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299B1 - 석재 원판 - Google Patents

석재 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299B1
KR101710299B1 KR1020160020338A KR20160020338A KR101710299B1 KR 101710299 B1 KR101710299 B1 KR 101710299B1 KR 1020160020338 A KR1020160020338 A KR 1020160020338A KR 20160020338 A KR20160020338 A KR 20160020338A KR 101710299 B1 KR101710299 B1 KR 10171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e
vacuum
plate
processing
counter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창
Original Assignee
강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창 filed Critical 강희창
Priority to KR102016002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299B1/ko
Priority to US15/165,596 priority patent/US201703412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7/046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of the vacuu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6Grooving involving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3Gantry type saw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3Rims for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1Manufacture of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2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with a continuous layer allowing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운터 탑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카운터 탑용으로 가공할 원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 작동시 상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진공판과, 다수의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으로 상기 진공판의 상면 위에 올려지는 제1가공판으로 구성되는 가공부의 상기 제1가공판 위에 상기 원판을 올려 놓는 단계와, (c) 상기 원판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상기 제2관통공에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제2관통공을 막는 단계와, (d) 상기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방법으로 상기 가공부가 상기 원판을 강하게 흡입, 압착하여 상기 원판이 상기 가공부에 평평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 및, (e)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원판의 상면을 v자 홈 모양으로 컷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재 원판{stone disc of sink upper plate}
본 발명은 카운터 탑에 사용되는 원판 가공 방법 및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가공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원판에 관한 것이다.
카운터 탑의 예로서 싱크대 상판이 있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택의 사양에 따라 적절한 규격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수납장이 형성되고, 그릇 등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부로 구성된다.
종래에 존재하는 카운터 탑, 예를 들면 싱크대 상판은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강, 합성수지 100% 혹은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제작된 카운터 탑은 전체적으로 사용자에게 미려함과 심미감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상판이 휘거나 변형되기 쉬우며, 대량생산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조대리석을 이용하여 카운터 탑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인조대리석으로 제조되는 싱크대 상판은 인조대리석의 판체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제조된 인조대리석의 소정 부분을 절삭하여 연마하는 공정과, 상기 절삭하여 연마된 판체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 주입공정과, 상기 접착제 주입이 완료된 절삭된 부분을 부착하는 공정으로 제조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기 인조대리석 판체를 절삭하고 이를 연마하는 공정은, 인조대리석을 작업자가 절삭날과 연마날이 부착된 별도의 절삭기 및 그라인딩기를 직접 손에 들고 수동으로 작업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아 부상의 위험이 상존하며, 수동으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절삭 및 연마를 하는 동안 발생되는 분진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규격화된 제품의 생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892호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카운터 탑을 자동으로 절삭하여 기존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했으나 가공시 카운터 탑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하여 규격화된 제품의 생산시 정밀한 작업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8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 상판 등 카운터 탑으로 사용되는 원판 가공시 원판을 가공부에 손쉽게 고정시켜 원판을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정밀하게 가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카운터 탑의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진공실이 마련된 챔버를 가공테이블에 설치하고, 카운터 탑을 흡착패널 상에 배치하여 카운터 탑이 배치된 부분에 위치한 진공실만 진공을 유지하고, 나머지 진공실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의 밸브를 잠가 진공이 유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선택적으로 진공실의 진공유지가 가능하여 카운터 탑을 고정시키는 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카운터 탑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카운터 탑으로 가공할 원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b)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 작동시 상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1관통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진공판과, 다수의 제2관통공이 뚫려 있는 판 형상으로 상기 진공판의 상면 위에 올려지는 제1가공판으로 구성되는 가공부의 상기 제1가공판 위에 상기 원판을 올려 놓는 단계와, (c) 상기 원판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상기 제2관통공에 차단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제2관통공을 막는 단계와, (d) 상기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방법으로 상기 가공부가 상기 원판을 강하게 흡입, 압착하여 상기 원판이 상기 가공부에 평평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 및, (e)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원판의 상면을 v자 홈 모양으로 컷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 