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147A -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147A
KR20200092147A KR1020190009326A KR20190009326A KR20200092147A KR 20200092147 A KR20200092147 A KR 20200092147A KR 1020190009326 A KR1020190009326 A KR 1020190009326A KR 20190009326 A KR20190009326 A KR 20190009326A KR 20200092147 A KR20200092147 A KR 2020009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score
environment information
score
growth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716B1 (ko
Inventor
윤수현
윤동규
Original Assignee
윤수현
윤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현, 윤동규 filed Critical 윤수현
Priority to KR102019000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71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을 포함하는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며, 산출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 및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수신하여 각 생산물별로 표시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roduct score}
본 발명은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으로서,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생산물의 정보를 정량화하여 점수로서 제공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현대에 들어 축산물의 이력에 대한 신뢰성 회복은 판매자나 소비자 모두에게 있어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축산물 판매자들이 축산물을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때 외국에서 수입한 축산물을 국내용인 것처럼 속여 파는 범죄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구입한 축산물이 실제로 그 물품의 라벨에 인쇄되어 있는 이력정보와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없어 불안한 마음을 해결할 수 없었다.
이러한 사회적인 상황 가운데, 최근 들어 소비자로 하여금 축산물의 이력을 추적 조회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생산물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산물 운영 관련 특허, 제어 관련 특허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기존의 생산물 관련 데이터는 소비자와의 연결성이 없으며, 또한 다른 생산물들과의 차별성이 없다.
예를 들어, 축산농가의 선진화를 통해 소비자들은 유기농 환경, 복지 환경에서 키워진 축산물을 소비하고 싶어하나, 이러한 유기농 환경, 복지 환경에서 성장된 축산물을 소비자가 손쉽게 분별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생산물의 최종 소비(가공, 섭취)의 직전 단계에서 해당 생산물의 차별성에 대한 생산물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3695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생산물의 정보를 정량화하여 점수로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을 포함하는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며, 산출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 및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수신하여 각 생산물별로 표시하는 소비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환경 정보는, 재배지, 재배/수확/도축 년월일, 재배시간, 축사 소음, 동물의 휴식시간, 사육밀도, 및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재배 정보와, 온도, 습도, 일조시간, 일사량, 착유우(젖소)의 착유 시간, 양식 수산물의 사육 기간 및 사육환경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재배 정보를 제공하는 재배 정보 인증 서버;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는,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각 생산물별로 저장한 생산물별 성장환경 정보 DB;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 및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 및 소비자 단말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성장환경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는, 정해진 정보 수집 주기마다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은, 상기 정보 수집 주기별로 수집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산물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은, 성장환경 정보별로 각각 다른 환산 구간을 적용하여 점수화 합산하여 생산물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은, 각 환산 구간별로 다르게 할당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점수화할 수 있다.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는, 각 생산물을 대상으로 산출된 생산물 점수를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에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의 바코드, RFID 태그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각 생산물의 바코드, RFID를 판독하여 생산물 점수를 파악하며, 파악된 생산물 점수를 기반으로 생산물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증강현실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생산물의 정보를 정량화하여 점수로서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생산물의 유기농 환경, 복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차별화하여 직관적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생산물 점수의 예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물 포장지에 생산물 점수를 바코드 형태로 나타낸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물 점수를 증강현실 그래픽으로 표시한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비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생산물 점수의 예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물 포장지에 생산물 점수를 바코드 형태로 나타낸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물 점수를 증강현실 그래픽으로 표시한 예시 그림이다.
본 명세서에서 "생산물"이라는 용어는 농산물과 같이 생산, 성장, 활동을 통해 수확되어 판매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물품을 말하며, 농산물뿐만 아니라 축산물, 수산물 등과 같이 성장을 통해 수확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판매 생산물을 말한다.
