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681B1 -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681B1
KR101708681B1 KR1020100090155A KR20100090155A KR101708681B1 KR 101708681 B1 KR101708681 B1 KR 101708681B1 KR 1020100090155 A KR1020100090155 A KR 1020100090155A KR 20100090155 A KR20100090155 A KR 20100090155A KR 101708681 B1 KR101708681 B1 KR 10170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outer tub
washing machine
deformation
in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128A (ko
Inventor
문태철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81B1/ko
Priority to PCT/KR2011/006688 priority patent/WO2012036422A2/en
Priority to US13/228,147 priority patent/US8910335B2/en
Priority to EP11825382.2A priority patent/EP2616581B1/en
Priority to CN201180048963.3A priority patent/CN103403245B/zh
Publication of KR2012002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달리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펄세이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외조 지지부가 장착되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가 상기 외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부하량을 감지하는 (a)단계; 및 상기 감지된 부하량이 제 1 설정치 보다 큰 경우, 상기 내조를 비울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b)단계를 포함하여, 세탁 수행 전에 내조 내에 포가 적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 헹굼 또는 탈수를 위한 세탁기의 작동 전에 내조 내에 세탁물이 적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내조 내에 세탁물이 적치된 상태이면 내조를 비울 것을 알리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조 또는 세탁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물(이하, '포'라고 함.)에 묻어 있는 오염을 제거하도록 세탁, 헹굼 및/또는 탈수 과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포량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내조 내에 수용된 포의 양(이하, '포량'이라고 함.)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를 수행한다. 여기서, 포량은 내조 내에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측정된 부하량을 내조가 비워져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결정되는데, 정확한 포량을 알기 위해서는 상기 기준치가 내조 내에 포량이 비워져 있는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통상의 세탁기에서 상기 기준치는 기 설정된 고정값인 바, 사용환경에 따라서는 상기 기준치가 내조가 비워있는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정확하게 포량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첫번째 과제는, 세탁을 수행하기 전에 내조 내에 포가 적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고, 포가 적치된 경우 사용자가 이를 비우도록 유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두번째 과제는, 내조 내에 포 투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감지된 부하량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포량을 산출하되, 이때, 상기 기준치가 내조가 빈 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세번째 과제는, 내조가 빈상태에서의 부하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기준치가 내조가 빈상태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달리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펄세이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외조 지지부가 장착되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가 상기 외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부하량을 감지하는 (a)단계; 및 상기 감지된 부하량이 제 1 설정치 보다 큰 경우, 상기 내조를 비울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b)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탁을 수행하기 전에 내조 내에 포가 적치된 상태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내조가 비어있는 상태의 부하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포량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탁 수행전에 내조 내에 포가 적치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가 장착되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에 변형부재 및 변형감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외조 지지부 장착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현가장치와 변형부재의 결합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가 장착되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에 변형부재 및 변형감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6b, 6c 및 6d는 도 5에 도시된 변형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 구성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또는 케이싱(1)과, 케이싱(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2)와, 외조(2)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포가 투입되는 내조(3)와, 내조(3)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4)와, 내조(3) 및/또는 펄세이터(4)를 구동하는 구동부(13)와, 외조(2)와 내조(3)내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12)와, 외조(2)로부터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부(14)와, 외조(2)를 케이싱(1) 내에 매다는 외조 지지부를 포함한다.
외조 지지부는 일단이 외조(2)와 연결되고, 타단이 케이싱(1)과 연결되어 외조(2)가 케이싱(1) 내에 매달리도록 지지하면 족한 것으로 반드시 외조(2)의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현가장치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통상 드럼 세탁기라고 불리 우며 포가 전방에서 투입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외조(2)가 수평하게 구비되는 세탁기의 경우에는, 외조 지지부와 별도로 외조(2)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댐핑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외조 지지부는 현가장치(50) 또는 서스펜션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외조 지지부의 일례일 뿐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외조 지지부는 외조(2)를 케이싱(1) 내에 매달 수 있는 부재면 족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현가장치(50)는 일단이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에 의해 케이싱(1)과 연결되고, 타단이 외조(2)의 하부 외주면에 연결된다. 현가장치(50)는 구동부(13)에 의해 내조(3) 및/또는 펄세이터(4)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하며, 현가장치(5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가장치(50)는 외조(2)의 하부 외주에 설치되어 외조(2)와 연동하는 댐퍼 캡(51)과, 케이싱(1) 내측에 고정된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에 장착되는 피벗(55)과, 일단이 댐퍼 캡(51)을 관통하고 타단이 피벗(55)과 결합되는 지지부재(52)와, 댐퍼 캡(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조(2)의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 스프링(53)과, 댐퍼 캡(51)의 하부 개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52) 또는 댐퍼 스프링(53)을 지지하는 댐퍼 베이스(54)를 포함한다.