탑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카운터 탑을 절삭 가공하도록 카운터 탑을 진공흡착하여 절삭날로 일면을 절삭 가공하는 가공장치로서, 상면에 진공홈이 형성된 가공테이블과, 상기 진공홈을 폐쇄하며 상기 가공테이블의 상면에 배치되고,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흡착패널과, 상기 진공홈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진 싱크대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홈에는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진공실을 갖는 챔버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는 각각 상기 진공실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실들과 대응되게 실링틀이 더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들은 상기 실링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진공실별로 상기 흡착패널의 상부가 구획,분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실의 내부평면적은 상기 실링틀의 내부평면적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실에는 진공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진공이 유지되지 않는 진공실을 제어부로 알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감지센서에서 진공이 유지되지 않는 진공실 신호가 전달되면, 그 진공실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의 밸브를 잠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카운터 탑으로 사용되는 원판 가공시 원판을 가공부에 고정시킬 수 있어 좀 더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진공펌프로 공기를 흡입하는 가공부에 간단히 원판을 올려 가공시 원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의도하는 대로 다양한 문양으로 원판을 가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미세하게 휘어져 있는 원판을 진공펌프로 공기를 흡입하는 가공부가 원판을 강하게 흡입, 압착하여 원판이 가공부에 평평한 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가공시 손쉽게 원판을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원판을 가공할 수 있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원판을 대량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카운터 탑가공장치는 다수의 진공실이 마련된 챔버를 가공테이블에 설치하고, 카운터 탑을 흡착패널 상에 배치하여 카운터 탑이 배치된 부분에 위치한 진공실만 진공을 유지하고, 나머지 진공실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관의 밸브를 잠가 진공이 유지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선택적으로 진공실의 진공유지가 가능하여 카운터 탑을 고정시키는 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방법에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판에 원판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판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4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판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통에 원판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통에 대한 도면이다.
도7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을 가공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8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을 가공하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카운터 탑 가공 장치에 의하여 네 가장자리에 각각 내측 스트라이프와 외측 스트라이프를 형성한 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내측-외측 스트라이프가 형성된 전체 원판중 우상측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내측-외측 스트라이프를 접어서 마무리한 원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챔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흡착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탑의 가공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카운터 탑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카운터 탑용으로 가공할 원판(100)을 준비하는 단계와, (b)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210)와, 상기 펌프(21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210) 작동시 상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1관통공(221)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진공판(220)과, 다수의 제2관통공(231)이 뚫려 있는 판 형상으로 상기 진공판(220)의 상면 위에 올려지는 제1가공판(230)으로 구성되는 가공부(200)의 상기 제1가공판(230) 위에 상기 원판(100)을 올려 놓는 단계와, (c) 상기 원판(100)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상기 제2관통공(231)에 차단부재(300)를 설치하여 상기 제2관통공(231)을 막는 단계와, (d) 상기 펌프(210)를 작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221)과 상기 제2관통공(2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방법으로 상기 가공부(200)가 상기 원판(100)을 강하게 흡입, 압착하여 상기 원판(100)이 상기 가공부(200)에 평평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 및, (e)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가공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원판(100)의 상면을 v자 홈 모양으로 컷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단계 내지 (e)단계로 구성되는 것으로 카운터 탑으로 사용되는 원판 가공시 원판을 가공부에 손쉽게 고정시켜 원판을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정밀하게 가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카운터 탑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카운터 탑으로 사용되는 원판 가공시 원판을 가공부에 고정시킬 수 있어 좀 더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진공펌프로 공기를 흡입하는 가공부에 간단히 원판을 올려 가공시 원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의도하는 데로 다양한 문양으로 원판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하게 휘어져 있는 원판을 진공펌프로 공기를 흡입하는 가공부가 원판을 강하게 흡입, 압착하여 원판이 가공부에 평평한 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가공시 손쉽게 원판을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원판을 가공할 수 있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원판을 대량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서 가공하고자 하는 원판은, 자연석 혹은 인조 대리석이다. 인조대리석으로는 90% 자연석과 10% 내외의 합성수지를 합하여 만든 인조 대리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용도에 따라 다른 비율도 가능하다. 90%의 돌이란, 원석을 부수어서 시멘트와 혼합하여 만든 바닥으로서, 사무실 바닥에 사용된다. 100% 돌은 대리석과 화강암으로 나뉘는데, 주로 화강암을 분쇄하여 만든 것을 사용한다.
(a)단계는 카운터 탑용으로 가공할 원판(10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a)단계는 카운터 탑으로 가공될 원판(100)을 준비하는 단계로 싱크대의 성질에 맞게 다양한 원판(100)이 준비될 수 있다.