본 발명은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과 같은 생산물의 재배, 성장, 활동의 이력들을 정량화 가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수화하여, 즉, 각 생산물의 이력 정보별 가중치에 따른 환산평가지표로서 각 생산물에 대한 생산물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포장지 또는 설명서 또는 스마트폰 앱 또는 PC 전용 웹브라워저를 통해 정량화되어 점수화된 생산물 정보를 소비자에게 직접 및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미도시),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을 포함하는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와,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며 산출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소비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와,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수신하여 각 생산물별로 표시하는 소비자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소비자 단말기(100),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 및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 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0)는,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과 같은 생산물을 구입하여 소비하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소비자 단말기(100)는,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수신하여 각 생산물별로 표시한다. 소비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생산물 점수 알림 앱(가칭)을 통하여 생산물 점수를 표시하며, 소비자 단말기(100)가 PC로 구현되는 경우 PC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생산물 점수를 표시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110), 단말기 저장부(120), 단말기 표시부(130), 단말기 입력부(140), 및 생산물 점수 알림 앱이 설치된 단말기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단말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생산물 점수 알림 앱 실행 프로그램, 화면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 등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말기 표시부(130)는, 각 생산물의 각 생산물의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표시한다.
단말기 입력부(140)는, 생산물 점수를 열람하고자 하는 생산물을 소비자로부터 선택받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입력부(140)와 단말기 표시부(13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소비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 제어부(150)는, 소비자 단말기(1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생산물 점수 알림 앱이 설치된 모듈이다. 이러한 생산물 점수 알림 앱은,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수신하여 각 생산물별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마트에서 판매되는 계란들의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계란별로 표시한다. 또한 마트에서 판매되는 현미쌀들의 유기농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계란별로 표시한다. 이러한 생산물 점수는, 매일 갱신되어 산출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각 생산물의 재배나 축사가 이루어지는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점수로서 정량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각 생산물의 재배나 축사가 이루어지는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생산물 점수로서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는,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을 포함하는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성장환경 정보는, 재배지, 재배/수확/도축 년월일, 재배시간, 축사 소음, 동물의 휴식시간, 사육밀도, 및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재배 정보와, 온도, 습도, 일조시간, 일사량, 착유우(젖소)의 착유 시간, 양식 수산물의 사육 기간 및 사육환경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는, 재배 정보를 제공하는 재배 정보 인증 서버(미도시)와,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배 정보 인증 서버(미도시)라 함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HACCP)와 같이 국가에서 공인하는 식약처 인증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는, 정해진 정보 수집 주기마다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매일 새벽 5시에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며, 산출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소비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210), 생산물별 성장환경 정보 DB(220), 및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10)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 및 소비자 단말기(1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2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서버 통신부(210)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로부터 성장환경 정보를 수신하며, 소비자 단말기(100)에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전송한다.
생산물별 성장환경 정보 DB(220)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각 생산물별로 저장한 저장체이다. 따라서 재배지, 재배/수확/도축 년월일, 재배시간, 축사 소음, 동물의 휴식시간, 사육밀도, 및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재배 정보와, 온도, 습도, 일조시간, 일사량, 착유우(젖소)의 착유 시간, 양식 수산물의 사육 기간 및 사육환경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각 생산물별로 저장하게 된다.
