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957B1 -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957B1
KR101636957B1 KR1020150140785A KR20150140785A KR101636957B1 KR 101636957 B1 KR101636957 B1 KR 101636957B1 KR 1020150140785 A KR1020150140785 A KR 1020150140785A KR 20150140785 A KR20150140785 A KR 20150140785A KR 101636957 B1 KR101636957 B1 KR 10163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tag
livestock product
livestock
slaugh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5014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957B1/ko
Priority to PCT/KR2016/008213 priority patent/WO20170616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축산물의 귀에 부착되고,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되는 사육단계 전자태그와, 도축되는 축산물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채취기와,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각각 인식된 해당 축산물의 사육단계 및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도축현장 단말기와, 도축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도축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각각 인식된 해당 축산물 상품의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가공현장 단말기와, 상기 도축현장 단말기 및 상기 가공현장 단말기로부터 각각 전송된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이력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LIVESTOCK PRODUCTS PERSONAL HISTORY TOTAL MANAGEMENT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TA라는 국제적 흐름과 연계된 미국산 소고기 수입이 최근 큰 사회적 이슈가 된 바 있고, 특히 사람과 동물이 같이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전염병(zoonosis)인 광우병(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대책법은 그 실효성의 한계로 인해 불안감을 주고 있다.
광우병이 가장 많이 발생된 EU국가를 비롯하여 여러 나라에서는 과학적 기술이나 관리 체계의 차이는 있지만 소의 이력추적체계(cattle traceability system)를 적용하여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받는 기본체계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미국과의 소고기 협상 결과에 따라 소고기 원산지표시(originality) 및 소 이력추적체계(traceability)에 국가적으로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소고기 원산지표시(originality) 및 소 이력추적체계(traceability)는 국가별, 지역별, 농가별로 생산되는 소고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외국 및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소 이력추적체계의 핵심은 DNA 기술을 활용한 개별 소의 DNA 고유성을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쇠고기 이력제가 2004년 10월부터 일부 관련 업체와 시, 군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추진되다가, 2007년 12월 21일 제정 및 공포된 "소 및 쇠고기 이력추적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2008년 12월 22일부터 사육 단계에 시행된 데 이어 2009년 6월 22일부터 유통 단계에까지 확대되어 전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쇠고기 이력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쇠고기 이력제는 소의 출생에서부터 도축, 가공,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위생 및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이력을 추적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제도이다.
한편, 쇠고기 이력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면서 돼지고기 이력제도 이에 발맞춰 2014년 12월 28일 전면 시행되었다. 이러한 돼지고기 이력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돼지고기 이력제는 돼지와 돼지고기의 거대 단계별 정보를 기록, 관리하여 문제 발생 시 해당 돼지나 돼지고기의 이동 경로에 따라 역추적하여 신속한 조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돼지나 돼지고기의 판매 시 이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를 안심시키는 제도이다.
그리고, 상술한 쇠고기 이력제 및 돼지고기 이력제 등 축산물 이력제는 도축 과정에서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 후 채취된 DNA 시료를 건조하여 보관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현행 쇠고기 이력제에서 소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품질평가사가 도축된 정육에서 가위를 사용하는 수작업을 통해 DNA 시료를 채취 후 이렇게 채취된 DNA 시료를 종이 재질의 콜렉션 카드에 담아서 70∼80℃에서 3시간의 건조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렇게 건조된 정육의 DNA 시료는 2∼3년간 보관되어야 하며, 보관하는 과정에서 DNA 검사에 필요한 시료로 사용 후 재보관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다시 말해, 소 축산물의 DNA 시료는 채취, 건조, 보관, 사용, 재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통해 확보되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각 과정별로 다양한 작업들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는 돼지고기 이력제에서 돼지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겠지만, 국내에서 도축되는 소의 수가 연간 100만 마리인 것에 비해 도축되는 돼지의 수는 1500만 마리 이상인 현실에 비춰볼 때, 정육의 DNA 시료 채취 시에 사용되는 가위를 통한 수작업을 돈육의 DNA 시료 채취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의 증가 등으로 인해 과다한 비용 증가와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돼지고기 이력제가 이제 막 시행된 현 시점에서 돈육의 DNA 시료를 보다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고 이를 적용한 돼지 고기 이력 관리 체계의 확립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11278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0767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 돼지 등과 같은 축산물의 개체인식을 위한 전자태그가 축산물의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별로 적합하게 부착하고, 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여 별도의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축산 현장에서 사육되는 모든 축산물에 대한 개체이력정보를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 및 소비에 이르는 전단계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축되는 축산물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축산물별 DNA 시료에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이력 정보를 부여하는 동시에 생산되는 축산물 제품에도 해당 축산물에게 부여된 전자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전자식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기반으로 축산물 제품의 유통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또한 유통 중인 축산물 제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사육 중인 축산물에 이상 발생 시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역추적 등의 관리 방법을 통해 축산물 제품의 관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축산물의 귀에 부착되고,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되는 사육단계 전자태그; 도축되는 축산물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채취기;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각각 인식된 해당 축산물의 사육단계 및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도축현장 단말기; 도축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도축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각각 인식된 해당 축산물 상품의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전송하는 가공현장 단말기; 및 상기 도축현장 단말기 및 상기 가공현장 단말기로부터 각각 전송된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이력관리서버를 포함하는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축산물의 귀에 부착되고,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되는 사육단계 전자태그; 도축되는 축산물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채취기;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에 