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678A -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678A
KR20120107678A KR1020110025319A KR20110025319A KR20120107678A KR 20120107678 A KR20120107678 A KR 20120107678A KR 1020110025319 A KR1020110025319 A KR 1020110025319A KR 20110025319 A KR20110025319 A KR 20110025319A KR 20120107678 A KR20120107678 A KR 20120107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ood
livestock
identification number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열
Original Assignee
메타라이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라이츠(주) filed Critical 메타라이츠(주)
Priority to KR102011002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678A/ko
Publication of KR2012010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이력추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축산물의 이력 및 가공정보 저장하여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농축산물의 이력 및 가공정보 저장을 위한 관리정보 저장장치, 상기 관리정보 저장장치의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기 위한 판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AGRO AND LIVESTOCK PRODUCTS TRACING HISTORICAL SYSTEM AND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식품 이력추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축산물의 이력 및 가공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여 추출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소비자들의 먹거리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바코드나 플라스틱 태그를 부착하여 원산지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바코드와 플라스틱 태그는 유통과 판매과정에서 위변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식품의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구제역과 같은 가축질병이 만연하는 경우, 소비자의 먹거리 선택에 불안감이 높아지고 또한 외국 농산물의 허위 원산지 표시로 인해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급격히 감소한다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소비자에게 정확한 식품 정보를 제공하도록 원산지 확인 및 진위 여부 판단을 위한 수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농축산물의 이력 및 가공정보 저장하여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은 농축산물의 이력 및 가공정보 저장을 위한 관리정보 저장장치, 상기 관리정보 저장장치의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기 위한 판독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정보 저장장치는 전자태그(RFID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정보 저장장치는농산물의 이력저장을 위한 생장관리부, 축산물의 이력저장을 위한 사육관리부, 상기 농산물을 가공한 식품정보 정보저장을 위한 식품정보부, 및 상기 생장관리부, 상기 사육관리부, 상기 식품정보부의 보안을 위한 보안관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농산물의 이력은 이력추적 관리번호나 우수농산물 인증번호(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와 같이 농산물 생산 시 부여하는 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축산물의 이력은 국제 동물식별 표준번호(ISO 11784)나 소 개체 식별번호와 가축 사육시 부여하는 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식품정보부는 상기 농산물 종류정보와 상기 축산물의 부위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관리부는 제조업체가 부여하는 제조자 식별번호, 사용자가 부여하는 식품 식별번호 및 사용자가 상기 생장관리부, 상기 사육관리부 및 상기 식품정보부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부여하는 비밀번호가 포함된다.
상기 제조자 식별번호는 읽기전용메모리(Read Only Memory)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방법은 제조자가 식별번호를 각각 부여하는 식별번호 부여과정, 정보의 변경을 위해 입력하는 접근 비밀번호를 부여하는 비밀번호 부여과정, 농축산물의 생장 또는 사육정보 저장을 위한 생장, 사육정보 저장과정, 상기 농축산물을 식품으로 가공하는 식품 가공과정, 상기 식품의 종류 또는 부위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품정보 저장과정, 및 상기 생장 또는 사육정보와 상기 식품의 종류 또는 부위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과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정보는 식품 식별번호로 저장된다.
또한 상기 판독과정은 상기 식별번호 부여과정에서 부여된 제조자 식별번호와 상기 식품정보 저장과정에서 부여된 식품 식별번호를 무선 인식수단에 저장하여, 비교하는 위변조 확인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농축산물에 대한 원산지나 생산 정보 정보의 위조방지를 통해 식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의 위조방지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리정보 저장장치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안관리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관리정보 저장장치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농축산물의재배 및 사육정보와 식품으로 가공된 후 식품정보를 위조방지 수단을 구비한 장치에 저장한 후 무선으로 판독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을 예를 들어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100)은 농축산물의 이력 및 가공정보 저장을 위한 관리정보 저장장치(110)와, 관리정보 저장장치(110)의 정보판독을 위한 판독장치(12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관리정보 저장장치(110)에는 농산물 또는 축산물의 이력정보가 보안 처리되어 저장되고, 농산물 또는 축산물이 식품으로 가공되면 그 식품정보도 저장된다.
