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425B1 -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425B1
KR101711425B1 KR1020140184734A KR20140184734A KR101711425B1 KR 101711425 B1 KR101711425 B1 KR 101711425B1 KR 1020140184734 A KR1020140184734 A KR 1020140184734A KR 20140184734 A KR20140184734 A KR 20140184734A KR 101711425 B1 KR101711425 B1 KR 10171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articles
air
pad
delete dele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133A (ko
Inventor
김선태
김한수
전정현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425B1/ko
Priority to PCT/KR2015/013953 priority patent/WO2016099206A1/en
Publication of KR2016007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1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by 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Concentrating sample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22Ion mobility spectrometry
    • G01N27/623Ion mobility spectrometry combined with mass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2001/222Other features
    • G01N2001/2223Other features aerosol sampl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5Concentrating samples by solubility techniques
    • G01N2001/4061Solvent 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정전기 효과에 의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대전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 상기 패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패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이용하면 상기 대전된 패드에 의해 미세입자를 간이하고 손쉽게 포집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미세입자가 포집된 패드를 증류수에 넣어 미세입자를 탈착시키면 상기 증류수를 통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FINE PARTICLES SAMPLING APPARATUS AND ANALYSIS METHOD OF FINE PARTICL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기 효과에 의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대전된 패드를 이용한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 각종 산업 폐기물의 방류, 다량의 생활 쓰레기 배출 및 소각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 등으로 인해 인간에게 유해한 미세입자들이 공기 중에 다량 분포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대에서는 크기 20μm 이하의 미세한 모래나 먼지가 우리나라로 들어와 이를 흡입하는 경우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눈병, 면역 기능 약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고, 그 미세입자 속에는 마그네슘이나 규소와 같은 중금속 물질들도 포함되어 있어 인간 및 자연에게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세입자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수시로 포집하여 미세입자의 양이나 구성 성분 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24427호에 개시된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미세입자가 포함된 공기를 포집장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하여 진공펌프를 이용하고 있고, 또한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포집장치 내부로 유도하는 유입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01446호에 개시된 미세입자 포집장치도 공기가 유입되는 입경분립장치와 상기 입경분립장치를 통해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먼지 또는 미세분진 측정기의 경우에도 장치 내에 흡입식 펌프가 내장되어 있어 이를 통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여지에 필터링하여 여지에 존재하는 물질의 무게를 측정하거나 각종 센서와 반응시킴으로써 미세입자를 포집 및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미세입자를 분석하기 위해 이와 같이 하나의 장치 내에 펌프 및 유입구와 같은 구성을 포함시키는 것은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하고, 많은 비용을 발생시키며, 펌프의 구동을 위해 별도의 전압원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1-0124427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014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함이 없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위하여 대전된 패드를 이용한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정전기 효과에 의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대전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 상기 패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패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패드는 코로나 방전 처리가 된 것이거나, 실리콘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공기 유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만을 포집하기 위하여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거나, 상기 패드에 미세입자가 포집된 후 상기 패드로부터 미세입자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관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대전된 패드, 받침부재,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미세입자를 분석하려는 장소에 비치하는 단계;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상기 미세입자 포집장치에서 미세입자가 포집된 상기 패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패드를 증류수가 담긴 용기에 넣어 상기 패드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증류수에 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를 통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를 탁도계에 넣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이거나,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에 X선을 조사하여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를 입도분석기에 넣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에 왕수를 넣은 후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공기 중에 중금속의 존재 유무 및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또는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를 배지에 접종하고 상기 배지에서 미생물을 배양시켜 공기 중에 미생물의 존재 유무 및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정전기 효과 내지는 패드 자체의 점착성만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때문에 간이하고 경제적으로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구성이 가능하여 공간적 제약 없이 미세입자의 포집이 가능하다.