상기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도축현장 단말기; 도축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도축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에 상기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가공현장 단말기; 및 상기 도축현장 단말기 및 상기 가공현장 단말기로부터 동기화된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이력관리서버를 포함하는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판매현장 단말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는, 상기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해당 축산물 상품의 가공단계 전자태그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에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상기 이력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판매현장 단말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는, 상기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해당 축산물 상품의 가공단계 전자태그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DNA 시료채취기는, 길이 방향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의 개방부부터 시작되는 축산물에 대한 회전이 동반된 삽입 동작을 통해 상기 개방부로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DNA 시료용 살점의 비틀림을 통한 커팅 기능의 블레이드가 폐쇄된 타측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내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내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이고, 폐쇄된 타측에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콜렉션 캡슐;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와 원터치 방식의 결합을 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 시 그 회전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전달하는 전동회전장치; 및 DNA 시료가 채취된 상기 콜렉션 캡슐별 구분을 위해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되는 상기 도축단계 전자태그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는, 상기 전동회전장치의 회전력 전달부위가 삽입되어 공회전이 방지되는 회전을 하도록 각진 일면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형태이며, 상기 전동회전장치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각진 축 형태의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발생시킨 회전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전달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는, 축산물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는 상기 콜렉션 캡슐의 본체로부터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꼭지 형태이고, 상기 전동회전장치는, 지름 가변을 통해 상기 꼭지 형태의 결합부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회전력 전달부위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산물의 귀에 부착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축산물의 양수/양도정보, 질병/백신정보 및 폐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체이력정보를 상기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육현장 단말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력관리서버는, 상기 사육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 및 해당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력관리서버는, 농가별로 개체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농가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a) 사육되는 축산물별로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된 사육단계 전자태그를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사육단계 전자태그가 부여된 축산물의 도축 시 DNA 시료채취기를 통해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DNA 시료채취기에 포함된 콜렉션 캡슐에 도축정보가 저장된 도축단계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c) 도축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는 단계; (d) 도축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각각 인식된 해당 축산물의 사육단계 및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별도의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단계(b)에서 도축된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가공정보가 저장된 가공단계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f) 가공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상기 단계(b)에서 도축된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는 단계; (g) 가공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f)에서 각각 인식된 해당 축산물 상품의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이력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d) 및 단계(g)에서 각각 전송된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a') 사육되는 축산물별로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된 사육단계 전자태그를 부여하는 단계; (b') 상기 사육단계 전자태그가 부여된 축산물의 도축 시 DNA 시료채취기를 통해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DNA 시료채취기에 포함된 콜렉션 캡슐에 도축정보가 저장된 도축단계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c') 도축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는 단계; (d') 도축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에 상기 단계(c')에서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e') 상기 단계(b')에서 도축된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가공정보가 저장된 가공단계 전자태그를 부착하는 단계; (f') 가공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도축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는 단계; (g') 가공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f')에서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에 상기 단계(f')에서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동기화하는 단계; 및 (h') 상기 이력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d') 및 단계(g')에서 각각 동기화된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계(h) 또는 단계(h') 이후에, 판매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에서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에서 해당 축산물 상품의 가공단계 전자태그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h) 또는 단계(h') 이후에, 판매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에서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상기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력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있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이력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에서 해당 축산물 상품의 가공단계 전자태그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a) 또는 단계(a') 이후에, 사육현장 단말기를 통해 상기 축산물에 부여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육현장 단말기에서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축산물의 양수/양도정보, 질병/백신정보 및 폐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체이력정보를 상기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력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사육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 및 해당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h) 또는 단계(h')에서, 상기 이력관리서버는, 농가별로 개체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농가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소, 돼지 등과 같은 축산물의 개체인식을 위한 전자태그가 축산물의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별로 적합하게 