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700B1 -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700B1
KR101711700B1 KR1020140081969A KR20140081969A KR101711700B1 KR 101711700 B1 KR101711700 B1 KR 101711700B1 KR 1020140081969 A KR1020140081969 A KR 1020140081969A KR 20140081969 A KR20140081969 A KR 20140081969A KR 101711700 B1 KR101711700 B1 KR 10171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copolymer
weight
compound
methacry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78A (ko
Inventor
성다은
한창훈
최은정
강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8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7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3C3-(meth)acrylate, e.g. (iso)prop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7C7-(meth)acrylate, e.g. heptyl (meth)acrylate or benz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ly one oxygen, e.g. furfuryl (meth)acrylate or 2-methoxy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C08F222/06Maleic anhyd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08F2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08F222/402Alkyl substituted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6Use as polymer for film 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및 광 투과성이 우수하고 높은 위상차 값을 발현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이로부터 제도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위상차 필름은 내열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높은 위상차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의 위상차 값을 가지는 액정 분자를 코팅할 필요 없이 A-플레이트 및 C-플레이트의 보상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IPS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Acrylic copolymer and phase difference fil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열성 및 광 투과성이 우수하고 높은 위상차 값을 발현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래 광학 기술의 발전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 여러 가지 방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 시판되고 있다.
이 중,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은 액정의 초기 배열 및 전기장이 인가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모드로 분류되며, 대표적으로 TN(Twisted Nematic), VA(Vertical Alignmant), IPS(In-Plane Switching),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가 있다. 각 모드는 다른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다른 적용 장치 영역을 갖는다. 생산성은 높지만 시야각이 상대적으로 나쁜 TN 모드는 광시야각 기술이 필요없는 노트북 디스플레이(laptop computer display)나 모니터에 주로 적용되고, 시야각이 좋은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는 광시야각을 구현하는 TV에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VA 모드는 광시야각을 구현하기 위해서 반드시 위상차 필름을 적용해야 하지만 IPS 모드 및 FFS 모드는 위상차 필름을 적용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의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TV가 대형화되면서 IPS 모드와 FFS 모드에 대한 시야각 요구가 발생하고 있어, 위상차 필름의 적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위상차 필름은 광학적으로 굴절률 특성이 등방성(isotropy)이 아닌 이방성(anisotropy)인 필름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시야각을 보상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위상차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광학적 이방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액정 같은 이방성 물질을 코팅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폴리머를 연신하거나 수축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방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은 공정이 복잡해 생산 비용이 많이 들고 광학 특성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연신하거나 수축하는 방법은 위상차 필름의 광학적 특성이 균일하고 코팅하는 방법에 비하여 공정이 단순해 생산 비용이 저렴할 수 있으나, 연신 또는 수축시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폴리머의 열분해가 일어나 결과적으로 위상차 필름의 광학적,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MMA) 수지는 투명성 및 내후성이 뛰어나고, 인장 강도 및 탄성률 등의 기계적 강도, 표면 광택, 접착성 및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장식품, 간판, 조명재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탁월한 투명성으로 인해 광학적 용도의 전자 재료인 위상차 필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내열성이 낮아 이를 압출, 사출 성형, 필름 가공 등의 열 가공 시 열에 의해 열분해가 일어나 광학적,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낮은 내열성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다양한 종류의 단량체(예컨대, 스티렌 및 무수 말레산 또는 말레이미드계 화합물)를 공중합하는 방법이 제안된바 있으나, 성형 가공시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성형 가공 시 성형 온도에 의하여 분해되거나 겔이 생겨 불량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목적하는 정도의 내열성을 내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내열성과 광 투과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높은 위상차 값을 나타낼 수 있는 위상차 필름, 특히 IPS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위상차 필름으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위상차 필름을 연구하던 중, 아크릴계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사이클로펜텐-1,4-디온 유도체 화합물로 구성되는 단량체 혼합물에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소량 첨가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한 결과 높은 유리전이온도(내열성)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위상차 값을 측정한 결과 면 방향 위상차 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 값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JP 2007-261265 A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및 광 투과성이 우수하고 높은 위상차 값을 발현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위상차 값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0.0005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이, 아크릴계 화합물 50 중량%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5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 20 중량% 내지 4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면 방향 위상차 값이 80 nm 내지 120 nm이고,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20 nm 내지 6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62127614-pat00002
