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396B1 -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396B1
KR101712396B1 KR1020140193455A KR20140193455A KR101712396B1 KR 101712396 B1 KR101712396 B1 KR 101712396B1 KR 1020140193455 A KR1020140193455 A KR 1020140193455A KR 20140193455 A KR20140193455 A KR 20140193455A KR 101712396 B1 KR101712396 B1 KR 101712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ncave
convex
cut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706A (ko
Inventor
오경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기계
Priority to KR102014019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3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날 마모와 목재 파쇄 하중에 대하여 대항력이 우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회전판의 칼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컷터회전판의 외부로 칼날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목제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에 있어서, 목제파쇄기에 설치되는 컷터회전판과, 상기 컷터회전판에 체결되는 칼대와, 상기 칼대의 결착면에 체결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의 상부로는 칼날의 상면을 지지하며 칼대에 체결되는 요철 결착구와, 상기 요철 결착구의 배면에 구비되는 요철 받침구와, 상기 칼대의 상면에 체결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THE BLADE OF A KNIFE FIXING MECHANISM OF WOOD CHIPPER}
본 발명은 칼날 마모와 목재 파쇄 하중에 대하여 대항력이 우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회전판의 칼날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재 파쇄기에 탑재되는 파쇄유닛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파쇄판이 회전하면서 파쇄판 일 측면의 칼날이 목재를 파쇄하도록 하는 파쇄유닛 즉,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 주위로 여러 개의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원형의 파쇄판과; 상기 각 설치구멍의 일 측 직각면에 배면 중앙의 직각홈이 접속됨으로써 설치구멍 일 측에 비스듬히 배치된 후 파쇄판에 볼트고정되는 칼대와; 상기 칼대의 결착면에 볼트고정되어 절삭파쇄부가 파쇄판 전면으로 돌출되는 칼날과; 상기 파쇄판 후면에 장착되는 여러 개의 송풍날개로 구성되는 파쇄유닛을 배경기술로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파쇄유닛을 본원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제0310220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로 제시한 바 있는데, 위 선행기술은 칼대의 결착면에 칼날을 단순 얹은 상태에서 칼날을 관통하는 볼트를 칼대에 체결하여 칼대가 고정되도록 한 구성이어서, 결착면과 칼날 간에 미끄럼이 생성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또 항 미끄럼(칼대의 고정)을 볼트의 체결로만 감당하고 있으므로 목재 파쇄 시 칼날에 가해지는 파쇄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매우 취약하여 파쇄 도중에 볼트 파손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는 칼날의 급작스러운 이탈을 초래하여 안전사고는 물론 파쇄기의 고장을 유발하는 또 다른 문제를 낳았다.
또한 위 선행기술은 칼대와 컷터회전판의 결합을 볼트 체결로만 감당하고 있어 목제 파쇄시 칼날과 칼대에 가해지는 파쇄하중에 의해 칼대와 컷터회전판을 결합하고 있는 볼트의 휘어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는 칼날의 위치변화로 인해 파쇄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10220호