부착하고, 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여 별도의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축산 현장에서 사육되는 모든 축산물에 대한 개체이력정보를 생산에서부터 도축, 가공, 유통 및 소비에 이르는 전단계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축되는 축산물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이 비교적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축산물별 DNA 시료에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이력 정보를 부여하는 동시에 생산되는 축산물 제품에도 해당 축산물에게 부여된 전자식 태그 정보와 동일한 전자식 태그 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기반으로 축산물 제품의 유통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또한 유통 중인 축산물 제품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사육 중인 축산물에 이상 발생 시 전자식 태그를 이용한 역추적 등의 관리 방법을 통해 축산물 제품의 관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DNA 시료채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DNA 시료채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은, 크게 사육단계 전자태그(100), DNA 시료채취기(110), 도축단계 전자태그(120), 도축현장 단말기(130), 가공단계 전자태그(140), 가공현장 단말기(150) 및 이력관리서버(1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은 판매현장 단말기(170) 및 사육현장 단말기(180)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는 축산물(예컨대, 소, 돼지, 오리, 닭 등)의 귀(또는 몸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며,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는 별도의 RFID 등록기(미도시)를 통해 축산물의 출생 시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와 함께 출생 및 사육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를 입력 및 등록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체이력정보는 등록 시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되어 개체식별번호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관리됨이 바람직하다.
DNA 시료채취기(110)는 도축되는 축산물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111)에 보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DNA 시료채취기(1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DNA 시료채취기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콜렉션 캡슐과 전동회전장치 간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DNA 시료채취기에서 콜렉션 캡슐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DNA 시료채취기에서 전동회전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DNA 시료채취기(110)는 콜렉션 캡슐(111)과 전동회전장치(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콜렉션 캡슐(111)은 도축된 축산물로 DNA 시료를 채취한 다음 채취된 DNA 시료를 건조 및 보관하기 위한 일회용 캡슐로써, 이러한 콜렉션 캡슐(111)은 길이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즉, 콜렉션 캡슐(111)은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부(111a)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가 결합되어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력 전달 부위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이를 위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콜렉션 캡슐(111)의 개방부(111a) 반대쪽에는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111b)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부(111b)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전동회전장치(112)에서 더 설명키로 한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은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태로 DNA 시료 채취용 축산물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즉, 콜렉션 캡슐(111)은 그 개방부(111a)가 DNA 시료 채취용 축산물을 향하는 상태에서 해당 축산물에 회전을 동반한 삽입 동작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콜렉션 캡슐(111)의 내측으로 해당 축산물의 살점이 유입된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로 유입되는 축산물의 살점은 콜렉션 캡슐(111)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더 이상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콜렉션 캡슐(111)의 회전에 따른 비틀림 현상으로 인해 끊어지며, 이렇게 콜렉션 캡슐(111) 내에 채워진 축산물의 살점이 DNA 시료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콜렉션 캡슐(111)은 그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개방부(111a)의 반대쪽 내면에 블레이드(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11c)는 콜렉션 캡슐(111)의 내부에서 콜렉션 캡슐(111)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이때, 블레이드(111c)는 콜렉션 캡슐(111) 내로 채워진 축산물의 살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를 통한 커팅 기능을 한다.
즉, 콜렉션 캡슐(111) 내로 채워진 축산물의 살점은 블레이드(111c)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을 통한 비틀림이 이루어지고, 이때 계속되는 블레이드(111c)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 현상이 가중되면서 결국에는 끊여져 통상 한 덩어리의 살점 형태로 콜렉션 캡슐(111)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블레이드(111c)는 콜렉션 캡슐(1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개방부(111a) 반대쪽의 폐쇄된 일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개방부(111a)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일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콜렉션 캡슐(111)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은 채취된 축산물 DNA 시료의 건조를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기공(111d)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콜렉션 캡슐(111)은 채취된 축산물 DNA 시료의 건조를 위해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콜렉션 캡슐(111)은 콜렉션 캡슐별 구분을 위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회전장치(112)는 콜렉션 캡슐(111)과 결합되어 콜렉션 캡슐(11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즉, 전동회전장치(112)는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회전력 전달 부위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가 각진 부위가 있는 결합홈(111e)을 포함한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다. 즉, 결합홈(111e)은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 부위의 공회전 방지를 위해 각진 일면을 갖는 형태이다. 따라서, 전동회전장치(112)의 상기 회전력 전달 부위는 각진 축의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전동회전장치(112)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회전장치(112)는 회전 구동부(112b) 및 파지용 케이스(1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전동회전장치(112)는 속도 스위치(112c) 및 동작 스위치(112d) 그리고 배터리(112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12b)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회전 구동부(112b)는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홈(111e)에 삽입되는 각진 축 형태의 회전력 전달부(112e)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발생시킨 회전 동력을 회전력 전달부(112e)를 통해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에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력 전달부(112e)인 각진 축과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홈(111e)이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지용 케이스(112a)는 회전력 전달부(112e)의 각진 축 영역을 항시 또는 회전 구동부(112b)의 회전 구동 시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회전 구동부(112b)를 수용한다. 다시 말해, 파지용 케이스(112a)는 전동회전장치(112)의 외형 및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파지용 케이스(112a)가 사용자 또는 파지용 장치 등을 통해 파지된다.