[수학식 2]
Figure 112014062127614-pat00003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Nx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가장 굴절율이 큰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Nx 방향의 수직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아크릴계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사이클로펜텐-1,4-디온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이로부터 제조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은 위상차 발현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소량 포함함으로써 이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인성을 높여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성형 가공(예컨대, 연신 공정) 시 열에 의한 분해나, 깨짐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연신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필름은 내열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높은 위상차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의 위상차 값을 가지는 액정 분자를 코팅할 필요 없이 A-플레이트 및 C-플레이트의 보상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IPS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내열성 및 광 투과성이 우수하고 바람직한 위상차 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0.0005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이, 아크릴계 화합물 50 중량%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5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 20 중량% 내지 4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성형 가공(예컨대, 연신 공정)시 발생할 수 있는 열에 의한 분해나, 연신에 의한 깨짐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0.0005 중량부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옥사이드계 화합물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에 겔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할 수 없게 되거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옥사이드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광학적 특성, 내후성 및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에 5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이 50 중량% 미만으로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투명도가 저하되고 기계적 성질 및 내후성에 있어 기대한 효과를 얻을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이 70 중량%를 초과하여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기계적 성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의 공중합을 촉진시키고, 위상 발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에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위상 발현성이 낮고 공중합성의 개선이 부족하여 기대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연신 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의 주사슬은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고, 전자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벤젠 고리(치환체)는 연신 방향에 수직하게 배향되어, 연신 방향으로 배향 굴절율이 가장 낮은 값을 가지게 구현될 수 있어,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이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ρ-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ο-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및 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은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에 20 중량%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이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내열성 향상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의 중합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전술한 옥사이드계 화합물에 의한 열에 의한 분해나, 연신에 의한 깨짐 현상 방지 효과에도 불구하고 중합이 되지 않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은 무수 말레산 및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무수 말레산과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을 3:1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프로필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및 N-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페닐 말레이미드 또는 N-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130℃ 내지 15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 내지 190,000인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의 유리전이온도 범위를 가질 경우,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의 내구성(내열성 포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의 중량평균분자량 범위를 가질 경우에는 내열성, 가공성, 생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는 비정질 고체가 유리와 같은 무른 상태에서 점성이 있는 상태로 변화하는 온도 영역의 중심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저장 탄성율이 저하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손실 탄성율이 저장 탄성율보다 커지게 되는 온도로부터 상기 공중합체 내 사슬의 배향이 완화되어 소실되는 온도까지의 영역을 나타내며, TA Instrument 사의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 mg을 승온속도 10 ℃/min, 질소 플로우 50 cc/min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량평균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은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여 겔 삼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전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캐스트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유화 중합, 음이온 중합 등의 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미소한 이물의 혼입 방지를 위하여 캐스트 중합이나 용액 중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합 시에 전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사이클로펜텐-1,4-디온 유도체 화합물 및 옥사이드계 화합물 이외에 필요에 따라 반응 용제, 중합 개시제, 분자량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라디칼 중합에서 이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오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틸레이트 등의 아조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부틸메르캅탄, 옥틸메르캅탄, 도데실메르캅탄, 디오글리콜산2-에틸헥실 등의 메르캅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0℃ 내지 150℃의 온도 범위에서, 0.5 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상차 필름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면 방향 위상차 값이 80 nm 내지 120 nm이고,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20 nm 내지 6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62127614-pat00005