(b)단계는 원판(100)을 작업자가 원하는 모양 즉, 원판(100)의 상면에 v 컷팅하여 v자 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가공부(200)에 원판(100)을 올려 놓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b)단계는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210)와, 상기 펌프(21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210) 작동시 상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1관통공(221)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진공판(220)과, 다수의 제2관통공(231)이 뚫려 있는 판 형상으로 상기 진공판(220)의 상면 위에 올려지는 제1가공판(230)으로 구성되는 가공부(200)의 상기 제1가공판(230) 위에 상기 원판(100)을 올려 놓는 단계이다.
펌프(210)는 공기를 흡입하는 장치로 진공판(220)과 제1가공판(230)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판(220)에 제1가공판(230)이 결합될 뿐만 아니라 제1가공판(230) 위에 설치되는 원판(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펌프(210)는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판(220)에 제1가공판(230)을 고정시키고, 제1가공판(230)에 원판(1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진공판(220)은 펌프(210)와 연결되어 펌프(210) 작동시 상면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1관통공(221)이 뚫려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도면에서는 제1 관통공(221)이 한 개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가공 대상 원판 및 가공부의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제1관통공(22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공판(220)의 상면은 종,횡으로 다수의 흡입홈(222)이 생성되어 있어 상기 진공판(220)의 상면이 바둑판 모양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흡입홈(222)은 펌프(210)가 작동되어 상기 제1관통공(22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때 다수의 상기 흡입홈(222)을 따라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진공판(220)과 상기 제1가공판(2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가공판(230)은 다수의 제2관통공(231)이 뚫려 있는 판 형상으로 상기 진공판(220)의 상면 위에 올려지는 부재이다. 제1가공판(2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진공판(220)이 사각형의 판 형상인 경우 상기 진공판(220)의 크기와 같이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제2관통공(231)은 펌프가 작동되어 공기가 흡입될 때 제2관통공(231)을 통해서 제1가공판(230)의 상면 위 공기가 흡입되어 제1가공판(230)에 설치된 원판(100)이 제1가공판(230)의 상면에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구멍이다.
(c)단계는 원판(100)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 제2관통공(231)에 차단부재(300)를 설치하여 제2관통공(231)을 막는 단계이다. (c)단계는 펌프(210) 작동시 진공판(220)에 제1가공판(230)이 흡착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원판(100)으로 막아지지 않는 제2관통공(231)을 차단부재(300)로 막는 단계이다. 차단부재(300)는 제2관통공(231)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간편하게 제2관통공(231)을 막기 위하여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원판(100)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원판(100)을 제 1가공판(230) 상에 올려 놓은 후 원판(10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제2 관통공(231)들을 차단부재(300)로 막음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원판(100)을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d)단계는 원판(100)을 가공하기 위하여 원판(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상세하게 (d)단계는 펌프(210)를 작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221)과 상기 제2관통공(2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방법으로 상기 가공부(200)가 상기 원판(100)을 강하게 흡입, 압착하여 상기 원판(100)이 상기 가공부(200)에 평평한 상태로 고정되는 단계이다. 즉, 펌프(210)가 작동되어 진공판(220)과 제1가공판(230)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제1가공판(230)이 진공판(220)에 고정되고, 동시에 제1가공판(230)의 제2관통공(2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제2관통공(231) 위에 놓여진 원판(100)이 가공하기 쉽게 고정될 수 있다. (d)단계는 미세하게 휘어져 있는 원판을 진공펌프로 공기를 흡입하는 가공부(200)가 원판(100)을 강하게 흡입, 압착하여 원판(100)이 가공부(200)에 평평한 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가공시 손쉽게 원판(100)을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원판(100)을 가공할 수 있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원판(100)을 대량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단계는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가공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원판(100)의 상면을 v자 홈 모양으로 컷팅하는 단계이다. (e)단계는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원판(100)을 가공( v 홈 등)하는 단계이다. 가공장치(10)는 카운터 탑을 가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본 출원인이 제안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892호에 기재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원판(100)은 재질 상 강도가 강한 자연석 혹은 인공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V자 홈을 컷팅할 때 큰 부하가 걸리는 경우도 있다. 큰 부하를 견디기 위해서 클램프를 사용하는 방법은 클램프가 컷팅시 발생하는 큰 부하를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부적절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공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a)단계 내지 (e)단계에 (f)단계 내지 (i)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원판의 상면 가공 후 원판에 구멍을 뚫기 위한 방법이다. 상세하게 (f) 상기 펌프(210)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c)단계에서 막았던 상기 차단부재(300)를 제거하는 단계와, (g) 판 형상으로 상기 제1가공판(230)에 올려지는 제2가공판(240)과, 상기 펌프(21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210) 작동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3관통공(251)이 뚫려 있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2가공판(24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공통(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공부(200)의 상기 가공통(250)의 타단에 상기 (e)단계에서 가공된 상기 원판(100)을 올려 놓는 단계와, (h) 상기 펌프(210)를 작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221)과 상기 제2관통공(2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제1가공판(230)과 상기 제2가공판(240)이 상기 진공판(220)에 고정되고, 상기 제3관통공(25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원판(100)이 상기 가공통(250)에 고정되는 단계 및, (i)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가공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원판(100)에 구멍을 뚫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단계는 상기 펌프(210)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c)단계에서 막았던 상기 차단부재(30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f)단계는 (e)단계에서 원판(100)의 상면에 v 홈 등 상면 가공을 한 후 원판(100)으로의 펌프(210)의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c)단계에서 막았던 상기 차단부재(300)를 제거하고 상기 원판(100)을 상기 제1가공판(230)에서 제거하는 단계이다.