속도 스위치(112c)는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 구동 시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속도 스위치(112c)를 통해 회전 구동부(112b)의 회전 구동 시 회전 속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동작 스위치(112d)는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 구동의 개시를 위한 신호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동작 스위치(112d)의 온(ON) 동작을 통해 회전 구동부(112b)의 회전 구동이 개시된다.
배터리(112f)는 전동회전장치(1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배터리(112f)에 의해서 전동회전장치(112)는 배터리(112f)가 방전 상태가 아닌 조건에서 상시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전동회전장치(112)는 외부 전원이 존재해야 하는 장소적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다양한 장소에 휴대 방식으로 이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콜렉션 캡슐과 전동회전장치 간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DNA 시료채취기에서 콜렉션 캡슐과 전동회전장치 간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콜렉션 캡슐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렉션 캡슐(211)은 전동회전장치(212)와의 결합을 위해 콜렉션 캡슐(211)의 본체로부터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꼭지 형태의 결합부(211b)를 구비한다. 또한, 콜렉션 캡슐(211)은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콜렉션 캡슐(111)과 마찬가지로 블레이드(21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동회전장치(212)는 지름 가변을 통해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형태의 회전력 전달 부위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력 전달 부위는 원형으로 배치되는 세 개의 파지편(212e)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세 개의 파지편(212e)은 전동회전장치(212)에 구비되는 회전식 조작부(212f)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름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형태로 동작하면서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에서 해제시킨다.
그리고, 전동회전장치(212)의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 이해하면 될 것이다.
다음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DNA 시료채취기(110)에서 캡슐 거치대(113) 및 덮개(114)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DNA 시료채취기에서 캡슐 거치대 및 덮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거치대(113)는 하판(113a) 및 상판(113b) 그리고 이러한 하판(113a) 및 상판(113b)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시키는 지지대(11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판(113a)은 캡슐 거치대(113)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하판(113a)은 콜렉션 캡슐(111)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홈(113a-1)이 형성된다.
지지대(113c)는 길이방향의 양단이 하판(113a) 및 상판(113b)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지대(113c)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판(113a) 및 상판(113b)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
상판(113b)은 지지대(113c)를 통해 하판(113a)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며, 하판(113a)의 지지홈(113a-1)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지지홀(113b-1)을 형성한 것으로서, 지지홀(113b-1)은 콜렉션 캡슐(111)의 삽입 및 삽입되는 콜렉션 캡슐(111)의 상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상판(113b)의 지지홀(113b-1)별로 콜렉션 캡슐(111)이 삽입되어 이렇게 지지홀(113b-1)에 삽입되는 콜렉션 캡슐(111)이 그 하단을 하판(113a)의 지지홈(113a-1)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상부를 상판(113b)의 지지홀(113b-1)에 지지시키면서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판(113b)과 하판(113a)이 각각 사각의 판 형태이고, 네 개의 지지대(113c)가 상판(113b) 및 하판(113a)의 네 모퉁이에 각각 위치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판(113b)과 하판(113a)은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오각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대(113c)는 상판(113b) 및 하판(113a)의 형상 및 상판(113b)과 하판(113b) 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정 수로 설치될 수 있다.
