기 포지션트랜스미터에서 측정한 상기 이동측정값이, 상기 프로포셔널밸브에 입력된 상기 피스톤의 목적이동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포지션트랜스미터에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밸브부는, 제2밸브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밸브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수동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는 복수 개의 밸브부를 적용하여, 제1밸브부의 오작동 시 제2밸브부 및 제3밸브부 등을 통하여 유체의 이동 등을 제어함으로써,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펌프부의 작동이 어려운 경우에도 제2펌프부 및 어큐뮬레이터를 적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1)는 저장탱크(100), 제1펌프부(200), 액추에이터부(300), 제1밸브부(400), 방향전환부(500) 및 제2밸브부(600)를 포함한다.
저장탱크(100)에는 오일 등의 유체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탱크(100)는 일측이 개구되어 유체가 수용되는 탱크하우징(110), 탱크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을 덮는 탱크커버(130), 탱크하우징(110) 또는 탱크커버(130)에 결합되며 유체와 접하여 탱크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고 외부에 표시하는 탱크온도측정부(140)와, 탱크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고 자력을 발생시켜 유체에 포함된 금속입자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마그네틱필터(150)와, 후술할 제1공급라인(ℓ215)의 입구 측 단부에 구비되는 흡입필터(170)를 포함한다.
제1펌프부(200)는 저장탱크(100)와 제1공급라인(ℓ215)을 매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저장탱크(100)로부터 유체를 흡입하고, 액추에이터부(300)로 유체를 공급하여, 액추에이터부(300)가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펌프부(200)는 제1펌프(210), 모터부(230) 및 제1펌프필터(250)를 포함한다.
제1펌프(210)는 저장탱크(100)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제1펌프라인(ℓ210)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펌프(210)는 제1공급라인(ℓ215)을 통하여 저장탱크(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모터부(230)에 의하여 작동되어 유체를 제1펌프라인(ℓ210)에 공급한다.
모터부(230)는 전기모터로 예시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력을 전환하여 발생시킨 동력으로 제1펌프(210)를 구동시킨다.
제1펌프필터(250)는 제1펌프라인(ℓ210)에 구비되며, 제1펌프(210)와 방향전환부(500) 사이에 위치하여 제1펌프(210)에서 배출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다.
액추에이터부(300)는 제1펌프부(200)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부(300)는 유압실린더로 예시되며, 실린더하우징(3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330)의 왕복 이동을 이용하여 회전암(rotating arm) 등으로 예시되는 작동암(350)을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하우징(310)은 피스톤(330)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되어 실린더제1라인(ℓ311)을 통하여 유체가 입출되는 제1실(311)과, 피스톤(330)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어 실린더제2라인(ℓ313)을 통하여 유체가 입출되는 제2실(313)을 포함하여, 제1실(311)과 제2실(313)의 압력차를 이용, 피스톤(33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부(300)는 일측에 포지션트랜스미터(PT)가 구비되어 피스톤(330)의 이동 거리 또는 회전 각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피스톤(330)의 목적이동범위와, 포지션트랜스미터(PT)서 측정한 피스톤(330)의 이동측정값을 상호 비교하여, 이동측정값이 목적이동범위에 들어올 때까지 프로포셔널밸브로 예시되는 제1밸브(410)에 입력하는 전압, 전류 등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밸브부(400)는 제1펌프부(200)와 액추에이터부(300) 사이에 위치하여 액추에이터부(300)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액추에이터에 전달되는 유체의 양) 및 진입 경로(제1실(311) 또는 제2실(313)로 전달되는 여부)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밸브부(400)는 제1밸브(410) 및 제1단속밸브(430)를 포함한다.
제1밸브(410)는 제1펌프부(200)로부터 액추에이터부(300)에 전달되는 유체의 양 및 유체의 이동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며, 포지션트랜스미터(PT)에서 피드백된 이동측정값으로 그 동작이 조절되는 프로포셔널밸브로 예시된다.