예를 들면 농산물 또는 축산물의 이력정보는 원산지정보 등이 포함되고, 식품정보로는 농산물인 경우, 딸기나 배추와 같은 종류정보, 축산물인 경우 부위별 정육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러면 인증된 판독장치(120)는 관리정보 저장장치(110)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한다.
이를 위해 관리정보 저장장치(110)는 전자태그(RFID 태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판독장치(120)는 전자태그(RFID 태그)를 무선으로 판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리정보 저장장치(120)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관리정보 저장장치(110)는 농산물의 이력저장을 위한 생장관리부(111)와, 축산물의 이력저장을 위한 사육관리부(112), 농산물과 축산물을 식품으로 가공하여, 식품의 종류 저장을 위한 식품정보부(113), 및 생장관리부(111), 사육관리부(112), 식품정보부(113)의 보안을 위한 보안관리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생장관리부(111)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농작물의 경우 이력을 표시하기 위해 이력추적관리번호, 우수농산물인증번호(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친환경 번호 등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농부는 자신이 수확한 딸기 10상자에 국가에서 부여받은 우수농산물인증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생장관리부(111)는 이와 같이 농작물의 이력을 표시하기 위해 받은 이력정보가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사육관리부(11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축산물을 소라고 가정하면, 사육관리부(112)에는 국제 동물식별 표준번호(ISO 11784)와 같은 이력정보가 저장된다.
바람직하게 이력정보에는 축산물의 원산지 정보가 포함된다.
그 후, 농축산물은 가공 또는 도축됨으로써 식품으로 가공된다.
예를 들면 가축이 소인 경우, 소를 등심, 안심, 사골, 꼬리 등과 같이 부위별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번호를 식품정보부(113)에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농산물이 야채나 채소인 경우 각 채소의 종류별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번호를 식품정보부(113)에 기록한다.
따라서 관리정보 저장장치(110)에 기록된 정보들은 도 1의 판독장치(120)를 통해 판독되어 식품 유통망 관리 및 식품 판매에 활용된다.
한편 관리정보 저장장치(110)에는 소비자에게 신뢰도를 주기 위한 보안관리부(114)가 더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안관리부(114)에 저장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안관리부(114)는 정보관리 저장장치(110) 제조업체가 제조 시 부여하는 제조자 식별번호(b)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부여하는 식품 식별번호(a)와 위변조 방지를 위한 비밀번호(c)가 포함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제조자 식별번호(b)는 보안관리부(114)에 구비된 읽기전용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에 기록됨으로써 변경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제조자 식별번호(b)에 대응하는 식품 식별번호(a)를 기록하여 그 번호를 크로스 확인함으로써 복재 태그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업체 식별번호(b)와 식품 식별번호(a)는 판독장치(120)에도 기록된다.
그러면, 판독장치(120)가 관리정보 저장장치(110)를 무선으로 판독하는 경우, 이미 기록된 제조업체 식별번호(b)와 식품 식별번호(a)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위변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보안관리부(114)에 비밀번호(c)를 기록하여 생장관리부(111), 사육관리부(112), 식품정보부(113)의 내용을 변경할 경우 필수적으로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비밀번호(c)가 기록되면 비밀번호(c)를모르는 경우, 사용자 외의 사람이 생장관리부(111), 사육관리부(112) 및 식품정보부(113)의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보안관리부(114)는 2중으로 보완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식품의 신뢰를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관리정보 저장장치(120)를 자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정보 저장장치(120)는 농축산물의 생장 또는 사육정보가 저장되는 A영역, 제조자의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B영역, 농축산물이 가공된 식품정보가 저장되는 C영역, 및 사용자의 비밀번호가 기록되는 D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관리정보 저장장치(1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조자의 식별번호가 저장되는 B영역은 읽기전용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에 기록됨으로써 변경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A영역에는 농산물의 이력이나 축산물의 이력이 기록된다.
