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836A - 다용도 낫 - Google Patents

다용도 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836A
KR20190047836A KR1020170142144A KR20170142144A KR20190047836A KR 20190047836 A KR20190047836 A KR 20190047836A KR 1020170142144 A KR1020170142144 A KR 1020170142144A KR 20170142144 A KR20170142144 A KR 20170142144A KR 20190047836 A KR20190047836 A KR 2019004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sickle
cutting
tree
cu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웅
Original Assignee
이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웅 filed Critical 이대웅
Priority to KR102017014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7836A/ko
Publication of KR2019004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4Sick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14Handles; Accessories, e.g. scythe baskets, safety devices

Abstract

다용도 낫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낫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에 일체로 결합되고, 각종 풀이나 나무를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낫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낫 본체는, 상기 자루의 상부에 결합되고,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보조 절단날이 형성되는 제1 절단부;상기 제1 절단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부재를 매개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종 풀이나 나무의 얇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메인 절단날이 형성되는 제2 절단부; 및 상기 제1 절단부의 상부 타측에 상기 제2 절단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낫에 비교적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1 절단부,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2 절단부,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는 도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절단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주로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하기 위하 자주 사용되는 제2 절단부의 파손시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용도 구조를 확보하여 실용성을 높이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낫{MULTIPURPOSE SICKLE}
본 발명은 다용도 낫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절단날의 교체가 가능하면서도 각종 풀은 물론 일정 굵기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고, 나무를 쪼갤 수 있는 다용도 낫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낫은 각종 풀이나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써, 특히 잡초 및 잔가지 제거작업이 많은 농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낫의 일반적인 구조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루와, 이 자루에 일체로 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낫 본체로 구성된다. 한편, 낫 본체에는 각종 풀이나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날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자루를 잡은 상태에서 낫 본체에 의해 각종 풀이나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낫은 각종 풀이나 잔가지의 절단과정에서 낫 본체에 형성된 절단날이 쉽게 마모되거나 또는 파손됨으로써 대다수의 사용자가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절단날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숫돌이나 그라인더와 같은 연마장치에 의해 절단날을 세워 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절단날의 보수작업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절단날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수리가 불가능하였고 이로 인해 낫을 새로 구입해야 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낫의 절단날이 마모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경우에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낫의 구조가 제시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703호(고안의 명칭: 날 교체가 용이한 낫)는, 낫 본체(1)를 하우징(1a)과 일회용 날(1b)로 구성하고 일회용 날(1b)의 마모 또는 파손시 손쉽게 새로운 날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날 교체가 용이한 낫은 잡초, 벼 등을 포함하는 얇은 굵기의 잔가지 등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나, 비교적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일회용 날(1b)이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됨으로써 일회용 날(1b)의 잦은 교체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을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날 교체가 용이한 낫은 일회용 날(1b)이 결합되는 하우징(1a)의 구조가 매우 복잡함으로써 낫의 제조 및 구입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종래의 날 교체가 용이한 낫은 일회용 날(1b)의 절단 범위의 한계로 실용성이 떨어지고, 일회용 날(1b)의 교체 구조 이외에 다른 어떠한 기능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일회용 날(1b)은 구조상 비교적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해 별도의 도끼나 톱을 사용하였으므로, 각종 풀이나 나무의 절단시 일회용 날(1b)에 의한 절단 범위의 한계로 실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다기능의 확보를 통한 제품의 고급화에도 기여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703호(2017.10.1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836호(2015.10.13.,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370호(2010.03.31.,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낫에 비교적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1 절단부,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2 절단부 및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는 도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메인으로 사용되는 제1 절단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제2 절단부의 파손시 신속하게 교체 가능하면서도 각종 풀이나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하고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는 등의 다용도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다용도 낫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조 절단날을 사용하여 절단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면서도 낫의 무게 중심을 확보하여 도끼부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무게를 줄여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다용도 낫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에 일체로 결합되고, 각종 풀이나 나무를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낫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낫 본체는, 상기 자루의 상부에 결합되고,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보조 절단날이 형성되는 제1 절단부; 상기 제1 절단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부재를 매개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종 풀이나 나무의 얇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메인 절단날이 형성되는 제2 절단부; 및 상기 제1 절단부의 상부 타측에 상기 제2 절단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낫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보조 절단날은, 상기 제1 절단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 절단날은, 상기 제2 절단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절단부는, 상기 보조 절단날을 사용하여 절단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완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공은, 상기 제1 절단부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완충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공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공 구조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부에 어느 하나의 구조로 배치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낫에 비교적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1 절단부,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2 절단부,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는 도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절단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제2 절단부의 파손시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용도 구조를 확보하여 실용성을 높이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절단부에 형성된 완충공의 구조에 의해 보조 절단날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제1 절단부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낫의 무게 중심을 확보하여 균형을 유지시키면서도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낫의 정면을 입체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낫의 배면을 입체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낫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낫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0)와, 그리고 낫 본체(20)를 포함한다.
