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119B1 -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119B1
KR101711119B1 KR1020150079625A KR20150079625A KR101711119B1 KR 101711119 B1 KR101711119 B1 KR 101711119B1 KR 1020150079625 A KR1020150079625 A KR 1020150079625A KR 20150079625 A KR20150079625 A KR 20150079625A KR 101711119 B1 KR101711119 B1 KR 10171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k
information
electronic tag
collection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225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5007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1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돼지별 DNA 시료에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이력 정보를 부여하는 동시에 생산되는 돈육 제품에도 해당 돼지에게 부여된 전자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전자식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기반으로 돈육 제품의 유통 관리 및 역추적을 이용한 이상 시 사후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은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 채취기와,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되는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며, 리딩되는 태그 정보에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돼지의 이력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도축 현장 단말기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동기화된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 및 돼지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 태그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의 식별을 위해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pork}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돼지별 DNA 시료에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이력 정보를 부여하는 동시에 생산되는 돈육 제품에도 해당 돼지에게 부여된 전자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전자식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기반으로 돈육 제품의 유통 관리 및 역추적을 이용한 이상 시 사후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FTA라는 국제적 흐름과 연계된 미국산 소고기 수입이 최근 큰 사회적 이슈가 된 바 있고, 특히 사람과 동물이 같이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zoonosis)인 광우병(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대책법은 그 실효성의 한계로 인해 불안감을 주고 있다.
광우병이 가장 많이 발생된 EU국가를 비롯하여 여러 나라에서는 과학적 기술이나 관리 체계의 차이는 있지만 소의 이력추적체계(cattle traceability system)를 적용하여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받는 기본체계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미국과의 소고기 협상 결과에 따라 소고기 원산지표시(originality) 및 소 이력추적체계(traceability)에 국가적으로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소고기 원산지표시(originality) 및 소 이력추적체계(traceability)는 국가별, 지역별, 농가별로 생산되는 소고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외국 및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소 이력추적체계의 핵심은 DNA 기술을 활용한 개별 소의 DNA 고유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쇠고기 이력제가 2004년 10월부터 일부 관련 업체와 시,군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추진되다가, 2007년 12월 21일 제정 및 공포된 “소 및 쇠고기 이력추적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2008년 12월 22일부터 사육 단계에 시행된 데 이어 2009년 6월 22일부터 유통 단계에까지 확대되어 전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쇠고기 이력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쇠고기 이력제는 소의 출생에서부터 도축, 가공,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위생 및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이력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제도이다.
한편, 쇠고기 이력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면서 돼지고기 이력제도 이에 발맞춰 2014년 12월 28일 전면 시행되었다. 이러한 돼지고기 이력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돼지고기 이력제는 돼지와 돼지고기의 거대 단계별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문제 발생 시 해당 돼지나 돼지고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역추적하여 신속한 조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돼지나 돼지고기의 판매 시 이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를 안심시키는 제도이다.
그리고 상술한 쇠고기 이력제 및 돼지고기 이력제 등 축산물 이력제는 도축 과정에서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 후 채취된 DNA 시료를 건조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현행 쇠고기 이력제에서 소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품질평가사가 도축된 정육에서 가위를 사용하는 수작업을 통해 DNA 시료를 채취 후 이렇게 채취된 DNA 시료를 종이 재질의 콜렉션 카드에 담아서 70∼80℃에서 3시간의 건조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렇게 건조된 정육의 DNA 시료는 2∼3년간 보관되어야 하며, 보관하는 과정에서 DNA 검사에 필요한 시료로 사용 후 재보관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 축산물의 DNA 시료는 채취, 건조, 보관, 사용, 재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통해 확보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각 과정별로 다양한 작업들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는 돼지고기 이력제에서 돼지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겠지만, 국내에서 도축되는 소의 수가 연간 100만 마리인 것에 비해 도축되는 돼지의 수는 1500만 마리 이상인 현실에 비춰볼 때, 정육의 DNA 시료 채취 시에 사용되는 가위를 통한 수작업을 돈육의 DNA 시료 채취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의 증가 등으로 인해 과다한 비용 증가와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돼지고기 이력제가 이제 막 시행된 현 시점에서 돈육의 DNA 시료를 보다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이를 적용한 돼지 고기 이력 관리 체계의 확립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11278(2010.02.03.공개), “전자이표를 이용한 돼지 개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07678호(2012.10.04.