또한, 패드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증류수가 담긴 용기에 넣어 탈착시키면,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를 통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양, 구성 성분, 크기 분포를 분석해내거나, 공기 중에 중금속 존재 유무 및 성분, 미생물의 존재 유무 및 종류를 분석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A-A'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패드를 대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미세입자 포집장치의 구성 중 패드 및 받침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A-A'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10), 패드(10)를 수용하기 위한 받침부재(20), 받침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0), 지지부재(3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면(40), 지지부재(3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50),및 보관용기(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에 사용되는 패드(1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패드(10)에 포집하기 위해 대전시킬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패드를 대전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또는 패드가 될 재료)(10)를 롤러(roller)(70) 상에 위치시킨 후, (+)전극은 패드(1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하고 롤러(70)는 접지면과 연결시킨다. 그런 다음 (+)전극과 롤러(70) 사이에 전압(직류 또는 교류 전압)을 인가하고, 패드(10)를 롤러(70)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시켜 가면서 대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대전된 패드(1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크기로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패드(10)를 대전 및 성형함으로써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정전기 효과에 의해 패드(10)의 표면 상에 포집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의 일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에 사용되는 패드(10)는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은 두 전극 사이에 높은 전압을 가할 때 전계가 집중된 부위의 주변 기체가 국부적으로 이온화되어 플라즈마를 형성하며 발광하는 방전 형태로서, 패드(10)에 코리나 방전 처리를 가하면 패드(10)의 특성은 변화되지 않은 채 표면만이 개질되어 표면유분이 제거되고 점착성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코로나 방전 처리가 된 패드(1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정전기 효과에 의해 포집할 수 있는 능력이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에 사용되는 패드(10)는 실리콘 패드(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패드(10)는 실리콘으로 제작한 반투명성 패드로서, 패드(10)를 실리콘으로 제작하게 되면 실리콘 재료 자체의 점착성 때문에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패드(10)에 포집하기 쉬워지고, 또한 실리콘 재질이 말랑말랑하여 추후 분석을 위해 미세입자가 포집된 패드(10)를 수집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1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20)를 포함한다.
이 때 받침부재(20)에는, 받침부재(20)에 수용된 패드(10)가 받침부재(20)의 상면 뿐 아니라 하면으로도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위해 받침부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10)가 위치하는 중심 부분이 십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20)는 적어도 하나의 패드(10)가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층층히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배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30)는 도 4에 나타낸 받침부재(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25)을 관통하는 형태로 받침부재(20)와 결합하거나, 받침부재(20)의 외주연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편(미도시)과 끼움결합하는 형태로 받침부재(2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20)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25)이나 결합편 등을 통해, 층층히 배치되어 있는 받침부재(20) 상호간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20)를 지지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기둥 모양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지지부재(30)의 하측 단부는 받침면(4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받침면(40)은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직립으로 세울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지지부재(30)의 상측 단부는 덮개(50)와 결합될 수 있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에는 강하하는 입자와 부유하는 입자가 있는데, 지지부재(30)의 상측 단부에 덮개(50)가 결합된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만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며(즉, 강하하는 입자는 포집하지 않기 위한 용도임), 또한 미세입장 포집장치를 실외에 설치할 때 빗물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대전된 패드(10)에 의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한 후, 상기 패드(10)로부터 미세입자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관용기(60)에 담아 이동 및 회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된 패드(10), 받침부재(20), 지지부재(30)를 포함하는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미세입자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를 미세입자를 분석하려는 장소에 비치한다(S110).