참고로, 생산물별 성장환경 정보 DB(2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230)은,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모듈이다.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가 정해진 정보 수집 주기마다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230)은, 정보 수집 주기별로 수집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산물 점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300)가 매일 새벽 5시에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230)은, 매일 새벽 5시에 수집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산출하여 업데이트 갱신하게 된다.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230)이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산출하는 것은, 성장환경 정보별로 각각 다른 환산 구간을 적용하여 점수화 합산하여 생산물 점수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1레벨의 일조량의 경우 일조량 점수는 1점으로 할당되며, 가장 적당한 제2레벨의 일조량의 경우 일조량 점수는 3점으로 할당되며, 제3레벨의 일조량의 경우 일조량 점수는 2점으로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온도의 경우 온도점수는 1점으로 할당되며, 가장 적당한 제2온도의 경우 온도점수는 3점으로 할당되며, 제3온도의 경우 온도점수는 2점으로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이럴 경우, A 현미쌀의 일조량이 제2레벨이고, A 현미쌀의 재배온도가 제1온도인 경우, 일조량 점수 3점과 온도점수 1점으로서 전체 4점의 생산물 점수로서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B 현미쌀의 일조량이 제3레벨이고, B 현미쌀의 재배온도가 제2온도인 경우, 일조량 점수 2점과 온도점수 3점으로서 전체 5점의 생산물 점수로서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C 현미쌀의 일조량이 제1레벨이고, C 현미쌀의 재배온도가 제3온도인 경우, 일조량 점수 1점과 온도점수 2점으로서 전체 3점의 생산물 점수로서 산출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생산물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230)은, 각 환산 구간별로 다르게 할당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점수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레벨의 일조량의 경우 일조량 점수 1점과 가중치 0.2가 할당되며, 가장 적당한 제2레벨의 일조량의 경우 일조량 점수 3점과 가중치 0.5가 할당되며, 제3레벨의 일조량의 경우 일조량 점수 2점과 가중치 0.3이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온도의 경우 온도점수 1점과 가중치 0.1이 할당되며, 가장 적당한 제2온도의 경우 온도점수 3점과 가중치 0.5가 할당되며, 제3온도의 경우 온도점수 2점과 가중치 0.4가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이럴 경우, A 현미쌀의 일조량이 제2레벨이고, A 현미쌀의 재배온도가 제1온도인 경우, 일조량 점수 3점 × 가중치 0.5 = 1.5점이 산출되며, 온도점수 1점 × 가중치 0.1 = 0.1점이 산출되어, 결과적으로 1.5점 + 0.1점 = 1.6점이 최종적인 생산물 점수로서 산출된다.
참고로, 이러한 가중치 적용 방식은 다른 다양한 가중치 적용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200)는, 각 생산물의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소비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각 생산물을 대상으로 산출된 생산물 점수를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에 인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에 도 6과 같이 바코드에 기록할 수 있다. 또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에 부착된 RFID 태그에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의 바코드, RFID 태그에 기록된 생산물 점수를 판독하여 생산물 점수를 파악한 소비자 단말기(100)는, 파악된 생산물 점수를 기반으로 생산물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증강현실 그래픽(Augmented Reality graphic)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선도가 높아서 생산물 점수가 높은 계란들의 경우 다른 계란들과 다르게 표시하거나 더 크게 표시하는 증강현실 그래픽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생산물 점수가 높은 계란들을 닭과 함께 표시하는 증강현실 그래픽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직감적으로 손쉽게 파악하고 해당 생산물을 구매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소비자 단말기
200: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
300: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

Claims (10)

  1.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을 포함하는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유기농 환경 및 복지 환경을 정량화한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며, 산출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 및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수신하여 각 생산물별로 표시하는 소비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장환경 정보는,
    재배지, 재배/수확/도축 년월일, 재배시간, 축사 소음, 동물의 휴식시간, 사육밀도, 및 이동거리를 포함하는 재배 정보와, 온도, 습도, 일조시간, 일사량, 착유우(젖소)의 착유 시간, 양식 수산물의 사육 기간 및 사육환경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재배 정보를 제공하는 재배 정보 인증 서버;
    상기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
    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는,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각 생산물별로 저장한 생산물별 성장환경 정보 DB;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 및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 및 소비자 단말기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성장환경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성장환경 정보 제공 서버는, 정해진 정보 수집 주기마다 각 생산물의 성장환경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은, 상기 정보 수집 주기별로 수집되는 성장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생산물 점수를 산출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은,