본 발명은 위 선행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대에 대한 칼날의 고정유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날의 고정유지력 보강구조를 채용하더라도 칼대 및 칼날의 교체작업에 대한 용이성 등과 같은 선행기술의 작용효과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컷터회전판의 외부로 칼날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목제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에 있어서, 목제파쇄기에 설치되는 컷터회전판과, 상기 컷터회전판에 체결되는 칼대와, 상기 칼대의 결착면에 체결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의 상부로는 칼날의 상면을 지지하며 칼대에 체결되는 요철 결착구와, 상기 요철 결착구의 배면에 구비되는 요철 받침구와, 상기 칼대의 상면에 체결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칼대의 결착면 소정 위치에는 오목하게 결착홈이 형성되고,상기 결착홈에는 요철 받침구가 접속 결합되며, 상기 요철 받침구의 정면으로는 요철 결착구가 요철 받침구를 덮는 형상으로 칼대와 결합되되, 상기 요철 받침구의 정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 결착구의 배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면이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컷터회전판에 체결되는 칼대와, 상기 칼대의 결착면에 체결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의 상부로는 칼날의 상면을 지지하며 칼대에 체결되는 요철 결착구와, 상기 요철 결착구의 배면에 구비되는 요철 받침구로 구성되어 목재 파쇄 시 칼날에 가해지는 파쇄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매우 우수하고, 칼대에 대한 칼날의 고정 유지력이 크게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칼대의 상면에 체결되는 받침판을 구성하여 칼날을 통해 칼대로 전해지는 파쇄하중을 컷터회전판으로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컷터회전판에 대한 칼대의 고정 유지력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와 컷터회전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와 컷터회전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의한 목제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요철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와 컷터회전판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와 컷터회전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는 목재 파쇄기에 설치되는 컷터회전판(100)과, 상기 컷터회전판에 볼트 체결되는 칼대(200)와, 상기 칼대에 볼트 체결되는 칼날(210)과, 상기 칼날의 고정 유지력을 강화하는 요철 결착구 및 요철 받침구와, 상기 칼대의 고정 유지력을 강화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컷터회전판(100)은 중앙의 축공(110)과, 배면 가장자리에 구비된 수개의 송풍날개(120)와, 여러개의 설치공(130)을 포함한다.
도 2는 고정장치와 컷터회전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컷터회전판(100)의 설치공(130)에는 칼날(210)이 결합된 칼대(200)가 볼트 고정되되, 상기 칼날의 일부는 컷터회전판(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칼대(200)에는 칼날(210)이 결합되고, 칼날(210)의 상측에는 칼날의 상면을 지지하며 칼날의 고정 유지력을 강화하는 요철 결착구(220) 및 요철 받침구(230)가 구비되며, 칼대(200)의 상면에는 컷터회전판(100)에 대한 칼대의 고정 유지력을 강화하는 받침판(240)이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대(200)는 블럭 형상으로서, 정면으로 칼날(210)이 결합되는 결착면(201)과, 상기 결착면 소정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착홈(202)과, 배면의 직각홈(203)과, 상면의 받침판 결합홈(204)을 포함한다. 상기 결착홈(202)에는 볼트 결합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205)이 형성된다.
칼날(210)은 판 형상으로서, 하단의 절삭 파쇄부(211)와, 중앙의 볼트 관통공(H)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 관통공은 장공 형상이다.
요철 결착구(220)는 판 형상으로서, 배면에 형성된 요철면(B)과, 중앙의 볼트 관통공(H)을 포함한다. 상기 볼트 관통공은 장공 형상이다.
요철 받침구(230)는 판 형상으로서 칼대(200)의 결착홈(202) 형상과 대응되고, 정면에 형성된 요철면(B)과, 중앙의 볼트 관통공(H)을 포함한다.
받침판(240)은 판 형상으로서, 중앙의 볼트 관통공(H)과 배면측 단부의 회전판접촉면(241)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칼대(200)는 배면의 직각홈(203)이 컷터회전판(100) 설치공(130)의 일측과 접촉되며 컷터회전판(100)과 볼트 결합된다.
상기 칼대(200)의 결착면에는 칼날(210)이 볼트 결합되고, 상기 칼날(210)의 상부로는칼날의 상면을 지지하며 칼날의 고정 유지력을 강화하는 요철 결착구(220)가 칼대(200)와 볼트 결합된다. 상기 칼대(200) 결착면에 형성된 결착홈(202)에는 요철 받침구(230)가 접속되어 칼대(200)와 볼트 결합되고, 상기 요철 받침구 정면의 요철면(B)은 요철 결착구(220) 배면의 요철면(B)과 상호 요철 결합되어 칼날을 지지하는 요철 결착구의 위치 고정을 견고하게 한다.