그 후, 농축산물이 가공되면 그 식품 식별번호는 C영역에 기록된다.
한편 D영역에는 A영역과 C영역에정보를 기록할 경우, 필수적으로 입력해야하는 접근 암호가 기록된다.
따라서 D영역에 기록된 접근 암호를 모르는 경우, A영역과 C영역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또한 B영역에는 읽기전용메모리에 제조자 고유의 식별번호가 기록되어 있기때문에 A영역과 C영역이 복재되는 경우에도 B영역에 기록된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복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A영역 또는 C영역에 기록된 정보와 B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위변조된 관리정보 저장장치를 찾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방법(300)은 위조방지를 위한 제조자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과정(S510), 정보의 변경을 위해 입력하는 접근 비밀번호를 부여하는 비밀번호 부여과정(S520), 농축산물의 생장 또는 사육정보 저장을 위한 생장, 사육정보 저장과정(S530), 상기 농축산물을 식품으로 가공하는 식품 가공과정(S540), 상기 식품의 종류 또는 부위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품정보 저장과정(S550), 및 상기 생장 또는 사육정보와상기 식품의 종류 또는 부위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과정을 포함한다.
도 5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방법(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조자는 농축산물의 이력추적을위해 제조되는 정보 저장수단에 제조자 식별번호를 부여한다(S510).
바람직하게 제조자 식별번호는 ROM(Read Only Memory)와 같이 한번 기록되면 지울 수 없는 메모리에 기록된다. 따라서 이 후에 식품 식별번호가 부여되면, 두 식별번호 정보는 외부의 판독기에 저장되어 두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복제 또는 위조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정보의 변경을 위해 입력되는 접근 비밀번호를 부여한다(S520).
이 접근 비밀번호는 농축산물의 생장 또는 사육정보, 식품정보를 기입 또는 변경하는 경우에 입력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보 저장수단이 복제되는 경우에도, 접근 비밀 번호를 모르는 경우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그 후, 사용자는 농축산물의 생장 또는 사육정보를 저장하고(S530), 농축산물은 식품으로 가공된다(S540).
그러면 가공된 식품의 종류에 따른 식품정보를 저장한다(S550).
바람직하게 식품의 종류 정보는 농산물이 야채일 경우 포장되는 야채의 종류정보를 기록하고, 축산물일 경우 부위별 정육정보나 사골정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식품정보는 식품 식별번호 형태로 부여되어 차후 제조자 식별번호와 같이 위변조 방지에 활용된다.
한편 식품정보를 부여하는 것은 유통단계에서 유통의 용이한 관리를 위해서이고, 판매단계에서도 식품의 용이한 진열과 재고관리의 용이성을 위한 목적도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들은 판독되어(S560) 위변조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통, 판매에 활용되어 유통 및 판매의 효율과 식품신뢰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관리정보 저장장치 111 : 생장관리부
112 : 사육관리부 113 : 식품정보부
114 : 보안관리부 120 : 판독장치

Claims (11)

  1. 농축산물의 이력 및 가공정보 저장을 위한 관리정보 저장장치; 및
    상기 관리정보 저장장치의 정보를 무선으로 판독하기 위한 판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 저장장치는
    전자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 저장장치는
    농산물의 이력저장을 위한 생장관리부;
    축산물의 이력저장을 위한 사육관리부;
    상기 농산물과 상기 축산물을 가공한 식품정보 저장을 위한 식품정보부; 및
    상기 생장관리부, 상기 사육관리부, 상기 식품정보부의 보안을 위한 보안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의 이력은
    이력추적 관리번호, 우수농산물 인증번호(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물의 이력은
    국제 동물식별 표준번호(ISO 11784), 소 개체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정보는
    상기 농산물 종류정보와 상기 축산물의 부위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관리부는
    제조업체가 부여하는 제조자 식별번호;
    사용자가 부여하는 식품 식별번호; 및
    사용자가 상기 생장관리부, 상기 사육관리부 및 상기 식품정보부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 부여하는 비밀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자 식별번호는
    읽기전용메모리(Read Only Memory)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9. 제조자가 식별번호를 각각 부여하는 식별번호 부여과정;
    정보의 변경을 위해 입력하는 접근 비밀번호를 부여하는 비밀번호 부여과정;
    농축산물의 생장 또는 사육정보 저장을 위한 생장, 사육정보 저장과정;
    상기 농축산물을 식품으로 가공하는 식품 가공과정;
    상기 식품의 종류 또는 부위별 정보를 저장하는 식품정보 저장과정; 및
    상기 생장 또는 사육정보와 상기 식품의 종류 또는 부위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정보는