    성장환경 정보별로 각각 다른 환산 구간을 적용하여 점수화 합산하여 생산물 점수로서 산출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생산물 점수 환산 모듈은,
    각 환산 구간별로 다르게 할당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점수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는,
    각 생산물을 대상으로 산출된 생산물 점수를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에 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생산물 점수 제공 서버는,
    각 생산물의 생산물 점수를 생산물 포장지 또는 설명서의 바코드, RFID 태그에 기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는,
    각 생산물의 바코드, RFID를 판독하여 생산물 점수를 파악하며, 파악된 생산물 점수를 기반으로 생산물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증강현실 그래픽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KR1020190009326A 2019-01-24 2019-01-24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KR10223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26A KR102238716B1 (ko) 2019-01-24 2019-01-24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26A KR102238716B1 (ko) 2019-01-24 2019-01-24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47A true KR20200092147A (ko) 2020-08-03
KR102238716B1 KR102238716B1 (ko) 2021-04-09

Family

ID=7204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26A KR102238716B1 (ko) 2019-01-24 2019-01-24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076A (ko) * 2021-07-22 2023-01-3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149A (ko) * 2000-09-19 2002-03-27 김수종 수산물 전자상거래 중개서버 시스템 및 그 전자상거래중개방법
KR20080024647A (ko) * 2006-09-14 2008-03-19 동부정보기술(주) 농산물 재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9463A (ko) * 2008-10-08 2010-04-16 (주)오비트 농산물 품질 인증 서비스 방법
KR20150029257A (ko) * 2013-09-09 2015-03-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음식물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36957B1 (ko) 2015-10-07 2016-07-12 김진영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149A (ko) * 2000-09-19 2002-03-27 김수종 수산물 전자상거래 중개서버 시스템 및 그 전자상거래중개방법
KR20080024647A (ko) * 2006-09-14 2008-03-19 동부정보기술(주) 농산물 재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9463A (ko) * 2008-10-08 2010-04-16 (주)오비트 농산물 품질 인증 서비스 방법
KR20150029257A (ko) * 2013-09-09 2015-03-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음식물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36957B1 (ko) 2015-10-07 2016-07-12 김진영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076A (ko) * 2021-07-22 2023-01-3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716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an et al. Food traceability system from governmental, corporate, and consumer perspectives in the European Union and China: A comparative review
Mainetti et al. An innovative and low-cost gapless traceability system of fresh vegetable products using RF technologies and EPCglobal standard
US20140091136A1 (en) Tracking system for food products
Mohammed et al. A study in integrity of an RFID-monitoring HMSC
CN104361041A (zh) 智能冰箱的辅助方法及辅助系统
CN103729730A (zh) 一种畜牧产品的可视化监控溯源系统和方法
US20130270337A1 (en) System for managing the nutritional content for nutritional substances
WO2013158576A1 (en) Information system for nutritional substances
CN104406916A (zh) 食物的检测方法和装置
Guruswamy et al. Toward better food security using concepts from industry 5.0
Ariff et al. RFID based systematic livestock health management system
JP2009122884A (ja) 動産担保融資支援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
CN103793793A (zh) 用于农业领域源头监控及追踪溯源系统
CN103886407A (zh) 一种基于物联网和数据库技术的生猪全产业链溯源系统
Korale Gedara et al. Does asymmetry in price transmission exist in the rice market in Sri Lanka?
CN201917390U (zh) 具有无线射频读写功能的溯源电子秤
KR102238716B1 (ko)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WO2014151935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management
CN103886492A (zh) 一种基于云计算的肉菜零售交易方法
CN102982478A (zh) 一种食品销售的追溯系统及其追溯方法
CN107251074A (zh) 购买后使用分析以便提示将物品在在线市场中转卖
CN106355509A (zh) 农业智能管理系统
JP2005280909A (ja) 食べ頃検出方法、食べ頃検出システム、食べ頃検出装置、食べ頃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N105989530A (zh) 自动根据食材规划相关菜色的方法及系统
Kontogiannis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dentification productivity recording and breeding system for the sheep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