상기 칼대(200)의 받침판 결합홈(204)에는 받침판(240)이 볼트 결합되고, 받침판(240)의 회전판접촉면(241)은 컷터회전판(100)의 정면과 접촉되어 칼날을 통해 칼대로 전해지는 파쇄하중을 커터회전판으로 분산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홈(202)에는 요철 받침구(230)가 결착홈의 내부와 꼭 맞게 볼트 결합된다. 요철 받침구(230의 정면에는 요철 결착구(220)가 위치되어 칼대(200)와 볼트 결합된다. 상기 요철 결착구(220)는 요철 받침구(230)를 덮는 형상으로 칼대(200)와 결합된다.
상기 요철 받침구(230) 정면의 요철면(B)과 요철 결착구(220) 배면의 요철면(B)은 상호 요철 결합되고, 이러한 요철 결합은 요철 결착구(220)와 칼대(200)의 결합력을 매우 견고하게 한다.
상기 요철 결착구(220)는 하측으로 칼날(210)의 상면과 접촉되며 칼날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요철 결착구(220)와 칼대(200)의 견고한 결합은 목재 파쇄 시 칼날에 가해지는 파쇄하중에 대한 칼날의 대응력을 크게 향상 시킨다.
또한 칼날(21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요철 결착구(220), 요철 받침구(230), 칼대(200)를 분리 설계하여 칼날 또는 칼날을 고정하는 결합 부품이 파손되더라도 파손 부품만 교체가 가능하다.
도 6a,6b는 본 발명에 의한 목제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요철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요철 결착구(220)와 요철 받침구(230)의 요철면은 상/하 양측이 경사면(B')으로 형성된 산형일 수 있다. 이러한 산형 요철면은 요철 결착구와 요철 받침구의 접속(맞물리는 상태 등) 면적을 확장시키고, 상호 요철의 맞물림에 의해 칼날을 통해 요철 결착구로 전해지는 파쇄하중을 요철 받침대와 칼대로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
도 6b를 참조하면, 요철 결착구(220)와 요철 받침구(230)의 요철면은 하측이 직각면이고 상측이 경사면(B')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철면은 칼날을 통해 요절 결찰구로 전해지는 파쇄하중에 대해 직각면(B")이 견고하게 대응하고, 경사면(B')은 요철 결착구와 요철 받침구의 접속면적을 확장시켜 칼날의 고정 유지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와 컷터회전판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는 목제파쇄기에 사용된다. 상기 목제파쇄기는 목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파쇠된 목제칩을 송풍하는 공지된 목제파쇄기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칼날 고정장치는 칼날을 칼대에 고정시키고, 칼대는 컷터회전판에 고정되며, 컷터 회전판은 목제파쇄기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목제파쇄기를 장기간 가동시키더라도 칼날과 칼대의 결착력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칼날 또는 칼날을 고정하는 부품의 교환 또한 편리하게 구성되어 목제파쇄기의 가동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컷터회전판 110: 축공
120: 송풍날개 130: 설치공
200: 칼대 201: 결착면
202: 결착홈 203: 직각홈
204: 받침판 결합홈 205: 결합공
210: 칼날 211: 절삭 파쇄부
220: 요철 결착구 230: 요철 받침구
240: 받침판 241: 회전판 접촉면
B: 요철면 B': 경사면
B": 직각면 H: 볼트 관통공

Claims (4)

  1. 컷터회전판의 외부로 칼날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목제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에 있어서,
    목제파쇄기에 설치되는 컷터회전판(100)과,
    상기 컷터회전판에 체결되는 칼대(200)와,
    상기 칼대(200)의 결착면(201)에 체결되는 칼날(210)과,
    상기 칼날(210)의 상부로는 칼날의 상면을 지지하며 칼대(200)에 체결되는 요철 결착구(220)와,
    상기 요철 결착구(220)의 배면에 구비되는 요철 받침구(230)와,
    상기 칼대(200)의 상면에 체결되는 받침판(240)을 포함하고,
    상기 칼대(200)의 결착면(201) 소정 위치에는 오목하게 결착홈(202)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에는 요철 받침구(230)가 접속 결합되며,
    상기 요철 받침구의 정면으로는 요철 결착구(220)가 요철 받침구를 덮는 형상으로 칼대(200)와 결합되되, 상기 요철 받침구(230)의 정면에는 요철면(B)이 형성되고,
    상기 요철 결착구(220)의 배면에는 요철면(B)이 형성되어
    상기 요철면이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칼대(200)의 상면에는 받침판 결합홈(204)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 결합홈에는 받침판(240)이 결합되되,