공개),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돼지별 DNA 시료에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이력 정보를 부여하는 동시에 생산되는 돈육 제품에도 해당 돼지에게 부여된 전자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전자식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기반으로 돈육 제품의 유통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또한 유통 중인 돈육 제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사육 중인 돼지에 이상 발생 시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역추적 등의 관리 방법을 통해 돼지 및 돈육 제품의 관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은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 채취기와,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되는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며, 리딩되는 태그 정보에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돼지의 이력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도축 현장 단말기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동기화된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 및 돼지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 태그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의 식별을 위해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은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 채취기와, 도축되는 돼지별로 제작되어 해당 돼지의 DNA 시료가 채취된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되는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는 도축 현장 단말기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리딩되는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 태그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의 식별을 위해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은 식별용 전자식 태그를 부여받은 상태에서 사육 후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며 상기 콜렉션 캡슐에는 해당 돼지의 상기 전자식 태그와 동일 정보의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DNA 시료 채취기와,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는 도축 현장 단말기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리딩되는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식 태그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의 식별을 위해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들은, 상기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판매 현장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들은, 상기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되는 태그 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판매 현장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NA 시료 채취기는 길이 방향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의 개방부부터 시작되는 돼지고기에 대한 회전이 동반된 삽입 동작을 통해 상기 개방부로 해당 돼지고기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DNA 시료용 살점의 비틀림을 통한 커팅 기능의 블레이드가 폐쇄된 타측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내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내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이고, 폐쇄된 타측에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콜렉션 캡슐과,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와 원터치 방식의 결합을 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 시 그 회전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전달하는 전동 회전 장치와, DNA 시료가 채취된 상기 콜렉션 캡슐별 구분을 위해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되는 상기 전자식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는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 전달부위가 삽입되어 공회전이 방지되는 회전을 하도록 각진 일면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형태이며, 상기 전동 회전 장치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각진 축 형태의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발생시킨 회전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전달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는 돼지고기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는 상기 콜렉션 캡슐의 본체로부터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꼭지 형태이고, 상기 전동 회전 장치는 지름 가변을 통해 상기 꼭지 형태의 결합부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회전력 전달부위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은 DNA 시료 채취기를 통해 콜렉션 캡슐에 도축되는 돼지의 DNA 시료가 채취되는 단계와,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도축 현장 단말기를 통해 리딩되는 단계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에 상기 돼지의 이력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 및 상기 돼지의 이력 정보가 동기화된 정보를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상기 콜렉션 캡슐의 식별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은 도축되는 돼지들의 식별을 위해 돼지별로 전자식 태그가 제작되는 단계와, 도축되는 돼지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DNA 시료 채취기의 콜렉션 캡슐에 해당되는 상기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와,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도축 현장 단말기를 통해 리딩되는 단계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리딩된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상기 콜렉션 캡슐의 식별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은 사육되는 돼지별로 식별용 전자식 태그가 부여되는 단계와, 상기 전자식 태그가 부여된 돼지의 도축 시 해당 돼지의 DNA 시료를 DNA 시료 채취기를 통해 채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DNA 시료 채취기에 포함된 콜렉션 캡슐에 상기 전자식 태그와 동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와,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도축 현장 단말기를 통해 리딩되는 단계와,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리딩된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서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상기 콜렉션 캡슐의 식별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들은 상기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판매 현장 단말기를 통해 리딩되는 단계와, 상기 판매 현장 단말기가 리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돈육 상품의 이상 시 상기 판매 현장 단말기에서 해당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로부터 리딩되는 정보에 해당 돈육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들은 상기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판매 현장 단말기를 통해 리딩되는 단계와, 상기 판매 현장 단말기가 리딩된 상기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 정보를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서 수신되는 상기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 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있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매 현장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 현장 단말기에서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돈육 상품의 이상 시 상기 판매 현장 단말기에서 해당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로부터 