[수학식 2]
Figure 112014062127614-pat00006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Nx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가장 굴절율이 큰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nx 방향의 수직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위상차(phase difference)"는 광학적 이방체 결정을 통과한 두 광선의 파상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박편의 두께와 두 광파의 방향에서 생긴 굴절률 차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상차는 Axometrics 사의 AxoScanTM을 이용하여 연장 방향과 이의 수직 방향으로 -50°에서 +50°까지 10°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상기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는 각각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하여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상차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무연신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단계 2)를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은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로, 상기 무연신 필름은 용액 캐스팅법(soluion casting) 또는 압출 성형법 등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용액 캐스팅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액 캐스팅법은 재료를 유기 용매에 용해한 용액(도프, dope)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유기 용매에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도프)를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도프)를 코트 행거 타입의 T-다이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제 캐스팅 드럼 또는 벨트에 캐스팅하고, 건조롤에서 건조하고 권취하여 무연신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액(도프) 제조 시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의외에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UV 안정제, 열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첨가제 등의 총 함량은 상기 유기 용매 대비 10 중량%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에탄(dichloroethane) 등의 할로겐화 탄솨수소계; 아세톤(aceto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디에틸케톤(diethylketone),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등의 케톤계; 디이소프로필 에테르(di-isopropyl ether),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1,3-디옥산(1,3-dioxane), 1,4-디옥산(1,4-dioxane) 등의 에테르계; 메틸 아세테이느(methyl acetat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등의 에스테르계; 디메틸 포름아미드(dimethyl fromamide), 디메틸 아세트아미드(dimethyl acetamide) 등의 아미드계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 성형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진공 건조하여 수분 및 용존 산소를 제거한 후, 고무 성분이나 상기의 첨가제 등을 첨가한 후, 원료 호퍼(hopper)로부터 압출기까지를 질소 치환한 싱글 또는 트윈 압출기에 공급하고, 고온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을 얻고, 얻어진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원료 호퍼로부터 압출기까지를 질소 치환한 압출기로 용융한 후, 코트 헹거 타입의 T-다이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을 통하여 제조된 무연신 필름을 연신하여 목적하는 위상차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상기 연신은 종 방향(MD) 연신, 횡 방향(TD) 연신을 각각 행할 수도 있고 모두 행할 수도 있다. 종 방향과 횡 방향을 모두 연신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쪽을 먼저 연신한 후, 다른 방향으로 연신하거나, 또는 두 방향을 동시에 연신할 수도 있다. 상기 연신은 한 단계로 연신하거나, 다단계에 걸쳐 연신할 수도 있다.
또한, 종 방향으로 연신할 경우에는 롤 사이의 속도차에 의한 연신을 행할 수 있고, 횡 방향으로 연신할 경우에는 텐타를 사용할 수도 있다. 텐타의 레일 개시각은 통산 10도 이내로 하여, 횡 방향 연신시 발생하는 보잉(Bowing) 현상을 억제하고 광학축의 각도를 규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연신 공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예컨대 예열 단계, 연신 단계 및 열처리 단계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예열 존, 연신 존 및 열 처리 존을 구비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예열 단계는 이어서 수행되는 연신 단계에서 상기 제조된 무연신 필름이 양호하게 연신될 수 있도록, 상기 무연신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예열 단계에서의 가열은 상기 무연신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를 Tg라 할 때, (Tg-30℃) 내지 Tg 온도 범위에서 일정 온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가열 시간은 필요 이상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1분 내지 10분일 수 있다. 만약, 예열 단계가 상기의 온도 범위 및 가열 시간 조건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무연신 필름이 충분히 연화될 수 있어 연신 시 위상차 값의 편차가 적어질 수 있다. 반면, 예열 단계가 상기의 온도 범위 및 가열 시간 조건을 벗어나 긴 시간 동안 가열될 경우에는 연화 정도가 커서 고배율의 연신이 요구되거나, 충분한 복굴절의 발현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예열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연신 단계는 상기 무연신 필름의 유리전이온도를 Tg라 할 때, (Tg-20℃) 내지 (Tg+30℃)의 온도범위에서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연신 속도 및 연신 배율은 상기 무연신 필름의 두께, 필요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 값 등에 의해 적절이 조절될 수 있으나, 예컨대 상기 연신 속도는 통상 10 %/min 내지 500 %/min일 수 있고, 상기 연신 배율은 통상 1.1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상기 연신 배율이 1.1배 미만일 경우에는 발현되는 복굴절율이 낮아 충분한 위상차 값을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연신 배율이 3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 값의 편차가 커지고 넥인(neck in)이 증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연신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열 처리 단계는 상기 연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열 처리 단계의 온도는 (연신온도-50℃) 내지 (연신온도-1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상차 필름은 IPS(In-Plane Switching) 모드, VA(Vertically Aligned)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ece) 모드, TN(Twisted nematic)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의 