덮개(114)는 캡슐 거치대(113)에 콜렉션 캡슐(111)이 거치되는 상태로 캡슐 거치대(113)를 덮어 캡슐 거치대(113) 및 이에 거치된 콜렉션 캡슐(111)들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의 DNA 시료채취기를 통해 축산물 DNA 시료가 채취되는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5 및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되어 있는 사용 전의 콜렉션 캡슐(111)을 인출하여 전동회전장치(112)에 결합한다. 이때, 캡슐 거치대(113)로부터 콜렉션 캡슐(111)을 인출 후 이렇게 인출된 콜렉션 캡슐(111)을 전동회전장치(112)에 결합시키는 방식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력 전달 부위를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된 사용 전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부(111b)에 결합시켜 해당 콜렉션 캡슐(111)을 캡슐 거치대(113)로부터 인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전동회전장치(112)의 각진 축 형태인 회전력 전달부(112e)를 콜렉션 캡슐(111)의 결합홈(111e)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콜렉션 캡슐(111)을 캡슐 거치대(113)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콜렉션 캡슐(111)이 전동회전장치(112)에 결합된 후, 전동회전장치(112)를 회전 구동시켜 콜렉션 캡슐(111)이 회전이 동반된 상태로 DNA 시료 채취용 축산물에 삽입되게 한다. 즉, 콜렉션 캡슐(111)은 전동회전장치(112)의 회전 구동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DNA 시료 채취용 축산물로 삽입되며, 이 과정에서 축산물의 살점이 콜렉션 캡슐(111) 내로 유입되고, 콜렉션 캡슐(111)에 구비된 블레이드(111c)의 기능을 통해 축산물의 살점이 끊기면서 콜렉션 캡슐(111) 내에 축산물 DNA 시료의 채취가 완료된다.
그리고, 이러한 축산물 DNA 시료 채취 과정은 기존의 가위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보다 간단하고 따라서 축산물 DNA 시료 채취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축산물 DNA 시료의 채취가 완료된 콜렉션 캡슐(111)을 다시 캡슐 거치대(113)의 거치되었던 원래 위치에 거치시킨 후, 이렇게 재거치가 완료된 콜렉션 캡슐(111)로부터 전동회전장치(112)를 분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캡슐 거치대(113)의 모든 콜렉션 캡슐(111)에 축산물 DNA 시료가 채취되게 한 후, 이렇게 축산물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모든 콜렉션 캡슐(111)이 캡슐 거치대(113)에 거치된 상태에서 콜렉션 캡슐(111)별 축산물 DNA 시료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덮개(114)는 콜렉션 캡슐(111)이 사용 전인 캡슐 거치대(113) 또는 콜렉션 캡슐(111)이 사용되어 콜렉션 캡슐(111)별로 축산물 시료가 건조 중에 있는 캡슐 거치대(113) 등 필요시 캡슐 거치대(113)를 덮어 해당 캡슐 거치대(113) 및 그에 거치된 콜렉션 캡슐(111)들을 외부로부터 가려 보호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한 실시 예의 경우, 콜렉션 캡슐(111)과 전동회전장치(112)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과정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5 및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즉, 도 6 및 도 7을 참조한 실시예의 경우, 전동회전장치(212)의 회전식 조작부(212f)를 회전 조작하여 세 개의 파지편(212e)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력 전달 부위의 지름을 확대시킨 후, 이렇게 지름이 확대된 세 개의 파지편(212e) 사이로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삽입시킨 다음 회전식 조작부(212f)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여 세 개의 파지편(212e)에 의한 지름을 축소시키고, 이를 통해 세 개의 파지편(212e)이 콜렉션 캡슐(211)의 꼭지형 결합부(211b)를 죄는 방식으로 파지케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동회전장치(212)와 콜렉션 캡슐(211)의 분리 시에는 세 파지편(212e)의 지름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전동회전장치(212)의 회전식 조작부(212f)를 회전시켜 전동회전장치(212)로부터 콜렉션 캡슐(211)이 분리되게 한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NA 시료채취기(110)는, 휴대가 가능한 전동회전장치(112, 212)를 이용하여 관 형태의 콜렉션 캡슐(111, 211)을 DNA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축산물에 회전을 동반하여 삽입시킨 후 분리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휴대형의 전동회전장치(112, 212)를 이용하는 콜렉션 캡슐(111, 211)의 회전을 동반한 축산물 DNA 시료 채취 작업 및 이렇게 시료 채취가 이루어진 콜렉션 캡슐(111, 211)을 보관하는 일련의 과정이 간단한 연속 작업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국내를 기준으로 매우 많은 개체의 도축이 이루어지는 축산물의 DNA 시료 채취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콜렉션 캡슐(111, 211) 및 콜렉션 캡슐들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113)가 규격화됨으로써, 시료를 채취하기 전 또는 후의 콜렉션 캡슐(111, 211)을 용이하게 휴대, 운반, 보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량의 콜렉션 캡슐(111, 211)을 보다 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다량의 콜렉션 캡슐(111, 211)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도축현장 단말기(130)는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111)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를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RFID 방식으로 각각 인식된 해당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100) 및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도축현장 단말기(130)는 콜렉션 캡슐(111)별로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111)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RFID 방식으로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에 상기 RFID 방식으로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를 동기화(Synchronization)시켜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는 콜렉션 캡슐(111)에 부착됨과 아울러 도축이 완료된 도축 축산물에 부착되어 가공 및 생산 현장에 보내지는 바, 도축관련 식별정보만을 저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육되거나 도축되는 축산물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여 해당 도축 축산물에게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통해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산물의 사육이 이루어지는 시기부터 축산물별로 부여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도축장에 들어오는 축산물들을 대상으로 부여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축현장 단말기(130)는 인식되는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에 해당 콜렉션 캡슐(111)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동기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도축단계 전자태그(120)가 도축관련 식별정보만을 저장한 형태인 경우를 예로 한 것이며, 이에 따라 도축현장 단말기(130)에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가 부착되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식별정보와 동기화시켜 이렇게 동기화된 정보를 축산물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도축단계 전자태그(120)가 축산물별로 해당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저장한 형태로 제작된 경우, 도축현장 단말기(130)는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들을 인식만하여 이렇게 인식되는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축산물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게 된다.