다음으로,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상기 미세입자 포집장치에서 미세입자가 포집된 패드(10)를 수집한다(S120). 이 때, 패드(10)에 포집된 미세입자가 패드(10)로부터 되도록 적게 탈착되도록 핀셋 등을 이용하여 받침부재(20) 상에 위치해 있는 패드(10)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집된 패드(10)를 증류수가 담긴 용기(미도시)에 넣어 상기 패드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증류수에 탈착시킨다(S130). 이와 같이 함으로써,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는 미세입자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료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를 통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분석한다(S140).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또는, 상기 증류수가 담긴 용기)를 탁도계에 넣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탁도계는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미세입자의 상태를 정량적으로 계측하는 측정기로써,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또는, 상기 증류수가 담긴 용기)를 탁도계에 넣으면 상기 증류수를 투과하는 빛이 미세입자에 의하여 반사 또는 산란되고, 그 반사 또는 산란되는 정도를 표준액과 비교하면 상기 증류수 내에 탈착된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다른 방법으로,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또는, 상기 증류수가 담긴 용기)에 X선을 조사하여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는, 탈착된 미세입자가 포함된 용기에 X선을 조사하여 미세입자의 원자들과 충돌로 인한 보강간섭을 측정함으로써 원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방법(XRD)과, 탈착된 미세입자가 포함된 용기에 X선을 조사하여 미세입자의 전자를 여기시켰다가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방출되는 광을 측정하는 방법(XRF)이 있으며, 이를 통해 미세입자의 구성 성분을 분석해 낼 수 있다.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또는, 상기 증류수가 담긴 용기)를 입도분석기에 넣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크기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입도분석기에는 체를 이용하는 방법, 전압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레이저를 방사하여 입자들에서 일어나는 회절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의하면 확인하려고 하는 미세입자 각각의 크기 분포를 분석해낼 수 있다.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에 왕수를 넣은 후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공기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왕수는 진한 질산 1부피와 진한 염산 3부피가 혼합된 자극성 냄새가 나는 노란색의 액체로써 대부분의 금속을 용해시킬 수 있는 강한 산화제이고,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는 시료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에 관한 정성적, 정량적인 정보 및 동위원소의 구성비 등 다양한 화학적 분석 값을 산출해낼 수 있는 기기이다. 따라서, 왕수 및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를 이용하면 공기 중에 중금속의 존재 유무 및 그 성분을 분석해낼 수 있다.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를 배지에 접종하고 상기 배지에서 미생물을 배양시켜,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 안에 미생물의 존재 유무 및 그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입자 포집장치는 대전된 패드의 정전기 효과 내지는 패드 자체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때문에, 펌프나 유입구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간이하고 경제적으로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구성이 가능하여 공간적 제약 없이 미세입자의 포집이 가능하다.
또한, 패드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증류수가 담긴 용기에 넣어 탈착시키면, 그 미세입자가 탈착된 증류수(또는, 상기 증류수가 담긴 용기)를 통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의 양, 구성 성분, 크기 분포를 분석해내거나, 공기 중에 중금속 존재 유무 및 성분, 미생물의 존재 유무 및 종류 등을 분석해낼 수 있다.
10: 패드
20: 받침부재
25: 관통공
30: 지지부재
40: 받침면
50: 덮개
60: 보관용기
70: 롤러

Claims (12)

  1.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미세입자 포집장치에 있어서,
    정전기 효과 및 점착성에 의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대전된 복수개의 실리콘 패드;
    상기 복수개의 실리콘 패드 각각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리콘 패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재와 결합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재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편과 끼움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재와 결합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실리콘 패드는 중력에 의하여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안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받침부재 중 상호 이웃한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사이에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가 상기 상호 이웃한 받침부재와 받침부재 사이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에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안치된 상기 실리콘 패드의 하면에도 포집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리콘 패드의 하면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기 위한 공기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실리콘 패드에 공기 중에 강하하는 미세입자는 포집되지 않고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입자만이 포집되도록, 덮개가 결합되고,
    상기 패드에 미세입자가 포집된 후 상기 패드로부터 미세입자가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에 체결되는 보관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포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코로나 방전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포집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84734A 2014-12-19 2014-12-19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 KR10171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34A KR101711425B1 (ko) 2014-12-19 2014-12-19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