제1단속밸브(430)는 제1펌프부(200)로부터 제1밸브(410)에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여, 장치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거나, 제1밸브(410)의 고장 등의 경우 제1밸브(410)로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단속밸브(430)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예시되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제1밸브(410) 측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설정됨으로써 제1밸브(410)의 오작동,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의 차단 등의 경우 제1밸브(410) 또는 액추에이터부(300)의 파손을 방지하고 교체, 수리를 용이하게 하며 액추에이터부(300)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방향전환부(500)는 제1펌프부(200)와 제1밸브부(400)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제1펌프라인(ℓ210)과, 액추에이터부(300)에 연결되는 제1분기라인(ℓ800)을 연결하며, 제1펌프부(20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1펌프라인(ℓ210) 또는 제1분기라인(ℓ800)으로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전환부(500)는 삼방밸브로 예시되며, 사용자가 밸브 손잡이를 조작하거나, 전자밸브 등으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여 유체의 이동방향을 전환한다.
제2밸브부(600)는 제1분기라인(ℓ800)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밸브부(600)는 제2밸브손잡이(610)가 구비되어, 제2밸브손잡이(610)의 이동에 따라 제1분기라인(ℓ800)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수동밸브인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작동기는 어큐뮬레이터(700) 및 제3밸브부(800)를 더 포함한다. 어큐뮬레이터(700)는 제1펌프라인(ℓ210)과 연결되며, 내측에 유체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어큐뮬레이터(700)는 내부가 제1펌프라인(ℓ210)과 연통되며, 제1펌프라인(ℓ210)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내측에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큐뮬레이터(700)는 제1펌프부(200)의 오작동, 작동 정지 등의 경우 제1펌프라인(ℓ210)의 압력이 하강하면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제1펌프라인(ℓ210)에 공급한다.
제3밸브부(800)는 제1펌프라인(ℓ210)에서 분기되어 액추에이터부(300)에 연결되는 제2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제3밸브부(800)는 어큐뮬레이터(700)에서 제1펌프라인(ℓ210)에 공급되는 유체가 액추에이터부(300)에 전달되는 것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밸브부(800)는, 제2분기라인의 유체가 액추에이터부(300) 측으로만 이동되도록 제한하는 체크밸브(810)와, 솔레노이드밸브로 예시되며 유체가 제2분기라인을 통하여 체크밸브(810)에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2단속밸브(8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작동기(1)는 제2펌프부(900)를 더 포함한다. 제2펌프부(900)는 제1분기라인(ℓ800)과 저장탱크(100)를 연결하는 제2공급라인(ℓ900)에 구비되며, 저장탱크(100)의 유체를 제1분기라인(ℓ80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펌프부(900)는 제2펌프손잡이(91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2펌프손잡이(910)를 조작하면 액추에이터부(300)에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여부가 변경되는 수동펌프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탱크(100)에 수용된 유체는 제1펌프부(200)가 작동하면 제1공급라인(ℓ215)을 거쳐 방향전환부(500)를 거쳐 제1펌프라인(ℓ210)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저장탱크(100)의 내부에 위치한 마그네틱필터(150), 제1공급라인(ℓ215)의 입구에 구비되는 흡입필터(170) 및 제1펌프필터(250)에 의하여 다중으로 제거된다.
제1펌프라인(ℓ210)으로 전달된 유체는 제1밸브부(400)를 거쳐 유량 및 이동경로가 결정된 후 액추에이터부(300)에 전달되어, 피스톤(330)을 왕복 이동시키며, 제2밸브부(600) 및 배출라인(ℓo)을 거쳐 저장탱크(100)로 복귀한다.
냉각부(1000)는 배출라인(ℓo)에서 유체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 예를 들어 40℃ 이상인 경우 냉각모터(1010)를 구동, 냉각팬(1030)으로 배출라인(ℓo)과 함께 유체를 냉각한다.
장치의 작동 중, 제1밸브(410)의 작동 이상, 파손 등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방향전환부(500)를 조작하여 제1펌프부(200)에서 전달되는 유체가 제1분기라인(ℓ800)을 통해 제2밸브부(6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제2밸브부(600)로 전달된 유체는 사용자가 제2밸브손잡이(61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제1실(311) 또는 제2실(313)로의 진입여부 또는 제1분기라인(ℓ600)을 통한 이동 여부가 결정되므로, 사용자는 제2밸브부(60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액추에이터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제1밸브부(400)를 작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2밸브부(600)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부(30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작동이 가능하다.