리딩되는 정보에 해당 돈육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돼지별 DNA 시료에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이력 정보를 부여하는 동시에 생산되는 돈육 제품에도 해당 돼지에게 부여된 전자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전자식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기반으로 돈육 제품의 유통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통 중인 돈육 제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사육 중인 돼지에 이상 발생 시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역추적 등의 관리 방법을 통해 돼지 및 돈육 제품의 관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2 내지 도 9는 도 1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에서 DNA 시료 채취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을 보인 순서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100)은 DNA 시료 채취기(110), 도축 현장 단말기(120),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100)은 판매 현장 단말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NA 시료 채취기(110)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111)에 보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DNA 시료 채취기(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DNA 시료 채취기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콜렉션 캡슐과 전동 회전 장치 간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DNA 시료 채취기에서 콜렉션 캡슐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DNA 시료 채취기에서 전동 회전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DNA 시료 채취기(110)는 콜렉션 캡슐(111)과 전동 회전 장치(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콜렉션 캡슐(111)은 도축된 돼지고기로 DNA 시료를 채취한 다음 채취된 DNA 시료를 건조 및 보관하기 위한 일회용 캡슐로써, 이러한 콜렉션 캡슐(111)은 길이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즉, 콜렉션 캡슐(111)은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부(11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가 결합되어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력 전달 부위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를 위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콜렉션 캡슐(111)의 개방부(111a) 반대쪽에는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1b)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부(111b)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전동 회전 장치(112)에서 더 설명키로 한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은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태로 DNA 시료 채취용 돼지고기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즉, 콜렉션 캡슐(111)은 그 개방부(111a)가 DNA 시료 채취용 돼지고기를 향하는 상태에서 해당 돼지고기에 회전을 동반한 삽입 동작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콜렉션 캡슐(111)의 내측으로 해당 돼지고기의 살점이 유입된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로 유입되는 돼지고기의 살점은 콜렉션 캡슐(111)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더 이상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콜렉션 캡슐(111)의 회전에 따른 비틀림 현상으로 인해 끊어지며, 이렇게 콜렉션 캡슐(111) 내에 채워진 돼지고기의 살점이 DNA 시료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콜렉션 캡슐(111)은 그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개방부(111a)의 반대쪽 내면에 블레이드(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11c)는 콜렉션 캡슐(111)의 내부에서 콜렉션 캡슐(111)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이때, 블레이드(111c)는 콜렉션 캡슐(111) 내로 채워진 돼지고기의 살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를 통한 커팅 기능을 한다. 즉, 콜렉션 캡슐(111) 내로 채워진 돼지고기의 살점은 블레이드(111c)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을 통한 비틀림이 이루어지고 이때 계속되는 블레이드(111c)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 현상이 가중되면서 결국에는 끊여져 통상 한 덩어리의 살점 형태로 콜렉션 캡슐(111)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블레이드(111c) 콜렉션 캡슐(1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개방부(111a) 반대쪽의 폐쇄된 일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개방부(111a)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일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콜렉션 캡슐(111)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은 채취된 돼지고기 DNA 시료의 건조를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111d)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콜렉션 캡슐(111)은 채취된 돼지고기 DNA 시료의 건조를 위해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은 콜렉션 캡슐별 구분을 위한 전자식 태그(미도시,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회전 장치(112)는 콜렉션 캡슐(111)과 결합되어 콜렉션 캡슐(11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즉, 전동 회전 장치(112)는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회전력 전달 부위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가 각진 부위가 있는 결합홈(111e)을 포함한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다. 즉, 결합홈(111e)은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 부위의 공회전 방지를 위해 각진 일면을 갖는 형태이다. 따라서 전동 회전 장치(112)의 상기 회전력 전달 부위는 각진 축의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전동 회전 장치(112)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 회전 장치(112)는 회전 구동부(112b) 및 파지용 케이스(1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전동 회전 장치(112)는 속도 스위치(112c) 및 동작 스위치(112d) 그리고 배터리(112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12b)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회전 구동부(112b)는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홈(111e)에 삽입되는 각진 축 형태의 회전력 전달부(112e)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발생시킨 회전 동력을 회전력 전달부(112e)를 통해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에 전달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회전력 전달부(112e)인 각진 축과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홈(111e)이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지용 케이스(112a)는 회전력 전달부(112e)의 각진 축 영역을 항시 또는 회전 구동부(112b)의 회전 구동 시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회전 구동부(112b)를 수용한다. 다시 말해, 파지용 케이스(112a)는 전동 회전 장치(112)의 외형 및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파지용 케이스(112a)가 사용자 또는 파지용 장치 등을 통해 파지된다.