자루(10)는 다용도 낫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자루(10)는 낫의 사용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자루(10)는 낫 본체(20)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도 잘 부러지지 않고 무게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자루(10)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루(10)는 표면에 요철 형상의 미끄럼방지부(1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낫의 사용시 자루(10)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2)에 의해 손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낫 본체(20)는 다용도 낫의 상부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제1 절단부(22)와, 제2 절단부(24)와, 그리고 도끼부(26)를 포함한다.
제1 절단부(22)는 자루(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절단부(22)는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제1 절단부(22)는 제2 절단부(24)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그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보조 절단날(2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절단부(22)는 보조 절단날(22A)에 의해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절단날(22A)은 제1 절단부(22)의 양측에 배치됨에 따라, 낫을 제2 절단부(24) 방향 또는 도끼부(26)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절단부(22)는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완충공(22B)이 형성된다. 완충공(22B)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공 구조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고 다수가 제1 절단부(22)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완충공(22B)은 장공 구조 또는 원형 구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조로 단독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공(22B)은 보조 절단날(22A)을 사용하여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절단시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완충공(22B)은 보조 절단날(22A)에 의해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절단시 제1 절단부(2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제1 절단부(22)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완충공(22B)은 제1 절단부(22)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완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공(22B)은 제1 절단부(22)의 표면 중심부에 배치되는데, 낫은 완충공(22B)의 배치구조에 의해 도끼부(26)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낫은 사용자가 자루(10)를 잡는 경우 제2 절단부(24)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절단부(22)의 무게에 의해 도끼부(26)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완충공(22B)은 제1 절단부(22)의 표면 중심부에 배치되어 낫의 무게 중심을 잡아줌으로써, 사용자가 자루(10)를 잡는 경우 낫이 제1 절단부(22)에 의해 도끼부(26)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완충공(22B)은 제1 절단부(22)의 표면에 다수 형성됨으로써 낫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절단부(24)는 제1 절단부(22)의 상부 일측에 결합부재를 매개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2 절단부(24)는 공지된 결합부재,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에 의해 제1 절단부(22)의 상부 일측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2 절단부(24)의 파손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절단부(24)는 각종 풀이나 나무의 얇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제2 절단부(24)는 제1 절단부(22)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그 하측에 메인 절단날(24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절단부(24)는 메인 절단날(24A)의 파손시 신속하게 교체 가능하면서도 각종 풀이나 나무의 얇은 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절단부(24)는 각종 풀이나 나무의 얇은 잔가지를 절단하는 구조에 의해 낫 본체(20)의 구성 중 가장 많이 사용되게 된다.
도끼부(26)는 제1 절단부(22)의 상부 타측에 제2 절단부(24)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도끼부(26)는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도끼부(26)는 제1 절단부(22)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일정 굵기의 나무를 용이하게 쪼갤 수 있게 된다. 즉, 도끼부(26)는 제2 절단부(24)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절단부(22)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일정 굵기의 나무를 용이하게 쪼갤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낫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낫 본체(20)에 형성된 제2 절단부(24)를 사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자루(10)를 잡은 상태에서 낫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낫의 회전동작시 제2 절단부(24)에 형성된 메인 절단날(24A)에 의해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굵은 나무의 잔가지(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낫 본체(20)에 형성된 제1 절단부(22)를 사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자루(10)를 잡은 상태에서 낫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낫의 회전동작시 제1 절단부(22)에 형성된 보조 절단날(22A)에 의해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보조 절단날(22A)은 제1 절단부(22)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낫을 제2 절단부(24) 방향 또는 도끼부(26)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낫의 양측 방향에서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절단부(22)는 표면 중심부에 다수의 완충공(22B)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완충공(22B)에 의해 보조 절단날(22A)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제1 절단부(22)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공(22B)은 제1 절단부(22)의 표면 중심부에 배치되어 낫의 무게 중심을 잡아줌으로써, 사용자가 자루(10)를 잡는 경우 낫이 제1 절단부(22)에 의해 도끼부(26)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완충공(22B)은 다수 형성됨으로써 낫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굵기의 나무(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를 쪼개는 경우에는 제1 절단부(22)에 일체로 형성된 도끼부(26)를 사용하게 된다. 즉, 도끼부(26)는 제2 절단부(24)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제1 절단부(22)에 의해 일정한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일정 굵기의 나무를 무리없이 원활하게 쪼갤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낫은, 하나의 낫에 비교적 굵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1 절단부(22),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는 제2 절단부(24),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는 도끼부(26)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절단부(24)를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각종 풀이나 얇은 나무의 잔가지를 절단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제2 절단부(24)의 파손시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용도 구조를 확보하여 실용성을 높이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낫은, 제1 절단부(22)에 형성된 완충공(22B)의 구조에 의해 보조 절단날(22A)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제1 절단부(22)의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낫의 무게 중심을 확보하여 균형을 유지시키면서도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자루
12: 미끄럼방지부
20: 낫 본체
22: 제1 절단부
22A: 보조 절단날
22B: 완충공
24: 제2 절단부
24A: 메인 절단날
26: 도끼부