유압식 작동기(1)의 작동 중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거나, 장치의 이상 등으로 제1펌프부(200) 등을 작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체가 제1펌프부(200)로부터 제1펌프라인(ℓ210)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러한 경우 제1펌프라인(ℓ210)에 연통된 어큐뮬레이터(700)에 수용된 유체가 제1펌프라인(ℓ210)과의 압력 차이에 따라 배출되어 제1펌프라인(ℓ210)에 유입된다.
제1밸브부(400)의 제1단속밸브(430)의 경우 전력이 차단되면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이러한 초기위치는 제1밸브(410)로의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위치이고, 제2단속밸브(830)의 경우 전력이 차단되면 복귀되는 초기위치에서 체크밸브(810)로의 유입을 허용하므로, 어큐뮬레이터(700)에서 제1펌프라인(ℓ210)에 유입된 유체는 제2단속밸브(830) 및 체크밸브(810)를 거쳐 액추에이터부(3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작동기(1)는 모터부(230) 또는 제1펌프부(200)가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어큐뮬레이터(700)에 수용된 유체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부(300)를 작동 시킬 수 있다.
다만, 어큐뮬레이터(700)에 수용되는 유체는 어큐뮬레이터(700)의 용량 등을 이유로 한계가 있는 바 해당 유체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부(30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예에서 유압식 작동기(1)는 제2펌프부(90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고, 해당 유체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장치에 인가되는 전력이 완전히 차단되더라도, 사용자는 제2펌프손잡이(910)를 조작하여 저장탱크(100)의 유체를 제1분기라인(ℓ800)에 공급하며,
이렇게 공급된 유체는 제2밸브손잡이(61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밸브부(600)에 의하여 유량 및 액추에이터부(300)에 진입되는 경로가 제어되어 액추에이터부(3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1)는 복수 개의 밸브부를 적용하여, 제1밸브부(400)의 오작동 시 제2밸브부(600) 및 제3밸브부(800) 등을 통하여 유체의 이동 등을 제어함으로써,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작동기(1)는 제1펌프부(200)의 작동이 어려운 경우에도 제2펌프부(900) 및 어큐뮬레이터(700)를 적용하여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유압식 작동기 100: 저장탱크
110: 탱크하우징 130: 탱크커버
140: 탱크온도측정부 150: 마그네틱필터
170: 흡입필터 200: 제1펌프부
210: 제1펌프 230: 모터부
250: 제1펌프필터 300: 액추에이터부
310: 실린더하우징 311: 제1실
313: 제2실 330: 피스톤
350: 작동암 400: 제1밸브부
410: 제1밸브 430: 제1단속밸브
500: 방향전환부 600: 제2밸브부
610: 제2밸브손잡이 700: 어큐뮬레이터
800: 제3밸브부 810: 체크밸브
830: 제2단속밸브 900: 제2펌프부
910: 제2펌프손잡이 1000: 냉각부
1010: 냉각모터 1030: 냉각팬

Claims (11)

  1. 유체가 수용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와 제1공급라인으로 연결되어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1펌프부;
    상기 제1펌프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액추에이터부;
    상기 제1펌프부와 상기 액추에이터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부에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밸브부;
    상기 제1펌프부와 상기 제1밸브부를 연결하는 제1펌프라인과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제1분기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1펌프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이동을 상기 제1펌프라인 또는 상기 제1분기라인에 안내하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제1분기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일측이 개구되어 유체가 수용되는 탱크하우징;
    상기 탱크하우징의 개구된 일측을 덮는 탱크커버; 및
    상기 탱크하우징에 구비되고, 자력을 발생시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마그네틱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밸브부는,
    상기 제1펌프부로부터 상기 액추에이터부에 전달되는 유체의 양 및 이동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1펌프부로부터 상기 제1밸브에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을 단속하는 제1단속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는,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프로포셔널밸브이며,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실린더하우징;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및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 거리 또는 회전각인 이동측정값을 측정하는 포지션트랜스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와 상기 포지션트랜스미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는, 상기 포지션트랜스미터에서 측정한 상기 이동측정값이, 상기 제1밸브에 입력된 상기 피스톤의 목적이동범위에 들어가도록 상기 제1밸브에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작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프라인과 연결되며 유체가 수용되어, 상기 제1펌프라인의 압력이 하강하면 상기 제1펌프라인에 유체를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 및
    상기 제1펌프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부에 연결되는 제2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3밸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작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부는,
    상기 제2분기라인의 유체가 상기 액추에이터부 측으로만 이동되도록 제한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작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라인과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2공급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탱크의 유체를 상기 제1분기라인에 공급하는 제2펌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작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펌프부는,
    펌프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펌프손잡이의 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동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수동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작동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프부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유체를 흡입하여 상기 제1펌프라인으로 이동시키는 제1펌프;
    상기 제1펌프를 구동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제1펌프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제1펌프와 상기 방향전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펌프에서 배출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펌프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작동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부는,
    제2밸브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제2밸브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한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수동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작동기.