속도 스위치(112c)는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 구동 시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속도 스위치(112c)를 통해 회전 구동부(112b)의 회전 구동 시 회전 속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동작 스위치(112d)는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 구동의 개시를 위한 신호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동작 스위치(112d)의 온 동작을 통해 회전 구동부(112b)의 회전 구동이 개시된다.
배터리(112f)는 전동 회전 장치(1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배터리(112f)에 의해서 전동 회전 장치(112)는 배터리(112f)가 방전 상태가 아닌 조건에서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전동 회전 장치(112)는 외부 전원이 존재해야 하는 장소적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다양한 장소에 휴대 방식으로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콜렉션 캡슐과 전동 회전 장치 간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DNA 시료 채취기에서 콜렉션 캡슐과 전동 회전 장치 간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콜렉션 캡슐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션 캡슐(211)은 전동 회전 장치(212)와의 결합을 위해 콜렉션 캡슐(111)의 본체로부터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꼭지 형태의 결합부(211b)를 구비한다. 또한 콜렉션 캡슐(211)은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콜렉션 캡슐(111)과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1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동 회전 장치(212)는 지름 가변을 통해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형태의 회전력 전달 부위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력 전달 부위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세 개의 파지편(212e)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세 개의 파지편(212e)은 전동 회전 장치(212)에 구비되는 회전식 조작부(212f)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형태로 동작하면서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에서 해제시킨다.
그리고 전동 회전 장치(212)의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 이해하면 될 것이다.
다음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DNA 시료 채취기(110)에서 캡슐 거치대(113) 및 덮개(114)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DNA 시료 채취기에서 캡슐 거치대 및 덮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거치대(113)는 하판(113a) 및 상판(113b) 그리고 이러한 하판(113a) 및 상판(113b)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시키는 지지대(11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판(113a)은 캡슐 거치대(113)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하판(113a)은 콜렉션 캡슐(111)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홈(113a-1)이 형성된다.
지지대(113c)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하판(113a) 및 상판(113b)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지대(113c)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판(113a) 및 상판(113b)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
상판(113b)은 지지대(113c)를 통해 하판(113a)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며, 하판(113a)의 지지홈(113a-1)과 대응되는 복수의 지지홀(113b-1)을 형성한 것으로서, 지지홀(113b-1)은 콜렉션 캡슐(111)의 삽입 및 삽입되는 콜렉션 캡슐(111)의 상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상판(113b)의 지지홀(113b-1)별로 콜렉션 캡슐(111)이 삽입되어 이렇게 지지홀(113b-1)에 삽입되는 콜렉션 캡슐(111)이 그 하단을 하판(113a)의 지지홈(113a-1)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상부를 상판(113b)의 지지홀(113b-1)에 지지시키면서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판(113b)과 하판(113a)이 각각 사각의 판 형태이고, 네 개의 지지대(113c)가 상판(113b) 및 하판(113a)의 네 모퉁이에 각각 위치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판(113b)과 하판(113a)은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오각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대는 상판(113b) 및 하판(113a)의 형상 및 상판(113b)과 하판(113b) 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정 수로 설치될 수 있다.
덮개(114)는 캡슐 거치대(113)에 콜렉션 캡슐(111)이 거치되는 상태로 캡슐 거치대(113)를 덮어 캡슐 거치대(113) 및 이에 거치된 콜렉션 캡슐(111)들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의 DNA 시료 채취기를 통해 돼지고기 DNA 시료가 채취되는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5 및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되어 있는 사용 전의 콜렉션 캡슐(111)을 인출하여 전동 회전 장치(112)에 결합한다. 이때, 캡슐 거치대(113)로부터 콜렉션 캡슐(111)을 인출 후 이렇게 인출된 콜렉션 캡슐(111)을 전동 회전 장치(112)에 결합시키는 방식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를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된 사용 전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에 결합시켜 해당 콜렉션 캡슐(111)을 캡슐 거치대(113)로부터 인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전동 회전 장치(112)의 각진 축 형태인 회전력 전달부(112e)를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홈(111e)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콜렉션 캡슐(111)을 캡슐 거치대(113)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콜렉션 캡슐(111)이 전동 회전 장치(112)에 결합된 후, 전동 회전 장치(112)를 회전 구동시켜 콜렉션 캡슐(111)이 회전이 동반된 상태로 DNA 시료 채취용 돼지고기에 삽입되게 한다. 즉, 콜렉션 캡슐(111)은 전동 회전 장치(112)의 회전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DNA 시료 채취용 돼지고기로 삽입되며, 이 과정에서 돼지고기의 살점이 콜렉션 캡슐(111) 내로 유입되고, 콜렉션 캡슐(111)에 구비된 블레이드(111c)의 기능을 통해 돼지고기의 살점이 끊기면서 콜렉션 캡슐(111) 내에 돼지고기 DNA 시료의 채취가 완료된다.