(g)단계는 판 형상으로 상기 제1가공판(230)에 올려지는 제2가공판(240)과, 상기 펌프(21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210) 작동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3관통공(251)이 뚫려 있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2가공판(24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공통(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공부(200)의 상기 가공통(250)의 타단에 상기 (e)단계에서 가공된 상기 원판(100)을 올려 놓는 단계이다. (g)단계는 상기 (f)단계 후 제1가공판 위에 제2가공판과 가공통을 설치한 후 가공통 위에 원판을 올려 놓는 단계이다.
제2가공판(240)은 판 형상으로 상기 제1가공판(230) 위에 올려지는 부재이다. 제2가공판(240)은 제1가공판(230) 위에 올려 놓는 것으로 제1가공판(230)의 제2관통공(231)의 구멍을 전부 막는 부재이다. 가공통(250)은 펌프(21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210) 작동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제3관통공(251)이 뚫려 있는 관 형상의 부재로 일단이 상기 제2가공판(240)의 상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가공판(240)이 제 1가공판(230)과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사용하고자 하는 원판 혹은 카운터 탑의 용도에 따라 제 1 및 제 2 가공판(230, 240)의 크기를 다양한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가공통(250)은 펌프에 의해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가공통(250)의 타단에 설치된 원판(100)이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h)단계는 상기 펌프(210)를 작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221)과 상기 제2관통공(2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제1가공판(230)과 상기 제2가공판(240)이 상기 진공판(220)에 고정되고, 상기 제3관통공(25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원판(100)이 상기 가공통(250)에 고정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펌프(210)를 작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22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진공판(220)에 제1가공판(230)이 결합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2관통공(23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제1가공판(230)에 제2가공판(240)을 결합되도록 하고, 제3관통공(25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원판(100)이 상기 가공통(250)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i)단계는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가공장치(10)를 이용하여 상기 원판(100)에 구멍을 뚫는 단계이다. (i)단계는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원판(100)에 구멍을 뚫는 단계이다. 가공장치(10)는 카운터 탑을 가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본 출원인이 제안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7892호에 기재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0)를 사용하여 V자 홈 모양을 형성하도록 카운터 탑을 가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운터 탑 가공 장치에 의하여 가공된, V자 홈 모양으로 상면이 컷팅된 원판(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원판(100)의 재질로는 천연석 및 인조대리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MMA, Quartz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도9a-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운터 탑 가공 장치에 의하여 V자 홈 모양으로 원판의(100)의 상면을 컷팅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카운터 탑 가공 장치에 의하여 네 가장자리에 각각 내측 스트라이프와 외측 스트라이프를 형성한 원판(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내측-외측 스트라이프가 형성된 전체 원판(100) 중 우상측 만을 절단한 원판(100)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와 같이 형성된 내측-외측 스트라이프를 접어서 마무리한 원판(100)의 사시도이다.