외조(2)와 함께 댐퍼 캡(51)이 상하로 진동할 시, 댐퍼 캡(51)의 공기구멍(미도시)을 통해 공기가 빠져 나가면서 생기는 점성 댐핑(viscous damping)과, 댐퍼 캡(51)과 댐퍼 베이스(54)간의 마찰에 의한 마찰 댐핑(frictional damping)에 의하여 진동이 저감된다. 여기서 과도 상태의 큰 진폭 내지 진동은 거의 점성 댐핑에 의해 저감된다.
지지부재(52)의 상단은 피벗(55)을 관통하여 피벗(55)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52)의 상단은 피벗(5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코킹(coulking)처리되거나 너트 등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한다.
외조 지지부 장착부(30)는 케이싱(1)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과 별도로 형성하여 케이싱(1)의 내측에 고정되는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30)는 케이싱(1)의 4군데 모퉁이에 배치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가 장착되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에 변형부재 및 변형감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외조 지지부 장착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현가장치와 변형부재의 결합 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면,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에는 지지부재(5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장착공(30h)가 형성되되, 장착공(30h)의 일부가 절개되고, 장착공(30h)의 절개부 양단(31, 32)에 변형부재(40)가 설치된다. 지지부재(52)를 통해 외조(2)로부터 가하진 하중의 크기에 따라 장착공(30h)의 절개부 양단(31, 32)이 벌어지는 정도가 다르게 되고, 절개부 양단(31, 32)에 의해 구속되는 변형부재(40)가 변형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포량에 따라 장착공(30h)의 절개부 양단(31, 32)이 벌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는 변형부재(40)의 변형율(strain)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변형부재(40)의 변형율은 변형감지부(2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데, 변형감지부(20)로는 변형율 게이지(strain gauge)를 들 수 있고, 상기 변형율 게이지는 금속 또는 반도체 등의 저항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그 저항치가 변화하는 압력 저항 효과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체의 변형율을 감지한다. 변형부재(40)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인장되므로, 변형감지부(20)는 변형부재(40)의 수직변형율(normal strain)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변형감지부(20)는 변형율 게이지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4a 내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재(40)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하측에 체결되며, 이를 위해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38,39)가 사용될 수 있다.
변형율 게이지(20)는, 체결부재(38, 39)에 의해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에 결합되어,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에 의해 각각 구속되는 제 1 구속단(42)과 제 2 구속단(4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1)에 부착되어, 연결부(41)의 길이방향 변형율을 측정한다. 연결부(41)의 상면과 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변형이 이루어질 것인 바, 변형율 게이지(20)는 연결부(41)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쪽에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지지부재(52)에 의해 전달된 하중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상면에는 리브(33) 구조가 형성되고, 리브(33)에 의해 둘러 쌓인 공간에는 세탁수가 비산될 시 이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저면에도 장착홀(30h)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강성 보강을 위한 복수의 리브(37)가 형성될 수 있고,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둘레에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체결공(36)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공(36)을 관통하여 케이싱(1)과 체결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가 장착되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에 변형부재 및 변형감지부가 설치되는 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6b, 6c 및 6d는 도 5에 도시된 변형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변형부재(140)는, 도 4a 내지 4b에 도시된 것과는 다르게,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에 전방으로부터 체결된다. 이때,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이 벌어지는 정도가 가장 큰 부분에 변형부재(40)가 배치되도록, 변형부재(140)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전방 외주 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6b, 6c 및 6d를 참조하면, 변형부재(140)는 나사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38, 39)에 의해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구속단(142) 및 제 2 구속단(143)과, 제 1 구속단(142)과 제 2 구속단(143) 사이를 연결하며 제 1 구속단(142)과 제 2 구속단(143)을 잇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141)를 포함한다.