그리고 이러한 돼지고기 DNA 시료 채취 과정은 기존의 가위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보다 간단하고 따라서 돼지고기 DNA 시료 채취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돼지고기 DNA 시료의 채취가 완료된 콜렉션 캡슐(111)을 다시 캡슐 거치대(113)의 거치되었던 원래 위치에 거치시킨 후 이렇게 재거치가 완료된 콜렉션 캡슐(111)로부터 전동 회전 장치(112)를 분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캡슐 거치대(113)의 모든 콜렉션 캡슐(111)에 돼지고기 DNA 시료가 채취되게 한 후, 이렇게 돼지고기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모든 콜렉션 캡슐(111)이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된 상태에서 콜렉션 캡슐(111)별 돼지고기 DNA 시료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덮개(114)는 콜렉션 캡슐(111)이 사용 전인 캡슐 거치대(113) 또는 콜렉션 캡슐(111)이 사용되어 콜렉션 캡슐(111)별로 축산물 돼지고기 시료가 건조 중에 있는 캡슐 거치대(113) 등 필요시 캡슐 거치대(113)를 덮어 해당 캡슐 거치대(113) 및 그에 거치된 콜렉션 캡슐(111)들을 외부로부터 가려 보호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한 실시 예의 경우, 콜렉션 캡슐(111)과 전동 회전 장치(112)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과정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5 및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한 실시 예의 경우, 전동 회전 장치(212)의 회전식 조작부(212f)를 회전 조작하여 세 개의 파지편(212e)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력 전달 부위의 지름을 확대시킨 후, 이렇게 지름이 확대된 세 개의 파지편(212e) 사이로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삽입시킨 다음 회전식 조작부(212f)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여 세 개의 파지편(212e)에 의한 지름을 축소시키고, 이를 통해 세 개의 파지편(212e)이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죄는 방식으로 파지케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 회전 장치(212)와 콜렉션 캡슐(211)의 분리 시에는 세 파지편(212e)의 지름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전동 회전 장치(212)의 회전식 조작부(212f)를 회전시켜 전동 회전 장치(212)로부터 콜렉션 캡슐(211)이 분리되게 한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NA 시료 채취기는, 휴대가 가능한 회전식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관 형태의 콜렉션 캡슐을 DNA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돼지고기에 회전을 동반하여 삽입시킨 후 분리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해당 돼지고기의 DNA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휴대형의 회전식 구동 장치를 이용하는 콜렉션 캡슐의 회전을 동반한 돼지고기 DNA 시료 채취 작업 및 이렇게 시료 채취가 이루어진 콜렉션 캡슐을 보관하는 일련의 과정이 간단한 연속 작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국내를 기준으로 매우 많은 개체의 도축이 이루어지는 돼지고기의 DNA 시료 채취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콜렉션 캡슐 및 콜렉션 캡슐들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가 규격화됨으로써, 시료를 채취하기 전 또는 후의 콜렉션 캡슐을 용이하게 휴대, 운반, 보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량의 콜렉션 캡슐을 보다 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다량의 콜렉션 캡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는 DNA 시료 채취기(110)의 콜렉션 캡슐(111)별로 부착되는 식별용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를 리딩한다. 여기서, 전자식 태그(140)는 식별정보만을 저장한 형태로 제작되어 그를 부착하는 돼지들이나 돈육 제품에 일련번호에 해당되는 정보만을 부여하는 형태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육되거나 도축되는 돼지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여 해당 돼지들에게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전자식 태그(140)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돼지의 사육이 이루어지는 시기부터 돼지별로 부여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도축장에 들어오는 돼지들을 대상으로 부여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축 현장 단말기(120)는 리딩되는 전자식 태그(140) 정보에 해당 콜렉션 캡슐(111)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돼지의 이력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전자식 태그(140)가 식별정보만을 저장한 형태인 경우를 예로 한 것이며, 이에 따라 도축 현장 단말기(120)에서 전자식 태그(140)가 부착되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전자식 태그(140)의 식별정보와 동기화시켜 이렇게 동기화된 정보를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한다.