먼저, 원판(100)의 하면 전체에 테이프 (901)를 붙힌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901)로서 일반 테이프, 실리콘, 아크릴, 우레탄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께는 0.075T 이며, 돌에 잘 붙고, 코팅 필름이 질기며, 물이 닿아도 접착력이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테이프(901)가 접착된 하면이 아래로 되도록 원판(100)을 카운터 탑 가공 장치(10)에 올려 놓은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운터 탑 가공장치(10)에 진공을 가하여 원판(100)을 가공장치(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카운터 탑 가공 장치의 커터(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원판(100)의 상면의 네 가장자리에 일정한 두께의 스트라이프 (930, 940)를 마련하도록 V자형 홈을 마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100)의 상면의 네 가장자리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의 스트라이프(930, 940)를 가지도록 V자형 홈(910, 920)을 원판(100)의 가장자리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판(100)의 상면의 네 가장자리 각각에 마련되는 스트라이프는 각 가장자리마다 내측 스트라이프와 외측 스트라이프의 2개씩 마련된다. 또한, 가로방향의 스트라이프(930)와 세로방향의 스트라이프(94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V자형 홈(910, 920)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혀진 상태에서, 외측 스트라이프의 두께가 가로 세로 각각 40mm, 40 mm씩, 내측 스트라이프의 두께가 30m,15m 정도로 스트라이프를 마련하였다.  본 실시에에서는 이와 같이, 외측 스트라이프의 두께가 내측 스트라이프의 두께에 비해 두껍게 되도록 외측-내측 스트라이프의 두께를 설정하였으나, 외측 스트라이프의 두께가 내측 스트라이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외측 스트라이프의 두께가 내측 스트라이프에 비해 얇게 설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테이프(901)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여, V자형 홈(910, 920)을 원판(100)에 형성하여도 테이프(901)가 절단되지 않고 원판(100)의 바디(900)와 네 가장자리의 스트라이프(930, 940)가 테이프에 붙은 채로 그 위치에서 유동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때, V자형 홈(910, 920) 홈은 대략 80-100 도 사이의 각도, 보다 구체적으로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스트라이프를 가지도록 구성된 원판(100)의 네 모서리(950)를 하면의 테이프(901)와 함께 각각 A-A', B-B', C-C', D'D' 선을 따라 각각 절단해 낸다. 이어서, V자 홈 모양으로 커팅되었으나 절단되지는 않은 모서리의 나머지 부분 (951)을 하면의 테이프(901)와 함께 절단해 냄으로써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및 내측 스트라이프(930,940)가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판(100)을 얻는다.
이상의 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원판(100)의 바디(900)와 네 가장자리의 내측 및 외측 스트라이프(930,940)는 하면의 테이프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인 위치가 유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V자 홈(910,920)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의 상면(900) 가장자리와 스트라이프(930,940)의 가장자리, 즉 V자형 홈(910, 9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로서MMA-아크릴본드를 사용하였지만, 석재를 잘 접착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접착제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순간접착제 및 에폭시 등도 사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V자 홈(910,920)이 형성된 방향으로 내측 스트라이프를 접어서 원판(100)의 바디(900)와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착시킨다. 그 다음으로, 외측 스트라이프를 접어서 내측 스트라이프와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외측 및 내측 스트라이프들(930, 940)이 원판의 바디(900) 쪽으로 접혀진 원판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공정을 통하여 얻어진 원판 구조의 외측 및 내측 스트라이프들 (930, 940)과 원판 바디(900)의 바깥쪽 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제거함으로써, 완성된 원판 구조(100)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은 이상의 방법으로 제작된 원판(100)을 4등분하여, 우상부만을 분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원판(100)의 전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원판(100)을 적절히 등분하여, 필요한 방향을 가지는 일부분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도9a, 9b 및 도10에서와 같이 V자형 홈을 마련하여 원판(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트라이프를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접어서, 원판(100)의 형태를 완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V자형 홈이 대략 90도를 이룰 경우, 원판(100)의 바디(900)에 가까운 내측 스트라이프는 원판(100)의 바디(900)의 상부 및 하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지고, 외측 스트라이프는 내측 스트라이프와 실질적으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혀진다. 따라서, 원판(100)의 바디(900)의 상부 및 하부 표면과 외측 스트라이프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장기간 사용 시 원판(100)의 변형이 되지 않도록, 외측 스트라이프와 원판의 바디(900) 사이에 플라스틱, 석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
이하, 도 12-1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1000)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챔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흡착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탑 가공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카운터 탑 가공장치(1000)는 카운터 탑을 절삭가공하도록 카운터 탑을 진공 흡착하여 절삭날로 일면을 절삭 가공하는 가공장치로서, 상면에 진공홈(1021)이 형성된 가공테이블(1020)과, 상기 진공홈(1021)을 폐쇄하며 상기 가공테이블(1020)의 상면에 배치되고, 다수의 관통공(1031)이 형성된 흡착패널(1030)과, 상기 진공홈(1021)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10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진공홈(1021)에는 상부가 개방된 다수의 진공실(1051)을 갖는 챔버(10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1040)는 각각 상기 진공실(1051)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다.