모든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PS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IPS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셀 및 상기 액정 셀 양면에 각각 구비된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상차 필름을 제1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에 구비시켜 포함할 수 있고, 제2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 또는 제1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와 제2 편광판과 액정 셀 사이 모두에 구비시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은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 필름, 개환 상호교환 중합(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ROMP)으로 제조된 폴리노보넨계 필름, 개호나 중합된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를 다시 수소 첨가하여 얻어진 HROMP(ring opening metathesis polymerization followed by hydrogenation) 중합체 필름, 폴리에스터 필름, 또는 부가중합(addition polymerization)으로 제조된 폴리노보넨계 필름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PS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막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상차 필름을 보호 필름이 구비된 일체형 편광판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편광막으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PVA)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일체형 편광판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편광막을 합지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편광막의 표면 상에 롤 코터, 그라비어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또는 캐필러리 코터 등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코팅하고, 상기 접착제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상기 위상차 필름과 편광막을 합지 롤로 가열 압착하거나 상온 압착하여 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PBA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계(SBR) 접착제 또는 핫 멜트형 접착제 등일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에 의해 황변되지 않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5,000 cps 이하의 저점도형인 것일 수 있으며,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400 nm 내지 800 nm에서의 광 투과도가 9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대신에 충분한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점착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는 합지 후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하여 충분히 경화가 일어나 기계적 강도가 접착제 수준으로 향상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상기 점착제로는 광학 투명성이 우수한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킬에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변성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등과 여기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를 첨가한 경화형 점착제 등일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 중량%, 무수 말레산 30 중량%, N-페닐 말레이미드 10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는 TA Instrument 사의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 mg을 승온속도 10 ℃/min, 질소 플로우 50 cc/min의 조건에서 측정하였으며, 상기 중량평군분자량은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여 겔 삼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녹여 고형분 40%의 도프를 만들고, 용액 캐스팅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연신하여 두께 30 ㎛의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위상차 필름은 Axometrics 사의 AxoScanTM을 이용하여 연장 방향과 이의 수직 방향으로 -50°에서 +50°까지 10°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상기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는 각각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하여 얻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 무수 말레산 15 중량%, N-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 5 중량% 및 스티렌 10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5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얻었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 무수 말레산 16 중량%, N-페닐 말레이미드 7 중량% 및 스티렌 7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5 중량부의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얻었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0 중량% 및 스티렌 10 중량%를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얻었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90 중량% 및 스티렌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군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얻었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 중량%, 무수 말레산 40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얻었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 중량%, N-페닐 말레이미드 40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얻었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5 중량%, N-페닐 말레이미드 30 중량%, N-페닐 말레이미드 10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를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위상차 필름 제조 공정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6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 무수 말레산 15 중량%, N-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 5 중량% 및 스티렌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5 중량부의 디비닐벤젠을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위상차 필름 제조 공정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7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 무수 말레산 15 중량%, N-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 5 중량% 및 스티렌 1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5 중량부의 1,6-헥산디올 디메나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150℃에서 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와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리전이온도 및 중량평균분자량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후, 수득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위상차 필름 제조 공정을 수행하였다.