이와 달리 전자식 태그(140)가 돼지별로 해당 돼지의 이력 정보를 저장한 형태로 제작된 경우, 도축 현장 단말기(120)는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들을 리딩만하여 이렇게 리딩되는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를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게 된다.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는 도축 현장 단말기(120)에서 동기화된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 및 돼지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콜렉션 캡슐(111)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부연 설명하면 전자식 태그(140)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와 그로부터 생산된 돼지고기의 식별을 위해 부착된다. 그리고 전자식 태그(140)로는 RFID 태그 또는 NFC 태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는 NFC 태그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판매 현장 단말기(150)는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즉, 판매 현장 단말기(140)는 통상 돈육 상품의 구매자가 휴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판매 현장 단말기(140)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형태로써, 판매 현장 단말기(150)는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는 판매 현장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식 태그의 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검출하여 판매 현장 단말기(150)에 전송하며, 판매 현장 단말기(150)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판매 현장 단말기(150)는 돈육 상품의 이상 시 해당 정보를 전자식 태그의 정보에 동기화하여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음은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 예에서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9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100)을 예로 한 것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의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들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DNA 시료 채취기(110)를 통해 콜렉션 캡슐(111)에 도축되는 돼지의 DNA 시료가 채취된다.
단계(S120)에서, 콜렉션 캡슐(111)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가 도축 현장 단말기(120)를 통해 리딩된다.
단계(S130)에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에서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에 돼지의 이력 정보를 동기화시킨다.
단계(S140)에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에서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 및 돼지의 이력 정보가 동기화된 정보를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한다.
단계(S150)에서,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콜렉션 캡슐(111)의 식별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 콜렉션 캡슐(111)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140)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10)에서, 도축되는 돼지들의 식별을 위해 돼지별로 전자식 태그(140)가 제작된다.
단계(S220)에서, 도축되는 돼지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DNA 시료 채취기(110)의 콜렉션 캡슐(111)에 해당되는 전자식 태그(140)가 부착된다.
단계(S230)에서, 콜렉션 캡슐(111)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가 도축 현장 단말기(120)를 통해 리딩된다.
단계(S240)에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에서 리딩된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가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된다.
단계(S250)에서,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콜렉션 캡슐(111)의 식별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 콜렉션 캡슐(111)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140)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10)에서, 사육되는 돼지별로 식별용 전자식 태그가 부여된다.
단계(S320)에서, 전자식 태그가 부여된 돼지의 도축 시 해당 돼지의 DNA 시료를 DNA 시료 채취기(110)를 통해 채취하는 과정에서 DNA 시료 채취기(110)에 포함된 콜렉션 캡슐(111)에 전자식 태그와 동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자식 태그(140)가 부착된다.
단계(S330)에서, 콜렉션 캡슐(111)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가 도축 현장 단말기(120)를 통해 리딩된다.
단계(S340)에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에서 리딩된 전자식 태그(140)의 정보가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된다.
단계(S350)에서,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서 도축 현장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콜렉션 캡슐(111)의 식별 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식별용 전자식 태그(140)와 동일한 정보가 저장된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에는,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판매 현장 단말기(150)를 통해 리딩되는 단계(S410), 판매 현장 단말기(150)가 리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단계(S4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돈육 상품의 이상 시 판매 현장 단말기(150)에서 해당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로부터 리딩되는 정보에 해당 돈육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단계(S430)에서, 판매 현장 단말기(150)는 돈육 상품의 이상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돈육 상품의 이상 정보가 입력되면, 단계(S440)에서 입력되는 돈육 상품의 이상 정보와 해당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 정보를 동기화하며, 이어서 단계(S450)에서, 단계(S340)을 통해 동기화된 정보를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한다.