가공단계 전자태그(140)는 도축이 완료된 도축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가공관련 식별정보만을 저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육되거나 도축되는 축산물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여 해당 축산물 상품들에게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가공현장 단말기(150)는 도축이 완료된 도축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와 함께 해당 도축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각각 RFID 방식으로 인식된 해당 축산물 상품의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가공현장 단말기(150)는 도축이 완료된 도축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와 함께 해당 도축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RFID 방식으로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에 상기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동기화시켜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력관리서버(160)는 도축현장 단말기(130) 및 가공현장 단말기(150)로부터 각각 전송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및/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이력관리서버(160)는 도축현장 단말기(130) 및 가공현장 단말기(150)로부터 동기화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및/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력관리서버(160)는 농가별로 개체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농가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 도축단계 전자태그(120)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140)는 예컨대, RFID 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RFID 태그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추가적으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인식하여 외부에 출력하는 판매현장 단말기(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판매현장 단말기(170)는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여 이력관리서버(160)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와 매핑(mapping)되어 있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이력관리서버(160)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판매현장 단말기(170)는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이력관리서버(160)는 판매현장 단말기(170)로부터 전송되는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판매현장 단말기(170)로 전송하며, 판매현장 단말기(170)는 이력관리서버(160)로부터 수신되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판매현장 단말기(170)는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해당 정보를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에 동기화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매현장 단말기(170)는 통상 축산물 상품의 구매자가 휴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 PC 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축산물의 귀에 부착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고, 상기 RFID 방식으로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축산물의 양수/양도정보, 질병/백신정보 및 폐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체이력정보를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는 사육현장 단말기(18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이력관리서버(160)는 사육현장 단말기(180)로부터 전송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 및 해당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및/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방법은, 먼저, 사육되는 축산물별로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를 부여한다(S100).
이후에, 사육단계 전자태그(100)가 부여된 축산물의 도축 시 DNA 시료채취기(110)를 통해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DNA 시료채취기(110)에 포함된 콜렉션 캡슐(111)에 도축정보가 저장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를 부착한다(S200).
그런 다음, 도축현장 단말기(130)를 통해 콜렉션 캡슐(111)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111)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한다(S300).
다음으로, 도축현장 단말기(130)를 통해 상기 단계 S300에서 각각 RFID 방식으로 인식된 해당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 및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한다(S400).
한편, 상기 단계 S400에서, 도축현장 단말기(130)를 통해 상기 단계 S300에서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에 상기 단계 S300에서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를 동기화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에, 상기 단계 S200에서 도축이 완료된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가공정보가 저장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를 부착한다(S500).
그런 다음, 가공현장 단말기(150)를 통해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와 함께 상기 단계 S200에서 도축이 완료된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한다(S600).
다음으로, 가공현장 단말기(150)를 통해 상기 단계 S600에서 각각 RFID 방식으로 인식된 해당 축산물 상품의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서로 결합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한다(S700).
한편, 상기 단계 S700에서, 가공현장 단말기(150)를 통해 상기 단계 S600에서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에 상기 단계 S600에서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를 동기화하여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에, 이력관리서버(160)를 통해 상기 단계 S400 및 단계 S700에서 각각 전송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및/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S800).