Claims (5)

  1.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자루; 및
    상기 자루에 일체로 결합되고, 각종 풀이나 나무를 절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낫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낫 본체는,
    상기 자루의 상부에 결합되고, 나무의 굵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보조 절단날이 형성되는 제1 절단부;
    상기 제1 절단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부재를 매개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종 풀이나 나무의 얇은 잔가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메인 절단날이 형성되는 제2 절단부; 및
    상기 제1 절단부의 상부 타측에 상기 제2 절단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정 굵기의 나무를 쪼갤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도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낫.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절단날은,
    상기 제1 절단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 절단날은,
    상기 제2 절단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낫.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단부는,
    상기 보조 절단날을 사용하여 절단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완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낫.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완충공은,
    상기 제1 절단부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완충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낫.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은,
    일정길이를 갖는 장공 구조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부에 어느 하나의 구조로 배치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낫.
KR1020170142144A 2017-10-30 2017-10-30 다용도 낫 KR20190047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144A KR20190047836A (ko) 2017-10-30 2017-10-30 다용도 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144A KR20190047836A (ko) 2017-10-30 2017-10-30 다용도 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836A true KR20190047836A (ko) 2019-05-09

Family

ID=6654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144A KR20190047836A (ko) 2017-10-30 2017-10-30 다용도 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78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908A (ko) 2019-12-18 2021-06-28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넝쿨 제거 장치
KR102478837B1 (ko) * 2022-03-14 2022-12-19 주식회사 대경 다용도 낫
KR20240012831A (ko) 2022-07-21 2024-01-30 황경봉 다용도 낫
KR20240040336A (ko) 2022-09-21 2024-03-28 김춘영 접이식 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370Y1 (ko) 2009-06-09 2010-04-07 서태분 만능 낫
KR20150114836A (ko) 2014-04-02 2015-10-13 김영송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KR200484703Y1 (ko) 2016-06-24 2017-10-17 정동환 날 교체가 용이한 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370Y1 (ko) 2009-06-09 2010-04-07 서태분 만능 낫
KR20150114836A (ko) 2014-04-02 2015-10-13 김영송 잡초 제거가 가능한 다용도 낫
KR200484703Y1 (ko) 2016-06-24 2017-10-17 정동환 날 교체가 용이한 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908A (ko) 2019-12-18 2021-06-28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넝쿨 제거 장치
KR102478837B1 (ko) * 2022-03-14 2022-12-19 주식회사 대경 다용도 낫
KR20240012831A (ko) 2022-07-21 2024-01-30 황경봉 다용도 낫
KR20240040336A (ko) 2022-09-21 2024-03-28 김춘영 접이식 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7836A (ko) 다용도 낫
US10442020B2 (en) Saw blade for oscillating tool or handheld tool
KR20140120731A (ko) 와이어가 장착된 예초기 커터날
CN208052133U (zh) 一种木材自动切片抛光装置
KR20110003351U (ko) 전기톱용 톱날구조
KR200448876Y1 (ko) 휴대용 예초기 회전날
KR101734411B1 (ko) 예초기용 커터날
KR200440283Y1 (ko) 예초기용 칼날조립체
JP2015100317A (ja) 回転研磨円盤による玉ねぎのひげ根切り取り装置
CN113677194B (zh) 具有改进的切割性能的修剪器
CN208490230U (zh) 一种割草机刀片组件
US1729365A (en) Felling ax
US3566592A (en) Mower guard
TWM519881U (zh) 割草機之刀片結構改良
CN102405817B (zh) 铣削式清林抚育便捷式多向刀具
KR20160035938A (ko) 예초기 사면칼날
US2337141A (en) Combination weed cutter and hoe
CN210906460U (zh) 一种树枝粉碎机的破碎转子
CN214178076U (zh) 打草机头
KR200494874Y1 (ko) 예초기 칼날
CN207854490U (zh) 一种带锯齿刀具
KR101869933B1 (ko) 중장비용 잡풀 및 잡목 절단장치
US20150306782A1 (en) Chainsaw-type Brush Cutting Assembly
CN209283765U (zh) 一种收割机割刀护刃器
CN209698059U (zh) 一种新型组合车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