연결부(141)에는 변형률 게이지(20)가 부착되고, 변형률 게이지(20)는 제 1 구속단(142)과 제 2 구속단(143)을 잇는 방향, 다시 말해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연결부(141)가 인장될 시의 변형율을 측정한다.
한편, 연결부(141)는, 도 6a의 A-A를 따라 절개시 그 단면(도 6d참조)이 직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W)와 단변의 길이(T) 비에 따라 변형율이 달라질 것인데, 실험에 의하면 W와 T의 길이 비가 대략 4:1의 비를 이룰 시, 내조(3)에 수용 가능한 소정의 포량 범위 내에서, 변형율 게이지(20)가 의해 연결부(141)의 변형율이 상당한 정확도로 감지됨을 알 수 있었다.
변형부재(140)를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절개부 양단(31, 32)에 체결시키기 위해, 제 1 구속단(142)과 제 2 구속단(143)에는 각각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부재(38, 39)가 관통되는 체결공(142h, 143h)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공(142h, 143h)은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장변(W)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변형율 게이지(20)는 변형부재(140)의 연결부(141)에 부착되되,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장변(W)을 포함하는 면(141a, 141c)에 부착되거나,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단변(T)을 포함하는 면(141b, 142d)에 부착될 수 있는 데, 실험에 의하면, 동일한 조건에서 변형율 게이지(20)가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단변을 포함하는 면(141b, 141d)에 부착될 시 측정되는 변형율의 값이, 변형율 게이지(20)가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장변을 포함하는 면(141a, 141c)에 부착될 시 보다 큼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변형율 게이지(20)가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단변을 포함하는 면(141b, 141d)에 부착된 경우에, 변형부재(140)가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변형된 것까지 감지할 수 있어, 내조(3) 내에 수용된 포량을 보다 높은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변형율 게이지(20)는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단변(T)을 포함하는 면 중에서도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전방을 향하는 면(141b)에 부착되었다.
다시, 도 6a 내지 6d를 참조하면, 연결부(141)는 제 1 구속단(142)과 제 2 구속단(143)을 연결하는 4 개의 측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4 개의 측면중 A-A를 따라 절개시 연결부(141)의 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장변(W)을 포함하는 2 개의 측면(141a, 141c)의 양단은 제 1 구속단(142)과 제 2 구속단(143)과 소정의 곡률을 이루며 완만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1 구속단(142)과 제 2 구속단(143)은 각각 연결부(141)와 만나는 부분으로부터 소정의 곡률(1/R)을 갖고 연장되는 곡면부(144)가 형성된다.
연결부(141)의 양단이 제 1 구속단(142) 및 제 2 구속단(143)과 각각 완만하게 연결됨으로써, 연결부(141)가 인장될 시, 연결부(141)의 양단과 제 1 구속단(142) 또는 제 2 구속단(143) 사이의 경계에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이로 인한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세탁기는 세탁, 헹굼 또는 탈수의 수행 시, 내조(3)내로 포의 투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부하량을 감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기 설정된 세탁패턴, 헹굼패턴 또는 탈수패턴을 적용하여 포를 처리한다. 이하, S1 단계는 세탁에 앞서 실시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헹굼에 앞서 또는 탈수에 앞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명시한다.
S1단계는 세탁을 위한 세탁기의 작동 중에 포량을 감지하는 것과는 구분되는 것으로, 세탁 수행 전에 부하량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내조(3)가 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고, 내조(3)에 포를 투입한 후 세탁이 수행되는 통상의 작동 순서에 따르면, S1단계는 전원 인가 후 포 투입 전의 내조(3)가 비워진 상태에서의 부하량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S1 단계는 전원 인가 후 즉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조(3) 내에 소정량의 포가 미리 적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인가하고, 내조(3) 내에 추가로 포를 투입한 후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전원 인가 후 추가로 포가 투입되기 전, 즉 상기 소정량의 포만 적재된 상태에서 S1단계가 수행된다.