한편, 상기 단계 S800에서, 이력관리서버(160)를 통해 상기 동기화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 도축단계 전자태그(120)의 정보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및/또는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800에서, 이력관리서버(160)는 농가별로 개체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농가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 S100 이후에, 사육현장 단말기(180)를 통해 상기 축산물에 부여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사육현장 단말기(180)에서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와 함께 해당 축산물의 양수/양도정보, 질병/백신정보 및 폐사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체이력정보를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력관리서버(160)를 통해 사육현장 단말기(180)로부터 전송된 사육단계 전자태그(100)의 정보 및 해당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 S800 이후에, 판매현장 단말기(170)를 통해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판매현장 단말기(170)에서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외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판매현장 단말기(170)에서 해당 축산물 상품의 가공단계 전자태그(140)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이력관리서버(16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800 이후에, 판매현장 단말기(170)를 통해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판매현장 단말기(170)에서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를 이력관리서버(160)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력관리서버(160)를 통해 판매현장 단말기(170)로부터 전송된 가공단계 전자태그(140)의 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있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검출하여 판매현장 단말기(170)로 전송하는 단계와, 판매현장 단말기(170)를 통해 이력관리서버(160)로부터 전송되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판매현장 단말기(170)에서 해당 축산물 상품의 가공단계 전자태그(140)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이력관리서버(16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사육단계 전자태그, 110 : DNA 시료채취기,
111, 211 : 콜렉션 캡슐, 111a : 개방부,
111b, 211b : 결합부, 111c, 211c : 블레이드,
111d, 211d : 통기공, 111e : 결합홈,
112, 212 : 전동회전장치, 112a : 파지용 케이스,
112b : 회전 구동부, 112c : 속도 스위치,
112d : 동작 스위치, 112e, 212e : 회전력 전달부,
112f : 배터리, 113 : 캡슐 거치대,
113a : 하판, 113a-1 : 지지홈,
113b : 상판, 113b-1 : 지지홀,
113c : 지지대, 114 : 덮개,
120 : 도축단계 전자태그, 130 : 도축현장 단말기,
140 : 가공단계 전자태그, 150 : 가공현장 단말기,
160 : 이력관리서버, 170 : 판매현장 단말기,
180 : 사육현장 단말기

Claims (15)

  1. 삭제
  2. 축산물의 귀에 부착되고, 해당 축산물의 개체식별번호를 비롯하여 출생 및 사육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가 저장되는 사육단계 전자태그;
    도축되는 축산물로부터 DNA 시료를 채취하여 콜렉션 캡슐에 보관시키는 DNA 시료채취기;
    상기 콜렉션 캡슐별로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콜렉션 캡슐을 통해 DNA 시료의 채취가 이루어진 축산물의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에 상기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도축현장 단말기;
    도축 축산물을 가공하여 생산한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도축 축산물에 부착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RFID 방식으로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에 상기 인식된 도축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가공현장 단말기; 및
    상기 도축현장 단말기 및 상기 가공현장 단말기로부터 동기화된 사육단계, 도축단계 및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및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이력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축산물 상품에 부착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가공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매핑되어 있는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상기 이력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외부 출력하는 판매현장 단말기; 및
    상기 축산물의 귀에 부착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와 함께 해당 축산물의 양수정보, 양도정보, 질병정보, 백신정보 및 폐사정보를 포함하는 개체이력정보를 상기 이력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육현장 단말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판매현장 단말기는, 상기 축산물 상품의 구매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시 해당 축산물 상품의 가공단계 전자태그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해당 축산물 상품의 이상 정보를 동기화하여 상기 이력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이력관리서버는, 상기 사육현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사육단계 전자태그의 정보 및 해당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개체식별번호별 및 콜렉션 캡슐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농가별로 개체현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농가별로 축산물의 개체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DNA 시료채취기는, 길이 방향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일측의 개방부부터 시작되는 축산물에 대한 회전이 동반된 삽입 동작을 통해 상기 개방부로 해당 축산물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DNA 시료용 살점의 비틀림을 통한 커팅 기능의 블레이드가 폐쇄된 타측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는 개방부 반대쪽의 폐쇄된 내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개방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폐쇄된 내면과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이 관의 측면에 연결되는 판 형태이고, 폐쇄된 타측에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콜렉션 캡슐과,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와 원터치 방식의 결합을 하는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회전 구동 시 그 회전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전달하는 전동회전장치와, DNA 시료가 채취된 상기 콜렉션 캡슐별 구분을 위해 상기 콜렉션 캡슐에 부착되는 상기 도축단계 전자태그가 포함되고,
    상기 콜렉션 캡슐의 결합부는, 상기 전동회전장치의 회전력 전달부위가 삽입되어 공회전이 방지되는 회전을 하도록 각진 일면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형태이거나 축산물의 DNA 시료용 살점이 유입되는 상기 콜렉션 캡슐의 본체로부터 축소된 지름을 가지며 연장되는 꼭지 형태이고,