    식품 식별번호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과정은
    상기 식별번호 부여과정에서 부여된 제조자 식별번호와 상기 식품정보 저장과정에서 부여된 식품 식별번호를 무선 인식수단에 저장하여, 비교하는 위변조 확인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KR1020110025319A 2011-03-22 2011-03-22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7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19A KR20120107678A (ko) 2011-03-22 2011-03-22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19A KR20120107678A (ko) 2011-03-22 2011-03-22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678A true KR20120107678A (ko) 2012-10-04

Family

ID=4727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319A KR20120107678A (ko) 2011-03-22 2011-03-22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6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57B1 (ko) 2015-10-07 2016-07-12 김진영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KR20160143226A (ko) 2015-06-05 2016-12-14 김진영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KR20160143225A (ko) 2015-06-05 2016-12-14 김진영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CN110175852A (zh) * 2019-04-11 2019-08-27 江苏蟹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农产品全程质量控制体系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226A (ko) 2015-06-05 2016-12-14 김진영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KR20160143225A (ko) 2015-06-05 2016-12-14 김진영 돼지고기의 이력 관리 시스템
KR101636957B1 (ko) 2015-10-07 2016-07-12 김진영 Rfid 기반의 축산물 이력 통합관리 시스템
CN110175852A (zh) * 2019-04-11 2019-08-27 江苏蟹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农产品全程质量控制体系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6875B2 (ja) 流通管理方法、流通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0897877B2 (en) Food supply tracking, authentication, and feedback system
CN103106564B (zh) 基于rfid技术的育肥牛质量安全饲养管理方法及系统
Tian An agri-food supply chain traceability system for China based on RFID & blockchain technology
Bai et al. Traceability technologies for farm animals and their products in China
CN105761088A (zh) 一种基于rfid和二维码的食品溯源系统
KR101789165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분 및 그 관리 시스템
CN100585613C (zh) 利用射频识别技术实现的食品安全管理系统与方法
CN106600286A (zh) 基于可变二维码的农产品质量安全全程可信追溯系统
US9000893B2 (en) Food source information transferring system and method for a meat-packing facility
US82589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rrelating external data to a plant with an electronic tag
CN103136702A (zh) 基于rfid技术的肉类食品追溯系统
CN204926164U (zh) 基于物联网的产品安全追溯管理系统
CN103455867A (zh) 基于物联网技术的肉牛冷鲜肉食品安全可追溯方法及系统
CN202584166U (zh) 基于rfid技术的食品安全溯源系统
CN103942631A (zh) Rfid溯源系统
CN101171939B (zh) 海鲜类食品冷藏无线射频监控系统及方法
CN103279815A (zh) 一种屠宰信息溯源系统及方法
KR20120107678A (ko) 농축산물 이력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Dabbene et al.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usage in food traceability
CN101697215A (zh) 基于tcp/ip和无线射频识别技术的药品监控系统及方法
US20140149079A1 (en) Rfid sensor tag supporting dual mode logging, rfid sensor read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yplik et al. RTLS VS RFID--PARTNERSHIP OR COMPETITION?
CN11207043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产品安全溯源的系统及其方法
Ruhil et al.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A cost effective tool to improve livestock s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