세탁을 위한 세탁기의 작동 중에 수행되는 부하량 감지과정에서는, 변형율 게이지(20)의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내조(3) 내에 투입된 포량을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기준값이란 내조(3)가 비워진 상태를 반영하여 기 설정된 값이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값은 세탁기 출고 시 테스트 모드에서 내조(3)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변형률 게이지(20)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에는 계속적으로 외조(2)로부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세탁기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조 지지부 장착부(30)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른 영구변형효과(aging effect)로 인하여, 내조(3)가 비어있는 상태에서의 변형율 게이지(20) 측정값이 기준값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기준값을 수시로 보정할 필요성이 있다.
기준값의 보정은 내조(3)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변형율 게이지(20)의 측정값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인 바, 본원발명은 세탁을 수행하기 전에 내조(3)가 비워져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내조(3) 내에 포가 적치된 상태이면 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내조(3)를 비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S2단계는 내조(3)가 비워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S1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Zs1)과 제 1 설정치(Zs0)를 비교한다. 여기서, 제 1 설정치(Zs0)는 전술한 기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내조(3)가 비워져 있는 상태를 반영하는 기 설정된 값이다.
Zs1이 Zs0보다 큰 경우는, 내조(3) 내에 포가 수용된 상태 또는 내조(3)가 비어있기는 하나 변형부재(40)의 영구변형에 의해 변형율 게이지(20)에 의해 감지된 부하량이 제 1 설정치(Zs0)보다 큰 값으로 측정된 경우이다.
Zs1가 Zs0 보다 큰 경우, 내조(3)를 비울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3). 상기 메시지는 스피커(speaker) 또는 부져(buzzer)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소리의 형태로 출력되거나, LCD, LED, 발광다이오드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다시 변형율 게이지(20)를 통해 부하량이 감지된다(S4). S4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내조(3) 내에 포가 적치되어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내조(3)로부터 포를 끄집어낼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수행되거나, 내조(3)가 비워졌음을 알리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단계는 S4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Zs2)과 제 1설정치(Zs0)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Zs2가 Zs0보다 큰 경우는, 내조(3)가 비워졌음에도 불구하고 변형율 게이지(20)에 의해 측정된 부하가 제 1 설정치(Zs0) 보다 큰 경우인 바, 변형부재(40)가 영구 변형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설정치를 Zs2의 값으로 보정한다(S6).
이후, 사용자에 의해 내조(3)내로 다시 포가 투입되고, 투입된 포를 세탁하기 위해 세탁기가 작동되는 중에, 변형율 게이지(20)를 통해 다시 부하량이 감지되고(S7), 보정된 제 1 설정치를 바탕으로 포량이 결정된다(S8). 여기서 포량은 S7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과 보정된 제 1 설정치인 Zs2의 차이값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S2단계에서 Zs1이 Zs0와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펄세이터(4)를 통해 다시 한번 부하량이 감지된다(S9). Zs1이 Zs0와 같은 경우는 변형부재(40)가 변형되지 않아 기준값을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이거나, 내조(3) 내에 적치된 포량이 작아 변형율 게이지(20)에 의해 감지되지 못한 경우이다.
따라서, S9단계는 내조(3) 내에 적치된 포량이 작은 경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변형율 게이지(20)보다 정확하게 부하량을 감지하는 펄세이터(4)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부하량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변형율 게이지(20)에 의한 부하량 감지는 변형부재(40)의 변형이 이루어져야 하는 바, 내조(3) 내에 적치된 포량이 소량인 경우에는 그 정확도가 떨어지게 되는 반면, 펄세이터(4)를 이용하여 부하량을 측정하는 방식은 포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펄세이터(4)의 회전특성의 변화가 감지되어 변형율 게이지(20)를 이용한 경우보다 높은 정확도로 부하량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S10 단계는 S9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Zp)과 제 2 설정치(Zp0)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 2 설정치(Zp0)는 내조(3)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펄세이터(4)를 회전시킬 시 펄세이터(4)의 회전특성 변화에 따라 감지되는 부하량으로 기 설정된 값이다.