    상기 전동회전장치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각진 축 형태의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발생시킨 회전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부를 통해 상기 결합부에 전달하는 형태이거나 지름 가변을 통해 상기 꼭지 형태의 결합부를 파지하거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회전력 전달부위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140785A 2015-10-07 2015-10-07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KR101636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85A KR101636957B1 (ko) 2015-10-07 2015-10-07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PCT/KR2016/008213 WO2017061686A1 (ko) 2015-10-07 2016-07-27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785A KR101636957B1 (ko) 2015-10-07 2015-10-07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957B1 true KR101636957B1 (ko) 2016-07-12

Family

ID=5650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785A KR101636957B1 (ko) 2015-10-07 2015-10-07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6957B1 (ko)
WO (1) WO20170616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737B1 (ko) * 2019-09-19 2020-04-14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그룹별 축산물 생애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92147A (ko) 2019-01-24 2020-08-03 윤수현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KR20200099242A (ko) 2019-02-13 2020-08-24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4592B (zh) * 2020-03-31 2024-04-26 同济大学 一种基于可叠加胶囊网络的植物叶片识别方法
CN114897539B (zh) * 2022-04-24 2023-04-25 新疆七色花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畜产品追溯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461A (ko) * 2003-04-26 2003-06-25 주식회사 스피드칩 가축개체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1278A (ko) 2008-07-24 2010-02-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전자이표를 이용한 돼지 개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7678A (ko) 2011-03-22 2012-10-04 메타라이츠(주)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2479A (ko) * 2013-12-19 2015-06-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가축이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9829B1 (ko) * 2015-02-04 2015-09-08 김진영 축산물용 dna 시료 채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47B1 (ko) * 2013-04-11 2015-04-10 박태수 축산물 시료채취용 블릿형 캡슐 및 이 블릿형 캡슐을 포함하는 축산물 시료채취 장치
KR101423879B1 (ko) * 2013-04-26 2014-08-01 주식회사 유비유이노베이션 온도센서를 탑재한 캡슐 형태의 생체주입형 rfid 태그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461A (ko) * 2003-04-26 2003-06-25 주식회사 스피드칩 가축개체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1278A (ko) 2008-07-24 2010-02-0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전자이표를 이용한 돼지 개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7678A (ko) 2011-03-22 2012-10-04 메타라이츠(주)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2479A (ko) * 2013-12-19 2015-06-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가축이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9829B1 (ko) * 2015-02-04 2015-09-08 김진영 축산물용 dna 시료 채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147A (ko) 2019-01-24 2020-08-03 윤수현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KR20200099242A (ko) 2019-02-13 2020-08-24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00737B1 (ko) * 2019-09-19 2020-04-14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그룹별 축산물 생애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1686A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957B1 (ko)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CN109146514B (zh) 畜牧产品溯源信息记录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795272B (zh) 快速识别病原体、细菌和异常细胞的系统和方法
JP5464619B2 (ja) 畜産管理システム
Stankovski et al. Dairy cow monitoring by RFID
CN106530027A (zh) 一种客户自经营式肉猪养殖销售系统
CA2367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vestock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CN102009816B (zh) 电子标签驱动的数控回转库及其应用方法
WO2016092540A1 (en) Association of processed items with process logs
CA2684505A1 (en) Traceability system applied to farm production activities, industri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bee products
CN107423887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的家禽监管方法及系统
CN113191655A (zh) 饲喂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80578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iometic identification of dairy of animals using vein pattern recognition
CN103455945A (zh) 动物身份证系统的建立和检索方法
US20180007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devices with machine vision systems
KR101711119B1 (ko)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KR20150072479A (ko)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가축이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9795B1 (ko)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Ismail et al. Development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livestock management system
KR20220149189A (ko)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Fenu et al. RFID-based supply chain traceability system
KR101549829B1 (ko) 축산물용 dna 시료 채취 장치
Robinson Electronic identification of animals and carcasses
CN204813818U (zh) 一种猪病监测系统
Kontogiannis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dentification productivity recording and breeding system for the sheep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