PCT/KR2015/013953 WO2016099206A1 (en) 2014-12-19 2015-12-18 Method of analyzing dust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use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734A KR101711425B1 (ko) 2014-12-19 2014-12-19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33A KR20160075133A (ko) 2016-06-29
KR101711425B1 true KR101711425B1 (ko) 2017-03-02

Family

ID=5612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734A KR101711425B1 (ko) 2014-12-19 2014-12-19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1425B1 (ko)
WO (1) WO20160992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313B1 (ko) * 2017-05-26 2018-12-11 주식회사 에어웍스 미세입자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03B1 (ko) * 2017-09-0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로졸 샘플링 장치 및 그 방법
CN108445061B (zh) * 2018-03-19 2020-10-02 广东华晟安全职业评价有限公司 一种检测空气中锡及其化合物的测定方法
CN114034756A (zh) * 2020-12-29 2022-02-11 西安石油大学 一种大气中有机化合物高效采集及快速质谱分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187Y2 (ja) * 1990-02-17 1996-10-30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薬品含浸フィルタを用いたガス中の特定成分捕集装置
US20120302907A1 (en) 2009-09-09 2012-11-29 Sensa Bues Ab System and Method for Drug Detection in Exhaled Breath
JP3194967U (ja) 2014-10-09 2014-12-18 株式会社ポータ工業 微物吸着採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328Y2 (ja) * 1989-05-27 1997-04-30 株式会社 堀場製作所 薬品含浸フィルタを保持するためのフィルタホルダ
GB2269668A (en) * 1992-08-14 1994-02-16 British Tech Group Passive dust sampler
KR101118184B1 (ko) 2010-05-11 2012-03-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입자의 분리 및 포집장치
KR101278150B1 (ko) 2011-06-27 2013-06-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공관을 갖는 미세먼지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187Y2 (ja) * 1990-02-17 1996-10-30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薬品含浸フィルタを用いたガス中の特定成分捕集装置
US20120302907A1 (en) 2009-09-09 2012-11-29 Sensa Bues Ab System and Method for Drug Detection in Exhaled Breath
JP3194967U (ja) 2014-10-09 2014-12-18 株式会社ポータ工業 微物吸着採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313B1 (ko) * 2017-05-26 2018-12-11 주식회사 에어웍스 미세입자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133A (ko) 2016-06-29
WO2016099206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425B1 (ko) 미세입자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분석하는 방법
Bacon et al. Atomic spectrometry update–a review of advances in environmental analysis
US9417163B2 (en) Analyzer for substance
WO2009057256A1 (ja) 呼気分析方法
CN107921443B (zh) 带纳米颗粒浓度和粒度测定器件的气溶胶中颗粒收集装置
EP1517129A3 (en) Analyzing apparatus and fine particle collecting apparatus
CN1453569A (zh) 用于测定大气中悬浮颗粒物的方法
Schilling et al. Continuous simultaneous detection in mass spectrometry
Lee et al. Overview on industrial recycling technologie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end-of-life fluorescent lamps in Taiwa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US10799883B2 (en) Method for the selective purification of aerosols
Li et al. Novel wire-on-plate electrostatic precipitator (WOP-EP) for controlling fine particle and nanoparticle pollution
US2017021946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vapor sampling
US8585799B2 (en) Air pre-treatment device
Mostofi et al. Impact of two particle measurement techniques on the determination of N95 class respirator filtration performance against ultrafine particles
Marconi et al. Determination of Sb (III), Sb (V) and identification of Sb-containing nanoparticles in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ltundag et al. The use of a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heavy metal analysis of house dusts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Evans et al. Atomic spectrometry update. Advances in atomic emission,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ometry and related techniques
JP6540064B2 (ja) 微粒子サンプリング方法および微粒子分析方法
KR20150012535A (ko) 탄소입자 시료채취용 필터 팩 및 이를 이용한 탄소질량 측정방법
JP2015206669A (ja) 捕集装置、検出装置、清浄装置、捕集方法、検出方法、および、清浄方法
Zvěřina et al. Mercury associated with size-fractionated urban particulate matter: three years of sampling in Prague, Czech Republic
KR101561995B1 (ko) 희토류가 함유된 나노파티클 포집장치
EP291991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JP2005241473A (ja) 空気汚染物質捕集装置
JP4655896B2 (ja) ガスイオンモニタ装置を用いたエアロゾル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