상기 흡착패널(103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테이블(1020)의 상면에 상기 챔버(1050)가 안착된 상기 진공홈(1021)을 덮으면서 나사체결 또는 용접 고정된다.
또한, 상기 흡착패널(1030)은 상기 챔버(1050)와 기밀이 유지되게 상기 챔버(1050)의 상부를 덮으면서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어, 상기 관통공(1031)을 제외한 부분에 기밀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1040)는 각각 상기 진공실(1051)과 연통되게 공기흡입관(1041)으로 연결되어, 진공실(1051)내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지속적으로 진공펌프(1040)가 구동되어 진공실(1051)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통공(103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진공실(1051)로 유입하게 되는데, 상기 카운터 탑이 흡착패널(1030)의 상면에 배치되므로 상기 관통공(1031)을 폐쇄하며 카운터 탑이 흡착되어 고정되고, 진공펌프(104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진공실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운터 탑에 상기 흡착패널(1030)과 맞닿는 면에는 비닐을 접착시켜, 흡착패널(1030)과 카운터 탑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진공실(1051) 내부가 진공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 탑은 대리석으로 형성시키게 되며, 진공펌프(1040)를 이용해 상기 카운터 탑을 흡착패널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면을 상기 절삭기로 가공하게 된다.
상기 가공테이블(102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테이블에는 상기 흡착패널(1030)에 배치되는 카운터 탑을 절삭가공하도록 절삭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챔버(105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홈구조로 다수의 진공실(1051)이 구획, 분할되게 형성되며, 상기 진공펌프(1040)의 공기흡입관(1041)은 각각 상기 진공실(1051)의 하부와 연통되게 상기 챔버(105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관(1041)에는 밸브(1042)를 마련하여 가공테이블(1020)에 설치되는 제어부(1022)의 신호에 의해 밸브(1042)가 구동하여 공기흡입관(104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착패널(1030)의 상부에 카운터 탑을 배치하되, 카운터 탑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흡착 패널(1030)의 실링틀들(1032)에 마련된 공기흡입관(1041)을 폐쇄시킨다.
상기 공기흡입관(1041)은 상기 진공실과 측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챔버에 통상의 관연결구조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흡착패널(1030)의 상면에는 상기 진공실들과 대응되게 실링틀이 더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1031)들은 상기 실링틀(1032)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실(1051)별로 상기 흡착패널(1030)의 상부가 구획, 분할되도록 함으로서, 각각의 실링틀(1032)을 덮으면서 카운터 탑을 배치하여 흡착패널(1030)에 진공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링틀(1032)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패널(1030)에 융착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흡착패널(1030) 상의 복수의 실링틀(1032)은 각각 하부 챔버(1050)의 복수의 진공실(1051)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복수의 실링틀(1032) 중 하나의 실링틀이 둘 이상의 진공실(1051)에 대응하도록 실링틀(1032)과 진공실(1051)들을 마련할 수도 있고, 하나의 진공실에 둘 이상의 실링틀(1032)이 대응하도록 실링틀(1032)과 진공실(1051)들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실링틀(1032) 내부에 배치되는 관통공을 통해서만 공기를 유입시켜, 카운터 탑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진공실(1051)들에는 상기 제어부(10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진공감지센서(1052)가 마련되어, 상기 진공펌프(1040)가 구동 후 진공이 유지되지 않는 진공실(1051)을 제어부(1022)로 알리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022)는 상기 진공감지센서(1052)에서 진공이 유지되지 않는 진공실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진공실에 연통되게 연결된 공기흡입관의 밸브를 잠그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실링틀(1032)을 마련하고, 실링틀(1032)의 내부에 배치되는 관통공들이 대응되게 배치되는 진공실(1051)과 연통되도록 하고, 진공감지센서(1052)를 마련함으로서, 흡착패널(1030)보다 크기가 작은 카운터 탑을 흡착패널(1030)의 상부에 배치하고 진공펌프를 구동하게 되면, 카운터 탑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링틀들(103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실링틀들(1032)에 배치된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진공펌프(1040)가 구동중에 진공실(1051)에 진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이를 감지한 진공감지센서(1052)가 그 신호를 제어부(1022)에 전달하여, 카운터 탑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는 실링틀들(1032)에 대응하는 진공실(1051)에 마련된 공기흡입관(1041)의 밸브를 잠그도록 대응하는 제어부(1022)들이 동작한다. 