    상기 받침판은 회전판 접촉면(241)이 컷터회전판(100)의 정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요철 결착구(220) 및 요철 받침구(230)의 요철면에 형성된 요철은 은 상/하 양측이 경사면(B')으로 형성된 산형이거나, 하측이 직각면이고 상측이 경사면(B')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KR1020140193455A 2014-12-30 2014-12-30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KR10171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455A KR101712396B1 (ko) 2014-12-30 2014-12-30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455A KR101712396B1 (ko) 2014-12-30 2014-12-30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706A KR20160080706A (ko) 2016-07-08
KR101712396B1 true KR101712396B1 (ko) 2017-03-13

Family

ID=5650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455A KR101712396B1 (ko) 2014-12-30 2014-12-30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0353A (en) 1986-09-26 1988-09-13 G. Walter Steffens Gmbh & Co. Arrangement for balancing blade assemblies
KR200310220Y1 (ko) * 2002-08-20 2003-04-16 주식회사 유림기계 목재 파쇄기용 컷터회전판의 칼날 결합구조
KR200340028Y1 (ko) 2003-10-23 2004-01-28 진수곤 폐기물 파쇄기의 파쇄롤
US20120305690A1 (en) * 2011-06-06 2012-12-06 David Roy Chipper Strik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T73312A (en) 1992-09-14 1996-07-29 Badeh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integrated circui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0353A (en) 1986-09-26 1988-09-13 G. Walter Steffens Gmbh & Co. Arrangement for balancing blade assemblies
KR200310220Y1 (ko) * 2002-08-20 2003-04-16 주식회사 유림기계 목재 파쇄기용 컷터회전판의 칼날 결합구조
KR200340028Y1 (ko) 2003-10-23 2004-01-28 진수곤 폐기물 파쇄기의 파쇄롤
US20120305690A1 (en) * 2011-06-06 2012-12-06 David Roy Chipper Strik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706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3532B1 (en) Arrangement for floor grinding
ES2257097T3 (es) Soporte de cuchilla mejorado para disco astillador.
WO2011070213A1 (es) Dispositivo de corte para cosechadora de caña de azúcar
CN103537956B (zh) 一种刀剪磨床
KR101712396B1 (ko) 목재 파쇄기용 파쇄유닛의 칼날 고정장치
JP2004532718A5 (ko)
KR20190047836A (ko) 다용도 낫
KR101389947B1 (ko) 절단면 연마휠이 형성된 파이프 절단기
CN106457520B (zh) 一种纤维板研磨工具
JP6163967B2 (ja) 動力工具および先端工具の固定構造
CN105522220A (zh) 多功能摆动式工具头
JP2002058886A (ja) 理容鋏
KR101711794B1 (ko) 일체형의 고정부를 갖는 연마디스크
EP2230046B1 (en) Sanding head adaptable to an angle grinder
CN102728883A (zh) 铣刀装置
KR200310220Y1 (ko) 목재 파쇄기용 컷터회전판의 칼날 결합구조
CN202161260U (zh) 座便器盖板支座的连接组件
KR101225392B1 (ko) 원형 칼날 이송용 지그
KR200462017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KR101272813B1 (ko) 패턴 가공 툴
CN108145228A (zh) 一种风冷式铣刀
CN207915768U (zh) 一种金刚石环形条
CN106238822A (zh) 锯片及设有该锯片的摆动机
JP2015223691A (ja) カップホイール
CN210880308U (zh) 一种金刚石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