도 14는 이와 다른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 예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방법에는,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가 판매 현장 단말기(150)를 통해 리딩되는 단계(S510), 판매 현장 단말기(150)가 리딩된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 정보를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는 단계(S520),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서 수신되는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 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있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검출하여 판매 현장 단말기(150)에 전송하는 단계(S530), 판매 현장 단말기(150)에서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단계(S5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돈육 상품의 이상 시 판매 현장 단말기(150)에서 해당 돈육 상품의 전자식 태그로부터 리딩되는 정보에 해당 돈육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는 과정(단계(S550) 내지 단계(S57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3에 따른 실시 예의 단계(S430) 내지 단계(S450)와 동일하므로 그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하고 그 과정에서 돼지별 DNA 시료에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이력 정보가 부여되게 하는 동시에 생산되는 돈육 제품에도 해당 돼지에게 부여된 전자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전자식 태그 정보가 부여되게 하여 이를 기반으로 돈육 제품의 유통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유통 중인 돈육 제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사육 중인 돼지에 이상 발생 시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역추적 등의 관리 방법을 통해 돼지 및 돈육 제품의 관리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110 : DNA 시료 채취기
111,211 : 콜렉션 캡슐 111a : 개방부
111b, 211b : 결합부 111c, 211c : 블레이드
111d, 211d : 통기공 111e : 결합홈
112,212 : 전동 회전 장치 112a : 파지용 케이스
112b : 회전 구동부 112c : 속도 스위치
112d : 동작 스위치 112e, 212e : 회전력 전달부
112f : 배터리 113 : 캡슐 거치대
113a : 하판 113a-1 : 지지홈
113b : 상판 113b-1 : 지지홀
113c : 지지대 114 : 덮개
120 : 도축 현장 단말기 130 :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
140 : 전자식 태그 150 : 판매 현장 단말기

Claims (13)

  1.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 채취기;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되는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며, 리딩되는 태그 정보에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돼지의 이력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도축 현장 단말기; 및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동기화된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 및 돼지의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식 태그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의 식별을 위해 부착되고,
    상기 DNA 시료 채취기는, 길이 방향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의 개방부부터 시작되는 돼지고기에 대한 회전이 동반된 삽입 동작을 통해 상기 개방부로 해당 돼지고기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DNA 시료용 살점의 비틀림을 통한 커팅 기능의 블레이드가 폐쇄된 타측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내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내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이고, DNA 시료가 채취된 다른 콜렉션 캡슐과의 구분을 위한 전자식 태그가 포함되는 콜렉션 캡슐과, 상기 콜렉션 캡슐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회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션 캡슐은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타측에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 전달부위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가 연동하여 회전되며, 채취된 내부의 DNA 시료용 살점의 건조를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거나 다공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2.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 채취기;
    도축되는 돼지별로 제작되어 해당 돼지의 DNA 시료가 채취된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되는 식별용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는 도축 현장 단말기; 및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리딩되는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식 태그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의 식별을 위해 부착되고,
    상기 DNA 시료 채취기는, 길이 방향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의 개방부부터 시작되는 돼지고기에 대한 회전이 동반된 삽입 동작을 통해 상기 개방부로 해당 돼지고기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DNA 시료용 살점의 비틀림을 통한 커팅 기능의 블레이드가 폐쇄된 타측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내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내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이고, DNA 시료가 채취된 다른 콜렉션 캡슐과의 구분을 위한 전자식 태그가 포함되는 콜렉션 캡슐과, 상기 콜렉션 캡슐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회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션 캡슐은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타측에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 전달부위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가 연동하여 회전되며, 채취된 내부의 DNA 시료용 살점의 건조를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거나 다공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3. 식별용 전자식 태그를 부여받은 상태에서 사육 후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며, 상기 콜렉션 캡슐에는 해당 돼지의 상기 전자식 태그와 동일 정보의 전자식 태그가 부착되는 DNA 시료 채취기;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는 도축 현장 단말기; 및
    상기 도축 현장 단말기에서 리딩되는 상기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식 태그는 도축되는 돼지로부터 생산되는 돈육 상품 모두에도 해당 돼지의 식별을 위해 부착되고,