해당 제어부들(1022)의 동작에 의하여, 진공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진공실에 연결된 공기흡입관의 밸브를 제어하여 공기흡입관을 폐쇄함으로서, 카운터 탑이 배치된 진공실만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카운터 탑의 제조 공차 등의 이유로, 카운터 탑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링틀들(1032) 중에서도, 카운터 탑과 진공이 유지되지 않는 실링틀들(1032)이 존재할 수 있다. 그 경우, 비록 카운터 탑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링틀들(1032)이라 할 지라도, 해당 실링틀들(1032)에 대응하는 진공실들(1051) 내부에는 진공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진공실들(1051)의 대응하는 진공감지센서들(1052)이 당해 진공실들(1051)이 진공 상태가 아님을 감지하고 이를 해당 진공실(1051)의 대응하는 제어부(1022)로 보내면, 제어부(1022)는 해당 진공실(1051)의 대응하는 공기흡입관(1041)의 밸브를 폐쇄함으로써, 해당 진공실(1051)로 지속적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비록 카운터 탑에 의하여 커버되는 실링틀(1032)이라도 제조 오차 등의 이유로 카운터 탑과 흡착패널(1030) 사이가 완전하게 밀착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불필요하게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흡착패널(1030) 상에 다수의 실링틀들(1032)를 마련하고, 각각의 실링틀들(1032)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획지어진 대응하는 진공실들(1051)에 의하여 카운터 탑과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므로, 다수의 실링틀들 (1032) 중 몇 개가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다고 해도, 나머지 실링틀들(1032) 및 이들에 대응하는 진공실들(1051)의 공기를 감압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카운터 탑이 흡착 패널(1030)에 부착되는 데에는 문제가 없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운터 탑의 가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가공장치
100 : 원판
200 : 가공부
210 : 펌프 220 : 진공판
230 : 제1가공판 240 : 제2가공판
250 : 가공통
300 : 차단부재
1010 : 가공장치
1020 : 가공테이블
1030 : 흡착패널
1040 : 진공펌프
1050 : 챔버
1021 : 진공홈
1022 : 제어부
1031 : 관통공
1032 : 실링틀
1041 : 공기흡입관
1042 : 밸브
1051 : 진공실
1052 : 진공감지센서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석재 원판에 있어서,
    석재 바디부와;
    상기 석재 바디부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 스트라이프 및 좌측 혹은 우측에 형성된 측면 스트라이프와;
    상기 원판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상측 스트라이프의 바깥 쪽에 형성된 상측 외측 스트라이프 및, 상기 측면 스트라이프의 바깥 쪽에 형성된 측면 외측 스트라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상측 스트라이프 및 측면 스트라이프, 상기 상측 외측 스트라이프 및 측면 외측 스트라이프는 석재 바디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석재 원판은 상기 상측 스트라이프와 측면 스트라이프를 내측으로 접고, 또한 상기 상측 외측 스트라이프와 상기 측면 외측 스트라이프를 다시 내측으로 접어서 형성되며,
    상기 상측 스트라이프와 상기 측면 스트라이프는 서로 맞닿아 있고,
    상기 상측 외측 스트라이프와 상기 측면 외측 스트라이프는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원판.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트라이프와 측면 스트라이프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측 외측 스트라이프와 측면 외측 스트라이프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원판.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트라이프와 상기 측면 스트라이프는 접착제로 접착되어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원판.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외측 스트라이프와 상기 측면 외측 스트라이프는 접착제로 접착되어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원판.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외측 스트라이프와 상기 측면 외측 스트라이프는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에서 각각 모서리가 비스듬하게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원판.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원판은 그 표면에 표면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원판.