KR1020150139862A 2015-10-05 2015-10-05 유압식 작동기 KR10171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862A KR101713185B1 (ko) 2015-10-05 2015-10-05 유압식 작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862A KR101713185B1 (ko) 2015-10-05 2015-10-05 유압식 작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185B1 true KR101713185B1 (ko) 2017-03-07

Family

ID=5841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862A KR101713185B1 (ko) 2015-10-05 2015-10-05 유압식 작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1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102A (ja) * 1999-10-01 2001-04-10 Kayaba Ind Co Ltd フェールセーフ回路
JP2004150516A (ja) * 2002-10-30 2004-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舵取機
JP2012500370A (ja) * 2008-08-20 2012-01-0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流体力学的負荷に圧力を供給するための圧力供給装置、および、圧力供給方法
JP2013068260A (ja) * 2011-09-21 2013-04-18 Tadano Ltd 作業車の油圧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102A (ja) * 1999-10-01 2001-04-10 Kayaba Ind Co Ltd フェールセーフ回路
JP2004150516A (ja) * 2002-10-30 2004-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舵取機
JP2012500370A (ja) * 2008-08-20 2012-01-0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流体力学的負荷に圧力を供給するための圧力供給装置、および、圧力供給方法
JP2013068260A (ja) * 2011-09-21 2013-04-18 Tadano Ltd 作業車の油圧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802B1 (ko) 통합 폐루프 제어가 가능한 냉각수 펌프
KR101912801B1 (ko) 통합 폐루프 제어가 가능한 냉각수 펌프
US10961690B2 (en) Work machine
KR20140061269A (ko) 진공 조압 시스템
KR20160046303A (ko) 압력 변환기용 유압 구동 장치
EP2838578B1 (en) A breast pump system
EP1736672A2 (en) Hydraulic circuit for working machine
KR20100134332A (ko) 건설장비의 조작레버 잠금장치
JP5331986B2 (ja) 流体圧機器の駆動検出回路及び駆動検出方法
KR20140050009A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CN102753837A (zh) 用于旋转斜盘泵的控制系统
KR20110076330A (ko) 건설장비의 작동유 냉각시스템
KR102271316B1 (ko) 연료분사밸브의 제어밸브 시험 장치
KR101713185B1 (ko) 유압식 작동기
US20170144245A1 (en) Welding cap cooling water control system
US89349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inimum quantity lubrication
WO2017171022A1 (ja) 故障検知装置
EP2937470A1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996131A1 (en) Pump backstream preventing structur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KR101555539B1 (ko) 건설기계의 엔진 제어방법
JP5786595B2 (ja) 油圧ユニット
JP2010078081A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及びパワーアシスト装置
KR101451110B1 (ko) 건설기계용 유압장비 진단유닛
CN111465738A (zh) 液压机械
JP7228995B2 (ja) 空気圧ポンプ及び当該ポンプへの圧縮ガスの供給を制御するバルブを備える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