    상기 DNA 시료 채취기는, 길이 방향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의 개방부부터 시작되는 돼지고기에 대한 회전이 동반된 삽입 동작을 통해 상기 개방부로 해당 돼지고기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DNA 시료용 살점의 비틀림을 통한 커팅 기능의 블레이드가 폐쇄된 타측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내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내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이고, DNA 시료가 채취된 다른 콜렉션 캡슐과의 구분을 위한 전자식 태그가 포함되는 콜렉션 캡슐과, 상기 콜렉션 캡슐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 회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션 캡슐은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타측에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 전달부위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 시 상기 블레이드가 연동하여 회전되며, 채취된 내부의 DNA 시료용 살점의 건조를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거나 다공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판매 현장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돈육 상품에 부착된 전자식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상기 돼지고기 이력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되는 태그 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돼지의 이력 정보를 상기 이력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판매 현장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NA 시료 채취기의 콜렉션 캡슐에 형성된 결합부는 상기 전동 회전 장치의 회전력 전달부위가 삽입되어 공회전이 방지되는 회전을 하도록 각진 일면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회전 장치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각진 축 형태의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발생시킨 회전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전달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각진 축 영역을 항시 또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작동 시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회전 구동부를 수용하는 파지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NA 시료 채취기의 콜렉션 캡슐에 형성된 결합부는 돼지고기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는 상기 콜렉션 캡슐의 본체로부터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꼭지 형태이고,
    상기 전동 회전 장치는 지름 가변을 통해 상기 꼭지 형태의 결합부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회전력 전달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회전 장치는 회전 구동 시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속도 스위치 및 회전 구동시의 개시를 위한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NA 시료 채취기는,
    상기 콜렉션 캡슐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이 복수 개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에 길이 방향의 일단이 결합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판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며 상기 콜렉션 캡슐의 삽입 및 상부 지지를 위한 복수의 지지홀이 상기 지지홈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캡슐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의 지지홈 및 상기 상판의 지지홀을 통해 상기 캡슐 거치대에 상기 콜렉션 캡슐이 거치되는 상태로 상기 캡슐 거치대를 덮어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79625A 2015-06-05 2015-06-05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KR10171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25A KR101711119B1 (ko) 2015-06-05 2015-06-05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25A KR101711119B1 (ko) 2015-06-05 2015-06-05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25A KR20160143225A (ko) 2016-12-14
KR101711119B1 true KR101711119B1 (ko) 2017-02-28

Family

ID=5757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625A KR101711119B1 (ko) 2015-06-05 2015-06-05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0850B2 (en) 2020-07-08 2023-10-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mart barn system and smart barn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ign of livestock and tag attachable to livestoc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278A (ko) 2008-07-24 2010-02-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전자이표를 이용한 돼지 개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96959B1 (ko) * 2008-07-24 2010-11-30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육가공장의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 및방법
KR20120107678A (ko) 2011-03-22 2012-10-04 메타라이츠(주)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38593A (ko) * 2012-06-11 2013-12-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돈육의 이력 확인장치 및 그 방법
KR101510447B1 (ko) * 2013-04-11 2015-04-10 박태수 축산물 시료채취용 블릿형 캡슐 및 이 블릿형 캡슐을 포함하는 축산물 시료채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0850B2 (en) 2020-07-08 2023-10-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mart barn system and smart barn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ign of livestock and tag attachable to livest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25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957B1 (ko)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JP6672144B2 (ja) 識別子を含む生検収集器
AU7522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thdrawing biological samples
Stankovski et al. Dairy cow monitoring by RFID
JP7476875B2 (ja) 流通管理方法、流通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1506283B (zh) 图像显示方法、装置及系统
KR101711119B1 (ko)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CN104715321A (zh) 基于重量守恒的屠宰场过程监控溯源系统
CN108700605A (zh) 检体容器投入或收纳单元
KR101699795B1 (ko)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KR101549829B1 (ko) 축산물용 dna 시료 채취 장치
EP2900057B1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pets
CN112019743A (zh) 对象信息的提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20220149189A (ko)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CN109845654A (zh) 喂养系统及喂食方法
Ismail et al. Developmen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livestock management system
CN109154916A (zh) 连接的设备的信息
JP2007501610A (ja) 動物識別の改善
CN109542903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DK2862437T3 (en) Station for identification of animals and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method
KR101643946B1 (ko) 축산물용 dna 시료 채취장치
KR102185398B1 (ko) 축산물 생애 정보 제공 시스템
CN107239931A (zh) 一种纸件档案的采集方法
US20050171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product notices using transitory perception of a candidate product
CN105427175A (zh) 一种智能农产品质量安全追溯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