KR1020160020338A 2016-02-22 2016-02-22 석재 원판 KR10171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38A KR101710299B1 (ko) 2016-02-22 2016-02-22 석재 원판
US15/165,596 US20170341265A1 (en) 2016-02-22 2016-05-26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untert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338A KR101710299B1 (ko) 2016-02-22 2016-02-22 석재 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299B1 true KR101710299B1 (ko) 2017-02-28

Family

ID=5854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338A KR101710299B1 (ko) 2016-02-22 2016-02-22 석재 원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341265A1 (ko)
KR (1) KR101710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6996A (zh) * 2018-05-15 2018-08-03 邯郸市北天自动化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辊道式cnc玻璃加工流水线钻铣加工机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3883A1 (it) * 2019-03-18 2020-09-18 Elbo Controlli S R L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dispositivo di misura di precisione.
CN109986704B (zh) * 2019-05-06 2021-11-26 方勇钢 一种条纹打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77B1 (ko) * 2007-02-28 2008-06-09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웨이퍼 절삭 장치용 척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KR101017892B1 (ko) 2010-06-09 2011-03-04 강희창 재단 및 브이 홈 가공이 가능한 브이 홈 가공장치
KR101324722B1 (ko) * 2013-03-15 2013-11-05 쿠어스텍아시아 유한회사 독립된 복수의 진공 영역이 구비되는 웨이퍼 척 장치
KR101567747B1 (ko) * 2015-06-22 2015-11-09 강희창 싱크대 상판의 가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857A (en) * 1990-05-17 1993-01-12 Fsk Inc. Method for holding an object to a surface using valve controlled vacuum force
JP2501366B2 (ja) * 1990-05-17 1996-05-29 株式会社 エフエスケー 物体の保持装置
JPH068085A (ja) * 1992-04-02 1994-01-18 Kenji Matsuda 吸引式固定装置
US5427159A (en) * 1994-01-06 1995-06-27 Countertops, Inc. Countertop finishing apparatus
KR20020062054A (ko) * 2001-01-19 2002-07-25 이상순 싱크대 상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싱크대 상판
TWI230110B (en) * 2004-01-19 2005-04-01 Ji-Wang Liang Su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77B1 (ko) * 2007-02-28 2008-06-09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웨이퍼 절삭 장치용 척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KR101017892B1 (ko) 2010-06-09 2011-03-04 강희창 재단 및 브이 홈 가공이 가능한 브이 홈 가공장치
KR101324722B1 (ko) * 2013-03-15 2013-11-05 쿠어스텍아시아 유한회사 독립된 복수의 진공 영역이 구비되는 웨이퍼 척 장치
KR101567747B1 (ko) * 2015-06-22 2015-11-09 강희창 싱크대 상판의 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6996A (zh) * 2018-05-15 2018-08-03 邯郸市北天自动化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辊道式cnc玻璃加工流水线钻铣加工机台
CN108356996B (zh) * 2018-05-15 2023-10-13 邯郸市北天自动化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辊道式cnc玻璃加工流水线钻铣加工机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1265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299B1 (ko) 석재 원판
TWI527747B (zh) 非接觸吸著盤
KR102198433B1 (ko) 진공흡착 cnc 가공방법
CN109749638B (zh) 显示屏水胶贴合工艺及设备
CN102350661A (zh) 一种超薄玻璃边角加工方法及专用cnc刀具
EP3204189B1 (en) Abrasive article and related methods
KR101346813B1 (ko) 에어매트 제조금형
RU2593962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умывальник и опорный мебельный элемент
JP2000126960A (ja) 被加工物の真空吸着装置
CA2947412C (en) Abrasive jet forming laminated glass structures
KR20170064474A (ko) 연마 장치
KR101567747B1 (ko) 싱크대 상판의 가공방법
KR20170078140A (ko) 싱크대 상판 가공장치
JP2003062730A (ja) 研削装置のチャック手段
CN212470914U (zh) 一种列车蹲便器和坐便器的柔性表面处理系统
KR20090102568A (ko) 세라믹 볼 패널 타입 에어진공척
US20060150576A1 (en) Method for making countertop
JP2001159247A (ja) 既設化粧材の補修方法
KR20170138406A (ko) 연마헤드의 제조방법 및 연마헤드, 그리고 연마장치
CN207824709U (zh) 去毛刺清洗治具
WO2016054113A1 (en) End-cap system and device for use with countertops
US20210189706A1 (en) Vitrified ceramic sink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212217741U (zh) 一种工作平台及铣边机
CN219403399U (zh) 一种真空吸附式吸盘
KR20180129687A (ko) 흡착판 일체형 실리콘 칫솔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