구분 유리전이온도(Tg, ℃) 중량평군분자량(g/mol) Rin Rth 필름 상태
실시예 1 140 156000 104 43 -
실시예 2 136 186000 97 41 -
실시예 3 138 163000 97 38 -
비교예 1 118 132000 71 78 -
비교예 2 120 142000 71 78 -
비교예 3 135 150000 32 5 -
비교예 4 142 160000 45 40 -
비교예 5 137 136000 - - 깨짐
비교예 6 138 - - - 겔 발생
비교예 7 136 112000 - - 깨짐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비교예 1 내지 7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유리전이온도(내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높은 중량평균분자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위상차 필름의 면 방향 및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을 측정한 결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과 비교하여 현저히 차이 나는 높은 위상차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수 말레산 및 N-치환 말레이미드를 포함하지 않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위상차 필름(비교예 1 및 비교예 2)은 낮은 유리전이온도(내열성)와 중량평균분자량을 나타낼 뿐 아니라 목적하는 위상차가 발현이 되지 않았으며, 무수 말레산 및 N-치환 말레이미드를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고 무수 말레산 또는 N-치환 말레이미드만 포함시켜 제조한 아크릴게 공중합체(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유리전이온도(내열성)와 중량평균분자량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유사하였으나, 목적하는 정도의 높은 위상차가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수 말레산과 N-치환 말레이미드를 혼합 사용하였으나,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거나 상기 화합물과 다른 킬레이트제를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비교예 5 내지 7)는 이를 이용하여 위상차 필름을 제조할 시 필름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깨지거나, 아크릴계 공중합체 내부에 겔이 형성되어 용융되지 않아 필름을 제조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Claims (13)

  1.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 중량부 내지 0.0005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이,
    아크릴계 화합물 50 중량% 내지 70 중량%;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5 중량% 내지 10 중량%; 및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 20 중량% 내지 4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α-메틸스티렌, ρ-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ο-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및 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티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펜텐-1,4-디온의 유도체 화합물은 무수 말레산 및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무수 말레산과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을 3:1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N-치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은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프로필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및 N-사이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
  10. 청구항 1에 기재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130℃ 내지 150℃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150,000 내지 19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2. 청구항 10에 기재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면 방향 위상차 값이 80 nm 내지 120 nm이고,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20 nm 내지 6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수학식 1]
    Figure 112014062127614-pat00008

    [수학식 2]
    Figure 112014062127614-pat00009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Nx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가장 굴절율이 큰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Nx 방향의 수직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IPS(In-Plane Switching) 모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KR1020140081969A 2014-07-01 2014-07-01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KR10171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69A KR101711700B1 (ko) 2014-07-01 2014-07-01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969A KR101711700B1 (ko) 2014-07-01 2014-07-01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78A KR20160003478A (ko) 2016-01-11
KR101711700B1 true KR101711700B1 (ko) 2017-03-02

Family

ID=5516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969A KR101711700B1 (ko) 2014-07-01 2014-07-01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7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9096A (ja) 2007-05-31 2008-12-11 Nippon Shokubai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051950A (ja) * 2007-08-27 2009-03-12 Nippon Shokubai Co Ltd 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9124B2 (ja) 2006-03-01 2013-03-06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クリル系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及びアクリル系樹脂成型品
JP5630852B2 (ja) * 2010-06-30 2014-11-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アクリル系共重合体を含む光学フィルム
KR101497180B1 (ko) * 2011-04-01 2015-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강도가 향상된 광학 필름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ips 모드용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9096A (ja) 2007-05-31 2008-12-11 Nippon Shokubai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051950A (ja) * 2007-08-27 2009-03-12 Nippon Shokubai Co Ltd 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78A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9261B2 (ja) 光学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光学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105423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전자 장치
KR101594339B1 (ko) 광학 보상 필름, 위상차 필름 및 복합 편광판
CN102272640B (zh) 光学膜和包括该光学膜的液晶显示器
KR101042213B1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11745B1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123007B1 (ko) 투명한 수지 조성물
KR101285159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KR20170008478A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4238602A (ja) 位相差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一体型偏光板
JP2010054750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206721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804298B2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及び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
KR101188751B1 (ko) 파지티브 복굴절을 갖는 아크릴계 위상차 필름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61616B1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243716B1 (ko) 접착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40000431A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711700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KR101477847B1 (ko) 광학필름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JP2012068430A (ja) 位相差フィルム
KR20100000697A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174694B1 (ko)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JP5664736B2 (ja) 光学補償フィルム
KR101146169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101197018B1 (ko)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