Zp가 Zp0보다 큰 경우는, 내조(3) 내에 포가 적치된 상태인 바, 내조(3)를 비울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고(S3), 이후, S4 내지 S8단계를 수행한다.
반대로 S10단계에서 Zp가 Zp0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내조(3)가 비어있는 상태인 바, 내조(3)에 포를 투입한 후 변형율 게이지(20)를 통해 다시 부하량을 감지하고(S11),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포량을 결정한다. 이때, 포량은 S11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과 제 1 설정치의 초기값(Zs0)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후, S8단계 또는 S12단계에서 결정된 포량에 따라 급수량, 세탁패턴, 헹굼패턴, 탈수패턴, 배수시간 등이 설정되고 그에 따라 세탁기가 작동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1, 도 2 참조)는 변형율 게이지(20)에 의해 측정된 변형율에 따라 내조(3)에 수용된 포량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급수부(12)에 의해 급수되는 세탁수의 양, 구동부(10)의 구동패턴 및 배수부(14)의 작동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매달리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펄세이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조를 상기 케이싱에 매다는 외조 지지부가 장착되는 외조 지지부 장착부가 상기 외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부하량을 감지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이 제 1 설정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특성에 근거하여 부하량을 감지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이 제 2 설정치 보다 큰 경우, 상기 내조를 비울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이 상기 제 2 설정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내조에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조 지지부 장착부가 상기 외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부하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외조 지지부 장착부가 상기 외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부하량을 재감지하고, 상기 재감지된 부하량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설정치를 보정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 내에 포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정된 제 1 설정치에 근거하여 상기 외조 지지부 장착부가 상기 외조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부하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외조 지지부 장착부에 설치된 변형부재의 수직변형율을 측정하여 부하량을 감지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비울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소리의 형태로 출력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비울 것을 알리는 메시지는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부하량이 상기 제 1 설정치 보다 큰 경우, 상기 내조를 비울 것을 알리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00090155A 2010-09-14 2010-09-14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08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55A KR101708681B1 (ko) 2010-09-14 2010-09-14 세탁기의 제어방법
PCT/KR2011/006688 WO2012036422A2 (en) 2010-09-14 2011-09-08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13/228,147 US8910335B2 (en) 2010-09-14 2011-09-08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EP11825382.2A EP2616581B1 (en) 2010-09-14 2011-09-08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CN201180048963.3A CN103403245B (zh) 2010-09-14 2011-09-08 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55A KR101708681B1 (ko) 2010-09-14 2010-09-14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28A KR20120028128A (ko) 2012-03-22
KR101708681B1 true KR101708681B1 (ko) 2017-02-21

Family

ID=4613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155A KR101708681B1 (ko) 2010-09-14 2010-09-14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6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2822A (ko) * 1994-05-07 1995-12-22 이헌조 세탁기의 포량 감지장치
JPH08294599A (ja) * 1995-04-26 1996-1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水兼用洗濯機
KR100653765B1 (ko) * 2003-05-09 200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28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0335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US2008007238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Washing Machine
JP5010431B2 (ja) 洗濯機
KR100358311B1 (ko) 세탁기
US9598810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PL226768B1 (pl) Maszyna pioraca
JP4748973B2 (ja) 洗濯機
KR20100102311A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KR10170868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9371607B2 (en) Method for adjusting a spinning speed of a drum of a household appliance for caring for laundry items
KR10170297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90076230A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70866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11838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47358B1 (ko) 세탁기
KR101141647B1 (ko) 세탁 장치의 탈수 제어 방법
KR10256216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239585A (ja) 洗濯乾燥機
CN206002269U (zh) 用于底脚的刚度测试系统
JP2000308794A (ja) 洗濯機
KR100315813B1 (ko) 세탁/헹굼시 언밸런스 감지방법
EP3715523B1 (en) A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KR101100202B1 (ko) 세탁 장치의 탈수 제어 방법
KR101526985B1 (ko) 진동감지기능을 갖는 세탁기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제어방법
KR20170041414A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